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166Y1 -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66Y1
KR960006166Y1 KR2019950018946U KR19950018946U KR960006166Y1 KR 960006166 Y1 KR960006166 Y1 KR 960006166Y1 KR 2019950018946 U KR2019950018946 U KR 2019950018946U KR 19950018946 U KR19950018946 U KR 19950018946U KR 960006166 Y1 KR960006166 Y1 KR 960006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power supply
portable telephone
switch
referen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20013107A external-priority patent/KR940003289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18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66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전화의 전원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종래 전화기에서의 전원공급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화부 2 : 송화부
3 : 키 입력부 4 : 디스플레이 패널
5 : 광전변환부 22 : 주전원
31 : 수신단회로부 32 : 스위칭 제어부
C : 축전기 COP : 비교기
SW : 스위치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외부표면에 광(光) 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변환부를 구비하여 광 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휴대용 전화기가 수신모드로 운용되는 경우에 보조전원으로써 사용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에는 동작전원으로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휴대용 전화기를 보통 통화대기 시간에도 20mA-30mA의 전류가 사용되기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은 12시간 내지 24시간정도로 제한된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기에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바, 태양전지를 사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국 특개소 62-23337에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일반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공급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제3도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는 충전식 전지 (72), 다이오드(78) 및 태양전지(79)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데, 태양전지(79)에 의하여 생성된 전류를 다이오드(78)에 의해 정류하여 충전식 전지(72)에 충전시켜 일반 전화기의 전자회로(71)에 공급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한편, 전자회로(71)는 전화회선(76)에 접속되어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자가 통화하지 않는 경우에 태양전지(79)에 의해 생성되어 충전식 전지(72)에 충전된 전원을 전자회로(71)에 공급 함으로써 메모리에 기억된 내용의 소거를 방지하거나 타이머 기능의 정지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는 비통화시에 메모리의 기록내용이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타이머 기능의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저전력이 소요되는 회로부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할뿐 이어서 대전력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를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하는 경우, 휴대용 전화기가 통화하거나 기지국과의 채널접속을 시도하는 때에는 수신모드 시에 비하여 30-100배에 달하는 대전력의 전기에너지가 소요되므로,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그대로 동작전원으로서 사용하면 전력이 부족하게 됨으로 인하여 휴대용 전화기가 동작정지 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통신상의 오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되어 축전된 전압이 일정레벨 이상에 도달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화기가 저전력을 소비하는 수신모드로 운용되는 경우에만 해당 태양전지의 전원을 휴대용 전화기의 보조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의 외부표면 소정영역에 설치되어 광 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기와, 충 방전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각 회로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의 전압과 휴대용 전화기의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소정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축전기와 상기 주전원의 전원을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단 회로부측에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광 에너지로 부터 얻은 전기적에너지를 충전한 후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휴대장치의 수신모드 운용시에 배터리의 보조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연장되어 통화 시간을 대폭 증가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통상의 휴대용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통화음성신호를 입, 출력하는 송화부(2) 및 수화부(1)와,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키 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3)와,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4)을 구비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키 입력부(3)의 사이에 광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예컨데 태양전지(Solar Cell)로 구성된 광전변화부(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광전변환부(5)는 디스플레이 패널(4)과 키 입력부(3)의 사이로 한정하지 않고 휴대용 전화기의 설치 가능한 외부전체영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 이는 태양전지로 이루어 지는 광전변환부(5)에 집광된 광 에너지가 전기적에너지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해당 전지적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기(C)와, 축전기(C)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휴대용 전화기의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32)와, 휴대용 전화기의 각 회로부측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220과, 축전기(C)에 충전된 후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가 상기 스위칭 제어부(32)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단회로부(31)측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 절환하는 스위치(SW)로 구성된다.
스위칭 제어부(32)는 축전기(C)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휴대용 전화기의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는 비교기(COP)로 이루어진다. 스위칭 제어부(32)의 비교기(COP)는 축전기(C)의 전압과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축전기(C)의 전압이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작은 경우에는 보다 스위치(SW)측에 로우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SW)의 접점연결 상태를 유지시켜 주전원(22)을 수신단 회로부(31)에 연결시키고, 축전기(C)의 전압이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크게 되는 경우에는 스위치(SW)측에 하이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SW)의 접점을 절환시켜 축전기(C)의 전원을 수신단 회로부(31)에 연결한다.
