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873Y1 - 쑥뜸구 - Google Patents

쑥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873Y1
KR960006873Y1 KR2019930022031U KR930022031U KR960006873Y1 KR 960006873 Y1 KR960006873 Y1 KR 960006873Y1 KR 2019930022031 U KR2019930022031 U KR 2019930022031U KR 930022031 U KR930022031 U KR 930022031U KR 960006873 Y1 KR960006873 Y1 KR 960006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moxa
present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930U (ko
Inventor
유태우
Original Assignee
유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우 filed Critical 유태우
Priority to KR2019930022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873Y1/ko
Publication of KR950010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요약 없슴

Description

쑥뜸구
제1도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뜸쑥1a : 통기공
2 : 상판지2a, 4a : 통공
3 : 여과지4 : 하판지
본 고안은 쑥뜸구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경형(經穴)부위에 쑥뜸을 시술함에 있어서, 피부면에 조밀하게 분포된 혈(穴)부위를 통공이 확장된 형태의 쑥뜸구로서 동시에 시술할 수 있는ㄴ 쑥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쑥뜸방법은 피부면의 경혈부위에 쑥을 붙인 다음 연소시켜 열애 의한 자극과 약쑥에 함유된 약리성분에 의해 치료효과를 부여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쑥뜸시술 방법은 시실시 피부면에 직접적으로 연소열이 가해지므로 고통을 느끼게 되고, 또한 시술후에 흉터가 남게 됨에 따라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한 최근의 쑥뜸구의 형태는 상, 하판지 및 이의 사이에 중첩되는 여과지로 형성되는 원판지와, 통공이 구비된 원판지 상부로 약쑥이 내입된 쑥봉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쑥뜸구 또한 쑥봉이 부착되는 원판지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방출되는 열기 및 훈기를 피부면에 분포된 혈맥으로 시술함에 있어 어느 소정의 혈(穴) 하나만 시술할 수 있고, 또한 조밀한 형태의 경혈 부위는 정확한 시술위치를 찾아 쑥뜸을 시술하기에는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체의 피부면에 쑥뜸을 시술함에 있어 약쑥의 열기 및 훈기를 피부면으로 방출시키는 통공을 일정 형태로 확장시킴으로서, 조밀하게 형성된 혈맥을 광범위 하게 시술할 수 있는 쑥뜸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판지상에 부착되는 뜸쑥을 쑥진을 제거하고 일정도로 탄화시킨 약쑥으로 성형함으로서 뜸쑥의 연소시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약쑥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쑥뜸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 일 실시에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통공(2a)(4a)이 각각 형성된 상, 하판지(2)(4) 사이로 여과지(3)가 중첩되고 이의 상부로 뜸쑥(1)을 부착한 쑥뜸구에 있어서,
상기 상, 하판지(2)(4)의 통공(2a)(4a)은 사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형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a는 통기공, 5는 박지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 하판지(2)(4)로 구성되는 원판지 상부의 뜸쑥(1)에는 통기공(1a)이 형성되어 있어 형태 및 크기가 확장된 형태의 뜸쑥(1)의 연소시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연소를 골고루 활성화 시킴과 동시에 열기 및 훈기가 저면으로 방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뜸쑥(1)의 연소에 의해 방생되는 열기 및 훈기는 뜸쑥(1) 자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a)을 통해 원판지에 형성된 통공(2a)(4a)에 일차적으로 방출된다.
이때, 통공(2a)(4a)의 형태는 사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뜸쑥(1)의 열기 및 훈기는 피부면에 조밀하게 분포된 혈맥에 동시에 확산하여 자극을 가하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상기와 같은 쑥뜸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의 구성은 상, 하판지(12)(14)사이에 여과지(13)가 중첩된 형태의 원판지 상부로 반호형태의 단면을 구비한 뜸구(11)를 부착하고 원판지에 형성되는 통공(12a)(14a)은 장공형태를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쑥뜸구는 통공(12a)(14a)이 긴 장공의 형태이므로 이에 의해 피부면에 일자형태로 조밀하게 분포된 혈맥에 뜸쑥(11)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열기 및 훈기를 방출시켜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
한편, 원판지에 부착되는 뜸구(1)(11)는 쑥진을 제거하고 일정온도로 탄회시키는 공정을 거침으로서 연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쑥진에서 생성되는 특유의 독한 냄새를 없앨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뜸쑥(1)의 열기 및 훈기를 피부면으로 방출시키는 통공(2a)(4a)의 형태 및 크기를 다양하게 변형 및 확장시킴으로서 조밀한 혈맥에 대해 시술이 용이하고 또한, 뜸쑥의 연소시 쑥진을 제거하고 일정 온도로 탄화시킴으로서 연기 및 냄새를 방지하여 위생적인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통공(2a)(4a)이 각각 형성된 상, 하판지(2)(4) 사이로 여과지(3)가 중첩되고 이의 상부로 뜸쑥(1)이 부착된 쑥뜸구에 있어서,
    상기 상, 하판지(2)(4)의 통공(2a)(4a)을 사방향의 현장된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쑥뜸구
KR2019930022031U 1993-10-26 1993-10-26 쑥뜸구 KR960006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031U KR960006873Y1 (ko) 1993-10-26 1993-10-26 쑥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031U KR960006873Y1 (ko) 1993-10-26 1993-10-26 쑥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30U KR950010930U (ko) 1995-05-15
KR960006873Y1 true KR960006873Y1 (ko) 1996-08-08

Family

ID=1936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031U KR960006873Y1 (ko) 1993-10-26 1993-10-26 쑥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8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49B1 (ko) * 2002-08-20 2005-10-26 김진섭 뜸 효과를 가지는 쑥뜸 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30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873Y1 (ko) 쑥뜸구
KR960006875Y1 (ko) 쑥뜸구
KR960006871Y1 (ko) 쑥뜸구
CN211024061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温灸器
KR960006876Y1 (ko) 쑥뜸구
KR200350677Y1 (ko) 쑥뜸구
CN219896400U (zh) 一种关节灸疗仪
KR200333476Y1 (ko) 쑥뜸기
KR200169370Y1 (ko) 쑥뜸구
KR0113451Y1 (ko) 쑥뜸구
CN219896398U (zh) 一种艾条辅助固定装置
CN213553716U (zh) 一种温针灸的灸架
KR200249106Y1 (ko) 쑥뜸기
KR20050025014A (ko) 쑥뜸기
KR0113452Y1 (ko) 쑥뜸구
KR200187295Y1 (ko) 쑥뜸용 받침판
JPH0316669Y2 (ko)
KR200217360Y1 (ko) 쑥뜸봉
KR20000021364U (ko) 뜸쑥
KR200166525Y1 (ko) 쑥뜸기
KR200189984Y1 (ko) 통공의 위치를 정형화한 개량 훈증기
KR200192445Y1 (ko) 휴대용 훈증기
KR200212264Y1 (ko) 황토쑥뜸구용 받침판
KR19990046478A (ko) 쑥뜸관
KR930001233Y1 (ko) 원 적외선을 경혈에 자극하는 세라믹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