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35B1 -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 Google Patents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35B1
KR960005535B1 KR1019910006966A KR910006966A KR960005535B1 KR 960005535 B1 KR960005535 B1 KR 960005535B1 KR 1019910006966 A KR1019910006966 A KR 1019910006966A KR 910006966 A KR910006966 A KR 910006966A KR 960005535 B1 KR960005535 B1 KR 96000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tubular
suppor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645A (ko
Inventor
구니오 하시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뽄 파이프 콘베아겐규쇼
구니오 하시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뽄 파이프 콘베아겐규쇼, 구니오 하시모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뽄 파이프 콘베아겐규쇼
Priority to KR101991000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535B1/ko
Publication of KR92001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의 측면도 ;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콘베이어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정면도 ;
제4(a)도는 제 1 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정면도 ;
제4(b)도는 제 1 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정면도 ;
제5(a)도는 제4(b)도의 D-D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 ;
제5(b)도는 제4(b)도의 E-E선 방향에서 본 측면도 ;
제 6 도는 수직로울러의 사이에 끼움으로서 벨트를 만곡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 ;
제 7 도는 종래의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의 측면도 ;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종래의 벨트 종동로울러 부분의 평면도 ;
제 9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벨트 지지프레임의 정면도 ;
제10(a)도는 종래의 벨트 교정장치의 평면도이고
제10(b)도는 제10(a)도에 도시된 종래의 벨트 교정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단벨트 11a : 송출벨트
11b : 복귀벨트 12 : 구동로울러
13 : 종동로울러 14 : 지지프레임
14a,14b : 벨트통로 15 : 지지로울러
17 : 외부 연결로드 18 : 중간 연결로드
19 : 수평로울러 20,22 : 브래킷
21 : 수직로울러
본 발명은 분상물이나 입상물 또는 포장하지 않는 물품등의 피반송물을 쌍아서 반송하는 관형상의 무단벨트가 주행중에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지프레임의 수를 감소시켜 경제성을 도모하도록 한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상물이나 입상물 또는 포장하지 않은 물품 등의 피반송물을 상당히 떨어진 장소로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가요성 무단벨트(1)는 자체 탄성으로 둥글게 되려고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지만, 한쪽 단부의 종동로울러(3)와 다른쪽 단부의 구동로울러(2) 부분에서는 평판 모양으로 둘러 감겨지고, 종동로울러(3)와 구동로울러(2)를 향하는 상측은 송출벨트(1a)를 이루는 한편, 구동로울러(2)에서 종동로울러(3)를 향하는 하측은 복귀벨트(1b)를 이루고, 송출/복귀벨트(1a)(1b)를 따라 지지프레임(4)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각 지지프레임(4)은 상하, 좌우의 연결부재(8)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각 지지프레임(4)은 간막이판(4c)에 의해서 상하 2단으로 구분되어, 각 부분에는 벨트통로(4a)(4b)가 형성되는 동시에 각 통로(4a)(4b)의 주위부에는 여러개의 지지로울러(5)가 한개의 원주를 따라 브래킷(5a)을 통해서 설치되어 그들 지지로울러(5)에 의해서 송출 및 복귀벨트(1a)(1b)의 관형상으로 둘러 감겨진 부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또 종동로울러(3)의 회전 주행직후의 위치과 구동로울러(2)의 앞쪽 위치에 벨트의 바닥부 또는 상부와 양측부의 3방향을 지지하는 변형로울러(7)를 상하 2단으로 구비한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6)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아래쪽의 종동로울러(3) 위를 회전주행하여 평면하게 넓혀진 송출벨트(1a)는 스스로 둘러 감겨지는 경향과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6)의 변형로울러(7)에 의해서 관형상으로 둥글게 되고, 그 동안에 벨트위의 호퍼(Ha)로부터 피 반송물(m)이 적재되고 송출 벨트(1a)는 이것을 양측 가장자리부(1')(1")를 겹쳐 싸아서 각 지지프레임(4)의 상부 통로(4a)를 통과하여 최선단의 지지프레임(4)을 통과한 후에 구동축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6)의 상부 변형 로울러에 의해서 재차 평편하게 펼쳐져서 구동로울러(2)를 회전주행하는 동안에 피반송물(m)이 짐받이통(Hb)내에 투하된다.
