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375B1 - 자유단 그리드를 구비한 핵 연료 집합체 - Google Patents

자유단 그리드를 구비한 핵 연료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375B1
KR960008375B1 KR1019870009338A KR870009338A KR960008375B1 KR 960008375 B1 KR960008375 B1 KR 960008375B1 KR 1019870009338 A KR1019870009338 A KR 1019870009338A KR 870009338 A KR870009338 A KR 870009338A KR 960008375 B1 KR960008375 B1 KR 96000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fuel
rod
fixed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338A (ko
Inventor
노엘 카나 진
쁠라 조엘
Original Assignee
샤르트 브루낭
프라마뜸
로베르 라시니
꽁빠니 제네랄 데 마띠에레 누끌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르트 브루낭, 프라마뜸, 로베르 라시니, 꽁빠니 제네랄 데 마띠에레 누끌레아 filed Critical 샤르트 브루낭
Publication of KR88000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Catalyst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유단 그리드를 구비한 핵 연료 집합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연료봉의 부분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연료집합체에 대한 개략적인 등각투영도.
제3도는 대응하는 선단그리드에 의해 고정된 선단플러그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집합체 2 : 상단부재
3 : 하단부재 4 : 안내관
5 : 상단그리드 6 : 하단그리드
7 : 중간그리드 8 : 셀
9 : 연료봉 10 : 선단플러그
11 : 축소부 12 : 셀
13 : 마찰부 14 : 탄성블레이드
15 : 홈
본 발명은 안내과등과 같은 고정붕이나 연장부재로 연결된 두개의 선단핀과상단그리드, 하나그리드 및 중간 그리드 등으로 구성된 몇 개의 간격그리드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형태의 원자로에 적합한 연료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그 간격 그리드는 사각네트워크의 마디점에서 유지되는 연료봉 다발을 유지하기 위한 셀을 구비하고 있다. 각 연료봉은 그 각 선단부에 대응하는 선단 그리고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수밀성의 플러그에 의해 각 단부가 밀폐된 금속덮개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른바 PWR로 불리는 가압수형원자로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원자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집합체는 중성자에 대한 낮은 흡수단면적을 보유함과 동시에 방사선에 대한 좋지안은 기계적 성질을 갖는 지르코늄 합금으로서 불리는지르코늄을 모재로 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집합체를 따라 설치된 중간 그리드를 구비한다. 상기한 연료집합체의 형태에 있어서,간격그리드는 여러역할을 수행한다.
즉, 간격그리드는 횡방향의 충격에 대한 집합체의 구조적 보호 및 냉각재 유도의 혼합과 핵분열성 물질을 보유하는 연료봉을 지지함과 아울러 감합하는 역할을 한다.
간격그리드는 두가지 형태가 있는데, 이 간격그리드는집합체 구성중 연장부재와연료봉간의 차별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만 된다. 그리드는 연료봉에 연결되거나, 구조나 골조에 속하는 연장부재에 연결된다.
