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23Y1 -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 Google Patents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23Y1
KR960005123Y1 KR2019930021147U KR930021147U KR960005123Y1 KR 960005123 Y1 KR960005123 Y1 KR 960005123Y1 KR 2019930021147 U KR2019930021147 U KR 2019930021147U KR 930021147 U KR930021147 U KR 930021147U KR 960005123 Y1 KR960005123 Y1 KR 960005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iron
iron pipe
inclined surface
rubber r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009U (ko
Inventor
이휘우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김동규
대한주물공업 주식회사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김동규, 대한주물공업 주식회사, 이진우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2019930021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23Y1/ko
Publication of KR950012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접합된 주철관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암형주철관의 수구의 평면도.
제3a, b도는 본 고안의 고무링의 평면도 및 A-A선 단면도.
제4a, b도는 본 고안의 압착링의 평면도 및 B-B선 단면도.
제5a, b도는 본 고안의 압착플랜지의 평면도 및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삽입구 20 : 수구
21, 22 : 턱 23 : 단턱
24 : 암형주철관 30 : 고무링
31, 32 : 경사면 40 : 압착링
41 : 경사면 50 : 압착플랜지
51, 52 : 원호형 홈 53 : 보울트
본 고안은 고층건물, 아파트, 사무실 등의 건축에 배수용으로 사용하는 배수용 주철관 접합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고무링과 압착플랜지를 사용하여 보울트 조임식으로 배수용 주철관을 접합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용 주철관의 접합기구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며 그 접합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허브(HUB) 타입의 주철관 접합방법이다. 이 방법은 삽입되는 관 주위에 양을 감아서 수구에 삽입한 다음 그 공벽에 납을 녹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납을 녹여서 사용하므로 산업공해가 심각하고 납을 녹이기 위해 목탄, L, P. G., 기름 등을 이용하므로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전문 숙련공이 아니면 배관(접합)하기가 힘들다.
두번째는 메카니칼(Mechanical) 타입의 주철관 접합방법이다. 이는 주철관 수구 부위에 플랜지가 붙어 있고 또 다른 1개의 플랜지를 사용하며 고무링을 수구에 넣어서 보울트로 고정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제품의 수구 부위에 플랜지가 붙어 있으므로 제품생산시 작업성 및 가공성이 좋지 않아 가격이 비싸다. 또한 수구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와 별도의 분리된 플랜지를 보울트로 고정시킬 때 보울트가 조금만 느슨하게 조여져도 배관후 그 접합부위가 쳐지거나 물이 샐 우려가 있다.
세번째는 타이튼(Tighten) 타입의 주철관 접합방법이다. 이 방법은 주철관 수구 부위에 가스킷을 삽입한 후 조립기를 이용하여 삽입되는 관을 가스킷 사이로 끼워서 접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조립기를 사용하는 번거로움과 고무 가스킷에 의해 관과 관이 지탱되므로 가스킷이 이탈되어 물이 샐 우려가 있으며 또한 관을 수평으로 설치시 배관이 쳐질 수 있고 전문 숙련공이 아니면 배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방법들을 개량하여 전문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쉽게 배관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가공을 요하지도 않는 조립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새로운 주철관 접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관과 관의 연결시 암형주철관의 수구에 고무링을 삽입한 후 그 위에 압착링 및 보울트가 설치된 압착플랜지를 얹고 숫형주철관의 삽입구를 수구에 끼워진 고무링, 압착링, 압착플랜지의 구멍을 통해 수구 하단의 단턱까지 밀어넣은 후 압착플랜지의 보울트를 조이면 보울트가 압착링을 하방으로 압축하며 다시 압착링에 의해 압축되는 고무링이 주철관수구와 