이어서, 송출벨트(1a)는 복귀벨트(1b)로 되어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6)의 하부 변형 로울러에 의해 둥글게 되고, 각 지지프레임(4)의 하부 통로(4b)를 통과하여 종동로울러(3)의 앞에서 종동축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6)의 하부 변형 로울러(7)에서 펼쳐지고, 종동로울러(3) 위를 회전주행하여 순환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에서는 a) 장기 사용에 따른 각 미끄럼운동부의 편마모, b) 각 지지로울러 위치의 불일치, c) 각 지지로울러의 편마모, d) 각 부품 제작상의 정밀도 오차등에 의해 관형상의 벨트가 축선 주위의 뒤틀림을 일으키기 때문에 제10(a)도 및 제10(b)도와 같이 지지프레임(4)의 간막이판(4c) 뒷측에 수용판(4d)을 연이어 설치하고, 이 수용판(4d)위체 송풀벨트(1a)의 바닥부에서 직교상태로 맞물린 교정로울러(5')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브래킷(5a') 중앙을 수직핀(5c')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송출벨트(1a)에서 뒤틀림이 발생할 때에 브래킷(5a')에서 옆방향으로 연장된 핸들(5d')에 의해 브래킷(5a)과 함께 로울러(5')를 벨트의 주행방향에 대해 좌우 어느쪽인가로 경사지게 하여, 벨트의 축선주위의 뒤틀림을 교정하도록 한 장치가 일본특개소 57-141304호에 의해서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에서는, 관형상의 벨트가 주행중에 축선 주위 뒤틀림은 불특정한 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뒤틀림 방지수단의 셋팅 위치를 미리 선정하는 것이 곤란하여, 결국 모든 지지프레임을 부설하게 되어 지지프레임의 수글 감소시킬 수 없을 뿐아니라, 이것에 맞추어서 같은 수의 뒤틀림 방지수단이 필요하게 되어 매우 비경제적이고 또 각 지지프레임 사이에서의 관형상 벨트의 처짐 방지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형상 벨트의 뒤틀림 형상을 적절하게 교정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프레임 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구나 지지프레임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고 지지로울러의 수를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 종동로울러 사이에 무단벨트를 둘러감아서 상측을 송출벨트로 하는 동시에 하측으로 복귀벨트로 하고 변형수단에 의해 송출, 복귀벨트의 거의 전길이를 관형상으로 둥글게 하여 송출벨트에 피반송물을 싸아서 반송하도록 하고 상기 관형상의 송출, 복귀벨트 거의 전길이에 걸쳐서 상하 2단의 통로를 가지고 그 주위부에 복수의 지지로울러를 설치한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병열하는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형상의 벨트에 직교하여 바닥부를 지지하도록 한 수평로울러를 소요간격으로 번갈아 설치하고, 각 수평로울러를 벨트의 주행방향에 대해 자세 변경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결부재에 부착된 브래킷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출, 복귀벨트의 수평방향 만곡부분에서 벨트 바닥부를 지지하는 수평로울러에 인접하여 만곡 안쪽 둘레측부를 지지하는 수직로울러를 각각 설치하고, 각 수직로울러를 벨트의 주행방향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결부재에 부착된 브래킷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판모양으로 되어 종동로울러 위를 회전 주행한 벨트는 송출벨트로 되어 변형수단에 의해 관형상으로 둥글게 되고, 그 도중에 벨트위에 적재된 피반송물을 둘러 싸아서 관형상으로 되어 지지프레임의 상부 통로와 상측 수평로울러 및 수직벨트를 번갈아서 통과하여 취선단의 지지프레임을 통과한 후에, 이번에는 변형수단에서 펼쳐지고 구동로울러를 회전 주행하는 동안에 피반송물이 투하되고 그후는 복귀벨트로 되어서 재차 관형상으로 둥글어지며 지지프레임의 하부통로와 하측 수평로울러 및 수직로울러를 번갈아서 통과하고 종동로울러의 앞에 와서 펼쳐져서 종동로울러 위를 회전 주행한다. 상기 공정동안에 벨트에서 뒤틀림이 발생했을때에는 그 부분의 수평로울러 또는 수직로울러를 관형상의 벨트 주행방향에 대해서 적절하게 기울어지게 하여 뒤틀림을 교정한다.
