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729B1 -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 Google Patents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729B1
KR960003729B1 KR1019930030035A KR930030035A KR960003729B1 KR 960003729 B1 KR960003729 B1 KR 960003729B1 KR 1019930030035 A KR1019930030035 A KR 1019930030035A KR 930030035 A KR930030035 A KR 930030035A KR 960003729 B1 KR960003729 B1 KR 96000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owder material
metal powder
weight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060A (ko
Inventor
백응률
안상호
김낙준
Original Assignee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filed Critical 산업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3003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729B1/ko
Publication of KR95001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제1도는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Flux Cored Welding-Wire)에 의한 셀프-쉴드(Self-shield) 용접 원리의 개략도.
제2도는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Flux Cored Welding-Wire)의 개략적 제조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재 11 : 용접와이어
11a : 플럭스 12 : 아아크
13: 쉴드 개스(shield gas) 14 : 슬래그(slag)
15 : 용융 풀(Pool) 16 : 용착금속
20 : 냉연강판 21 : U형 가공롤
22 : 플럭스 공급기 22a : 플럭스(flux)
23 : 성형롤 24 : 인발다이
본 발명은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넌개스(non-gas 또는 셀프-쉴드 ; self-shield) 아아크 용접시 아아크 안정성이 우수하여 스패터 발생량을 억제하는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에 의한 용접은 탈산제(脫酸濟), 탈질제(脫窒濟) 및 슬래그 형성물질 등을 적절히 첨가하여 혼합한 솔리드 플럭스(Flux)를 용접와이어의 중심혈(centeral cavity)에 충전하고, 이를 전극으로 하여 이것과 모재 사이에서 아아크를 발생시켜 용접을 행하는 것으로서, 이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는 주로 제철소의 철광석 및 소결광의 스크린(Screen)이나 시멘트 공장의 파쇄롤 및 준설기기 등과 같은 금속재의 극심한 긁힘과 마모가 발생하는 부위의 내마모성 향상과 마모 부위의 보수를 위한 표면경화 육성용 용접재로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이, 플럭스(Flux)가 용접와이어의 중심혈(centeral cavity)에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Flux Cored Welding-Wire)를 이용하여 표면경화 육성 셀프-쉴드(self-shield) 아아크용접을 할 경우, 대기로부터 용융금속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공급하는 쉴드 개스(shield gas)나 플럭스가 없이도 용접와이어의 내부에 충전된 플럭스가 아아크열에 의해 개스와 슬래그 및 증기를 발생시켜 용융금속을 보호하게 된다. 즉, 대기로부터 용접부위의 자체차단(Self-shield)이 가능하며, 또한 일정한 속도로 용접와이어를 아아크 토오치에 송급함으로써 전자동용접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에 의한 용접 원리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를 참조하면, 용접와이어(11)의 내부에 충전된 플럭스(11a)가 아아크(12) 열에 의해 쉴드 개스(13)와 슬래그(14) 및 증기를 발생시켜 모재(10)의 표면에 형성된 용융 풀(pool)(15) 및 용착금속(16)을 에워싸게 되므로 대기로부터 용접부의 자체차단이 가능하여 용착금속의 산화와 같은 문제에 대해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제2도에 상기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의 개략적 제조공정을 도시하였다. 제2도를 참조하면,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는 두께가 0.2 내지 0.8mm이고 폭이 10mm 내외인 얇은 냉연강판(20)을 U형 가공롤(21) 사이로 통과시켜 그 단면을 U형상으로 중간 성형시키고, 계속해서 U형상의 오목부에 플럭스 공급기(22)로부터 플럭스(22a)를 공급하여 충전시킨 후, 성형롤(23)을 통과시켜 단면을 튜브라형 용접와이어로 성형시킨 다음, 최종적으로 인발다이(24)에 의해 소정 직경의 용접와이어로 제조된다.
