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280Y1 -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280Y1
KR960005280Y1 KR2019930020325U KR930020325U KR960005280Y1 KR 960005280 Y1 KR960005280 Y1 KR 960005280Y1 KR 2019930020325 U KR2019930020325 U KR 2019930020325U KR 930020325 U KR930020325 U KR 930020325U KR 960005280 Y1 KR960005280 Y1 KR 960005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body
control lever
cas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615U (ko
Inventor
정운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정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정종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Priority to KR2019930020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280Y1/ko
Publication of KR950010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15U/ko
Priority to US08/619,080 priority patent/US5636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80Y1/ko

Link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a, b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작동단면 구성도로서,
a도는 자성체의 영구자석이 도전환체에서 떨어진 상태.
(도전환체의 요입부와 대향진 상태)
b도는 자성체의 영구자석이 도전환체에서 근접된 상태.
(도전환체의 돌출부와 대향진 상태)
제3a, 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정면구성도로서,
a도는 제2a도와 같은 상태.
b도는 제2b도와 같은 상태.
제4도는 본 고안 조절레버부에서 본 정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스푸울 5 : 도전환체
6 : 돌출부 6' : 요입부
9 : 자성체케이스 10 : 영구자석
11 : 자성체 14 : 작동봉
15 : 장공 19 : 조절레버
20 : 작동홈
본 고안은 양베어링형 리일의 자석제동에 의한 백래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알루미늄등의 비자성재료로 형성되는 스푸울의 일측면 도전환체는 돌출부와 요입부로 구분되어 중앙 스푸울축이 관통되는 자성체 케이스와 결합되어지되, 케이스의 내측에는 도전환체와 미세간격을 두고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편평상 영구자석이 방사상 방향으로 고착된 자성체가 유설되어 그 배면 중앙에 일체화된 작동봉이 하우징 외측의 조절레버 내면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원호상 작동홈에 결합되어 조절레버의 조절에 의해 자성체의 영구자석과 도전환체와의 거리를 증감시켜 도전환체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대폭 개선한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푸울의 일측 도전환체상에 대향지게 설치되어진 자성체가 스푸울 축방향으로 이동자재하면서 자성체에 고착된 영구자석과 도전환체와의 거리를 증감시켜 도전환체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스푸울 제동력을 조절토록한 백래시 방지장치를 갖춘 양베어링형 리일이 다수 제안된 바 있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미국특허 제2,361,239호 및 제5,108,042호 공보에 의해 알려진 방식이 있으나 이는 스푸울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효율적으로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이점이 있으나, 이같은 방식은 도전환체의 일측에 배설한 자석이 직접 리일측판 주측부(周測部)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자력선이 리일측판 밖으로 누설되어 사철이 리일측판상에 흡착되고, 흡착된 사철이 근접하고 있는 리일측판과 스푸울플랜지의 끼워맞춤부 사이 그리고 자석표면에 부착된 플랜지 끼워 맞춤부 사이로 인입되어 스푸울의 회전은 저해하거나 하여 이상음 발생의 원인이 되었을 뿐 아니라 리일반경 방향의 크기도 크게 되어서 리일형상이 대형화되고 또 외측자석에 의해서 중량도 증가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푸울 일측면의 도전환체를 리일측판내의 보스상에 체결된 자성체 케이스내로 향하여 돌설시키고, 이 도전환체의 돌출부 및 요입부와 미세간격으로 대향지게는 복수의 편평상 영구자석이 방사상방향으로 고착된 자성체가 케이스내로 유설되어 상기 자성체가 종래와 같이 스푸울축방향(X축) 즉, 수직방향이 아닌 스푸울축을 기점으로 90°측방향(Y축)인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체의 영구자석이 스푸울축 90°측방향의 외측돌출부에 근접하거나 내측요입부에 근접하도록 하여 도전환체와의 거리를 증감시킴으로써 도전환체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조절토록 한 백래시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일측판(2)에는 공지와 같이 핸들(3) 및 스푸울구동기구(미도시됨)가 설치되어 핸들(3)을 회전시킴에 따라 스푸울(4)이 구동되는 양베어링형리일(1)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은 알루미늄등의 비자성재료로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면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돌출부(6)와 내측요입부(6')로 구분되어진 도전환체(5)가 형성되고, 상기 도전환체(5)에는 리일측판(2)내의 보스(7)(7')에 스크류(8)(8')로 체결되는 자성체케이스(9)가 복개되어 그 내면으로 복수의 편평상 영구자석(10)이 방사상방향으로 고착된 자성체(11)가 유설되며, 케이스(9)의 중앙부에는 베어링(12)이 삽설되어 스푸울축(13)이 지지되고, 자성체(11)의 이면 중앙에는 작동봉(14)을 일체화시켜 작동봉(14)이 케이스(9)상의 장공(15)을 관통하여 케이스(9) 외측의 중앙보스(16)에 축수(17)가 끼워져 스프링(18)으로 탄지되는 조절레버(19) 내면에 편심되게 형성된 원호상의 작동홈(20)에 끼워지게 한 구성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21)은 조절레버의 손잡이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낚시줄을 풀어나감에 따라 스푸울(4)이 회전하면서 스푸울(4) 일측면의 비자성재인 도전환체(5)에 자성체(11)에 고착된 영구자석(10)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에 의한 와전류가 발생하여 스푸울을 제공시켜 낚시줄의 백래시를 방지함은 기존의 방식과 같은 것이나 기존에는 자성체가 스푸울축방향인 X축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성체의 영구자석이 도전환체에 근접 또는 멀어지면서 영구자석과 도전환체간의 거리가 증감하여 발생하는 와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스푸울제동력의 강, 약을 조절하였고, 본고안은 자성체(11)가 스푸울축(13)방향(X축)이 아닌 스푸울축(13)을 기점으로 90°측방향(Y축) 즉,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성체(11)의 영구자석(10)이 도전환체(5)의 돌출부(6)에 대향지면서 근접하거나 또는 도전환체(5)의 요입부(6')에 대향지면서 멀어지게되어 영구자석(10)과 도전환체(5)간의 거리가 증감하여 발생하는 와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스푸울(4) 제동력의 강, 약을 조절하였는바, 본 고안 자성체(11)가 수평방향(Y축)으로 이동하는 구동방식은 손잡이(21)를 잡고 조절레버(19)를 제4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레버(19) 내면의 편심된 원호상의 작동홈(20)에 끼워진 자성체(11)이면 중앙의 작동봉(14)이 작동홈(20)의 A점에 위치하면서 자성체(11)가 제2도(b) 및 제3도(b)와 같이 케이스(9)의 장공(15)을 따라 이동하여 도전환체(5)의 돌출부(6)에 대향지면서 자성체(11)의 영구자석(10)과 도전환체(5)간의 거리가 근접되고, 이와는 반대로 조절레버(1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봉(14)이 작동홈(20)의 B점에 위치하면서 자성체(11)가 제2도(a) 및 제3도(a)와 같이 케이스(9)의 장공(15)을 따라 이동되어 도전환체(5)의 요입부(6')에 대향지면서 자성체(11)의 영구자석(10)과 도전환체(5)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자성체(11)의 영구자석(10)과 도전환체(5)의 거리가 증감하여 발생하는 와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스푸울(4) 제동력의 강, 약을 조절하여 백래시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설명에서는 낚시용리일을 양베어링형 리일로써 기술하였으나 다른 형식의 리일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자성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착된 영구자석이 도전환체의 돌출부와 요입부상에 정확하게 대향지도록 방사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도전환체에 대한 자속밀도가 커서 소수 편측의 자석만으로 효율적인 제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스푸울 일측면의 도전환체를 리일측판내로 향하여 돌설하고 영구자석은 자성체 케이스와 도전환체내면의 자성체에만 소수를 고착하였으므로 리일 축방향의 크기를 축소화하여 리일형상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도전환체에 복개되는 자성체케이스간의 미세간격으로부터 누출되는 자력선도 극히 미세하여 자력선의 불필요한 누설을 방지하여 내측에 설치된 스푸울이나 스푸울 베어링부 등 기타를 자화시키는 일이 없으며 리일측판으로 사철이 흡수되는 것도 방지하는 등 사용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리일측판(2)에는 핸들(3) 및 스푸울구동기구(미도시됨)가 설치되어 핸들(3)을 회점시킴에 따라 스푸울(4)이 구동되는 양베어링형 리일(1)에 있어서, 스푸울(4)의 일측면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돌출부(6)와 내측요입부(6')로 구분된 도전환체(5)가 형성되고, 도전환체(5)에는 자성체케이스(9)가 복개되어 그 내면에는 복수의 편평상 영구자석(10)이 방사상방향으로 고착된 자성체(11)가 유설되며, 자성체(11)의 이면 중앙에는 작동봉(14)을 일체화시켜 작동봉(14)이 케이스(9)상의 장공(15)을 관통하여 케이스(9) 외측의 중앙보스(16)에 축수(17)가 끼워져 스프링(18)으로 탄지되는 조절레버(19) 내면의 작동홈(20)에 끼워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레버(19)내면의 작동홈(20)은 조절레버(19)의 축수(17)를 기점으로 편심되게 원호상으로 곡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KR2019930020325U 1993-10-05 1993-10-05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KR960005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325U KR960005280Y1 (ko) 1993-10-05 1993-10-05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US08/619,080 US5636804A (en) 1993-10-05 1996-03-21 Double-bearing fishing r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325U KR960005280Y1 (ko) 1993-10-05 1993-10-05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615U KR950010615U (ko) 1995-05-15
KR960005280Y1 true KR960005280Y1 (ko) 1996-06-24