[실시예]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의 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내지만,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의 측면에 있어서는 종동로울러(13)측에서 구동로울러(12)측을 향하여 똑바로 기울어져 있지만, 제 2 도의 평면에 있어서는 일부가 횡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그리고, 가요성의 무단벨트(11)는 한쪽단부의 종동로울러(13)와 다른쪽 단부의 구동로울러(12)의 부분은 평면하게 펼쳐져서 돌아가고, 종동로울러(13)로부터 구동로울러(12)를 향하는 상측은 송출벨트(11a)를 이루는 한편, 구동로울러(12)로부터 종동로울러(13)를 향하는 하측은 복귀벨트(11b)를 이루고, 송출벨트(11a)와 복귀벨트(11b)의 대략 전길이에 걸쳐서 지지프레임(14)이 소요간격(도면에서는 벨트의 형상변화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양단부 간격을 좁게했지만 이와같이 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으로 설치되고, 지지프레임(14)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의 간막이 부재(14c)에 의해 상하 2단으로 구분되어 각 부분에는 벨트통로(14a)(14b)가 설치되고, 각 벨트통로(14a)(14b)의 둘레부에는 각각 여러개의 지지로울러(15)가 브래킷(16)을 통해서 지지프레임(14)에 부착되어 그들 지지로울러(15)에 의해 송출, 복귀벨트(11a)(11b)의 관형상으로 둥글게 된 부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또 종롱로울러(13)의 회전 주행직후의 위치와 구동로울러(12)의 앞 위치에는 벨트의 바닥부 또는 상부와 양측부 3방향을 지지하도록 한 변형 로울러(도시되지 않음)를 상하 2단으로 구비한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16)이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프레임(14)을 상하 좌우의 "ㄱ"모양의 외부 연결보드(17)에 의해서 연결되는 동시에 중앙의 간막이부에(16c) 부분이 같이 "ㄱ"모양의 중간 연결로드(18)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전후로 병열하는 각 지지프레임(14) 사이의 중앙 위치에는 송출 및 복귀의 벨트(11a)(11b)를 통상 직교상태로 횡단하여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벨트의 바닥부를 지지하도록 한 수평로울러(19)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수평로울러(19)는 양측의 브래킷(2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각 브래킷(20)은 제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브래캣에 설치된 복수의 긴 구멍(20a)을 통하여 나사로드(20b)에 의해 양측 중간 연결로드(18) 및 양측하부의 외부 연결로드에 각각 벨트의 주행방향에 대해서 자세 반경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무단벨트(11)가 횡방향으로 만곡하는 부분에는 제 2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상기 수평로울러(19)의 앞측 또는 뒤측에 인접하는 만곡부의 안쪽 둘레위치에 송출벨트(11a) 및 복귀벨트(11b)를 통상 직교상태로 횡단하여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벨트(11a)(11b)의 만곡 안쪽 둘레측부에 맞붙어서 벨트의 장력을 지지하는 동시에 벨트의 만곡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수직로울러(21)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수직로울러(21)는 상하브래킷(22)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들 브래킷(22)은 제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브래킷에 설치된 복수의 긴구멍(22a)을 통하여 나사로드(22b)에 의해 각각 중간 연결로드(18)와 상부 또는 하부 외부 연결로드(17)에 자세변경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기초로 하여, 구동로울러(12)에 의해 무단벨트(11)를 구동하면, 평편하게 되어 종동로울러(13)를 회전 주행한 벨트는 송출벨트(11a)로 되어 복수의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16)의 상부 변형 로울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둥글게 되어가고, 그 도중에 호퍼(Ha)로부터 피반송물(m)이 송풀벨트(11'a)위에 적재되고, 벨트(11a)는 이것을 둘러싸아서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 가장자리부(11')(11")가 겹쳐서 관형상으로 되어 병열하는 지지프레임(14)의 상부통로(14a)주위의 지지로울러(15) 및 상측 수평로울러(19)를 번갈아서 통과하여 최선단의 지지프레임(14)을 통과한 후에 구동축의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16)의 상부 변형 로울러에 의해 재차 평편하게 펼쳐지고, 구동로울러(12) 위를 회전주행하는 동안에 벨트 위의 피반송물(m)은 짐받이통(Hb)에 투하된다.
