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748B1 -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 Google Patents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748B1
KR960003748B1 KR1019930000946A KR930000946A KR960003748B1 KR 960003748 B1 KR960003748 B1 KR 960003748B1 KR 1019930000946 A KR1019930000946 A KR 1019930000946A KR 930000946 A KR930000946 A KR 930000946A KR 960003748 B1 KR960003748 B1 KR 96000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haped
concrete
compaction
sof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529A (ko
Inventor
임철웅
Original Assignee
임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웅 filed Critical 임철웅
Priority to KR101993000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748B1/ko
Publication of KR94001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8Improving by compacting by inserting stones or lost bodies, e.g. compac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02D3/054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involving penetration of the soil, e.g. vibrofl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시공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동다짐시공과정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동다짐콘크리트말뚝의 시공을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레인 2 : 원통단추
3 : 팽이형추 3a : 원통형몸체
3b : 원추형몸체 4 : 연약지반
5 : 모래와 자갈층등의 성토층 6 : 첨단부
7 : 팽이형홀 8 : 팽이형 콘크리트성형팁
9 : 한번다짐두께 10 : 공간홀
11 : 한번다짐콘크리트성형체 12 : 대구경 콘크리트말뚝
본 발명은 해안이나 강변, 간척지, 연못 또는 늪지대등의 점성토(粘性土)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에 도로나 단지 및 제방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을 보다 간단한 시공법에 의하여 증강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제안된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 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은 연약지반을 형성하고 있는 점성토내에 수분이 다량으로 포화되어 있으므로 외압에 의한 지지력과 지반의 강도가 약하여 하중이 가하여지게 되면 전단파괴로 인하여 구조물이 건설중에 파괴되므로 구조물을 설치할 수가 없으며, 또한 지표면이 어느정도 침하될 경우에는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더라도 연약지반의 특성상 대량의 압밀침하현상이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적으로 진행되게 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약지반상에 설치한 구조물의 피해가 커지게 되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의 수직깊이로 홀을 형성한 다음, 홀내부에 강관이나 원뿔형말뚝(cone pile) 또는 우물통등을 넣어 박아 모래나 자갈을 충진하는 공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법은 작업공정의 복잡성등으로 공사비가 많아지고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동다짐추의 구조를 팽이형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1차적으로 팽이형추를 사용하여 연약지반에 1차적 동다짐하여 주므로서 형성되는 팽이형홀의 내부에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혼합하여 충진하거나, 또는 자갈이나 쇄석 및 모래만을 충진하여 준다음 2차적으로 원통형추를 사용하여 2차적동다짐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여 주면서 콘크리트말뚝이나 모래말뚝을 형성시켜 연약지반의 강도의 증진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1)에 원통형추(2)를 걸어메어 동다짐하는 통상의 시공법에 있어서, 원통형몸체(3a)의 하방으로 원통형몸체(3b)를 형성한 팽이형추(3)와 통상의 원통형추(2)를 교체하면서 크레인(1)에 걸어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연약지반(4)의 표면부에 모래흙등으로 성토층(5)을 임의두께로 적재한 다음 크레인(1)을 위치시킨다.
성토층(5)에 위치시킨 크레인(1)에는 팽이형추(3)를 메어달아 연약지반(4)의 표면을 1차적동다짐하여 첨단부(6)를 형성하는 팽이형홀(7)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팽이형홀(7)내에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혼합충진하여 하방이 첨단부(6)를 형성하는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의 상부에 다시 적당량의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혼합하여 한번다짐두께(9)가 되도록 충진시킨 다음, 상기 크레인(1)에 달아메어진 팽이형추(3)를 원통형추(2)로 교체하여 원통형추(2)로서 동다짐시켜 한번다짐두께의 콘크리트성형체(11)를 형성함과 동시에 한번다짐두께의 콘크리트성형체(11)가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과 일체화되면서,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의 하방에 형성되는 원추형상의 첨단부(6)에 의하여 수직으로 용이하게 박아들어가게 되어 대구경콘크리트말뚝(12)의 구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약지반(4)의 표면부에 모래나 자갈 또는 흙등으로 필요한 두께의 성토층(5)을 적재한 상태에서 통상의 크레인(1)에 팽이형추(3)를 메어달아 1차적인 동다짐을 하게 되면 팽이형추(3)가 낙하하는 가속도에 의한 동압력에 의해 연약지반(4)의 수직하방으로 팽이형추(3)의 2배이상의 길이의 깊이로 동다짐되어 박아들어가면서 팽이형홀(7)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팽이형홀(7)의 내부에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충진하여 1차적동다짐하여 주므로서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의 상부에 다시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한번 다짐두께(9)의 량만큼 충진시킨 다음, 크레인(1)에 메어달린 팽이형추(3)를 풀어내어 원통형추(2)로서 교체하여 메어달아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의 상부를 강력하게 강압하여 주므로서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에 의하여 연약지반(4)의 수직하방으로 박아들어가게됨과 동시에, 한번다짐콘크리트성형체(11)의 상부에는 또다시 한번다짐두께(9)만큼의 공간홀(10)이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공간홀(10)에는 다시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충진한 다음 다시 원통형추(2)를 낙하시켜 