종래의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로서 상용되는 것은 독일의 바우티드(Vautid)사 제품인 Vautid-100, 미합중국의 스투디(Stoody)사 제품인 Stoodt-100HC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는 그 내부에 충전되는 플럭스의 성분이 용착금속의 요구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금속분말과, 용접시 용접와이어의 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무기물분말재로 구성된다. 통상, 금속분말재에 포함되는 합금성분은 철(Fe), 크롬(Cr), 몰리브덴(Mo), 실리콘(Si), 망간(Mn), 니켈(Ni), 텅스텐(W), 바나디움(V) 및 니오> (Nb)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무기물분말재는 슬래그 형성재인 MnO, MgO, SiO2와, 아아크 안정재인 TiO2, CaF2및 가스 발생재인 CaCO3등의 무기물성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플럭스 성분 중의 무기물분말재의 함량은 일반 연강 이음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가 20 내지 35중량(wt)%인데 반하여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는 다량의 합금분말을 충전하고 있어야 하므로 10중량%(wt)% 이하를 함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용접와이어의 용접성을 좌우하는 플럭스중의 무기물분말재 함량을 적게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인하여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는 용접성이 떨어지며, 특히 아아크 안정성이 낮아서 용접시 용접금속 주위로 비산하는 용용금속 미립자인 스패터(Spatter)를 대량으로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용접시에 용접와이어의 합금성분이 용착금속으로 용이하게 이전되어야 하나, 이들 합금성분 중 일부가 스패터(Spatter)로 유실되기 때문에 건전한 용접육성층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의 플럭스에 함유되는 무기물분말재의 성분 및 조성을 개선함으로써 아아크 안정성이 우수하여 스패터 발생량을 억제하는 용접플럭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용접플럭스 조성물을 충전한 용접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플럭스 조성물은, Fe 금속분말에 Cr, Mo, Si, Mn, Ni, Nb, W, V 원소군 중에서 용접 대상 모재의 합금성분에 따라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함유된 금속분말재와, 이 금속분말재에 첨가되는 무기물분말재로 이루어지는 용접플럭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재는 90 내지 99중량%가 함유되고,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알루미늄(Al) 금속분말, TiO2, MgO, SiO2, 및 Na3AlF6를 포함하여 1 내지 10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용접플럭스 조성물에 있어서, 특히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그 총중량을 기준으로 TiO2-1 내지 20중량%, MgO-1 내지 20중량%, SiO2-1 내지 20중량%, Na3AlF6-30 내지 55중량%, 알루미늄(Al) 금속분말-10 내지 35중량%의 조성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CaCo3와 Na2CO3및 ZrO2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더 포함되며, 상기 무기물분말재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와이어는, 중공형 와이어와, Fe 금속분말에 Cr, Mo, Si, Mn, Ni, Nb, W, V 원소군 중에서 용접 대상 모재의 합금성분에 따라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함유된 금속분말재와, 이 금속분말재에 첨가되는 무기물분말재로 이루어지는 용접플럭스 조성물이 상기 중공내에 충전된 용접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재는 90 내지 99중량%가 함유되고,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알루미늄(Al) 금속분말, TiO2, MgO, SiO2, 및 Na3AlF6를 포함하여 1 내지 10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금속분말재에 포함되는 합금성분은 철(Fe), 크롬(Cr), 몰리브덴(Mo), 실리콘(Si), 망간(Mn), 니켈(Ni), 텅스텐(W), 바나디움(V) 및 니오>(Nb)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는 합금성분이 혼합된 금속분말재와, 무기물 성분이 혼합된 무기물분말재 및 알루미늄(Al) 금속분말을 첨가하여 적절한 조성비로 배합한 조성물을 용접와이어의 플럭스로 사용함으로써 용접시 우수한 아아크 안정성을 확보하여 스패터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플럭스 조성물중 무기물 분말재에 함유되는 각 성분 및 이에 첨가되는 알루미늄(Al) 금속분말이 본 발명에 미치는 작용과 효과 및 그 조성범위에 대한 수치 한정의 이유와 함께 설명한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는 중량(wt)%를 의미한다. 또한, 금속분말재는 Fe 분말에 Cr, Mo, Si, Mn, Ni, Nb, W, V 원소군중에서 용접 대상 모재의 합금성분에 따라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금속분말을 첨가시킨 것으로서, 그 성분 및 구성비는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으나 예를 들면, 상술한 바 있는 독일의 바우티드(Vautid)사 제품인 Vautid-100, 미합중국의 스투디(stoody)사 제품인 stoodt-100HC 등 종래의 통상적인 것과 동일하다.
TiO2는 아아크를 안정화시키면서 스패터를 미세화시키고, 용접 비드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함유량이 20% 이상이면 슬래그의 발생량이 많아져서 박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TiO2는 그 첨가량을 2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O는 슬래그의 점성과 박리성을 조정하는 작용을 하며, 첨가량이 20% 이상이면 슬래그의 고착현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20%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ZrO2는 슬래그의 박리성이 뛰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나, 첨가량이 과다하면 슬래그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슬래그의 퍼짐성이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ZrO2의 첨가량은 10% 이하가 유리하다.
CaCo3는 아아크열에 의해서 탄산가스를 발생시켜 대기로부터 용융금속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첨가량이 과다하면 가스발생율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서 작업장의 공기 오염 등과 같은 불리한 점을 유발하므로 1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a2CO3역시, 아아크열에 의해서 탄산가스를 발생시켜 대기로부터 용융금속을 보호하는 동시에 나트륨 원소에 의해 아아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첨가량이 10% 이상이 되면 가스발생율이 필요이상으로 높아져서 작업장의 공기 오염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므로 1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O2는 슬래그의 점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아아크 안정화를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SiO2의 첨가량을 2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다.
