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15Y1 -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 Google Patents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15Y1
KR960003415Y1 KR2019930023528U KR930023528U KR960003415Y1 KR 960003415 Y1 KR960003415 Y1 KR 960003415Y1 KR 2019930023528 U KR2019930023528 U KR 2019930023528U KR 930023528 U KR930023528 U KR 930023528U KR 960003415 Y1 KR960003415 Y1 KR 960003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ckoo
melody
time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168U (ko
Inventor
장현권
Original Assignee
카이저산업 주식회사
장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저산업 주식회사, 장현권 filed Critical 카이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3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15Y1/ko
Publication of KR950015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6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moving figures, e.g. cuckoo clocks, trumpet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08Sounding bodies; Whistles; Musical apparatu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04Indicating the time of the day
    • G04C21/12Indicating the time of the day by electro-acous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뻐꾸기 시보 카운터부 2 : 뻐꾸기 음향부
3 : 뻐꾸기 음향 발진부 4 : 뻐꾸기 시보 날개 구동부
5 : 뻐꾸기 시보 문 구동부 6 : 멜로디 음향부
7 : 제1멜로디 날개 구동부 8 : 제2멜로디 날개 구동부
9 : 제1멜로디 문 구동부 10 : 제2멜로디 문 구동부
SOL1: 뻐꾸기 시보 날개 구동 솔레노이드
SOL2: 제1멜로디 새 날개 구동 솔레노이드
SOL3: 제2멜로디 새 날개 구동 솔레노이드
M : 뻐꾸기 시보 도어 구동모터 M1 : 제1멜로디 도어 구동모터
M2 : 제2멜로디 도어 구동 모터 SP : 스피커
본 고안은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을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이 정시 뻐꾹 시보때 세마리의 새가 동시에 문을 열고 나와서 뻐꾹 발성음에 맞추어 날개짓을 하며, 시보를 알린후 그중 한마리새는 문을 닫고 들어가고, 두마리 새는 뻐꾹 시보 다음에 나오는 멜로디움에 맞추어 번갈아 가면서 날개짓을 하면서 춤을 추다가 멜로디움이 끝나면 춤을 추던 나머지 두마리 새가 춤을 멈추고 동시에 문을 닫고 들어가면서 동시 시보가 끝나도록 함으로써, 청각적 단순효과를 탈피하여 시각적 효과를 만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뻐꾸기 발성음을 소재로한 시계는 다수종이 제안된 바 있으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제 33656호를 포함하여 대부분이 매시간의 정시에 그 시간에 대응되는 뻐꾹 발성음만을 송출하도록 되어 있어 청각적 효과만을 제공할 뿐 보다 생동감 있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청각적인 단순효과를 탈피하여 새가 멜로디음에 맞추어 교번적으로 날개를 작동시켜 마치 새가 춤을 추는 형상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토록하여 보다 뻐꾸기를 소재로한 시계의 성능의 다양화 및 제품 구매욕을 고취시키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을 위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매시간마다 해당시간에 맞는 숫자로 계수 동작되는 뻐꾸기 시보 카운터부(1)와, 상기 뻐꾸기 시보 카운터부(1)의 계수값에 따라 소정의 뻐꾸기 음을 송출하는 뻐꾸기 음향부(2)와, 상기 음향부(2)에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뻐꾸기 음향 발진부(3)와, 뻐꾸기 시보 시점에서 날개를 소정시간 작동시키는 뻐꾸기 시보 날개 구동부(4)와, 뻐꾸기 시보시점에 문을 개방/폐쇄 구동시키는 뻐꾸기 시보 문 구동부(5)와, 멜로디음을 소정시간 송출하는 멜로디 음향부(6)와, 멜로디음 송출시 날개를 작동시키는 제1, 제2멜로디 날개 구동부(7), (8)와, 멜로디음 송출시문을 개방/패쇄 구동시키는 제1, 제2멜로디 문 구동부(9), (1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보 트리거 스위치(SW2)가 접촉되면 뻐꾸기 시보 카운터부(1)내의 트랜지스터(TR1)에 전류가 통전되어 집적회로(IC1)의 리플카운터는 리세트되고, 뻐꾸기 음향발진부(3)의 발진에 의한 카운터 IC(IC2)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R8)가 온, 오프되며, 이 신호에 의해 리플 카운터 IC(IC2)의 출력이 시간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출력되는데, 그 원리는 IC1의 출력(Q0'~Q3')이 시간에 대응되는 신호(+)가 트랜지스터(TR3~TR6)의 베이스단에 가해지고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IC1출력(Q0~Q3)은 리세트되어 초기치로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8)의 온, 오프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 신호가 집적회로(IC1)의 클럭 신호(CK)로 입력되기 시작하여 IC1의 출력(Q0~Q3)이 IC1의 출력(QO0'~2')과 같아질때까지 진행된다.
