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59Y1 -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59Y1
KR960003559Y1 KR2019960003791U KR19960003791U KR960003559Y1 KR 960003559 Y1 KR960003559 Y1 KR 960003559Y1 KR 2019960003791 U KR2019960003791 U KR 2019960003791U KR 19960003791 U KR19960003791 U KR 19960003791U KR 960003559 Y1 KR960003559 Y1 KR 960003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polyester fiber
melting point
paper
car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차우
Original Assignee
이차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30010619A external-priority patent/KR950001011A/ko
Application filed by 이차우 filed Critical 이차우
Priority to KR2019960003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제1도는 본 고안 파일카페트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A-A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파일카페트 1 : 표면지
2 : 이면지 3 : 열접착성 폴리에칠렌필름
10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 11 :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
본 고안은 각종자동차의 내장재 즉 실내에 깔리는 파일카페트에 관한 고안이다.
자동차의 내장용으로 이용되는 카페트는 방음, 차음, 보온, 완충 및 자동차의 실내장식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카페트의 구성은 주로 화학섬유로 만들어지는 루트파일직물이나 컷파일직물의 표면지와 부직포 등의 이면지로 구성되거나 또는 표면지와 이면지를 부착하는 접착층을 갖게되는 3중구조의 카페트등이 알려지고 있으며 표면지 이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도포한 2중구성을 갖는 것이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표면지와 이면지사이에 접착층을 갖는 구성이나 표면지 이면에 수지층을 도포하는 구성은 카페트의 강도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 내장용 카페트의 일반 카페트와는 다르게 강도를 부여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실내나 트렁크 내부 구조가 철판패널의 구성상 굴곡을 이루게 돼있어서 이 굴곡을 따라 카페트가 밀착되기 위해서는 몰드를 이용한 가열가압과 냉각성형방법으로 하여 카페트의 형상을 자동차실내나 트렁크의 내면구조와 같도록 성형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성형된 카페트는 자동차실내구조에 맞도록 철판패널을 커버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자동차내장용 카페트를 보면 주로 루프파일직물이나 컷파일직물로 된 표면지의 이면에 별도의 하드보드판체를 부착하여 카페트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 알려지고 있으며 보다 진보적인 것으로는 표면지의 이면에 열용융성수지를 도포, 고형화시켜 강도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하드보드 판체를 부착하는 작업과정이 까다롭고 실내형태와 일치하는 모양을 구성할 수가 없게 되고 시공후에도 철판패널에 밀착되지 않는 등의 폐단이 있게 되며 라운드 부위에 특히 주름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열용융성 수지의 도포두께가 일정치가 않아서 균일한 강도를 유지할 수가 없으며 표면지의 이면에 도포된 수지층으로 인하여 유연성이나 완충효과 및 패널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방음, 차음, 보온 등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3중구조의 타일카페트 제조장치가 일본공개 특허공보 소59-130382호(1984년 7월 26일 공개)로 알려지고 있으나 상기 타일카페트 제조장치에서 얻어진 카페트는 표면지인 제1기포의 이면과 파일의 루프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열용융성수지접착제를 함침시키고 다시 그 위에 수지계용융성 백킹재를 닥터 나이프를 통하여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그 위에 다시 제2기포를 접착시는 3중구조의 타일카페트가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타일카페트는 제2기포인 이면지가 제1기포와 융점이 같은 동일재질일뿐만 아니라 단일재질로 되어 있어서 효과적인 강성유지가 힘들고 유연성과 완충효과가 떨어지며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본 출원인이 수차에 걸쳐 시험해본 결과 제2기포의 재질이 단일재질일 경우에 시이트 상태의 카페트를 자동차의 실내 형상으로 고형화시킬 때 몰드의 가열온도가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부직포의 용융온도인 180~230℃정도로 가열했을때 고온에서의 가열로 인한 수축율이 높게 되어 주름이 생기는 문제가 있게되며 아울러 제2기포가 경화상태로 변했을때 유연성의 결여와 쿳션감이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게되고 제2기포의 용융온도의 영향을 받게되는 제1기포의 파일이 크게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면지의 재질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를 혼합한 부직포를 이면지로 사용하므로서 적당한 강도와 유연성 및 쿳션감을 구비하게 되고 수축이나 변형이 적고 표면지의 손상이 없게되며 형태유지 및 안정성이 뛰어나고 차체패널과의 밀착도가 높게되는 카페트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 파일카페트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일직물인 표면지(1)의 부직포이면지(2) 사이에 열접착성 폴리에칠렌필름(3)을 개재시켜 가열접착한 공지의 파일카페트(a)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이면지(2)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0)과 고융점 폴리에스섬유(11)를 혼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부직포 이면지(2)의 재질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0)과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1)로 혼합구성돼 있어서 시이트 상태의 카페트(a)를 자동차실내의 모양으로된 몰드로 가열가압 냉각과정을 거쳐 성형하였을 때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0)는 