Na3AlF6는 아아크 용접시 플로라이드계 이온을 형성하여 대기로부터 용융금속을 보호하며, 나트륨 원소가 아아크를 안정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Na3AlF6는 그 첨가량이 30% 이하이면 쉴딩(shielding)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는 반면에, 55% 이상이 첨가되면 이 Na3AlF6의 첨가에 따른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Na3AlF6는 30 내지 55%의 범위내로 그 첨가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Al은 용착금속의 탈질(脫窒)과 아아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Al 역시 그 첨가량이 10% 이하이면 아아크 안정화 효과가 미약하게 되는 반면에, 35% 이상이 첨가되면 용접 비드 형상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Al을 10 내지 35%의 범위내로 그 첨가량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을 이로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스패터 발생율(%)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되며 이하 동일하게 적용된다.
스패터 발생율(%)=(스패터 발생 총 무게)/[(스패터 발생 총 무게)+(용착금속 무게)]×100
그리고, 이하에 기재되는 통상의 합금성분은 상술한 바 있는 Fe, Cr, Mo, Si, Mn, Ni, Nb, W, V 등 용착금속의 요구물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기존에 적용되는 바와 같다.
[실시예 1]
TiO2, MgO, Na2CO3, SiO2, 및 Na3AlF6로 이루어진 무기물 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을 첨가하여 플럭스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wt%로 하고, 나머지는 통상의 합금성분이 혼합된 금속분말재로 조성하되, 상기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6wt%-TiO2, 4wt%1-MgO, 6wt%-Na2CO3, 10wt%-SiO2, 및 54wt%-Na3AlF6와 20wt%-Al로 하여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플럭스 조성물을 통상의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 제조방법에 의해 직경 3.2mm로 가공한 와이어 내부에 충전하였다. 이때 충전된 플럭스 조성물의 충전율은 42 내지 55%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플럭스 조성물과 이를 충전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를 전극으로 하여, 모재의 두께가 12mm인 탄소강(AISI 1020)에 비드폭 12mm, 피치간격 9mm, 비드높이 3mm, 비드길이 350mm로 표면경화 육성 셀프-쉴드 아아크용접을 행하고, 30 내지 32볼트의 정전압과 400암페어의 직류 역전극 하에서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1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5.5%이었다.
[실시예 2]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6wt%-TiO2, 11wt%-MgO, 3wt%-ZrO2, 6wt%-Na2CO3, 12wt%-SiO2, 및 40wt%-Na3AlF6와 21wt%-Al로 하여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2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 역시 5.5%이었다.
[실시예 3]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9wt%-TiO2, 9wt%-MgO, 5wt%-Na2CO3, 6wt%-SiO2, 및 38wt%-Na3AlF6와 33wt%-Al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3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3.7%이었다.
[실시예 4]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15wt%-TiO2, 5wt%-MgO, 6wt%-CaCO3, 15wt%-SiO2, 및 39wt%-Na3AlF6와 19wt%-Al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4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5.5%이었다.
[실시예 5]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8wt%-TiO2, 12wt%-MgO, 6wt%-SiO2, 및 43wt%-Na3AlF6와 30wt%-Al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5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4.2%이었다.
[실시예 6]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10wt%-TiO2, 15wt%-MgO, 8wt%-SiO2, 및 53wt%-Na3AlF6와 14wt%-Al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6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4.9%이었다.
[비교예 1]
알루미늄(Al) 금속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10wt%-TiO2, 2wt%-MgO, 6wt%-CaCO3, 18wt%-SiO2, 및 64wt%-Na3AlF6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비교예 1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11%이었다.
[비교예 2]
알루미늄(Al) 금속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19wt%-TiO2, 6wt%-MgO, 8wt%-Na2CO3, 19wt%-SiO2, 및 48wt%-Na3AlF6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비교예 2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12%이었다.
[비교예 3]
플럭스 조성물의 2wt%로 이루어지는 무기물분말재 및 Al 금속분말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9wt%-TiO2, 2wt%-MgO, 16wt%-SiO2, 및 57wt%-Na3AlF6, 16wt%-Al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비교예 3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10.5%이었다.
[비교예 4]
용접와이어를 독일 바우티드사 제품인 Vautid-10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비교예 4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8-9.5%이었다.
