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682Y1 -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682Y1
KR960003682Y1 KR2019930000233U KR930000233U KR960003682Y1 KR 960003682 Y1 KR960003682 Y1 KR 960003682Y1 KR 2019930000233 U KR2019930000233 U KR 2019930000233U KR 930000233 U KR930000233 U KR 930000233U KR 960003682 Y1 KR960003682 Y1 KR 96000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ot water
temperature
circulation mo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594U (ko
Inventor
배종열
Original Assignee
배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열 filed Critical 배종열
Priority to KR2019930000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682Y1/ko
Publication of KR940019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 주기 위한 개략적인 배치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일러 11, 12, 13, 14 : 온도조절기
21∼24 : 릴레이 31∼34 : 솔레노이드 밸브
40 : 난방/온수전환부 41 : 수류감지수단
42 : 릴레이 50 : 순환모터속도조절부
51 : 순환모터 61∼64 : 난방수관
65 : 온수관
본 고안은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방을 필요로하는 방의 수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온도조절할 수 있게 된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는 난방을 필요로하는 방의 수에 관계없이 하나의 실내온도조절기를 사용하여 각 방의 실내온도를 조절토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온도조절기가 설치되어 있는 방에서 설정한 온도에 따라, 각 방의 실내온도가 조정되도록 보일러가 작동되므로, 실내온도 조절기가 설치되어 있는 않는 방에서 필요로 하는 실내온도와 무관하게 보일러는 작동되었다.
즉, 온도조절기가 설치되지 않은 방에서 실내온도를 높게 하고자 할 때는, 온도조절기가 설치된 방으로 가서 온도조절기를 직접 조작하여,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나머지 방 모두의 실내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열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불필요한 연료의 소모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한, 온수와 난방의 전환에 있어서도, 그 때마다 온도조절기를 통해, 온수설정을 일일이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난방을 필요로 하는 방의 수에 따라, 실내온도조절기를 각 방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온수와 난방의 전환은, 급탕 급수관에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수류감지센서를 부설하여, 온수흐름의 감지에 의해 온수 및 난방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온수보일러의 온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10)의 구조에 있어서, 난방을 필요로 하는 방의 수에 따라 각각 온도조절기(11∼14)를 배치시키되, 각각의 온도조절기(11∼14)는 릴레이(21∼24)와 연결되고, 릴레이(21∼24)의 작동으로 난방수관(61∼64)을 개방토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1∼34)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하는 한편, 온수관(65)의 일정위치에 수류감지수단(41)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급탕조작을 수류의 흐름으로 릴레이(42)를 동작시킴으로 온수동작으로 자동전환토록된 난방/온수전환부(40)를 구성하는 한편, 실내온도조절기(11∼14)의 사용수량 및 설정온도에 따라 순환모터(51)의 모터속도를 조절토록된 순환모터 속도조절부(50)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66은 온수밸브, SW1-SW4는 접점스위치, F는 훼라이트봉, M은 영구자석, RS는 리드스위치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일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난방을 필요로 하는 각 방에 온도조절기(11∼14)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보일러(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유류 또는 가스등의 연료를 공급하면, 보일러(10)내의 버너에 점화가 