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355Y1 -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 Google Patents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355Y1
KR960004355Y1 KR2019910023164U KR910023164U KR960004355Y1 KR 960004355 Y1 KR960004355 Y1 KR 960004355Y1 KR 2019910023164 U KR2019910023164 U KR 2019910023164U KR 910023164 U KR910023164 U KR 910023164U KR 960004355 Y1 KR960004355 Y1 KR 960004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dignity
electronic products
moto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351U (ko
Inventor
조황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3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355Y1/ko
Publication of KR930017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전자 제품의 자동인입출식 콘트롤 박스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전자 제품의 자동인입출식 콘트롤 박스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트롤 박스 2 : 콘트롤 판넬
3 : 진퇴봉 3' : 위엄
4 : 정역모터 4' : 위엄기어
5, 5' : 감지센서
본 고안은 전기, 전자 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제품 특히 TV 및 비디오 등의 콘트롤 판넬상에는 전원, 채널 또는 주파수 선택, 볼륨 조절 스위치 등 기기 작동에 필요한 주요 조작 스위치들이 설치되므로, 조작이 미숙한 유아들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에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트롤 판넬 설치 구조는 대개 기기 본체 전면 하부에서 전방과 수직으로 위치되므로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과 더불어 낮은 자세로 콘트롤 판넬을 주시하며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콘트롤 판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기 본체 내부에 감지센서의 지시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이 모터축 상에 결합된 위엄기어 및 위엄으로서 전후이동되어 기기 본체 전방으로 인입, 출되게 된 콘트롤 박스상에 기기 본체 전면과 직각면을 이루도록 콘트롤 판넬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기기 본체에 접근하면 자동적으로 콘트롤 박스가 인출되고 인출된 상태에서의 콘트롤 판넬을 위를 향하고 있어 도어를 손으로 열어야 하는 불편함과 자세를 밑으로 숙여 판넬을 보아야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끔 고안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박스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측단면구성도, 기기본체(8)상에 형성된 홈(8') 내부에 하우징(7)을 볼트로 체결고정토록 설치하고, 이 하우징(7) 내부에는 각종 스위치류(2')가 구비된 콘트롤 판넬(2)이 평면상으로 놓여지게 설치되는 콘트롤 박스(10)와, 이 콘트롤 박스 후방에 연결되고 위엄(3')에 나사식으로 끼워진 진퇴봉(3)과, 진퇴봉상에 나사식으로 연결된 위엄과 결합되는 위엄기어(4') 및 위엄기어를 회전시키는 정역모터(4)가 구성되고, 콘트롤 박스 전면에는 장식판(6)이 부착되며 그 좌우내측에 두개의 감지센서(5)(5')가 설치된 것으로서, 미설명부호 9, 9'는 리미트 스위치이고, 10은 진퇴봉의 일단부 돌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시 콘트롤 박스(1) 전면에 손을 접근시키면 일측 감지센서(5)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 정역모터(4)를 구동시키고 모터의 구동으로 워엄기어(4')가 회전함으로써, 이에 결합된 진퇴봉(3)상이 위엄(3')이 대응 작동되어 이에 나사식으로 끼워진 진퇴봉이 전진함에 따라 콘트롤 박스(1)가 기기 이때 진퇴봉의 일단부 돌기(10)는 리미크 스위치(9)에 접속되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콘트롤 박스(1)는 홀밖으로 완전히 출몰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여기서 콘트롤 판넬(2)은 위를 향하도록 평면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세를 낮출 필요 없이 그대로 판넬을 주시하면서 스위치류(2')를 목적대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 조작이 끝난 후에 다시 손을 콘트롤 박스(1) 전면에 접근시키면 이때에는 다른 쪽 감지센서(5')가 이를 감지 정역 모터(4)에 신호를 보내 앞에서와 반대로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터축상의 위엄기어(4'), 진퇴봉상의 위엄(3')등이 반대로 작동되어 콘트롤 박스(1)가 다시 홀(8')내도 인입되어지며 완전히 인입되어지면 콘트롤 박스 후면이 리미트 스위치(9')에 닿아 모터의 구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콘트롤 박스가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적으로 인입, 출됨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이 해소됨은 물론 인출된 상태에서 콘트롤 판넬이 위를 향하게 되어 자세를 낮출 필요없이 그대로 편하게 스위치류를 확인 조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콘트롤 판넬(2)이 평면상으로 놓여지게 설치되는 콘트롤 박스(1)와, 이 콘트롤 박스 후방에 연결되는 위엄(3')에 나사식으로 삽입된 진퇴봉(3)과, 위 위엄과 결합되는 위엄기어(4') 및 이 위엄기어를 회전시키는 정역모터(4)등이 내부에 구성되는 하우징(7)이 기기 본체의 홀(8')내에 설치되고, 콘트롤 박스(1) 전면 좌우에 감지센서(5)(5')와 상기 센서(5)(5')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콘트롤 박스가 인입, 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인 입, 출식 콘트롤 박스.
KR2019910023164U 1991-12-20 1991-12-20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KR960004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164U KR960004355Y1 (ko) 1991-12-20 1991-12-20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164U KR960004355Y1 (ko) 1991-12-20 1991-12-20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51U KR930017351U (ko) 1993-07-29
KR960004355Y1 true KR960004355Y1 (ko) 1996-05-25

Family

ID=1932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164U KR960004355Y1 (ko) 1991-12-20 1991-12-20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3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51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492A (en) Electric rolling steel door safety stopping device
EP0357308A3 (en) Electronic module interlock and extraction mechanism
AU6523490A (en) Sliding door
CN211737000U (zh) 一种新型窗帘驱动装置
CA2121122A1 (en) Shaft position indicator for a rotary or linear switch mechanism
GR3002217T3 (en) Operating unit for lemelar blinds or the like
CN110664140A (zh) 改进电动滑轨
KR960004355Y1 (ko) 전기, 전자제품의 자동 인입·출식 콘트롤 박스
EP1225068A3 (de) Anhängerkupplung mit Anhängererkennung
CN211862284U (zh) 一种改进电动滑轨
EP0878600A3 (de)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 Kippöffnungsvorrichtung für Fenster, Türen oder dergleichen
JP2000291334A (ja) 動作補助装置およびドア開閉機構
KR910002064B1 (en) Automatic front-loading apparatus
CN217959291U (zh) 智能型滑动镜柜
CN219180047U (zh) 一种易维护的车辆检测器
CN219331053U (zh) 一种新型电动抽屉柜
CN217218809U (zh) 食物料理机
KR200207930Y1 (ko) 모니터가 일체화된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
CN115696823B (zh) 一种机房微模块一体化融合机柜和融合方法
EP0187667B1 (en) A control component having a terminal member
KR960003082Y1 (ko) 착즙기의 안전장치
CN211449357U (zh) 一种电动真空吸附支架
CN209674882U (zh) 一种紧凑型视觉检测控制柜
CN218940861U (zh) 一种便于生产组装的电动推杆
CN218233673U (zh) 一种柔性连接伸缩旋钮控制组件及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