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084Y1 - 다용도 끈 긴체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끈 긴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084Y1
KR960008084Y1 KR2019930005516U KR930005516U KR960008084Y1 KR 960008084 Y1 KR960008084 Y1 KR 960008084Y1 KR 2019930005516 U KR2019930005516 U KR 2019930005516U KR 930005516 U KR930005516 U KR 930005516U KR 960008084 Y1 KR960008084 Y1 KR 960008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curved
fingerboard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951U (ko
Inventor
김상수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김현수
신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김현수, 신태호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2019930005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084Y1/ko
Publication of KR940023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다용도 끈 긴체구
제1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작용 표시도.
제4도는 본고안의 제2 실시예도.
제5도는 본고안의 제3 실시예도.
제6도는 본고안의 사용 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끈 긴체구2 : 탄지판
3 : 곡면판4 : 긴체판
5 : 외향절곡부6, 7 : 통공
8 : 절곡부9 : 결합요홈
10 : 돌출부11 : 곡면부
12 : 통공13 : 통공
14 : 돌조15 : 끈
본 고안은 주로 신발용 끈이나 옷끈 및 가방용 끈등을 긴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다용도 끈 긴체구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은 실발 뿐만 아니라 옷이나 가방 끈등의 긴체구로도 겸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특히 구조가 간단 하면서도 사용도중 미끄럼 현상의 발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하여 다용도 끈 긴체구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도 각종 끈 긴체구가 안출되어 실용화 되고 있으나 이는 그 그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앙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내부에 비틀림 스프링을 탄지하여 신발끈을 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경우는 비틀림 스프링 자체가 신발끈에 괘지되어 긴체 되므로 사용도중 스프링의 탄지력이 취약하여 끈이 해리되는 경우가 잦았고 또한 신발 끈을 해리할 경우는 별도의 압동판을 눌러 해리 하므로 해리 동작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의 탄지판과 곡면판을 결합하여 신발끈등 각종 가방끈이나 옷에 부착되는 끈 긴체구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발끈 긴체구(1)를 형성함에 있어서, 곡면으로된 탄지판(2)의 양측에는 결합 요홈(9)이 요설된 절곡부(8)를 형성하고 상측 중앙부에는 통공(7)을 천설하며 이의 양측에는자형의 통공(6)을 대향으로 천설하여 외향절곡부(5)를 갖는 긴체판(4)을 돌설한후 곡면판(3)과 결합되게 하되, 곡면판(3)의 양측에는 탄지판(2)의 결합요홈(9)과 결합될 수 있는 돌조(14)를 돌설하고 이의 중앙부에는 탄지판(2)의 통공(7)과 일치되게 끈(15) 삽입용 통공(13)을 천설하며 이의 양측에는 대향으로 통공(12)과 곡면부(11)를 갖는 돌출부(10)를 형성하여 탄지판(2)의 통공(6)에 일치되게 결합하여 각종 끈(15)을 긴체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제4도는 제2 실시 예도로서 끈(15) 결속용 통공(7)(13)을 양측으로 천공하여 필요에 따라 끈의 결속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고 제5도는 제3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으로 끈(15) 결속부를 내향으로 형성한 것으로 역시 끈(15)의 결속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고안은 각종 신발끈이나 옷에 착설된 끈 및 가방용 끈 등 [이하 신발용 끈(15)이라 통일하여 지칭한다]을 긴체하는 것으로서, 즉 제1도와 같은 탄지판(2)및 곡면판(3)을 결합함에 있어서, 탄지판(2)에 형성된 결곡부(8)의 결합요홈(9)에 곡면판(3)의 돌조(14)를 결합하면 곡면판(3)의 돌출부(10)가 탄지판(2)의 통공(6)과 일치 되므로 이와 같은 상태의 본 고안을 운동화등 신발의 끈(15) 선단부에 위치 시키고 제2도와 같이 끈(15)의 선단부를 각 통공(6)(10)을 통해 삽입하여 중앙에 형성된 통공(7)(13)에 한꺼번에 끼우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12)(6)을 통해 한번 긴체가 되면 탄지판(4)의 외향 절곡부(5)에의해 끈(15)이 해리되지 못하고 신발끈(15)을 조일 경우는 상측으로 나온 끈(15)을 잡고 당기기만 하면 통공(12)의 곡면부(11)를 따라 당겨지게 되고 외향 절곡부(5)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해리는 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고안은 신발등 각종 끈(15)을 긴체할 수 있는 것으로 끈(15)을 탄지판(2)과 곡면판(3)의 각 통공(10)(6)에 삽입하여 당기기만 하면 돌출부(10)의 곡면부(11)및 긴체판(4)의 외향 절곡부(5)에 의해 긴체가 이루어지고 끈(15)을 놓으면 정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각종 끈(15)의 긴체구(1)로서 널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고안의 끈 긴체구(1)를 해리할 경우는 제3도와 같이 끈 긴체구(1)의 양측 가장자리를 누르면 끈 긴체구(1) 자체가 곡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향으로 휘게 되는바, 이때 긴체판(4)은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곡며판(3)의 돌출부(10) 및 탄지판(2)의 양측이 절곡되어 긴체판(4)과 돌출부(10)의 곡면부(11)가 상호 이격되어 공간이 생기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끈(15)의 하부를 잡고 당기면 끈이 해리되어 매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중 제4도와 제5도는 본고안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즉 제4도는 끈(15) 선단부의 삽입통공(7)(13)위치를 양측으로 천설하므로서 필요에 따라 끈을 임의로 결속할 수 있게 한 것이고 제5도는 끈(15)의 결속부를 내향으로 형성하므로서 역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속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들의 기능이나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이다.
특히 본고안중 곡면판(3)은 이색으로 사출이 가능 하므로 여러가지의 안료를 배합하여 제품화 하되 곡면판(3)은 상측의 탄지판(2)보다 약간 큰 규격으로 형성하여 결합 하므로서 외관 장식미를 크게 개선할 수가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양상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의 간소화로 제작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가 있으며 특히 부피가 소형으로 되므로 착용시 긴체구(1) 자체로 인한 불편함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매우 간단한 구조의 곡면판(3)과 탄지판(2)을 상호 결합하여 각종 끈을 결속하게 하는 것으로 제품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공정의 간소화로 제작단가를 저렴하게 하며, 특히 하부의 곡면판(3)은 이색으로 사출이 가능하여 외관 장식미를 크게 개선 할 수 있으며 부피가 소형으로 되므로 착용도중 긴체구로 하여금 하등의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긴체나 해리 동작이 매우 간단하여 각종 신발끈이나 옷의 끈및 가방용 끈등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그 실용성이 매우 현저한 고안이다.