동시에 뻐꾸기 음향부(2)는 뻐꾸기 음향발진부(3)의 발진회로 낸드게이트(G1) 입력이 인에이블 상태가 되어 뻐-꾹 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발진이 되며, 이 발진신호는 트랜지스터(TR15~TR18)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정형되고, 이와 같이 정형된 신호는 다시 트랜지스터(TR19)를 거쳐 증폭되어 뻐꾹 소리가 스피커(SP)를 통해 나오게 된다. 이때 뻐-꾹음중 "뻐" 음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발생될때의 신호를 트랜지스터(TR11)로 조합하여 트랜지스터(TR13)를 거쳐 증폭해 솔레노이드(SOL1)의 코일을 구동시켜 새날개를 들어주게 한다.
한편, 시보 트리거 스위치(SW2)가 트리거 되었을때 IC1의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R3~TR6)가 온되고 이 신호는 다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에 가해져 트랜지스터(TR2)가 온되어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에 가해져 트랜지스터(TR7)는 CDS 스위치(SW3)에 의해 온이되어 신호는 낸드게이트(G6)에 가해지고 낸드케이트(G6)를 통한 신호는 콘덴서(C6)가 충전되는 동안 만큼 트랜지스터(TR21~TR23)가 온되어 뻐꾸기 시보 도어 구동 모터(M)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도시 생략된 문을 열고 첫번째 새가 나오게 한다.
이와 동시에 콘덴서(C6)를 통한 신호는 낸드게이트(G9~G10)를 각각 통하여 트랜지스터(TR32)을 온시켜 제1멜로디 도어구동모터(M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문을 열고 두번째 새가 나오게하며, 이때 또한 트랜지스터(TR35)가 온되어 제2멜로디 도어구동모터(M2)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문을 열고 세번째 새가 나오게하여 결과적으로 시보 트리거 스위치가 트리거 되었을때 동시에 세마리 새가 문을 열고 나오게 된다.
이렇게 세마리 새가 문을 열고 나오면서 뻐-꾹 소리가 스피커(SP)를 통해 나올때 솔레노이드(SOL)의 코일을 구동시켜 새날개를 들어주게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SOL2)와 (SOL3)의 코일도 솔레노이드(SOL1)의 구동신호인 트랜지스터(TR26)와 트랜지스터(TR27)를 각각 온 시켜 멜로디 새날개 구동 솔레노이드(SOL2)와 멜로디 새날개 구동솔레노이드(SOL3)의 코일을 구동시켜 새 날개를 즐어주게 한다.
상기한 IC1의 카운터에 의해 시간에 대응되는 횟수의 뻐꾹음과 함께 새 날개짓을 마쳤을때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되어 저항(R9)을 통한(-)신호가 트랜지스터(TR7)를 통하여 낸드게이트(G6)로 공급되어 신호는 다시(+)신호로 반전되고 이 신호는 콘덴서(C2)와 저항(R12)에 의한 시정수 기간동안 콘덴서(C2)가 충전되는 시간만큼 낸드게이트(G7)의 출력신호(-)가 나와 트랜지스터(TR22)가 온되며,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TR24)가 온되어 뻐꾸기 시보새는 문을 닫고 들어오게 된다.
상기한 과정과 함께 낸트게이트(G7)신호는 트랜지스터(TR25)로도 공급되어 멜로디IC(IC3)의 트리거단(TR)에 신호(-)가 공급되어 멜로디IC(IC3)는 멜로디음향을 시작한다.
이때 멜로디음향은 다이오드(D9)를 통하여 뻐꾸기 시보음향의 증폭 트랜지스터(TR19)로 증폭되어 스피커(SP)로 멜로디가 나오게 된다.
멜로디의 음향에 따라 콘덴서(C11)와 콘데서(C13)가 번갈아가면서 충전, 방전을 하게 되는데 이 충전, 방전 신호를 각각 다이오드(D9)와 다이오드(D10)를 통해 트랜지스터(TR26)와 트랜지스터(TR27)을 번갈아가면서 온, 오프시켜 멜로디 새 날개 솔레노이드(SOL2), (SOL3)를 번갈아 구동시켜 장치된 멜로디 구동새 두마리는 날개짓을 하며 춤을 추게된다.
멜로디 1곡이 끝나면 멜로디 IC(I3)의 인에이블단자(ENV1)과 (ENV2)는 모두(+) 신호로 되어 콘덴서(C11)와 콘덴서(C13)는 충전과 방전이 중단되며, 트랜지스터(TR26)와 트랜지스터(TR27)는 오프되어 멜로디 새날개 구동 솔레노이드(SOL2)와 멜로디 새날개 구동 솔레노이드(SOL3)는 구동이 멈춰 두마리 새의 날개짓은 끝난다.
