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606B1 - 가금류의 대장균증 백신 - Google Patents

가금류의 대장균증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606B1
KR960003606B1 KR1019870008864A KR870008864A KR960003606B1 KR 960003606 B1 KR960003606 B1 KR 960003606B1 KR 1019870008864 A KR1019870008864 A KR 1019870008864A KR 870008864 A KR870008864 A KR 870008864A KR 960003606 B1 KR960003606 B1 KR 96000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poultry
coli
inactivated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998A (ko
Inventor
다까오 고니시
기이찌 스기모리
가즈요시 가또
노부다께 기무라
겐지 시바따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훈 가부시끼가이샤
쇼다 오사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훈 가부시끼가이샤, 쇼다 오사므 filed Critical 닛신 세이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5Enterobacteriales, e.g. Enterobacter
    • A61K39/0258Escheric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 A61K2039/521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inactivated (k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26Bacterial vaccine for avian species, e.g. poultry or other bi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48Escherichia
    • Y10S435/849Escherichia col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가금류의 대장균증 백신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가금류의 대장균증 감염 예방용으로서 유용한 백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미리 불활성화시킨 에스케리키아 콜리를 초음파 파쇄한 세포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을 가금류의 총 배출강을 통해 접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대장균증 감염 예방방법과도 관련된 것이다.
“가금류의 대장균증”이란 병원성 이. 콜리 균주[콜리바실루스(colibacillus)]에 의해 유발되는 대장균증 패혈증, 관절염, 출혈성 대장염과 같은 각종 가금류의 질병을 일컫는다. 특히, 브로일러(broiler) 종의 닭에 있어서 패혈증의 집단 발생은 양계업자들에게 심각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들 양계업자들에게 있어서 가금류의 대장균증을 효율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오랜동안 주된 문제점이 되어 왔다.
종래, 상술한 치료 및 예방목적으로 화학요법제 및 항생물질이 사용되어 왔으나, 내성균의 출현으로 인해 이들 약제는 그 가치를 잃어가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 약제 대신 가금류의 대장균증 감염 예방용으로서 유용한 일부 백신들이 개발되어 왔다. 따라서 불활성화시킨 이. 콜리의 온전한 세포들을 함유하는 대장균증 백신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불활성화시킨 백신은 특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가금류의 대장균증 감염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효능이 부족하다.
다른 한편으로, 백신을 가금류의 총배출강을 통해 접종함으로써 불활성화 백신의 독성 및 내성균의 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이미 제안된 바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131920/1983호).
최근에 불활성화시킨 이. 콜리 세포를 초음파 파쇄할 경우 상기 불활성화시킨 세포의 예방 활성이 크게 증대되며, 및 그와 같이 미리-불활성화시킨 후 초음파 처리한 이. 콜리 세포들이 가금류의 대장균증 치료 및 예방용 백신으로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특성들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한 백신을 전술한 바와 같이 총 배출강을 통해 투여할 경우보다 낮은 독성을 나타낸다는 것도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는 미리-불활성화시키고 이어서 초음파 처리한 이.콜리 세포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대장균증 감염 예방용으로 유용한 백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백신을 가금류의 총 배출강내로 접종시킴으로써 대장균증 감염으로부터 가금류를 보호하기 위한 예방방법도 제공한다.
본 명세서내에 기술하는 표현 “미리-불활성화시킨 이. 콜리 세포” 란 통상적인 방법으로 불활성화시킨 이. 콜리 세포들을 의미한다.
“미리-불활성화시킨 후 초음파 처리한 이. 콜리 세포”는 불활성화 공정 및 이어서 초음파 파쇄공정을 실시한 이. 콜리 세포를 말한다.
“가금류”는 닭, 오리, 새떼, 비둘기, 칠면조 등과 같이 집에서 기르는 가금류를 말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체예]
[미리-불활성화시킨 이. 콜리 세포의 제조]
병원성 이. 콜리 세포를 대장균증에 감염된 가금의 기관(예, 기낭) 또는 하수로부터 분리한 후, 종래 방법들을 이용하여 배양 배지내에서 배양한다. 생성된 세포 배양물을 포르말린(40%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페놀, 아세톤, 알코올 등과 같은 불활성화제로 처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공지된 불활성화 방법, 예를들면 동결건조 및 열처리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미리-불활성화시킨 후 초음파 처리한 이. 콜리 세포의 제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수득된 불활성화 세포 배양물에 대하여 적당한 조건들하에 시판되고 있는 임의의 기구[예. 셀 디스러퍼(Cell Disruper) 200, 브란손(BRANSON)]를 사용하여 초음파 파쇄처리를 실시한다. 파쇄처리하기에 알맞은 조건들은 사용하는 기구 및 기타 다른 요인들에 따라 다르다. 셀 디스러퍼 200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초음파 파쇄처리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 ; 즉, 얼음상에서 냉각시키면서 최고 출력하에 50% 진동수로 5분간 3회 처리함으로써 수행가능하다. 그밖에 이. 콜리 세포들을 만족스럽게 손상 및 파괴시킬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다른 초음파 처리기구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는 먼저 불활성화시킨 세포 배양물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들을 수거한 후, PBS내에 현탁시켜 균용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생성된 균용액을 상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파쇄처리한다.