참조문헌 FR-A-2 008 009호에는 규칙적인 네트워크의 마디점에 고르게 분사배치되어 고정봉에 집합된 두 평행선단부재로 형성된 견고한 골조가 개시되어 있다. 고정봉의 지름은 실질적으로 연료봉의 지름과 동일하다. 간격그리드는 고정봉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활주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연료봉의 수가 고정보에 비해 많이 때문에 간격드리드는 연료봉과 더불어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원자로의 동작중에 연료봉의 팽창이 고정보의 팽창과 상이하여 간격그리드가 고정봉을 통해 활주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집합체는 일정한 범위 이상의 고정봉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간격그리드 사이에서 고정봉과 동축의 접촉 스리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집합체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연료봉 연신이 어느정도 이상이 되는 경우 고정봉을 통한 상부 그리드의 활주량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연료봉 다발의 안내 및 저지가 위태롭게 됨과 더불어 고정봉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집합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간격그리드의 재료로서 지르코늄합금(약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연료봉은 그 연료봉과 접촉지지되는 집합체의 하단부재에 형성되므로 연료봉의 축방향지지를 위한 클램핑이 충분하지 않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로의 개선된 연료집합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특히, 집합체의 중앙부를 따라 설치된 중간 그리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집합체로서 중성자에 대한 낮은 흡수단면적을 갖는 반면 연료봉이 온도팽창에 기인하여 신장될 때 연료봉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연료봉 및 집합체의 골조는 그 변형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각재의 수용을 위한 용기와, 서로인접하여 직립된 복수개의 핵연료 집합체로 구성되고 냉각재가 횡단하도록 용기내에 설치된 노심을 갖는 원자로를 제공하고 있는바, 이때 연료 집합체는 상단플러그 및 하단 플러그로 구성된 선단플러그에 의해 각 단부가 금속재 덮개로 밀폐된 복수의 연료봉 다발과, 상기 연료봉 다발을 서로 평행하게 유지 및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봉에 의해 상호견고하게 연결된 상단부재와 하단부재 및 고정봉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간격그리드를 구비하고 연료봉의 유지를 위한 규칙적인 네트워크의 마디점에 형성된 셀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되, 복수의 간격그리드는 상단그리드와 하단그리드의 두 선단그리드로 구성되는바, 이 상단그리드와 하단그리드중의 어느하나는 모든 연료봉의 상단플러그 및 하단플러그의 어느한쪽에 각기 연결됨과 동시에 고정봉에 고정되며 그외의 다른 선단그리드는 각 연료봉의 다른 선단플러그에 연결되고 고정봉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고, 복수의 중간그리드는 고정봉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료봉은 활주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연료봉 다발은 전체적인 구조에 의해 유지 및 지지되는 고정봉에 고정된 상기 어느한 단부그리드로부터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블레이드 수단으로 구성되는 상단그리드 및 하단그리드중의 적어도 하나에 연료봉 유지를 위한 각각의 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모든 연료봉의 상단플러그 및 하단플러그중의 각각은 상기 탄성블레이드 수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홈을 구비한 원자로의 연료집합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 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두 개의 탄성블레이드로 구성되는 탄성블레이드 수단을 갖는 연료집합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단그리드 및 하단그리드중의 적어도 어느 한 그리드가 밀착성을 갖는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단플러그 및 하단플러그중의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연료봉의 차별팽창이나 차별수축이 가능한 집합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를 집합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다발중의 연료봉일 단부플러그에 결합되고 고정봉이나 연장부재에 고정된 선단그리드는 상단 또는 하단그리드로 될 수 있으며 더욱 유리하게는 하단그리드로 될 수있다.
중간그리드는 지르코늄 합금이라 불리우는 지르코늄을 모재로한 합금으로 구성되며, 고정봉에 고정된 선단그리드는 인코넬(Inconel)등과 같이 철, 크롬 및 니켈을 함유하는 양호는 기계적 특성을 가는 합금으로 구성된다.
자유단그리드는 지르코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인코넬로 형성되거나 두재료 모두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와 제2도에는 제2도상의 1점쇄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고정봉으로 연결된 상단부재(2) 및 하단부재(3)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집합체(1)가 도시되어 있다.
연료집합체(1)는 상단그리드(5), 하단그리드(6) 및 중간그리드(7)로 구성된다. 그리드는 규체적인 네트워크의 마디점에서 연료봉(9)을 위한 지지셀(8)을 형성한다. 가압경수용 원자로의 연료집합체에 있어서 규칙적인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17×17개의 마디를 갖는 사각피치격자를 이룬다. 각 연료봉은 상·하단그리드(5),(6)내에 수용됨과 아울러 수밀성을 갖는 상·하단플러그에 의해서 그 단부가 밀페된 금속재의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두 개의 상·하단그리드 각각은 모든 연료봉의 각 상·하단플러그에연결접속된다. 제2도에는 접속을 확실하게 하는 마찰력의 한 형태가 나타나 있으며, 그 마찰력은 상·하단그리드의 지지셀 직경의 축소부(11)에 기인하며 다른 형태의 접속은 불가능하다.
