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333B1 - 웨브의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웨브의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333B1
KR960003333B1 KR1019920008117A KR920008117A KR960003333B1 KR 960003333 B1 KR960003333 B1 KR 960003333B1 KR 1019920008117 A KR1019920008117 A KR 1019920008117A KR 920008117 A KR920008117 A KR 920008117A KR 960003333 B1 KR960003333 B1 KR 960003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cylinder
cartridge
web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버트 바우만 케네쓰
프레드릭 매슬린 로저
고오든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스트래칸 헨쇼우 머신너리 리미티드
마이클 쌩키 페인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868611722A external-priority patent/GB8611722D0/en
Application filed by 스트래칸 헨쇼우 머신너리 리미티드, 마이클 쌩키 페인터 filed Critical 스트래칸 헨쇼우 머신너리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92000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33B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웨브의 프린팅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웨브의 프린팅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웨브급송 오프셋 프레스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프레스 구동시스템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프레스 구동시스템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웨브급송 오프셋 프레스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 및 제7도는 단지예로서의 웨브급송 오프셋 프레스의 배치를 도시한 것으로 제6도는 측면도, 제7도는 평면도.
제8도는 제2도, 5도, 6도, 7도의 프레스에 있는 실린더 이동시스템의 상세도.
제9도 및 제10도는 조정가능한 직경을 갖는 실린더를 축방향 및 반경방향에서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웨브 3 : 프린트 유니트
4 : 절조유니트 5 : 바아
7 : 전단유니트 11,12 : 트롤리
40,41,42,100,101,102,103,111,112,113,114 : 카트리지
43,33 : 블랭킷 실린더 45,46 : 판실린더
48,49 : 잉크 공급 및 가습트레인
본 발명은 웨브(web)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웨브(종이)상에 인쇄, 복사 또는 그 이외의 공정(본 발명에서는 대체로 프린트에 관한 것으로 한다)등을 가하고 이 웨브를 접거나 또는 형태를 조정하는 등으로 어떤 영상을 인쇄시키는 것과 같은 작동을 행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로울로부터 풀려 나오는 종이나 그외의 재료를 연속적인 웨브로 처리하는 공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련의 영상들을 종이위에 프린트하기 위해 로울로부터 프린트기로 종이를 통과시킨 다음 종이를 여러가지 형식으로 되감거나, 한장씩 자르거나 또는 접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는 프린트기의 효율에 여러가지 제한이 가해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음을 배제할 수 없었다. 그것은 시간절약이라는 문제이다. 프린트기가 일단 작동되고 종이가 처리공정에 들어가면 프린트작업은 매우 신속히 진행된다. 그러나, 공지의 프린트기에서는 웨브의 급송방법이나 프린트 형식이 변경되는 경우 시간지체가 발생했던 것이다. 예를들어, 만약 여러 가지 상이한 영상이 프린트 되어야 하거나, 여러 가지 색깔이 사용되거나, 또는 접는 형식이 변경되는 경우 프린트 작업을 정지해야만 했다. 종래의 프린트기를 설계하는데 있어 상기와 같은 변경은 매우 어려운 문제를 유발시켰던 것이며, 이에 따라 프린트기의 비작동 시간이 효과적인 작동시간보다 훨씬 길었던 것이다.