이어서, 송출벨트(11a)는 복귀벨트(11b)로 되어 상기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16)의 하부 변형 로울러에 의해 둥글게 되며, 재차 관형상으로 되어 각 지지프레임(14)의 하부통로(14b) 주위의 지지로울러(15) 및 하측 수평로울러(19) 위를 번갈아서 통과하고, 종동로울러(13)의 앞에 가서 종동로울러(13)측의 로울링/언로울링 프레임(16)의 하부변형 로울러에서 펼쳐지고 종동로울러(13) 위를 회전 주행하여 순환한다.
그때, 전후로 병열하는 각 지지프레임(14) 사이의 중앙위치에는 각각 수평로울러(19)를 설치하고 송출, 복귀벨트(11a)(11b)의 바닥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지지프레임(14)의 사이에서 피반송물과 벨트의 자체 무게 등에 의해 아래쪽으로 쳐지려고 해도 수평로울러(19)에 의해서 그 처짐이 방지되고, 또 양 벨트(11a(11b)가 만곡하는 부분에서는 전후 지지프레임(14) 사이의 중앙위치에서 상기 수평로울러(19)에 병합해서 수직로울러(21)를 설치하여 벨트의 만곡부 안쪽둘레를 지지하도록 하기 있기 때문에, 만약 수직로울러(21)가 없다고 하면 벨트(11a)(11b)는 제 6 도에서의 일점쇄선과 같이 각이 진 꺾은선 상태로 주행하게 되어 저항이 크게 되지만, 수직로울러(21)의 존재에 의해 벨트(11a)(11b)는 제 6 도에서의 실선과 같이 저항이 적은 원호모양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송출벨트(11a) 또는 복귀벨트(11b)의 주행하고 있는 부분이 예를들어 주행방향으로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뒤틀림이 발생했을 때에는, 그 뒤틀림이 발생한 위치에 수평로울러(19)를 제5A도와 같이 나사프레임(20a)과 긴구멍(20a)을 통해서 양측 지지브래킷(20)의 벨트 주행방향에 대한 자세를 조정하여 실선상태에서 점선과 같이 경사지게 하고, 벨트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그 부분의 뒤틀림을 교정하게 된다. 이 경우, 벨트(11a)(11b)의 만곡부분에서는 수평로울러(19)는 그대로 유지하고, 뒤틀림이 발생한 부분의 수직로울러(21)를 제5(b)도와 같이 나사프레임(22a)과 긴구멍(22a)을 조작하여 상하 브래킷(22)의 벨트 주행방향에 대한 자세를 변화시켜서 필요한 만큼 경사지게 하여 벨트에 뒤틀림과는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만곡부분의 뒤틀림을 교정하게 된다. 이때, 수직로울러(21) 뿐만아니라 수평로울러(19)도 같이 조정한다면 벨트에 대한 교정기능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무단벨트를 관형상으로 둥글게 하여 그 속에 피반송물을 싸아서 소요장소로 반송하는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반송물의 무게나 벨트 자체하중에 의해 각 지지프레임 사이에 발생하기 쉬운 벨트의 처짐을 수평로울러로 지지함으로써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벨트의 수평방향 만곡부분에서는 수직로울러에 의해 만곡 안쪽 둘레부를 지지함으로써 벨트를 적절한 만곡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주행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길이에 걸쳐 수평로울러를 설치하고 만곡부에 수직로울러를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지지로울러를 가진 지지프레임의 간격을 넓게할 수 있어서(예를들어 1.5m 간격을 2.0m~2.5m간격으로 한다). 지지로울러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더구나 벨트 주행중에 축선주위의 뒤틀림이 발생했을 때에는 뒤틀림이 발생한 부분의 수평로울러 또는 수직로울러가 벨트의 주행방향에 대해서 적절하게 기울어서 벨트를 정지하지 않고 뒤틀림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Claims (1)