제2도에 의하면, 안내관(4)은 상·하단부재(2),(3), 하단그리드(6) 및 중간그리드(7)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반면에 상단그리드(5)는안내과(4)이 상단그리드(5)내에 형성된 셀(12)내로 자유롭게 활주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료봉(9)은 상단그리드(5) 및 하단그리드(6)에 접속된다. 또한 연료봉(9)은 중간그리드(7)의 셀(8)에 활주가능하게 끼워진다. 하단그리드(6)는 한편으로는 안내관(4)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연료봉(9)에 의해서 고정되어 연료봉을 위한 고정점을 구성한다. 상단그리드(5)에 고정됨과 아울러 안내광이 자유롭게 확주가능하게 구성된 연료봉 다발은 중간그리드의 지지셀(8)을 통하여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료봉은 그 연료봉간의 팽차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마찰부(13)를 통하여 어느 한 단부그리드에의 저속이 가능하다. 하나 또는 그이상의 연료봉에 가해지는 응력이 다른 연료봉 다발에 가해지는 응력에 비해 상당히 크게 되므로서 연료봉 다발이 부착된 상단그리드의전체적인 이동에 불구하고, 예정된 값이상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마찰부에 의해서 연료봉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단그리드와 하단그리드에 의해 작용되는 역할을 반대로 함으로써 얻어지는결과 역시 동일함은 자명하다.
연료봉의 팽창이나 수축 및 또는 방사선조사 동안 연료봉 다발이 구형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연료봉선단에는 어떠한 저항응력도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연료봉이 구형아치를 이루는 현상이 제거되는 반면, 원자로의 일차냉각재의 유동에 기인하여 응력이 가해지는부분의 연료봉의 횡방향 지지를 확실하게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연료봉의 팽차잉나 수축에 의해 발생된 응력이 가해지는 집합체가 개선된 효과를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연료봉 자체와 연료집합체의 구조에 가해지는응력이 상당히 제거되므로 연료집합체가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휘는 위험이 감소된다. 따라서, 집합체주고는 조사후에 연료집합체를 취급하는 동안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 특히, 변형을 받지 않게 된다. 상단고정그리드나 하단고정그리드는 인코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 재료을 채택함으로써 연료가 완전히 소모될때까지 핵분열성 연료의 지지고정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연료집합체를 따라 설치된 중간그리드와 고정단그리드는 중성자에 대한 낮은 흡수단면적을 갖는 지르코늄 합금으로 구성된다. 방사선 조사상태에서 의지르코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이 나쁜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바, 그 이유는 중간그리드 및 고정단그리드의 경우 연료봉의 대각재(對角材)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제3도는 일예로 하단그리드(6)에 고정된 본 발명에 따른 집합체에 속하는 연료봉(9)의 선단플러그(10) 고정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10)는 그리드(6)의 셀(8)은 일예로 그리드를구성하는 교차블레이드의 적절한 절단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블레이드(14)를 포함한다. 선단플러그에는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또는 탄성블레이드(14)와 홈부(15)와의 결합에 의해 연료봉은 횡방향 및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그와 같은 블레이드수단에 의해 연료봉이 충분히 지지되기 때문에 선단그리드의 양쪽 모두에 이 블레이드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미 알려진 가요성 또는 탄성블레이드나 그리드에 고정된 스프링으로 연료봉을 압착하거나 그리드상에 보스를 구성하는 연료봉에서 관찰되는 어떠한 팽창효과도 상기 블레이드수단은 발생되지 않는다.
