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50Y1 -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50Y1
KR960005550Y1 KR2019930009756U KR930009756U KR960005550Y1 KR 960005550 Y1 KR960005550 Y1 KR 960005550Y1 KR 2019930009756 U KR2019930009756 U KR 2019930009756U KR 930009756 U KR930009756 U KR 930009756U KR 960005550 Y1 KR960005550 Y1 KR 960005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upport body
braking
screw shaft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283U (ko
Inventor
유창근
Original Assignee
유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근 filed Critical 유창근
Priority to KR2019930009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550Y1/ko
Publication of KR950000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2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 by weight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제 1 도는 스크류방식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회전의자의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제동부재의 사시도
제 4 도의 (a)(b)는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중 제동부재의 동작상태의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컬럼 310 : 제1지주체
320 : 제2지주체 400 : 클립
600 : 클러치 620 : 너트클러치
622 : 요입부 700 : 가스실린더
800 : 제동부시 810 : 관통공
811 : 절개부
본 고안은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높이가 조정되는 스크류축과 너트클러치의 사이에 개입되는 제동수단을 개선하여 제동기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착석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좌판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하는 조절장치로서, 이러한 조절기구로 테레스코픽방식과 스크류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테레스코픽 방식은 가스등의 유체를 사용하여 그 실린더의 축길이방향 신축변화에 의해 목적하는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스크류방식은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스크류축을 이용하여 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승강운동으로 목적하는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중 테레스코픽방식은 제조단가가 고가이어 근래에는 스크류방식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류방식들은 제 1 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좌판(10)과 다리(20)의 사이에 높낮이가 조정되어 컬럼(3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컬럼(30)은 통상 관체형상의 고정지주체(31)와 좌판(10)을 떠받치면서 자유로이 승강되는 승강지주체(32)로 구성되어 지고 있으며, 이의 승강지주체(32)내에는 고정지주체(31)에 고정시킨 스크류축과 나합되어 회전력을 단속하는 너트클러치(너트)와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좌판에 착성하중이 가해질때와 가해지지 않을때의 하중값차 따라 클러치가 결합 분리되면서 의자의 좌판회전력의 전달이 단속되게 하므로서 의자에 사람이 앉아서 착석하중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수축되어지면서 승강지주체가 하강되어 승강지주체에 설치된 너트클러치와 스크류측이 이완되어 회전을 하여도 의자의 높낮이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그리고 이와 반대로 의자에 사람이 앉지않은 상태로 좌판에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면 너트클러치와 스크류축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회전의자의 좌판이 정역회전에 따라 의자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들의 일예로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화 55-34846호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조절장치에서는 적은 충격이나 진동에도 좌판의 높이를 유지하고 있던 스크류측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클러치가 동에 의해 조금씩 유동되어 조정된 위치에서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높낮이 조절장치위 구성에 역회전 방지너트의 기능과 같이 스크류축에 축설되는 너트클러치와 상부 슬러스츠 사이에 오링 및 고무링을 개입시키어 마찰계수가 높고 압축시 신축성이 유연한 고무특성에 의해 스크류측과 너트클러치를 연계시키도록 하여 좌판의 회전과 함께 너트클러치가 스크류축을 따라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의자의 높이가 조정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승강장치의 예로 일본국 실용신안공번 제55-38437호 및 미국특허 제4,379,540호와 국내실용신안 공번 제91-5145호들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링(Oring)을 포함하는 고무링(Rubber ring)을 이용한 승강장치는 스크류축과 너트클러치의 사이에 끼워져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고무링이 눌리면서 스크류축과 너트클러치를 연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있어, 단순한 고무링의 눌림에 의한 제동기능으로는 제동효율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특히 스크류방식의 승강장치의 윤활성 및 소음방지를 위하여 윤활류(기름)가 필수적으로 도포됨에 따라 고무링이 쉽게 손상되어 탄력성과 유연성이 상실되므로 제동기능이 떨어지는 동시에 