Family

ID=1936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325U KR960005280Y1 (ko) 1993-10-05 1993-10-05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615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3724B1 (en) Eddy current retarder comprising a magnet consisting of an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CA1213636A (en) Limited angle torque motor with magnetic centering and stops
GB2029126A (en) Adjustable magnetic coupling
EP0456017A2 (en) Eddy current type retarder
JP2001017041A (ja) 両軸リール用ブレーキ機構
KR102378402B1 (ko) 와전류식 감속 장치
KR970073331A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US6332451B1 (en) Rotary valve actuator arrangement
US4468649A (en) Switchable permanent magnetic chuck
KR960005280Y1 (ko)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US4462014A (en) Wide-angle actuator
JPH05252728A (ja) 磁気継手
US4644211A (en) Electric rotary drive apparatus operable in a magnetic cylinder
JPH0138220Y2 (ko)
JP3641346B2 (ja) 自己保持型ロータリソレノイド
JP2709844B2 (ja) 磁気継手
JP2565656B2 (ja) 軸回転型直流電磁石
KR200151236Y1 (ko) 양베어링 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JP2001320868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H0379854B2 (ko)
KR890007940Y1 (ko)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의 백래시 방지장치
JPS6224795Y2 (ko)
JPS6350822Y2 (ko)
JP2591822Y2 (ja) 電磁パウダ−クラッチ/ブレ−キ
JP2592680Y2 (ja) 開閉器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