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072B1 -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072B1
KR960008072B1 KR1019930013455A KR930013455A KR960008072B1 KR 960008072 B1 KR960008072 B1 KR 960008072B1 KR 1019930013455 A KR1019930013455 A KR 1019930013455A KR 930013455 A KR930013455 A KR 930013455A KR 960008072 B1 KR960008072 B1 KR 96000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output
monitor
electron beam
fram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065A (ko
Inventor
홍철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072B1/ko
Publication of KR95000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제 1도는 일반적인 브라운관의 단면도.
제 2도는 전자빔 주사 방식을 보인 예시도.
제 3도는 종래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의 블록도.
제 4도는 제 3도에 있어서, 화상 계측 범위를 보인 예시도.
제 5도는 본 발명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의 블록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 분리방식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2 : 계측영역 선정부
3 : 데이터 전송부 4 : 중앙처리장치
5 : 비교색상 저장부 6 : 분리색상 저장부
7,14 : 프레임 메모리 8,15 : 표시부
9 : 패턴신호 발생부 10 : 카메라
11 : 모니터 12 : 크로스 패턴 발생부
13 : 화상처리부 16 : 전자총
17 : 자계보정 마그네트링 18 : 편향요크
19 : 섀도우 마스크 20 : 형광체면
본 발명은 화상 주사 영역의 계측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에서 전자빔 주사 영역을 카메라로 개측할 때 표시할 화상을 한자지 색상만 분리하여 표시함에 따라 형광체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위치를 측정하는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니터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적, 청, 녹 색상의 전자총(16)에서 방출된 전자는 자계 보정 마그네트링(17)를 통해 편향요크(18)에 의해 편향되고 일정 모양의 섀도우 마스크(19)를 통해 형광체면(20)에 주사된다.
여기서, 전자총(16)의 방출전자는 제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형태의 마스크(19)를 통해 일정형태로 색상이 배열된 형광체면(20)에 주사된다.
이때, 전자총(16)의 방출전자 주사된 형광체가 빛을 발함으로써 모니터 화면에 색상이 표시된다.
그런데, 어떤 요인에 의해 전자총(16)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방향이 비틀어 지면(제 2도의 점선) 형광체면(20) 상에서는 가장 인접한 색상(R,G,B)형광체가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거리와 형광체가 발관하게되어 색얼룩 또는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가 발생된다.
따라서, 모니터 생산 현장에서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리니어카메라(liner camera) 또는 에리어 카메라(area camera)등을 이용하여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의 량을 측정한 후 양부를 판정하고 부판정시 합격 규격이 되도록 자계 보정 마그네트링(17) 및 편향요크(18)를 조정하게 된다.
제 3도는 종래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의 블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로스 패턴 발생부(12)에 의한 모니터(11)의 화상을 감지하는 흑백카메라(10)와, 이 카메라(10)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양자화하여 프레임 메모리(14)에 저장하는 화상처리부(13)와, 이 화상처리부(13)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 메모리(1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연산함으로써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량을 판정하는 이를 표시부(15)에 표시하는 중앙처리장치(4)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같은 종래 회로의 동작과정을 제 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로스 패턴 발생부(12)에서 크로스 패턴 신호를 발생시키면 모니터(11)에 제 4도와 같은 패턴의 화상이 표시되고 흑백 카메라(10)는 상기 모니터(11)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감지하여 화상처리부(13)에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4)에 화상입력을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화상처리부(13)는 카메라(10)의 출력을 입력받아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프레임 메모리(14)에 저장하게 되고, 이 프레임 메모리(14)의 저장 데이터를 읽어들인 상기 중앙처리장치(4)는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의 량을 연산하게 된다.