원자로의 가동시 블레이드가 축방향으로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블레이드는중량, 아르키메데스 압력 및 수압에 기인한 축방향 응력에대한 저항성을 갖는다. 탄성블레이드에 의해서 가해진 힘 자체가 응력으로 된다. 따라서 연료봉에 가해진 반대 프리스트레스(pre-stress)는 팽창의 이득에 기인하여 적어지게 된다. 블레이드 스프링을 축방향을 표면상에 설치함으로써 선단 플러그의삽입을 확실히 함과 아울러 연료봉이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Claims (6)

  1. 냉각재의 수용을 위한 용기와, 그 냉각재가 지나가도록 용기내에 설치된 오심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호 인접하여직렬된 핵연료지합체로 구성된 원자로에 있어서, 상단플러그 및 하단 플러그로 구성된 선단플러그에 의해 각 단부가 금속재 덮개로 밀페된 복수의 연료봉 다발과, 상기 연료봉다발을 서로 평행하게 유지 및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봉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 상단부재와 하단부재 및 고정봉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간격그리드를 구비하고 연료봉의 유지를 위한 규칙적인 네트워크의 마디점에 형성된 셀을 갖는 구조로구성되되, 복수의 간격그리드는 상단그리드와 하단그리드의 두 선단그리드로 구성되는 바, 이 상단 그리드와 하단그리드중의 어느 하나는 모든 연료봉의 상단플러그 및 하단플러그의 어느한쪽에 각기 연결된과 동시에 고정봉에 고정되며 그와의 선단그리드는 각 연료봉의 다른 선단그리드에 연결되고 고정봉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고, 복수의 중간 그리드는 고정봉에 고정됨과 동시에 연료봉은 활주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연료봉다발은 전체적인 구조에 의해 유지 및 지지되는 고정봉에 고정된 상기 어느한 단부그리드로부터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그리드 및 하단그리드의 적어도 어느한 그리드에 연료봉의 유지를 위한 각 셀이 탄성블레이드 수단으로 구성되고, 모든 연료봉의 상단플러그 및 하단플러그 각각은 탄성블레이드수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단그리드 및 하단그리드의 적어도 어느한 그리드가 견고한 고정수단에 의해 모든 연료봉의 상단플러그 및 하단플러그의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연료봉상에 작용하는 상이한 응력이 일정한 값이상으로 될 때 연료봉간의 차별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4. 제2항에 있어서, 셀의 탄성블에이드 수단이 셀내에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탄성블레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하단그리드가 모든 연료봉의 하단플러그에 연결되고 고정봉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중간그리드와 고정봉이 활주가능하게 고정된 상단그리드 및 하단그리드중의 어느한 그리드는 지르코늄 합금과 같은 지르코늄을 모재로 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며, 고정봉에 고정된 상단그리드와 하단그리드중의 다른 그리드는 인코넬로 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KR1019870009338A 1986-08-28 1987-08-26 자유단 그리드를 구비한 핵 연료 집합체 KR960008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12172A FR2603417B1 (fr) 1986-08-28 1986-08-28 Assemblage de combustible nucleaire a grille d'extremite libre
FR8612172 1986-08-28
FR86-12172 1986-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338A KR880003338A (ko) 1988-05-16
KR960008375B1 true KR960008375B1 (ko) 1996-06-26

Family

ID=933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338A KR960008375B1 (ko) 1986-08-28 1987-08-26 자유단 그리드를 구비한 핵 연료 집합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92428A (ko)
EP (1) EP0262997B1 (ko)
JP (1) JPH07117592B2 (ko)
KR (1) KR960008375B1 (ko)
CN (1) CN1019868B (ko)
DE (1) DE3774661D1 (ko)
ES (1) ES2026928T3 (ko)
FR (1) FR2603417B1 (ko)
ZA (1) ZA876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640A (en) * 1992-04-03 1998-09-08 Hill-Rom, Inc. Patient care system
US5024807A (en) * 1988-12-05 1991-06-18 Combustion Engineering, Inc. Debris catching spring detent spacer grid
US4919883A (en) * 1988-12-14 1990-04-24 Combustion Engineering, Inc. Lower end fitting debris collector and end cap spacer grid
US4980121A (en) * 1989-07-28 1990-12-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tective device for lower end portion of a nuclear fuel rod cladding
FR2665292B1 (fr) * 1990-07-24 1992-11-13 Framatome Sa Grille additionnelle pour assemblage combustible de reacteur nucleaire et assemblage en comportant application.