고무링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며, 또한 스크류축에 끼워지는 고무링 통공의 통공의 내경은 스크류축의 외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고무링의 통공이 정밀하여야 제동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므로 고무링의 제작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전에 고무링을 사용하고 있는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개선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활히 신축되며 착석하중이 작용시 스크류축을 안정되고도 견고히 물어주는 강력한 제동력의 제동부재로서 회전의자 높낮이 조절이 완전하고 효과적인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동을 위한 구조적인 접촉면적을 증대하고 내구성 및 제품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위하여는 너트클러치와 스크류축의 사이에 너트클러치 상면중앙에 구비되는 요홈부로 삽탈되며 그 너트클러치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동부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동부재는 내부중앙에 스크류축이 통과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이의 제동부재 주벽을 소정의 폭으로 절단해 내어 관통공과 연통되는 절개부를 상하에 걸쳐 구비하여 제동부재가 풀림과 물음작용을 정확히 작동하여 너트클러치를 안정적으로 견고히 잡아주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높낮이 조절장치의 전체 단면표시도로서, 컬럼(300)은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고정지주체(310)와 승강지주체(320)로 구성되며, 이의 고정지주체(310)는 컬럼(300)의 구성요소로서 의자를 구성하는 다리(20) 중앙에 고정설치되는데, 이러한 고정지주체(310)내에는 축길이방향 중심부상으로 관통설치되는 스크류측(311)은 그 하단부를 고정지주체(310)내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면(312)상에 클립(400)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고정설치되고, 상단은 자유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스트류측(311)은 승강지주체(320)에 의자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또 고정지주체(310)내 상부측에는 고정지주체(310)와 승강 지주체(320)사이에 적당한 허용공차를 가지는 안내부시(313)가 설치되고, 상기의 승강지주체(320)는 고정지주체(311)의 외경보다는 적은 외경을 가지고 고정지주체(310)내에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며, 이러한 승강지주체(320)는 컬럼(300)의 가동축으로서, 그 승강지주체가 고정지주체 내에서 오르고 내리는 것에 의해 좌판의 높낮이가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지주체(320)는 상기 고정지주체(310)와 같이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내부 하측에 스크류측(311)과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좌판의 높이를 제공하는 클러치(600)가 설치되고, 상부측으로는 승강지주체가 착석하중으로 하강되었다. 착석하중이 배제되면 자동적으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분리되었던 클러치를 합치는 결합력을 제공하는 가스실린더(700)가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스실린더(700)는 통상에서와 같이 구획된 공간부 양측 각각에 액상의 오일과 압축가스를 적당량 분배 충전하고 착석하중이 작용시 제2지주체를 통하여 전달된 착석하중이 가스실린더(700)의 피스톤로드(710)를 하강시키어 압축가스공가측이 수축되게 하여서 승강지주체 복원을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착석하중이 배제되면 수축되었던 가스실린더(70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하강되었던 승강지주체(320)를 떠밀어올려 상승시키도록 한 것이다.
한편, 승강지주체(320)의 하부에는 클러치(600)가 설치되어 있는데, 통상에서와 같이 이의 클러치(600)는 클러치판(610)과 너트클러치(620)으로 구성되고, 클러치판(610)은 가동자로서 승강지주체(320)내 하부에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승강지주체의 승강동작과 협동하면서 너트클러치(620)와 접촉 및 이탈되며, 너트클러치(620)는 고정자로서 스크류측(311)에 나사결합되어 그 스크류축의 어느 한점에 정지되어 있는 위치로 하여 좌판의 높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너트클러치(620)는 착석하중이 실어지는 것으로 최대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할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클러치판(610)과 너트클러치(620)의 접합면측 각각에는 점착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찰디스크(611), (612)가 설치되어 있어, 좌판으로부터 승강지주체를 통하여 클러치판(61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너트클러치(62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의 클러치(600)와 스크류축(311)의 사이에 제동부시(8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동부시(800)는 착석하중이 작용시 클러치(600)가 분리됨과 동시에, 그의 너트클러치(620)가 외력에 의해 조절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제동부시(800)의 상세한 사시도로서, 이러한 제동부시(800)는 착석하중이 작용이 클러치(600)가 분리됨과 동시에, 그의 너트클러치(620)가 외력에 의해 조절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동부시(800)는 몸체단면을 역원추형상으로 구성하여 너트클러치(6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요입부(622)내에 삽입되어서 스크류축(311)을 물었다 놓았다 하는 제동작동을 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작동이 원활히 이행되도록 중앙에 스크류축(311)이 통과되는 통상의 관통공(810)이 구비하고 있는 제동부시(800)의 주벽에 관통공(810)과 연통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절개부(811)를 구성한다.