[비교예 5]
용접와이어를 미합중국 스투디사 제품인 Stoodt-100HC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경화 육성용접을 행하고, 스패터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본 비교예 5에 의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8-9.5%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수득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럭스 조성물을 충전한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3.7 내지 5.5%로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의한 결과의 용접와이어 스패터 발생율 10.5 내지 12%와,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5의 종래 용접와이어의 스패터 발생율 8 내지 9.5%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충전한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셀프-쉴드 플럭스 코어드 용접와이어는 통상의 합금성분 예컨데, 철(Fe), 크롬(Cr), 몰리브덴(Mo), 실리콘(Si), 망간(Mn), 니켈(Ni), 텅스텐(W), 바나디움(V) 및 니오>(Nb) 등이 포함되는 금속분말재에, 용접성과 스패터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TiO2, MgO, ZrO2, CaCO3, Na2CO3, SiO2및 Na3AlF6로 이루어진 무기물 성분의 분말재와 여기에 Al 금속분말을 첨가하여 적절한 비율로 배합한 플럭스 조성물을 이룸으로써, 우수한 아아크 안정성을 확보하여 스패터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보다 건전한 용접 육성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패터 과다 발생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Fe 금속분말에 Cr, Mo, Si, Mn, Nb, W, V 원소군 중에서 용접 대상 모재의 합금성분에 따라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함유된 금속분말재와, 이 금속분말재에 첨가되는 무기물분말재로 이루어지는 용접플럭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재는 90 내지 99중량%가 함유되고,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알루미늄(Al) 금속분말, TiO2, MgO, SiO2및 Na3AlF6를 포함하여 1 내지 10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플럭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그 총중량을 기준으로 TiO2-1 내지 20중량%, MgO-1 내지 20중량%,, SiO2-1 내지 20중량%, Na3AlF6-30 내지 55중량%, 알루미늄(Al) 금속분말-10 내지 35중량%의 조성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플럭스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CaCO3와 Na2CO3및 ZrO2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더 포함되며, 상기 무기물분말재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플럭스 조성물.
  4. 중공형 와이어와, Fe 금속분말에 Cr, Mo, Si, Mn, Ni, Nb, W, V 원소군 중에서 용접 대상 모재의 합금성분에 따라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함유된 금속분말재와, 이 금속분말재에 첨가되는 무기물분말재로 이루어지는 용접플럭스 조성물이 상기 중공내에 충전된 용접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재는 90내지 99중량%가 함유되고, 상기 무기물분말재는 알루미늄(Al) 금속분말, TiO2, MgO, SiO2및 Na3AlF6를 포함하여 1 내지 10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KR1019930030035A 1993-12-27 1993-12-27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KR96000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035A KR960003729B1 (ko) 1993-12-27 1993-12-27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035A KR960003729B1 (ko) 1993-12-27 1993-12-27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060A KR950017060A (ko) 1995-07-20
KR960003729B1 true KR960003729B1 (ko) 1996-03-21

Family

ID=1937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035A KR960003729B1 (ko) 1993-12-27 1993-12-27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242B1 (ko) * 2001-09-21 2007-06-27 니뽄 스틸 웰딩 프로덕츠 앤드 엔지니어링 컴파니, 리미티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569252B1 (ko) * 2002-01-10 2006-04-10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060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8284B1 (en) Weld wire with enhanced slag removal
CN100571963C (zh) 用于双相不锈钢的药芯焊丝及其制造方法
US6835913B2 (en) Hardsurfacing welding wire and process
EP1676669A1 (en) Cored electrode for reducing diffusible hydrogen
EP1295672A1 (en) Flux-cored wire for gas shielded arc welding
EP3020504A1 (en) Flux-cored wire for build-up welding
JP2002301592A (ja) フューム中のマンガンを減少させる溶接電極及び方法
KR20120024360A (ko) 플럭스 코어드 용접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육성 용접의 아크 용접 방법
US3560702A (en) Composite electrode for consumable electrode arc welding process
GB2068813A (en) Welding electrode
JP2000233296A (ja) 金属芯溶接線材
US20020190033A1 (en) Tandem welding shielding gases
EP3461581A1 (en) Aluminum-containing welding electrode and its production method
JP2008149341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EP3444063A2 (en) Electrodes for forming austenitic and duplex steel weld metal
DE2126634A1 (de) Rohrförmige, selbstschützende Verbund-Lichtbogenschweißelektrode
US3415976A (en) Arc welding electrode
KR960003729B1 (ko) 용접플럭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
JPS5922633B2 (ja) 低水素系被覆ア−ク溶接棒
KR100262668B1 (ko) 고효율 크롬탄화물형 표면경화 육성용 용접와이어
JPH08257791A (ja) 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KR100189298B1 (ko)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와이어
JPS62248597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S6234697A (ja) 溶接用フラツクス入りワイヤ
JP2020015092A (ja) 2相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溶接方法および溶接金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