SE510817C2 (sv) * 1992-04-28 1999-06-28 Asea Atom Ab Förfarande för att i en kärnkraftsreaktor förlänga livslängden för en bränslepatron genom att efter viss drifttid vända i denna innehållna bränslestav upp och ner
RU2654531C1 (ru) * 2017-09-29 2018-05-2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ВЭЛ" (АО "ТВЭЛ") Тепловыделяющая сборк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463A (en) * 1960-10-27 1963-07-24 Atomic Energy Authority U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uclear fuel elements
GB1069016A (en) * 1964-08-08 1967-05-17 Siemens Ag Heterogeneous nuclear reactor of the pressure vessel type
US3954560A (en) * 1970-05-06 1976-05-04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Nuclear fuel assembly
US3992259A (en) * 1973-06-25 1976-11-16 Combustion Engineering, Inc. Fuel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FR2298162A1 (fr) * 1975-01-20 1976-08-1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
FR2522866B1 (fr) * 1982-03-04 1987-12-3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ssemblage combustible de reacteur nucleaire
FR2533350B1 (fr) * 1982-09-16 1988-07-08 Fragema Framatome & Cogema Assemblage de combustible nucleaire a crayons remplacables
FR2589614B1 (fr) * 1985-08-09 1988-01-08 Fragema Framatome & Cogema Assemblage combustible nucleaire a structure de maintien et dispositif anti-env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6928T3 (es) 1992-05-16
JPS6361992A (ja) 1988-03-18
JPH07117592B2 (ja) 1995-12-18
FR2603417B1 (fr) 1988-12-02
US4792428A (en) 1988-12-20
DE3774661D1 (de) 1992-01-02
CN87105868A (zh) 1988-03-16
EP0262997A1 (fr) 1988-04-06
KR880003338A (ko) 1988-05-16
FR2603417A1 (fr) 1988-03-04
EP0262997B1 (fr) 1991-11-21
CN1019868B (zh) 1992-12-30
ZA876343B (en) 198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436B1 (ko) 연료봉 프레팅 마모방지를 위한 카누 모양의 스프링을 가진지지격자
US3954560A (en) Nuclear fuel assembly
KR940011429B1 (ko) 원자로용 연료집합체
US4357298A (en) Nuclear fuel assembly space arrangement
US5444748A (en) Grid structure for supporting fuel rods in a nuclear reactor
KR830001096B1 (ko) 핵 연료 집합체의 보우잉을 감소시키는 스페이서 그리드
EP0249107B1 (en) Nuclear-reactor fuel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spacer grids
KR960008375B1 (ko) 자유단 그리드를 구비한 핵 연료 집합체
SE8503403L (sv) Spridare for brenslestavar
KR100227134B1 (ko) 핵연료조립체의 연료봉 지지 그리드용 그리드 스트립
US4571324A (en) Nuclear fuel assembly spacer
US4522782A (en) Fuel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US4364901A (en) Anti-fly-off device
US4119490A (en) Nuclear fuel assembly
KR20030091654A (ko) 가압 경수로용 연료 어셈블리의 스페이서 그리드
JPH0457238B2 (ko)
KR100892638B1 (ko) 온-오프 작동형 누름스프링을 사용한 핵연료집합체용상단고정체
US3600276A (en) Fuel systems for nuclear reactors
US9136025B2 (en) Dual-cooled fuel rod's spacer grids with upper and lower cross-wavy-shape dimple
US4240876A (en) Nuclear fuel assembly
JPS6317038Y2 (ko)
US4725401A (en) Element immersed in coolant of nuclear reactor
ES8702040A1 (es) Perfeccionamientos en un conjunto de combustible de reactor nuclear
JPS61237084A (ja) 核燃料集合体
Pickman Interactions between fuel pins and assembly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