Claims (3)

  1. 신발끈 긴체구(1)를 형성함에 있어서, 곡형으로 된 탄지판(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 요홈(9)을 갖는 내향 절곡부(8)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통공(7)을 천설하며 양측에는 외향 절곡부(5)를 갖는 긴체판(4)을 통공(6)의 내측에 돌설하여 곡면판(3)의 돌조(14)에 의해 탄지판(2)의 결합요홈(9)에 결합되게 하되, 곡면판(3)의 중앙에는 탄지판(2)의 통공(7)과 일치되는 통공(13)을 천설하고 양측에는 통공(12)과 곡면부(11)를 갖는 돌출부(10)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다용도 끈 긴체구.
  2. 제1항에 있어서, 각 통공(7)(13)의 위치를 돌출부(10)및 통공(6)의 외측에 대향으로 천설한 것에 특징이 있는 다용도 끈 긴체구.
  3. 제1항에 있어서, 단자판(4)과 돌출부(10) 및 통공(6)을 내향(반대방향)으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다용도 끈 긴체구.
KR2019930005516U 1993-04-06 1993-04-06 다용도 끈 긴체구 KR960008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516U KR960008084Y1 (ko) 1993-04-06 1993-04-06 다용도 끈 긴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516U KR960008084Y1 (ko) 1993-04-06 1993-04-06 다용도 끈 긴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951U KR940023951U (ko) 1994-11-16
KR960008084Y1 true KR960008084Y1 (ko) 1996-09-23

Family

ID=1935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516U KR960008084Y1 (ko) 1993-04-06 1993-04-06 다용도 끈 긴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08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696B1 (ko) * 2007-04-02 2008-02-28 한창훈 신발 끈 액세서리
WO2008026834A1 (en) * 2006-08-28 2008-03-06 Chang Hun Han Shoelace accessory
KR100860708B1 (ko) * 2006-10-23 2008-09-26 박명호 끈 결속구
KR101140424B1 (ko) * 2011-10-18 2012-05-15 주식회사 에스코니 신발 끈 정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137A (ko) * 2000-11-10 2001-02-05 이해곤 신발끈의 결속장치
KR100414783B1 (ko) * 2000-11-14 2004-01-16 이해곤 신발끈의 결속장치
KR101142949B1 (ko) * 2009-02-12 2012-05-08 한창훈 신발끈 액세서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6834A1 (en) * 2006-08-28 2008-03-06 Chang Hun Han Shoelace accessory
KR100860708B1 (ko) * 2006-10-23 2008-09-26 박명호 끈 결속구
KR100807696B1 (ko) * 2007-04-02 2008-02-28 한창훈 신발 끈 액세서리
WO2008120903A1 (en) * 2007-04-02 2008-10-09 Shoes Buckle Co., Ltd. Accessories for string of footwear
KR101140424B1 (ko) * 2011-10-18 2012-05-15 주식회사 에스코니 신발 끈 정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951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482B2 (en) Fixing device for laces
KR960001085Y1 (ko) 끈 고정구
US6510627B1 (en) Shoe having a shoe lace device that can be tightened to simulate a double-bow knot
KR960008084Y1 (ko) 다용도 끈 긴체구
US20100122474A1 (en) Sandal with an interchangeable decorative strap
US5309610A (en) Quick-release buckle for attaching two straps together
US6058573A (en) Fastener system for ornaments for leather type fabrics
KR100807696B1 (ko) 신발 끈 액세서리
US4144621A (en) Adjustable resilient eyelet clamp for shoes
US4210983A (en) Eyelet clamp for shoes
US2911697A (en) Cord fastener
KR101037290B1 (ko) 신발용 장식구
US6536086B2 (en) Double-bow shoe lace device
JP2011072600A (ja) 装飾品用輪ゴム留め具
KR101018056B1 (ko) 신발끈 액세서리
US20050262667A1 (en) Rotating pin clasp apparatus
JPS6015503Y2 (ja) 珠飾り
KR200158149Y1 (ko) 가방의 끈고리 연결구
US1596607A (en) Chain
KR960009622Y1 (ko) 양복커버용 손잡이
KR101106182B1 (ko) 신발의 액세서리
KR200324623Y1 (ko) 조립식 부채
KR200284298Y1 (ko) 장신용 체인 연결고리
KR910008380Y1 (ko) 봉제완구의 골격구조
EP0802746A1 (en) Tightening device for strings, shoelaces, string and like elongated and pliable elements having free 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