KR960009296Y1 -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296Y1
KR960009296Y1 KR2019930011803U KR930011803U KR960009296Y1 KR 960009296 Y1 KR960009296 Y1 KR 960009296Y1 KR 2019930011803 U KR2019930011803 U KR 2019930011803U KR 930011803 U KR930011803 U KR 930011803U KR 960009296 Y1 KR960009296 Y1 KR 960009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frame
face band
pcb
guide rail
shelf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531U (ko
Inventor
이갑상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1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296Y1/ko
Publication of KR950002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제1도는 종래의 선반 구조물의 전면 프레임 및 페이스 밴드(face band)가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 구조물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프레임 12 : 후면 프레임
14,16 :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18 : PCB 가이드 레일
20 : 페이스 밴드 36 : 요홈부
38 : 돌출부 44 : 에지
본 고안은 통신기기 선반 구조물의 전면 프레임 및 그에 결합되는 페이스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이스 밴드가 전면 프레임에 대해 압입 고정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면 프레임 및 페이스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 선반 구조물의 전면 프레임은 PCB를 장착하는 부분이며, 페이스 밴드는 전면 프레임에 부착되는 밴드로서 PCB의 기능을 선택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인쇄된다.
제1도에는 일반적인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전면 프레임(10)의 후방 표면 및 후면 프레임(12)의 전방 표면에는 제 1,2 가이드 레일(14,16)이 형성되며, 이 제 1,2 가이드 레일(14,16)을 따라 PCB가이드 레일(18)이 미끄럼 삽입된다.
한편, 전면 프레임(10)의 전방 표면(11) 상,하측 내측에는 페이스 밴드(20)가 미끄럼 장착될 수 있도록 한쌍의 종방향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페이스 밴드(20)는 압출가공되는 부재로서 문자 및 기호가 인쇄되는 명판부(24)와 전면 프레임상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부(22)에 미끄럼 결합되는 절곡부(26)로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전면 프레임(10) 및 후면 프레임(12)의 양측에는 나사구멍(28)이 형성되며, 이 나사구멍(28)으로는, 측판(30)이 예컨대 고정나사(미도시)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마더보드(mother board)(32)는 측판(30)과 후면 프레임(1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PCB는 PCB가이드 레일(18)의 홈(34)을 따라 삽입되어 마더보드(32)와 결합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통신기기 선반 구조물을 조립하는 경우, 먼저, 페이스밴드(20)을 전면 프레임(10)에 결합한후, 측판(3)을 전면 프레임(10) 및 후면 프레임(12)의 일측에 결합한다. 그후 PCB가이드 레일(18)을 제 1,2가이드 레일(14,16)에 삽입한후 나머지 측판을 고정한다.
이와같이 조립이 완료되게 되면, 도시되지 않은 PCB를 PCB가이드 레일(18)의 홈(34)을 따라 반복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으로 통해 삽입 테스트를 하게 되는 바, 이에 PCB는 직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PCB의 하단부와 페이스밴드(20)의 일측면에 서로 접촉되게 됨으로써, 사출물인 페이스 팬드(20)에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측벽을 분리한후 페이스 밴드(20)를 교체해야만 함으로써, 작업성의 저하를 유발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을 조립하고 PCB를 장착한 상태에서 페이스 밴드를 선반 구조물에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샹상시킬 수 있으며, PCB의 테스트 과정에서의 페이스 밴드의 손상을 방디할 수 잇는 선반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 선반 구조물은, 페이스 밴드와, PCB가 삽입되는 PCB가이드 레일과, 상기 페이스 밴드가 부착되는 전방 표면 및 상기 PCB가이드 레일이 미끄럼 이동되는 제1가이드 레일을 갖는 전면 프레임과, 상기 PCB가이드 레일이 미끄럼 이동되는 제2가이드 레일을 갖는 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통신기기 선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밴드의 내측 중심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형상이 대략 오옴형상을 갖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방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는 오옴 형상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페이스 밴드를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서 결합시키도록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페이스 밴드를 전면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PCB의 테스트 과정에서의 페이스 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은, 전면 프레임(10)의 후방 표면 및 후면 프레임(12)의 전방 표면에는 제 1,2 가이드레일(14,16)이 형성되며, 이 제 1,2 가이드레일(14,16)을 따라 PCB가이드레일(18)이 미끄럼 삽입된다.