[백신 제조]
불활성화시킨 균세포들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의 제조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주지되어 있다. 미리-불활성화시키고 이어서 초음파 처리한 이. 콜리 세포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은 공지의 백신제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백신은 보조제, 예를들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겔과 같은 알루미늄 화합물, 또는 프로인트 완전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미생물들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방부제로서는 마르조닌, 티로신, 벤조산, 포름알데히드용액, 살리실산, 크리스탈 바이올렛, 벤제토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계면활성제, 폴리믹신, 그라미시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 백신은 종래와 같이, 예를들면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나, 그와 같은 투여 경로는 때때로 공지의 백신에서와 같이 가금류의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총 배출강을 통해 백신을 접종함으로써 그와 같이 불리한 효과를 감소 또는 저하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 백신 0.002~0.2ml(약 2×105-2×1010CFU/ml)를 닭, 오리 또는 칠면조와 같은 각각의 가금류의 총 배출강에 접종한다. 상기 투여량은 대장균증으로부터 가금류를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질환의 집단 감염을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이하에는 실시예들을 기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 및 예시하고자 한다.
[실시예 1]
1) 백신(1)
대장균증에 감염된 닭의 기낭으로부터 분리한 병원성 이. 콜리 균주(O2)를 배양 배지내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상기 세포 배양물에 포르말린을 최종 농도 0.2%로 가한다. 수득된 불활성화 세포 배양물은 단위 ml당 1.5×109(CFU/ml) 이상의 세포를 함유한다. 세포 배양물의 일부를 셀 디스러퍼 200(BRANSON)을 이용하여 얼음 위에서 냉각시키면서 최고 출력하에 50% 진동수로 초음파 처리(3분간 3회 실시)한다. 결과로서 본 발명 백신(1)이 수득된다.
2) 백신(2)
원심분리(4℃에서 14,000×G로 20분간 실시)하여 불활성화시킨 세포들을 수거한 후, PBS내에 현탁시켜 2×1010CFU/ml 밀도로 불활성화시킨 이. 콜리 세포를 함유하는 균용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균용액을 상술한 셀 디스러퍼로 처리함으로써 본 발명 백신(2)가 수득된다.
PBS 용액의 제법은 다음과 같다 : NaH2PO412H2O 11.9g, NaH2PO42H2O 3.6g 및 NaCl 9.6g을 충분히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가 1리터가 되도록 한 다음, 생성된 용액을 사용전에 멸균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백신을 가금류에 접종하고, 이하에 기술하는 바대로 그의 면역 활성을 측정한다.
[실험]
병원성 이. 콜리 용액 및 실시예 1, 1) 및 1, 2)에서 제조한 그의 불활성화 용액을 양성 대조용 백신(1) 및 양성 대조용 백신(2)로 각각 사용한다. 부화된지 30시간 이내되는 병아리[샹키(Chankey), 브로일러종]11마리를 시험용으로 사용한다.
각각의 병아리에게 백신(1), 백신(2), 양성 대조용 백신(1) 또는 양성 대조용 백신(2) 0.03ml를 정맥내 적주법을 이용하여 총배출강을 통해 접종한다(참고.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131920/1983호). 병아리가 21일째 되는 날에 백신 제조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균주인 병원성 이. 콜리 세포 6×107CFU를 각각의 병아리에게 정맥내 주사한다. 또다른 군의 병아리 12마리에게는 병원성 이. 콜리 세포만을 접종하여 음성 대조용으로서 이용한다. 백신의 예방활성은 감염후 7일째 되는 날의 생존 병아리수를 근거로 하여 평가하고, 생존율은 χ2시험을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한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1]
백신 (1) 및 백신 (2)의 면역 효능
Figure kpo00001
* P<0.05(통계학적 자료)
** P<0.01(통계학적 자료)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 백신이 종래의 백신들과 비교하여 탁월한 예방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미리-불활성화시킨 후 초음파 처리한 이. 콜리 세포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대장균증 감염 예방용 백신.
  2. 미리-불활성화시킨 후 초음파 처리한 이. 콜리 세포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의 대장균증 백신을 총배출강을 통해 가금류에 접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대장균증 감염 예방법.