주철관삽입구 사이에 압착되어 관을 고정시키고 물이 새지않게 배관하는 접합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메카니칼 타입의 주철관 접합방식을 개량한 것으로 경사면을 갖는 고무링(30), 압착링(40) 및 보울트(53)가 설치된 압착플랜지(50)를 사용함으로서 간편하게 주철관(10,24)을 접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접합기구를 사용하여 접합된 주철관(10,24)의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보듯이 본 고안을 이용하는 숫형주철관의 삽입구(10)는 단순한 관형 부재가 그대로 채용되며 암형주철관(24)의 수구(20)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원주상단의 두개소에 턱(21,22)이 형성되어 있다. 턱(21,22)은 이후 설명될 압착플랜지(5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구(20)에는 압착링(40)의 외면 테이퍼부(41)에 접촉하는 부분에 제1경사면(25)이 형성되며, 고무링(30)의 하부 경사면(32)과 접하는 부분에도 제2경사면(26)이 형성되어 있고 제2경사면(26)의 하부종단에서는 경사면(26)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삽입구(10)를 지지할 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는 고무링(30)이 도시되어 있는데 중앙에 삽입구(10) 삽입용의 구멍을 가진 원추형의 부재로 상,하단에 각기 경사면(31,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는 고무링(30)의 상부경사면(31)에 대응하는 경사면(43)을 갖는 압착링(40)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는 고무링(30)의 상 하단에 경사면(31,32)을 형성하고 있으나 경사면이 없어도 무방하며 상,하 어느 한쪽에만 성형하여도 된다. 경사면(31,32)은 압착링(40)에 의한 압력이 고무링(30)을 용이하게 삽입구(10)쪽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압착플랜지(50)의 보울트(53) 조임으로 생기는 하향력을 보다 용이하게 수평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무링(30)의 상부의 경사면(31)을 없애게 되면 압착링(40)의 저면경사면(41)도 둘 필요가 없게 되며 따라서 압착링(40)은 저면이 평탄한 원형의 부재로 될 것이며, 고무링(30)의 하부경사면(32)을 없애면 이에 대응하는 수구(20)의 제2경사면(26)도 제거된다. 압착링(40)은 이후 설명될 압착플랜지(50)의 보울트(53)의 압력을 고무링(30) 전체에 고루 분산시켜 고무링(3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압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무링(30)과 압착링(40)은 수구(20)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구(20)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부(21) 선단까지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성형하는 것이 좋으나, 압착링(40)의 경우 압착플랜지(50)와 동일한 크기로 하여 수구(20)의 턱(21,22)에 대응하는 원호형 홈을 성형하여도 무방하다.
제5도에는 두개의 보울트(53)와 두개의 원호형 홈(51,52)을 가진 압착플랜지(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편의상 압착플랜지(50)에 설치된 보울트(53)가 2개인 경우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며, 보울트(53)의 수를 2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울트(53)가 끼워지는 압착플랜지(50)의 보울트 구멍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울트(53)를 회전시키면 보울트(53)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보울트가 하강하여 압착링(40)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고무링(30)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구(50)의 턱(21,22)과 이에 대응하는 압착플랜지(50)의 원호형홈(51,52)의 수는 꼭 2개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은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거기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고무링(30)과 압착링(40) 및 압착플랜지(50)의 내부구멍은 숫형주철관의 삽입구(70)가 삽입될 구멍이며 주철관 삽입구(70)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하여 삽입구(7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수구(20)의 하단에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삽입구(70)가 삽입되어 단턱(23)과 맞닿게 된다.