되면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실내온도조절기(11∼14)를 사용하여 원하는 난방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예로써 실내온도 조절기(11)만을 조작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였을 때 실내온도가 설정한 온도에 미달하였을 때는 실내온도조절기(11)의 접점스윗치가 ON상태로 되어 실내온도 조절기(11)의 접점을 통하여 릴레이(2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릴레이(21)의 접점스윗치가 ON상태로 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난방수관을 차단하고 있던 솔레노이드 밸브(31)의 개방으로 조작한 방의 난방수관(61)로 난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되고, 실내조절기(11)를 통해 온 전류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릴레이(25)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릴레이(25)가 작동하므로써 릴레이(25)의 접점스윗치가 ON상태로 되어 순환모타구동부(50)에 전류를 보내고 순환모타(51)를 구동하게 하여 솔레노이드 밸브(31)에 해당되는 방으로 난방수를 공급하게 되므로써 실내온도조절기(11)에 설정되어 있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실내온도가 실내온도조절기(11)의 설정온도가 되었을 때는 실내온도조절기(11)를 통하여 릴레이(21, 25)에 공급되던 전류가 OFF됨으로써 릴레이(21, 25)의 접점스윗치가 동시에 OFF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31)에 공급되던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실내 온도조절기(11)에 해당하는 난방수관을 솔레노이드 밸브(31)가 차단하므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여러방의 난방을 원할 때에는 예로써 실내온도조절기(11, 12)를 조작하여 온도 설정을 하였을 때는 상위에서 실내조절기(11)만을 사용할 때 같이 연계되어 있는 릴레이(21)과 솔레노이드 밸브(31)이 작동하며 실내조절기(12)에도 연계되어 있는 릴레이(22)와 솔레노이드 밸브(32)가 작동하며 순환모타구동용 릴레이(25)는 다이오드(D1, D2)로 동시에 전류가 흐르므로 순환모타구동용 릴레이(25)는 그대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순환모터구동부(50)로 작동하여 순환모터(51)를 구동하게 됨으로 각기 원활하게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만약 실내 온도조절기(11)가 먼저 적온이 되어 연계되어 있는 동작이 복귀되더라도 실내 온도조절기(12)가 ON상태로 남아있을 때까지 즉,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를 때까지는 실내온도조절기(12)를 통한 전류가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릴레이(23)에 계속 공급되므로 순환모터의 구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내온도조절기(12)에 해당되는 방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는 난방 수관에 난방수가 계속 공급되어진다.
2개의 방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루어지면, 실내온도조절기(11, 12)는 OFF가 되므로 다이오드(D1, D2)와 릴레이(21, 22)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순환모터 구동릴레이(25)와 솔레노이드 구동용 릴레이(21, 22)의 동작이 멈추게 되면서 난방이 완료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실내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를 사용코저하는 목적으로 온수밸브(66)를 개방하게 되면, 온수관(65)을 따라 온수가 배출되고, 온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수류감지수단(41)(온수관(65)적정위치에 부설하여, 온수의 흐름으로 내부의 훼라이트봉(F)이 부상하면, 훼라이트봉(F)의 원래 위치공간을 통해 반대편의 영구자석(M)의 자력이 리드스위치(RS)를 도통시키게 되는 구조)에서 온수의 흐름을 감지하면, 난방/온수 전환부(40)에서 난방회로를 차단하여, 온수사용에 따른 보일러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릴레이(42)와 연계된 구체회로도는 미도시)
이어서, 온수의 사용이 완료되면, 수류감지수단(41)이 오프되고, (즉, 부상되었던 훼라이트봉(F)이 하부로 원위치하므로, 영구자석(M)의 자력에 의해 강제도통되었던 리드스위치(RS)에 미치는 자력을 차단케 되므로, 리드스위치(RS)가 오프된다) 정지되었던 난방회로가 재가동하여 난방운전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환모터(50)의 모터속도 조절은 기존에는 난방을 필요로 하는 방의 수에 관계없이 최대 회전 또는 강, 약 회전으로의 전환을 수동으로 조작하였으나, 본 고안의 순환모터(51) 모터속도 조절은 각 방에 설치된 온도조절기(11∼14)의 설정온도에 미달된 방의 수에 따라 회전수가 자동변환 되도록 하였다.