  1. 구동로울러(12)와 종동로울러(13)의 사이에 무단벨트(11)를 둘러감아 상측을 송출벨트(11a)로 함과 동시에 하측을 복귀벨트(11b)로 하고, 변형수단에 의해 송출, 복귀벨트(11a)(11b)의 전체 길이를 관형상으로 둥글게 말아서, 송출벨트(11a)에 피반송물을 감싸넣어 반송하도록 한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의 송출, 복귀벨트(11a)(11b)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2단 벨트의 삽입 통과로를 가지고, 그 주위부에 복수의 지지로울러(15)를 설치한 지지프레임(14)과 상기 지지프레임(14)의 병렬하는 중앙부에 위치해서 상기 관형상 벨트에 직교하여 바닥부를 지지하도록 한 수평로울러(19)를 적절한 간격으로 번갈아 설치하고 각 수평로울러(19)를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연결로드(17)(18)에 벨트의 주행방향으로 자세변경가능하게 부착한 브래킷(20)(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송출, 복귀벨트(11a)(11b)의 가로방향의 만곡부분에는 벨트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수평로울러(19)에 인접해서 상기 만곡 내부 둘레 축부를 지지하는 수직로울러(21)를 상기 브래킷(22)에 회전운동 가능하기 지지하고, 상기 브래킷(20(22)은 그 자체가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상기 연결로드(17)(18)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KR1019910006966A 1991-04-29 1991-04-29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KR96000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966A KR960005535B1 (ko) 1991-04-29 1991-04-29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966A KR960005535B1 (ko) 1991-04-29 1991-04-29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45A KR920019645A (ko) 1992-11-19
KR960005535B1 true KR960005535B1 (ko) 1996-04-26

Family

ID=1931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966A KR960005535B1 (ko) 1991-04-29 1991-04-29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5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45A (ko) 199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8493B2 (ja) パイプコンベヤにおける捩れ矯正装置
EP0498673B1 (en) Correction roller support device of pipe conveyor
US8317014B2 (en) Belt conveyor
JPH0712323U (ja) スラットコンベヤ
EP0448067B1 (en) Tubular belt conveyor
US8061511B2 (en) Conveyor belt guide
KR960005535B1 (ko) 관형상의 벨트 콘베이어
US4192639A (en) Apparatus for straightening sausage links
US4390093A (en) Apparatus for conveying sheets such as veneer having improved wicket construction
JP4477716B2 (ja) パイプコンベヤにおける捩れ矯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パイプコンベヤ
JPH0146404B2 (ko)
CN210102653U (zh) 带式输送机
JPH10226411A (ja) 垂直ベルトコンベヤにおけるベルト押え装置
JP2003081416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CN1025179C (zh) 管形输送机
JPH07228323A (ja) コンベアベルト
JP6482376B2 (ja) 搬送装置における物品案内装置
JP3539989B2 (ja) 搬送装置
JPH09100014A (ja) コンベアベルトの自動調整装置
CA2109769C (en) Tubular belt conveyor
JP3509268B2 (ja) パイプコンベヤの保形装置
JPH018974Y2 (ko)
KR850001599B1 (ko) 벨트 비틀림 방지장치
JPH09328208A (ja) パイプコンベヤ用保形ローラ装置
CA2132409C (en) Return roller assembly for a bulk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