본 고안의 기구를 사용하여 주철관을 접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무링(30)을 주철관수구(20)에 삽입한 후 고무링(30)위에 압착링(40)을 놓고 이어 압착플랜지(50)를 수구(20)의 턱(21,22)과 맞추어 삽입한 후 회전시켜 턱(21,22)과 압착플랜지(50)의 원주가 걸리게 한다. 이어 숫형주철관 삽입구(70)를 암형주철관수구(10) 사이에 끼워진 고무링(30), 압착링(40), 압착플랜지(50)의 내경 사이로 주철관수구 하단의 단턱(23)까지 밀어 넣은 후 압착플랜지(50) 상단에 설치된 보울트들(53)을 조이면 압착플랜지의 하부로 보울틈(53)가 점차 돌출되면서 보울트(53)의 하단이 압착링(40)을 압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무링(30)이 수구(20)의 내경과 주철관삽입구(70)의 외경 사이에 압착되어 관과 관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물이 새지 않게 수구와 삽입구(70)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본 고안의 기구는 특히 주철관(10) 사이에 끼워진 고무링(30), 압착링(40), 압착플랜지(50) 사이로 주철관삽입구(70)를 밀어 넣을 때 각 구성요소의 내경이 주철관삽입구(70)의 외경보다도 치수가 크므로 삽입하기가 쉽고 삽입후 관을 고정시킬 때도 압착플랜지(50)의 보울트만을 조이면 되므로 전문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고 빠르게 배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메타니칼 타입의 방법에 비해 수구에 플랜지가 일체로 붙어 있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용 주철관 접합기구로서 기존 제품의 접합방식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전문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저렴한 배수용 주철관 접합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단에 적어도 2개의 턱(21,22)을 갖는 수구(20)가 형성되어 있고, 수구(20)의 하단에 숫형주철관의 삽입구(10)가 맞닿을 단턱(23)이 형성된 암형주철관(24), 상기 수구(20)와 삽입구(10) 사이에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구(10)의 외경보다 다소 큰 내경의 구멍이 형성된 고무링(30), 상기 수구(20)와 삽입구(10)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무링(30) 위에 놓으며 상기 삽입구(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구멍이 형성된 압착링(40), 및 상기 삽입구(7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구멍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보울트(53)가 설치되며 원주방향으로 상기 수구의 턱(21,22)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원호형 홈(51,52)이 형성된 압착플랜지(50)로 구성되는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30)과 상기 압착링(40)의 외경이 상기 수구(20)의 턱(21,22)의 내경보다 작으며, 고무링(30)의 상부에 중심방향으로 상승하는 상부경사면(31)과 하부에 중심방향으로 하강하는 하부경사면(32)이 형성되고, 압착링(40)의 저면에 고무링(30)의 상부경사면(31)에 대응하여 서로 접촉하도록 저면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고 다시 측면에 측면 경사면(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구(20)의 하부에 단턱(23)까지 상기 고무링(30)의 하부경사면(32)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KR2019930021147U 1993-10-15 1993-10-15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KR960005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147U KR960005123Y1 (ko) 1993-10-15 1993-10-15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147U KR960005123Y1 (ko) 1993-10-15 1993-10-15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09U KR950012009U (ko) 1995-05-16
KR960005123Y1 true KR960005123Y1 (ko) 1996-06-21

Family

ID=1936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147U KR960005123Y1 (ko) 1993-10-15 1993-10-15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1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09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0896A (en) Toilet pan connector
US9506591B2 (en) Self-restrained pipe joint method of assembly
US4438954A (en) Pipe coupling
KR100447061B1 (ko) 벽 트인 구멍부용 모듈러 기밀 조립체
US3341232A (en) Pipe joint
JPH06221478A (ja) 圧力管接合部のための改良された固定部材
US4930816A (en) Joining structures for metal pipes
JP2801898B2 (ja) 銅管の接続装置
US4005879A (en) Conduit joint
CN210661831U (zh) 一种快拆式波纹管接头连接结构
US20020116759A1 (en) P-trap for plumbing drainage systems
KR960005123Y1 (ko) 보울트 조인트 타입 주철관 접합기구
KR960005124Y1 (ko) 패스트 조인트 타입(Fast Joint Type) 주철관 접속장치
US20030090112A1 (en) Pipe joint assembly
US3956817A (en) Method of making a pipe joint
JP3822021B2 (ja) 管継手の連結方法及び管継手構造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CA2016566C (en) Pipe connector with threaded seal in nonthreaded cavity
US3363912A (en) Seal gasket
CN2386305Y (zh) 快装管道锁紧压环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JP3359509B2 (ja) 管継手の耐震構造
KR200233913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JP3183507B2 (ja) パイプ用のリジッド又はフレキシブルなカップ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