이와 같이 멜로디 1곡이 끝났을때 IC3의 단자(ACT) 신호는(+)에서 (-)로 반전되고 다시(-) 신호는 낸드게이트(G11)에 의해 (+)신호로 반전되어 콘덴서(C14)와 저항(R44)에 의한 시정수동안 콘덴서(C14)가 충전되는 시간만큼 낸드케이트(G12)의 출력신호(-)가 나와 트랜지스터(TR31)가 도통되고 트랜지스터(TR34)를 온시켜 제1멜로디 도어구동모터(M1)와 제2멜로디 도어구동모터(M2)가 역회전되어 멜로디 작은새 두마리는 동시에 문을 닫고 들어와 모든 작동이 끝나고 다음시간의 시보 트리거와 스위치의 트리거 신호에 대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시 뻐-꾹 시보때 새 세마리가 동시에 문을 열고 나와 함께 날개짓을 하며 시보를 알린후 그중 한마리 새는 문을 닫고 들어가고, 남은 두마리 새가 뻐꾹시보 다음에 나오는 멜로디 소리에 맞추어 번갈아 가면서 날개짓을 하며 춤을 추다가 멜로디가 끝나면 문을 닫고 들어가는 일련의 동작으로 종래에 뻐꾸기를 소재로한 시계의 단순한 뻐꾸기 시보에 의한 청각적 효과를 탈피하여 실내에서도 마치 숲속의 뻐꾸기들을 보는 듯한 정치를 느끼게 하는 시각적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것이다.

Claims (1)

  1. 시보를 알릴때 뻐꾸기가 문을 열고 나와 날개짓을 하며 춤을 추는 동시에 뻐꾸기 멜로디음을 송출 한후 문을 닫고 들어가는 뻐꾸기 시보장치에 있어서, 매시간 마다 해당시간에 맞는 숫자로 계수 동작되는 뻐꾸기 시보 카운터부(1)와, 상기 뻐꾸기 시보 카운터부(1)의 계수값에 따라 소정의 뻐꾸기 음을 송출하는 뻐꾸기 음향부(2)와, 상기 뻐꾸기 음향부(2)에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뻐꾸기 음향발진부(3)와, 뻐꾸기 시보 시점에서 세마리새의 날개를 동시에 소정시간 작동시키는 뻐꾸기 시보 날개 구동부(4)와, 뻐꾸기 시보 시점에서 문을 개방/폐쇄 구동시키는 뻐꾸기 시보 문 구동부(5)와, 멜로디음을 소정시간 송출하는 멜로디 음향부(6)와, 멜로디음 송출시 두마리새의 날개를 작동시키는 제1, 제2멜로디 날개 구동부(7), (8)와, 멜로디음 송출시 문을 개방/폐쇄 구동시키는 제1, 제2멜로디문 구동부(9),(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KR2019930023528U 1993-11-11 1993-11-11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KR960003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528U KR960003415Y1 (ko) 1993-11-11 1993-11-11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528U KR960003415Y1 (ko) 1993-11-11 1993-11-11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68U KR950015168U (ko) 1995-06-17
KR960003415Y1 true KR960003415Y1 (ko) 1996-04-23

Family

ID=1936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528U KR960003415Y1 (ko) 1993-11-11 1993-11-11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68U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1114A (en) Impact-activated toy
US4573804A (en) Scent-awake electronic clock
US20030129922A1 (en) Electronic amusement device with long duration timer
KR960003415Y1 (ko) 뻐꾸기 발성음 시보 및 춤추는 작동회로
GB2138975A (en) Analog electronic timepiece
JPS6154191B2 (ko)
KR200219506Y1 (ko) 뻐꾸기 시보회로
JPS6216391B2 (ko)
JPH0527031Y2 (ko)
JP2944027B2 (ja) 装飾体時計
JPS6210707Y2 (ko)
JPH0123757B2 (ko)
JPH0547433Y2 (ko)
JPS6210715Y2 (ko)
JPH0442795Y2 (ko)
JPH0313750Y2 (ko)
JPS6363079B2 (ko)
JP2502131Y2 (ja) からくり目覚ましの制御回路
JPH056554Y2 (ko)
GB2271871A (en) A timer
JPH0317277Y2 (ko)
JPH0675063A (ja) 目覚し時計
JPS57139683A (en) Electronic clock
JPH0516549Y2 (ko)
JPH0353188A (ja) 飾り付き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