KR1019870008864A 1986-08-13 1987-08-12 가금류의 대장균증 백신 KR960003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119/1986 1986-08-13
JP61191119A JPH085802B2 (ja) 1986-08-13 1986-08-13 家禽大腸菌症ワクチ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998A KR880002998A (ko) 1988-05-13
KR960003606B1 true KR960003606B1 (ko) 1996-03-20

Family

ID=1626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864A KR960003606B1 (ko) 1986-08-13 1987-08-12 가금류의 대장균증 백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37018A (ko)
EP (1) EP0256792B1 (ko)
JP (1) JPH085802B2 (ko)
KR (1) KR960003606B1 (ko)
AT (1) ATE101044T1 (ko)
AU (1) AU597709B2 (ko)
CA (1) CA1306193C (ko)
DE (1) DE378898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114893A (en) * 1992-04-27 1993-11-29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for producing a bacterial vaccine and novel vaccines produced thereby
US7357935B2 (en) * 2003-05-14 2008-04-15 Wyeth Avian E. coli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colibacillosis
US7943352B2 (en) * 2006-03-29 2011-05-17 Bacoustic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vaccine development using ultrasound technology
JP4935761B2 (ja) * 2008-06-02 2012-05-23 株式会社微生物化学研究所 家禽大腸菌症ワクチン
KR101321501B1 (ko) * 2011-09-21 2013-10-29 주식회사 바이오포아 조류 대장균증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5568A (en) * 1965-02-02 1969-05-20 Gen Electric Electrohydraulic process for producing antigens
US3558066A (en) * 1969-01-21 1971-01-26 Howard Alliger Ultrasonic extraction of viable antigens from gram positive bacteria
US4298597A (en) * 1979-09-04 1981-11-03 University Of Saskatchewan Vaccine for diarrhea caused by E. coli
JPS58131920A (ja) * 1982-01-29 1983-08-06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鶏の大腸菌症の予防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48224A (ja) 1988-02-29
EP0256792B1 (en) 1994-02-02
EP0256792A3 (en) 1988-05-25
AU597709B2 (en) 1990-06-07
EP0256792A2 (en) 1988-02-24
AU7680687A (en) 1988-02-18
JPH085802B2 (ja) 1996-01-24
US4837018A (en) 1989-06-06
CA1306193C (en) 1992-08-11
KR880002998A (ko) 1988-05-13
DE3788986D1 (de) 1994-03-17
ATE101044T1 (de) 199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ddleston et al. Fowl cholera: cross-immunity induced in turkeys with formalin-killed in-vivo-propagated Pasteurella multocida
Anjum Experimental transmission of hydropericardium syndrome and protection against it in commercial broiler chickens
KR20090041411A (ko) 어류의 에드워드시엘라증 및 연쇄구균증용 백신
JP2571158B2 (ja) 卵中へのバクテリアの導入
US4009259A (en) Immersion method for treating aquatic animals
KR960003606B1 (ko) 가금류의 대장균증 백신
Shope An antiviral substance from Penicillium funiculosum: II. Effect of helenine upon infection in mice with Semliki Forest virus
US2912361A (en) Canine distemper vaccine and its preparation
EP0592454B1 (en) Production of vaccines
Kogut et al. Evalua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immune lymphokines on host resistance to Salmonella enterica ser. gallinarum infection in broiler chicks
US432240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ew mutants of herpes simplex virus type 1 and type 2
Biglake Preliminary communication on the cultivation of Besnoitia besnoiti (Morotel, 1912) in tissue culture and embryonated eggs
KR100825870B1 (ko) 어류용의 이리도바이러스 감염증, 연쇄구균 감염증, 및이들의 합병증에 대한 혼합 불활성화 백신
Whitcomb et al. An Erwinia-like bacterium pathogenic to leafhoppers
HU210344A9 (en) Cell free mareks disease virus vaccine
US3197373A (en) Immunological agent
PT1387693E (pt) Vacina de micoplasma inactivado por saponina
Poulter Mechanisms of immunity to leishmaniasis. II. Significance of the intramacrophage localization of the parasite.
US3836648A (en) Treatment of canine distemper with a microbial product derived from the bacterium achromobacter stenohalis
CN115837074B (zh) 一种鲑鳟鱼传染性造血器官坏死病和传染性胰脏坏死病二联佐剂疫苗及其制备方法
Hložánek et al. Disinfection of Marek's disease virus in poultry dust
Takagi et al. The growth and cilia-stopping effect of Mycoplasma gallisepticum 1RF in chicken tracheal organ cultures
Smith et al. Streptomycin in experimental guinea pig tuberculosis
Stavitsky Studies on the mechanism of host resistance in experimental leptospirosis icterohemorrhagica
Hamdy et al. Effect of novobiocin on fowl cholera in turke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