한편, 전면 프레임(10)의 전방 표면(11) 상, 하측 내측에는 페이스 밴드(20)의 양단부가 즉, 엣지(44)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이때 페이스 밴드(20)는 압출가공되는 부재로서 문자 및 기호가 인쇄되는 명판부(24)와 전면 프레임상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부(22)에 미끄럼 결합되는 절곡부(26)로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전면 프레임(10) 및 후면 프레임(12)의 양측에는 나사구멍(28)이 형성되며, 이 나사구멍(28)으로는, 측판(30)이 예컨데 고정나사(미도시)를 통해 고정 설치 된다.
마더보드(mother board)(32)는 측판(30)과 후면 프레임(1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PCB는 PCB가이드 레일(18)의 홈(34)을 따라 삽입되어 마더보드(32)와 결합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는 것으로서, 전술한 페이스 밴드(20)의 내측 중심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형상이 오옴(Ω)형상을 갖는 돌출부(38)가 마련되며, 이 돌출부(38)와 대응되는 전면 프레임(10)의 전방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38)가 결합될 수 있는 오옴(Ω)형상의 요홈부(36)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페이스 밴드(20)의 상,하측 에지(44)는 완만한 경사부를 이루며, 돌출부(38)는 가요성 부재로 형성되므로 페이스 밴드(20)는 전면 프레임(10)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직접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선반 구조물을 모두 조립시킨후 PCB의 테스트를 완료한 상태에서 페이스 밴드(20)를 전면 프레임(10)의 전면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 페이스 밴드(20)의 내측 중심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옴(Ω)형상의 돌출부(38)가 전면 프레임(10)의 대응되는 오옴(Ω)형상의 요홈부(36)에 끼워 삽입되고 동시에 페이스밴드(20)의 상,하 엣지(44)가 전면 프레임(10)의 상, 하 양단부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그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회로 사양이 바뀌게 되면, 페이스 밴드(20)를 전면 프레임(10)에 조립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푸쉬하게 되면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그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PCB의 삽입 테스트에 따라 페이스 밴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해결되며, 회로 사양이 변경되는 경우, 측판을 분리하지 않고도 페이스 밴드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페이스 밴드와, PCB가 삽입되는 PCB가이드 레일과, 상기 페이스 밴드가 부착되는 전방 표면 및 상기 PCB가이드 레일이 미끄럼 이동되는 제1가이드 레일을 갖는 전면 프레임과, 상기 PCB가이드 레일이 미끄럼 이동되는 제2가이드 레일을 갖는 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통신 기기의 선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밴드의 내측 중심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형상이 대략 오옴 형상을 갖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방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는 오옴 형상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페이스 밴드를 상지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서 결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선반 구조물.
KR2019930011803U 1993-06-30 1993-06-30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KR960009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803U KR960009296Y1 (ko) 1993-06-30 1993-06-30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803U KR960009296Y1 (ko) 1993-06-30 1993-06-30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531U KR950002531U (ko) 1995-01-04
KR960009296Y1 true KR960009296Y1 (ko) 1996-10-16

Family

ID=1935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803U KR960009296Y1 (ko) 1993-06-30 1993-06-30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2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91A (ko) * 2000-04-22 2001-11-08 박종섭 통신기지단말기용 쉘프가이드 설치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531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90670A (ja) ヘツダ組立体
KR970032333A (ko) 정전기 방지기능이 부가된 인쇄회로기판 가이드레일 시스템
US5899771A (en) Device for fixing an electrical connector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5934915A (en) Grounding and screening device
US4509098A (en) Electrical printed wiring circuit board construction
JPH08228084A (ja) モニタのプリント回路基板取付装置
JPH02224395A (ja) プリント回路カードガイド
US4795362A (en) Circuit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wiring board
KR960009296Y1 (ko) 통신기기의 선반 구조물
KR850006808A (ko) 전화기용 전화 송수화기
JP3294635B2 (ja) プリント基板の誤挿入防止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構造と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
JP2567212B2 (ja) 個別呼出用受信機の液晶
KR100433108B1 (ko) 회로기판 설치구조
JPH037993Y2 (ko)
KR200167018Y1 (ko) 셀프에 착탈이 용이한 가이드레일의 결합구조
KR100343640B1 (ko) 서브랙 구조체
KR200145575Y1 (ko) 셀프의 유니트용 콘넥터가이드
KR960015904B1 (ko) 더브테일(Dovetail)을 이용한 인쇄회로 기판용 가이드레일과 지지대의 고정장치
JPH0319262Y2 (ko)
JPH0711520Y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固定構造
KR100635143B1 (ko) 텔레비전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268923Y1 (ko) 정보통신기기용 셸프의 기판안내장치
KR960001991Y1 (ko) 다수의 잭핀을 동시에 지지해주는 장치
KR200143896Y1 (ko) Pcb 고정구조
KR920004180Y1 (ko) 기판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