즉, 두 군데의 방에서, 실내온도조절기(11,12)를 사용하게되면 릴레이(21, 22)의 작동으로 회로가 도통되어 저항 R1과 R2를 거치게 되므로, 모터속도 조절회로부(50)의 다이오드(D5∼D7)를 통해 순환모터(51)의 모터속도를 변환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온도조절기를 전부 사용한다면 저항 R1∼R4를 모두 거치게 되므로, 비례제어식으로 순환모터(51)는 최대속도를 작동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난방을 필요로 하는 방의 수에 따라 각각 온도조절기(11∼14)를 설치하고, 온수관(65) 일측에 수류감지수단(41)을 부설하여 급탕과, 난방의 전환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순환모터(51)의 모터속도를, 난방을 실시하는 방의 수에 따라 자동변속되게 하여 편의성을 배가시킨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난방수를 가열하여 순환모터(51)의 동작에 의해 각 방의 난방을 실시하는 보일러(10)에 있어서, 난방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방 각각에 설치된 온도조절기(11∼14); 상기 각각의 온도조절기(11∼14)에서 설정된 온도에 따라 작동되는 릴레이(21∼24); 상기 릴레이(21∼24)가 동작하면, 각 방의 난방수관(61∼64)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난방수관(61∼64)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31∼34); 온수관(65)의 일단에 부설된 수류감지수단(41); 상기 수류감지수단(41)에 의해 온수의 흐름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에 따라 온수 및 난방모드로 자동절환시키는 난방/온수 전환부(40); 및 상기 온도조절기(11∼14)에서 설정된 온도에 미달한 방의 수에 따라 상기 순환모터(51)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순환모터 회전속도조절부(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난방/온수 전환부(40)는 온수관(65)의 수류흐름에 작용하는 수류 감지수단(41)에 의해 스위치(RS)와 릴레이(42)가 작동되도록, 저항(R5), 콘덴서(C1), 가변저항(RS), 트랜지스터(TR)로 구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순환모터 회전속도 조절부(50)는 각각의 실내 온도조절기(11∼14)와 연결된 직렬접속의 저항(R1∼R4)을 거쳐나온 전압을 받아, 순환모터(51)를 변속 구동토록 하고, 다이오드(D1,D6,D7,D8), 콘덴서(C2,C3), 저항(R8,R9) 다이액(DA)과 트라이액(TA)의 접속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KR2019930000233U 1993-01-09 1993-01-09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KR960003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33U KR960003682Y1 (ko) 1993-01-09 1993-01-09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33U KR960003682Y1 (ko) 1993-01-09 1993-01-09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594U KR940019594U (ko) 1994-08-22
KR960003682Y1 true KR960003682Y1 (ko) 1996-05-04

Family

ID=1934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233U KR960003682Y1 (ko) 1993-01-09 1993-01-09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6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57Y1 (ko) * 2013-10-11 2015-05-04 천용학 온수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45A (ko) * 2001-06-05 2002-12-12 류중열 난방제어회로
KR20030018227A (ko) * 2001-08-27 2003-03-06 최진민 난방보일러의 난방제어장치
KR100438313B1 (ko) * 2001-10-31 2004-07-02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개별 난방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57Y1 (ko) * 2013-10-11 2015-05-04 천용학 온수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594U (ko) 199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2044A (en) Furnace control system
US4723593A (en) Room temperature control unit responsive to occupancy
KR960003682Y1 (ko) 온수보일러의 온도조절장치
US5951276A (en) Electrically enhanced hot surface igniter
DK159576B (da) Anlaeg til opvarmning eller koelning af bygninger med kombineret opvarmning af vand til husholdningsbrug
US5308957A (en) Heater control system
KR0149265B1 (ko) 수동 및 자동으로 팬속도조절이 가능한 지역 냉,난방 제어용 전자식 온도조절기
CA1136737A (en) Means controlling a flue damper
US3316960A (en) Control circuit for heat exchange unit with auxiliary electric heater
GB1526378A (en) Central heating and water heating system
KR200248953Y1 (ko) 개별난방(중앙식난방) 온도조절장치.
KR920007452Y1 (ko) 분리형 냉온수기
KR100704713B1 (ko) 유량 흐름 전환을 위한 순환펌프의 온/오프 제어방법
KR970045593A (ko) 온풍기능이 부가된 선풍기의 온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860000291Y1 (ko) 순간식 가스 보일러
JP2903000B2 (ja) 暖房装置の制御装置
KR920009089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여름'모오드 사용시 삼방변 방향제어방법
JPS58102025A (ja) 燃焼装置
KR19980014999U (ko) 온수배분기가 내장된 가스보일러
KR910000367Y1 (ko) 전기온수보일러
KR100283676B1 (ko) 가스보일러의 응답기능을 갖춘 삼방변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78124B1 (ko) 보일러의 능력절환 방법 및 장치
KR980003310A (ko) 기름 및 연탄겸용 보일러
KR100223305B1 (ko) 가스보일러의 양방향펌프제어방법
JPS5827294Y2 (ja) 差温サ−モスタ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