이때 절개부(811)의 간격은 관통공(810)의 내경과 스크류축(311)의 외경차이에 비례하여 적당한 폭을 가지는 절개부(811)는 제동부시(800)의 물음작용시 관통공 내경측으로의 수축작용을 제공하게 한것으로 제동부시(800)는 너트클러치(620)의 요입부(622)에 삽설되어 있어, 좌판으로부터 가해지는 착석하중이 제동부시(800)의 상에 가해지면 너트클러치의 요입부(622)내로 화중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려들어 가게되고, 이때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적당한 구배면을 가지는 요입부(622)의 주벽면에 의해 제동부시(800)가 내려갈수록 제동부시의 몸체가 내향으로 오므라들게 되는데, 이때 제동부시(800)가 절개부(811)로 개구되어 수축작용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면서 광통공(810)의 내경이 원활히 오므러져 스크류축을 강력히 물어주는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동부시(800)는 내마모성이고 점착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의 사출공정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제동부시(800)와 가스실린더(700)의 사이에는 하부로부터 슬러시트(40), 가이드부시(50), 간격유지부시(60)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것들중 슬러시트(40)는 클러치상면과 점접촉식으로 미끄럼접촉되어 승강지주체(320)을 통해 전달되는 학석하중이 그대로 실어지고 이렇게 실어진 착석하중을 클러치상에 전달하는 전달매체임과 동시에 승강지주체의 자유로운 회전을 도우며, 또 가이드부시(50)는 스크류축(311)의 회전중심잡이를 하고 간격유지부시(60)는 가스실린더(700)와 가이드부시(50)의 사이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승강지주체(320)에 전달되는 착석하중을 클러치에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하중전달 매체인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 2 도 및 제 4 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의자에 착석하중이 작용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좌판상에 가해진 착석하중은 승강지주체(320)을 하강시키고 제2지주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실린더(700)는 수축됨과 동시에 클러치(600)는 서로 분리되어 좌판의 회전력이 클러치판에서 끊어지고 너트클러치(620)측으로 전달되지 않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석하중이 클러치(600)의 너트클러치(620)상에 실어지고 그의 너트클러치(620) 높이가 착석높이를 유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너트클러치(620)는 직상부에 설치되는 제동부시(800)에 의해 고정 유지되어 조절위치가 변화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착석하중이 제동부시상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착석하중은 제 4 도의 (a)상태에서 제동부시(800)를 내려눌러 너트클러치(6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요입부(622)내로 강제적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요입부(622)내로 밀려들어가는 제동부시(800)는 요입부(622)의 내주벽에 이루어진 구배면에 의해 조임현상 다시 설명하면 하향으로 내려감에 점차 좁아지게 이루어진 요입부(622)의 구배면이 제동부시(800)의 몸체를 내향으로 조인다. 이렇게 요입부의 구배면에서 작용하는 조임력으로 제동부시의 몸체는 요입부 하측으로 내려감에 따라 점차 그 조임력이 상승되고, 이러한 조임력을 받은 제동부시(800)는 그 몸체 수축과 동시에, 내부중앙에 구비된 관통공(810) 내경도 따라서 좁아져 스크류축(311)을 제 4 도의 (b)에서와 같이 물어주게된다. 이때 제동부시(800)의 몸체 주벽 적당한 위치에 구비된 절개부(811)에서 수축허용공간이 제공되므로서 제동부시(800)의 수축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수축폭도 넓어 스크류축(311)을 잡아주는 물음력이 상승된다. 이렇게 강력한 물음력은 너트클러치(620)의 제동력을 향상시키어 의자의 조절위치를 안정적으로 견고히 고정유지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내마모성 및 내유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제동부시는 수명이 장구하여 경제적인 효과도 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승강지주체(320)내 상부에 가스실린더(700)을 내장하여 클러치(600)의 결합, 분리동작을 위한 신장, 수축작용과 충격완화작용이 높아 종래 스프링을 이용함에 의한 마찰소음도 제거하고 탄성계수가 균일하여 클러치의 복귀동작이 안정되는등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고안의 요지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정정) 자유로이 신장, 수축 가능하게 끼원 맞춤결합 되는 제 1 지주체와 제 2 지주체를 가지고, 이의 제 1 지주체 및 제 2 지주체의 각각에 스크류축과 클러치의 클러치판 및 가이부시를 구비하며, 상기의 스크류축과 클러치의 사이에서 착석하중의 작용에 따라 너트클러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부재가 설치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몸체 중앙부에 스크류축을 수용하는 관통공을 구성하여 단면형상이 역원추상이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서 제동부재의 수축 허용공간이 제공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제동부재를 상기의 스크류축과 너트클러치 사이의 요입부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9930009756U 1993-06-07 1993-06-07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960005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756U KR960005550Y1 (ko) 1993-06-07 1993-06-07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756U KR960005550Y1 (ko) 1993-06-07 1993-06-07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283U KR950000283U (ko) 1995-01-03
KR960005550Y1 true KR960005550Y1 (ko) 1996-07-06

Family

ID=1935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756U KR960005550Y1 (ko) 1993-06-07 1993-06-07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5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283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1968Y2 (ko)
US4245826A (en) Resilient column of adjustable length
US4776617A (en) Telescopic swivel pipe joint
US4496162A (en) Well sealing assembly having resilient seal ring with metal end caps
US6290038B1 (en) Elastomer damper
US5967923A (en) Tensioner for belts and chains
US4108423A (en) Gas spring
US10288141B2 (en) Pressure-adjustable gas spring
JPH0254454B2 (ko)
JPS6014210B2 (ja) 液圧式支え装置
WO1995032872A1 (en) Hydraulic chair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20020109052A1 (en) Column Unit
GB2171298A (en) Variable length columns
FI86028C (fi) Hoejdregleranordning.
EP0292881A1 (en) Suspension strut with selectively controllable differential rebound and jounce damping
US4854922A (en) Belt tensioning device
US4958860A (en) Vibro-isolating joint
DE4120772A1 (de) Radial und axial belastbares drehgleitlager fuer fahrwerksteile in kraftfahrzeugen
KR960005550Y1 (ko)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US2537491A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s
EP0129363B1 (en) Spring
US3215383A (en) Self-leveling support
US5826862A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hock absorbing strut with internal level regulation
US4649875A (en) Oiltight hydraulic tappet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alve
EP1706660B1 (en) Seal assembly for sealing between a surface of a piston element and a bore surface disposed thereabout and correspo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1208

Effective date: 199907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90819

Effective date: 199910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