한편, 중앙처리수단은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대전력이 소요되는 통하모드나 채널접속모드로 휴대용 전화기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기준전압(Vref)을 스위칭 제어부(32)측에 인가하지 않고, 소전력이 소요되는 수신모드로 휴대용 전화기를 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기준전압(Vref)을 스위칭 제어부(32)측에 인가한다. 따라서, 중앙처리 수단은 휴대용 전화기를 수신모드로 운용하는 경우에만 스위칭 제어부(32)측에 기준전압(Vref)을 인가함으로써, 축전기(C)의 전압이 기준전압(Vref) 이상으로 되었을 때 스위칭 제어부(32)에 의해 스위치(SW)가 축전기(C)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축전기(C)의 전원을 수신단 회로부(31)에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SW)의 접점이 충 방전배터리인 주전원(22)측으로 연결되어 수신단회로부(31)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광전변환부(5)에 집광된 광 에너지가 전기적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전지(C)에 공급되면 축전기(C)는 공급되는 전기적에너지를 연속적으로 충전한다. 이때 스위칭 제어부(32)의 비교기(COP)는 축전기(C)의 전압과 휴대용 전화기의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축전기(C)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작을경우, 스위치(SW)측에 로우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SW)의 접점연결 상태를 유지시켜 주전원(22)이 수신단 회로부(31)에 공급 되도록 한다.
만약, 스위칭 제어부(32)의 비교기((COP)는 축전기(C)의 출력전압이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크게 되는 경우, 스위치(SW)측에 하이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SW)의 접점을 축전기(C)측에 연결함으로써 축전기(C)의 충전 전원이 수신단회로부(31)에 공급 되도록 한다.
즉, 중앙처리수단은 소전력이 소요되는 수신모드로 휴대용 전화기를 운용하는 경우에만 수위칭 제어부(32)측에 기준전압(Vref)을 인가함으로써, 축전기(C)의 전압이 기준전압(Vref)이상으로 되었을때 스위칭 제어부(32)에 의해 스위치(SW)가 축전기(C)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축전기(C)의 전원을 수신단 회로부(31)에 인가하므로, 태양전지로 이루어진 광전변환부(5)에 의해 생성된 저전력의 전원을 휴대용 전화기의 보조전원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광전 변환부(5)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축전기(C)에 저장하고, 저전력이 소요되는 수신모드로 휴대용 전화기를 운용하는 경우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축전기(C)의 전압이 커지게 될때, 스위칭 제어부(32)가 스위치(SW)를 제어하여 축전기(C)의 전원을 수신단회로부(31)측에 보조전원으로 공급하므로, 광전변환부(5)에 의해 생성된 저전력을 보조전원으로써 사용할 수 있어 주전원(22)인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켜 통화시간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휴대용 전화기의 외부표면 소정영역에 설치되어 광 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변환부(5)와, 상기 광전변환부(5)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기(C)와, 충 방전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각 회로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22)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C)의 전압과 휴대용 전화기의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소정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32)와, 상기 축전기(C)와 상기 주전원(22)의 전원을 상기 스위칭 제어부(32)로 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단 회로부(31)측에 연결하는 스위치(SW)를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32)는 상기 축전기(C)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축전기(C)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Vref) 보다 클경우 상기 스위치(SW)측에 제 1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치(SW)가 상기 축전기(C)의 전원을 상기 수신단회로부(31)측으로 연결하게 하고, 상기 축전기(C)의 전압이 상기 소정 기준전압(Vref)보다 작은 경우 상기 스위치(SW)측에 제2레벨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치(SW)가 상기 주전원(22)의 전원을 상기 수신단 회로부(31)측으로 연결하게 하는 비교기(COP)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공급장치.
KR2019950018946U 1992-07-23 1995-07-27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KR960006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946U KR960006166Y1 (ko) 1992-07-23 1995-07-27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107A KR940003289A (ko) 1992-07-23 1992-07-23 태양전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19950018946U KR960006166Y1 (ko) 1992-07-23 1995-07-27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107A Division KR940003289A (ko) 1992-07-23 1992-07-23 태양전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66Y1 true KR960006166Y1 (ko) 1996-07-22

Family

ID=2662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946U KR960006166Y1 (ko) 1992-07-23 1995-07-27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1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9020A2 (en) Over-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5920180A (en) Battery charger for preventing memory effect
WO1999012245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960006166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US7135838B2 (en) Power-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ably powering a circuit system with an adaptor or with a battery
KR100470252B1 (ko) 다수의전압을생성하는전원장치및그러한장치를구비하는기기
KR200149953Y1 (ko) 핸드프리 기능을 구비한 충전기
KR100370977B1 (ko) 솔라셀을부착한이동전화기의충전밧데리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CN100440406C (zh) 结束键的控制装置和使用其的便携终端
KR200396555Y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KR20040026724A (ko)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285106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기를 구비한 컴퓨터
US7076278B2 (en) Hybrid telephony device
KR200215562Y1 (ko) 빛 에너지를 이용한 핸드폰 충전배터리
KR200165464Y1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KR100836047B1 (ko) 배터리의 충전 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CN213484551U (zh) 移动电源电路及移动电源
JP3187646B2 (ja) 電源装置
JP2001069687A (ja) 省エネルギー電源供給装置
KR20000021315A (ko) 무선단말기에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이중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4919U (ko) 휴대 전화기 전원 공급 장치
JPH07221692A (ja) 携帯無線装置
CN101296089B (zh) 一种装置、网络终端设备及其工作方法
KR200190020Y1 (ko) 전화기의 휴대폰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