3차적동다짐을 하므로서 한번다짐콘크리트성형체(11)는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과 일체가 되면서,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을 다시 연약지반(4)의 수직하방으로 박아들어가게됨과 동시에,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가장 상부에 위치한 한번다짐콘크리트성형체(11)의 상부에는 또다시 공간홀(10)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다짐하는 과정을 연속반복적으로 행하여 주면서 연약지반(4)의 수직깊이로 대구경콘크리트말뚝(12)의 구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약지반(4)의 상태 또는 작업조건에 따라 콘크리트말뚝(12)의 구축작업이 곤란할 경우에는 팽이형홀(7)에 자갈이나 쇄석 및 모래를 충진하여 팽이형모래성형팁이 되도록 형성하여 그 상부에 형성되는 한번다짐두께(9) 만큼 공간홀(10)내에 자갈이나 쇄석 및 모래만을 충진하면서 상기와 같은 연속반복적인 동다짐 작용에 의하여 대구경모래말뚝의 구축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통상의 크레인에 팽이형동압추를 메어달아 연약지반의 표면부에 1차적동다짐에 의하여 낙하시키면서 팽이성형홀을 형성시켜 그 내부를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이나 팽이형모래성형팁을 형성시킨 다음, 그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홀내에 한번다짐콘크리트성형체 및 한번다짐모래성형체를 형성하여 주면서 크레인에 메어달린 팽이형추를 원통형추로 교체하여 원통형추에 의하여 동다짐작업을 2차적, 3차적 등 연속적으로 행하면서 연약지반의 수직하방으로 대구경콘크리트말뚝이나 대구경모래말뚝의 구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므로, 강관이나 원뿔형 말뚝 또는 우물통형틀등의 별도의 부재가 필요없이 팽이형추와 원통형추 및 콘크리트 또는 자갈이나 쇄석 및 모래만으로서 동다짐시공법에 의하여 연약지반의 대구경콘크리트말뚝이나 대구경모래말뚝의 구축작업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대구경콘크리트 말뚝이나 대구경모래말뚝을 임의면적의 공간부에 박아주므로서 그 둘레 주변 및 하방으로 압력이 가하여지게 되므로 연약지반의 압축강도의 효과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크레인(1)에 원통형추(2)를 걸어메어 연약지반(4)의 표면부를 다짐시키는 통상의 다짐공법에 있어서, 하방을 원추형상으로 형성한 팽이형추(3)를 통상의 동압크레인(1)에 메어달아 연약지반(4)의 표면부에 1차적동다짐으로 팽이형홀(7)을 형성하여 통상의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충진시켜 상기 크레인(1)에 메어달은 팽이형추(3)를 원통형추(2)로 교체하여 1차적동다짐하여 첨단부(6)를 형성하는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을 형성한 다음, 성형팁(8)의 상부에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를 충진시켜 연차적으로 동다짐시켜 주므로서, 각각의 한번다짐콘크리트성형체(11)를 형성함과 동시에,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과 일체로 되는 팽이형콘크리트말뚝(12)을 구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팽이형추(3)로 1차적동다짐에 의하여 형성되는 팽이형홀(7)내부에 자갈이나 쇄석 및 모래만을 충진하여 팽이형모래성형팁을 성형한 다음, 그 상부에 형성되는 한번다짐두께(9)의 공간홀(10)내에 자갈이나 쇄석 및 모래만을 충진하면서 원통형추(2)로서 연속반복다짐하여 대구경모래말뚝을 구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한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에 원통형몸체(3a)를 형성한 하방으로 원추형몸체(3b)를 형성한 구조의 팽이형추(3)에 의하여 1차적동다짐하므로서 팽이형콘크리트성형팁(8)을 성형하는 팽이형홀(7)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KR1019930000946A 1993-01-27 1993-01-27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KR96000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946A KR960003748B1 (ko) 1993-01-27 1993-01-27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946A KR960003748B1 (ko) 1993-01-27 1993-01-27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529A KR940018529A (ko) 1994-08-18
KR960003748B1 true KR960003748B1 (ko) 1996-03-22

Family

ID=1934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946A KR960003748B1 (ko) 1993-01-27 1993-01-27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1515A (zh) * 2020-11-16 2021-02-26 山西机械化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抛石挤淤、冲击碾压处理饱和软土地基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529A (ko) 199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9892A (en) Short aggregate pi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KR100634261B1 (ko) 짧은 골재 피어 기술
US4730954A (en) Ground treatment
US3540225A (en) Construction pile and a method of producing same in situ
CN101736738A (zh) 一种抗压、抗拔两用型注浆碎石桩
CN100375820C (zh) 混凝土桩的施工方法
US1177355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pacting soil and granular materials
CN105735253B (zh) 一种扩大头抗压抗拔桩的施工方法
KR960003748B1 (ko) 점성토연약지반의 동다짐콘크리트 및 모래말뚝의 시공법
CN100396854C (zh) 柱锤强夯置换基坑支护工法
JPS62242011A (ja) 浅層地盤改良工法
RU2275470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несу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висячих свай
CN210459189U (zh) 一种新型bnt载体桩及其施工设备
HU225407B1 (en) Procedure for augmentation physical parameters and bearing capacity of ground and for diminution time of consolidation and expected consolidation settlement of thereof
CN1076064C (zh) 地基处理方法
GB2132667A (en) Method of installing precast concrete piles
CN208415227U (zh) 一种模袋混凝土桩
CN205954647U (zh) 真空降水高频挤密微型桩专用设备
CN112227344A (zh) 一种加固效果好的软弱地基加固施工方法
CN205712060U (zh) 预成孔侧向约束桩
CN110438973A (zh) 一种软弱地基的加固方法
US2024002662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pacting soil and granular materials
CN216948203U (zh) 一种深厚填土场地地基处理结构
CN207419437U (zh) 建筑垃圾再利用地桩
SU1749387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сва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