즉, 중앙처리장치(4)는 제 4도의 화상에 따른 프레임 메모리(14)의 저장데이타를 읽어들여 종선만을 포함한 종선 계측 영역(a)과 횡성만을 포함한 횡성 계측 영역(B)에 대해 각기 종방향의 밝기를 합하고 이 밝기의 합을 취할때의 피크점들을 각 색의 선중심 계측 영역의 중심으로 함과 아울러 해당 중심 부근을 선중심 계측 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종선 계측 영역(A)과 횡선 계측 영역(B)의 횡선에서 가장 밝은 형광체가 녹색이라는 사실과 형광체의 색배열 상태 및 형광체간 거리가 일정함을 이용하여 가장 큰 피크치의 형관체를 녹색으로 판정하고 그 밖의 피크점상의 형광체는 일정한 형광체의 색배열 상태 및 형광체간 거리에 의해 적색 또는 청색을 판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4)는 색판별에 따른 해당선 중심 계측 영역(A)(B)내의 화상 밝기 합을 하중평균 처리하여 각 색의 선중심 위치를 구하고 이에 의해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의 량을 측정하여 표시부(15)에 측정결괄를 표시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로서 선중심 계측 영역(A)의 종방향 밝기를 구하고 각 색마다 설정된 레벨 이상의 밝기를 갖는 형광체의 양끝 에지의 중심위치를 선중심 위치로 하여 미스콘버젼스의 량을 구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회로는 제 2도(나)와 같은 스트립(stripe)형상의 형광체를 갖는 모니터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제 2도(가)와 같은 델타(delta)형으로 배열된 형광체를 갖는 모니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트립 형상의 형광체를 갖는 경우 가장 밝은 형광체가 녹색이라는 제한에 의해 색신호도에 의해 녹색이외의 색을 동등한 밝기 또는 더 밝게하면 제품 적용이 곤란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 데이터에서 임의의 색상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색상의 중심을 구하여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를 측정하는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계측 회로를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5도는 본 발명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 위치 계측 회로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페턴 신호를 모니터(11)에 출력시키는 패턴신호 발생부(9)와, 상기모니터(11)의 화상을 감지한 흑백 카메라(10)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와, 이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1)의 출력에서 계측의한 영역을 선정하는 계측 영역 선정부(2)와, 이 계측 영역 선정부(2)의 출력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7)와, 임의의 형광체 배열상태를 저장하는 비교색상 저장부(5)와, 이 비교색상 저장부(5)의 출력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7)의 저장 데이터를 색분리하는 분리색상 저장부(6)와, 상기 각부프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색상 저장부(6)의 출력을 연산하는 미스콘버젼스의 량을 산출하고 산출결과를 표시부(8)에 나타내는 중앙처리장치(4)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재 6도 색상 분리방식을 보인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4)에서 신호발생 시작신호(Sgen)를 출력하면 패턴신호 발생부(9)는 계측 대상인 모니터(11)에 패턴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니터(11)의 화면에 테스트 패턴이 표시된다.
이때, 모니터(11)의 화면에 표시되는 테스트 패턴을 감지한 흑백카메라(10)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아날로스/디지탈 변환부(1)에 출력할 때 중앙처리장치(4)가 데이터 입력시작신호(Scon)를 출력하면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는 상기 카메라(10)의 아날로그 출력을 양자화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계측 영역 선정부(2)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계측 영역 선정부(2)가 아날로그/디지탈 변화부(1)의 출력중 계측을 위한 소정 영역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면 데이터 전송부(3)는 고속으로 프레임 메모리(7)에 전송함으로써 모니터(11)에 표시된 일정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상기 프레임 메모리(7)에 저장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7)에 화상데이타의 저장이 완료되어 저장 데이터를 분리 색상 저장부(6)에 출력할 때 비교색상 저장부(5)는 임의의 색 배열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7)의 출력중 임의의 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정보를 제거하게 된다.
즉, 제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 메모리(7)가 적, 녹, 청의 색정보를 분리대상 저장부(6)에 출력할 때 비교색상 저장부(5)가 임의의 색 배열은 1그의 배경은 0 으로 설정한 신호를 상기 분리 색상 저장부(6)에 출력함으로써 임의의 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을 제거하여 분리된 한가지 색만이 상기 분리색상 저장부(6)에 저장된다.