그 융점온도가 100~150℃정도이고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1)는 그 융점온도가 180~230℃ 정도여서 가열가압성형시에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용융온도보다 높고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용융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됐을때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0)가 용융되면서 폴리에칠렌필름(3)과의 융착이 이루워지게 되며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1)는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와 결합되고 용융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는 경화층을 이루게 됨으로 가열냉각시에 수축이 적고 주름이 생기지 않으며, 표면지(1)의 손상이 없어 적당한 강성과 유연성 및 쿳션을 갖게 됨으로 카페트 착설부위의 형상이 그대로 재현성형되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패널과의 밀착도가 높게 되고 외관이 미려한 카페트를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0)과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1)로 이루워진 이면지(2)를 사용하게 됨으로 이상적인 자동차실내장식용파일 카페트를 얻을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표면지(1)와 이면지(2) 사이에 열접착성 폴리에칠렌필름(3)을 게재시켜 가열접착하는 공지의 카페트에 있어서, 상기 이면지(2)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섬유(10)와 고융점 폴레에스테르섬유(11)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내장용파일카페트.
KR2019960003791U 1993-06-11 1996-03-02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KR960003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791U KR960003559Y1 (ko) 1993-06-11 1996-03-02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619A KR950001011A (ko) 1993-06-11 1993-06-11 자동차 내장용 카페트 및 그 제조장치
KR2019960003791U KR960003559Y1 (ko) 1993-06-11 1996-03-02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619A Division KR950001011A (ko) 1993-06-11 1993-06-11 자동차 내장용 카페트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59Y1 true KR960003559Y1 (ko) 1996-04-25

Family

ID=2662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791U KR960003559Y1 (ko) 1993-06-11 1996-03-02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5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93B1 (ko) * 2007-02-12 2010-10-13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터프티드 제품의 제조 방법, 터프티드 제품 및 그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93B1 (ko) * 2007-02-12 2010-10-13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터프티드 제품의 제조 방법, 터프티드 제품 및 그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6701A (en) Transferable flocked fiber design material
US4721643A (en) Laminated structure for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H079543A (ja) カーペット層へのガス補助射出成型
EP0266224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laminated elements
US4835030A (en) In situ pattern molding and adhesion of PVC heel pad blanks to automotive carpeting without dielectric means
CA1165219A (en) Method of placing a decorative layer on a carrier panel
US4230755A (en) Moldable unitary composite carpet structure
FR2608964A1 (fr) Panneaux composites moules
US444595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upholstery panels
US4581272A (en) Automotive vehicle door kick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DE29518036U1 (de) Formteil
KR100285726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매트의 제조방법
CA2308992C (en)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960003559Y1 (ko) 자동차 내장용 파일카페트
US5093967A (en) Attachment mechanism for nonwoven thermoformed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A2030418A1 (en) Method of making an article from a thermoplastic sandwich material
US11945147B2 (en)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member, and press mold used for manufacturing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member
US6670028B2 (en)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CA2071521C (en) Attachment mechanism for nonwoven thermoformed articles
JPH0546522Y2 (ko)
KR100230137B1 (ko) 자동차용 성형 내장재의 제조방법
EP0688641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sheet-like bodies for seat parts for vehicles and the like
JPH0796792A (ja) 成形敷設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95126A (ja) 積層物の製造方法
JPH02139481A (ja) 車両の内装用表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