이때, 색분리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4)는 분리색상 저장부(6)의 저장 데이터를 읽어 색의 중심을 산출하고 형광체의 배열특성 및 배열간격이 일정함을 이용하여 나머지 색의 중심을 순차적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임의의 색의 중심을 구한 후 비교색상 저장부(5)의 색 배열을 형광체 배열간격만큼 시프트시키고 이 색 배열에 의해 분리색상 저장부(6)는 프레임 메모리(7)의 출력에서 한 색만을 분리하여 색의 중심을 구하며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나머지 한색을 분리한 후 색의 중심을 구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4)는 각 색의 중심을 구한 후 그로부터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의 량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결과를 표시부(8)에 그래픽 및 문자로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을 콘버젼스 조정 장치에 적용하면 색분리후 미스콘버젼스의 량을 산출하고 이 측정값이 규격 이 내가 아니면 자계 보정 마그네트링 및 편향 요크를 조정한 후 색을 분리하여 미스콘버젼스의 량을 산출하는 동작을 계속 반복하여 미스콘버젼스의 측정값이 규격이내가 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비교색상 저장부(5)에 저장하는 색배열 모양은 임의의 색을 1로 세탁하여 임의의 색만을 분리하거나 임의의 색을 0으로 세팅하여 임의의 색만을 제거함에 따라 색분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판식 엘씨디(LCD)나 3판식 씨씨디 (CCD)의 조립 및 검사공정에서 각 색의 셀 배열상태 및 형상을 모양새(template)로 하여 각 색별 모양새에 의해 얻어진 명도의 합을 이용하여 색상(R,G,B) 비율을 검사할 수 있고 색순도(purity)검사에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 위치 계측 회로는 형광체의 배열상태에 무관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 색분리를 위한 모양새를 설정함으로 장비의 효용을 증대시키고 스트립 형상의 경우 형광체 배열 상태에서 각 색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신호발생 시작신호(Sgen)에 의해 모니터(11)에 패턴신호를 발생시키는 패턴신호 발생부(9)와, 상기 모니터(11)의 화면의 패턴영상을 감지한 카메라 (10)의 아날로그 영상출력을 데이터 입력시작신호(Scon)에 의해 입력받아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의 출력에서 소정영역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계측 영역 선정부(2)와, 이게측 영역 선정부(2)의 출력을 고속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3)와, 이 데이터 전송부(3)의 출력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7)와, 형광체 배열에 따른 모양새(template)를 저장하는 비교색상 저장부(5)와, 이 비교색상 저장부(5)의 출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 메모리(7)의 출력중 임의의 색만을 분리하는 분리색상 저장부(6)와, 상기 패턴신호 발생부(9)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화부(1)에 신호발생시작신호(Sgen)와 데이터입력 시작신호(Scon)를 출력하고 상기 분리색상 저장부(6)의 출력을 연산하여 각 색의 중심을 구한 후 미스콘버젼스의 량을 측정하며 이 측정결과를 표시부(8)에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전자빔 주사 위치 계측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비교 색상 정장부(5)는 각 색의 발광체 형상 및 배열상태에 무관하게 소프트웨어로 모양새(template)를 설정하게 구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 위치 계측회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비교 색상 저장부(5)는 임의의 한색을 분리하여 색의 중심을 구한 후 모양새(template)를 형광체의 간격만큼 시프트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분리색상 저장부(6)는 비교색상 저장부(5)의 출력과 프레임 메모리(7)의 출력을 중첩시켜 임의의 색을 분리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저자빔 주사위치 계측회로.
KR1019930013455A 1993-07-16 1993-07-16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KR96000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455A KR960008072B1 (ko) 1993-07-16 1993-07-16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455A KR960008072B1 (ko) 1993-07-16 1993-07-16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065A KR950005065A (ko) 1995-02-18
KR960008072B1 true KR960008072B1 (ko) 1996-06-19

Family

ID=1935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455A KR960008072B1 (ko) 1993-07-16 1993-07-16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0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065A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514B1 (en) Color misconvergence measurement using a common monochrome image
US4686429A (en) CRT color convergence measurement
KR960008072B1 (ko) 모니터의 전자빔 주사위치 계측 회로
JPH0525237B2 (ko)
KR100704295B1 (ko) 칼라씨씨디카메라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측정장치 및 방법
US6552755B1 (en) Method for measuring convergence by using a mixed color pattern
JP3269166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の画質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JP3283957B2 (ja) カラー陰極線管の輝線幅測定方法
EP1048046A1 (en) Electron beam profile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KR0129959B1 (ko)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측정방법 및 장치
JPH0855580A (ja) カラー陰極線管のコンバーゼンス測定方法及び装置
JPH0749660A (ja) 受像機の画面アドレス測定装置
KR100261477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컨버전스 측정장치
JPH0622348A (ja) カラー陰極線管コンバーゼンス測定装置
US20010007483A1 (en) Circuit for convergence setting in a projection television display
KR100222943B1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 조정방법 및 장치
KR100372217B1 (ko) 칼라 수상관의 컨버전스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22950B1 (ko) 칼라브라운관의 동화상 측정방법 및 장치
JP2807530B2 (ja) コンバーゼンス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調整支援装置
KR0167772B1 (ko) 콘버전스측정장치
JP3217515B2 (ja) カラー陰極線管のスポットサイズ測定装置
JP2751182B2 (ja) カラー受像管のランディング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US20020074945A1 (en) Color purity measuring method and color purity measuring apparatus
KR100972620B1 (ko)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및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KR100392450B1 (ko) 컬러crt모니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