종래 형식의 또다른 문제로는 프린트기가 어떤 특별한 하나의 프린트 작업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는 점인데, 이것은 실제적으로 만약 프린트기의 소유자가 기계가 수행할 수 있는 통상적인 작업보다 더욱 복잡한 작업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 기계의 주요 부품을 완전히 교체하거나 혹은 기계전체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어려움을 수반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브의 프린팅 처리시스템이 작동중이면서 여러 가지 변경이 행해질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프린트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웨브처리 시스템은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번째는 로울이나 리일로부터 웨브를 끌어내어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 급송시키는 부분이며, 둘째로는 상기 웨브상에 영상을 프린트하는 부분이고, 세번째는 프린트 처리가 완료된 웨브를 최종 처리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웨브처리 시스템의 두번째 부분에 대한 것이며, 다른 부분은 본 출원인의 동시 출원되는 타출원에 기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의 프린트를 위한 구조 배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웨브급송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레스는 통상적으로 프린트될 각 색깔에 대해서 그리고 반복되는 프린트의 길이에 대해서 웨브가 통과하는 한쌍의 블랭킷 실린더, 상기 블랭킷 실린더중 관계되는 것과 접촉하는 한쌍의 판실린더, 상기 판실린더에 대한 잉크 공급 및 가습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판실린더에는 프린트될 영상이 전사된다. 상기 시스템은 웨브의 양측에 모두 프린트를 시키기 때문에, “완전” 프레스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웨브의 한쪽만을 프린트하는 경우는 하나의 가압실린더, 하나의 단일 블랭킷 실린더, 판실린더, 잉크공급 및 가습시스템을 구비하는 것도 이미 공지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카트리지를 통해 공급된 웨브 위에 프린팅하기 위한 카트리지로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한쌍의 인접한 프린팅 실린더를 구비하며, 각각의 카트리지의 실린더는 그 사이로 통과하는 웨브의 각각의 표면위에 프린팅 매체를 전사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열을 지어 배치된 카트리지와 ; 하나 이상의 분리된 유니트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정해진 카트리지의 양 프린팅 실린더에 프린팅 매체를 공급하는 장치와 ; 선택을 하기 위해 각각의 프린팅 매체 공급유니트에 대해 카트리지의 서로간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가 제공된다. 카트리지는 웨브급송 프린팅 프레스의 형태를 가지며, 이 경우 각각의 카트리지는 한쌍의 블랭킷 실린더와 이에 상관되는 한쌍의 판실린더를 갖는다. 상기 유니트는 상기 카트리지중 적어도 일부의 판실린더와 선택적으로 상관 관계를 갖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 대해 치환이 가능한 잉크 공급 및 가습 유니트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카트리지 자체를 가동성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그 특성은 상기 잉크공급 및 가습유니트가 제1카트리지에 상관되는 작동위치에 이동되고, 프린트작업이 상기 카트리지에서 행해지고, 이 프린트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1카트리지의 블랭킷 실린더가 상기 웨브로부터 멀어지고, 그 다음 제2카트리지(이 카트리지에서의 영상은 그 크기나 색깔 등이 제1카트리지의 그것과 다른 것이다)의 블랭킷 실린더가 웨브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며, 이보다 앞서서 잉크공급 및 가습유니트가 상기 카트리지로 이동하여 새로운 프린팅작업이 제2카트리지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카트리지가 교환되어도 지체되는 시간은 매우 작다. 프린트기가 작동되는 동안 제1카트리지의 판실린더상에 있는 영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린팅 장치에서는 여러개의 선택된 카트리지에 동시에 서로 다른 여러개의 색깔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개의 잉크공급 가습유니트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요구에 따라서 건조기를 갖는 여러개의 스택을 구비하거나, 다른곳에 준비된 카트리지와 교환될 수 있는 카트리지의 교환시스템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의 영상프린트와 또다른 영상프린트를 서로 교체하는 본 발명의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이에 프린트 작업을 하는 여러개의 카트리지와, 상기 웨브와 접촉하도록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린팅 실린더를 구비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웨브급송 프린팅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모두 상기 유니트로부터 웨브로 프린팅 매체를 전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가 갖는 프린팅 실린더는 카트리지중 나머지 것의 블랭킷 실린더와는 그 원주의 크기가 다르다.
상기 프린팅 실린더는 상기 프레스의 블랭킷 실린더이며, 여기에는 프린팅 매체를 구비하기 위한 유니트와 블랭킷 실린더에 대한 판실린더가 있다. 또한 하나의 완전오프셋 프레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하나의 블랭킷 실린더와 웨브의 양측에 판실린더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오프셋 프레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블랭킷 실린더와 웨브의 다른측상에 가압실린더를 구비한다. 또한 요판(gravure)프레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프린팅 실린더에 에칭가공을 하고 프린팅 매체는 유니트로부터 상기 프린팅 실린더에 직접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플랙소그래픽(flexographic)이나 레터프레스에서는 프린팅 매체가 실린더로 직접 전사되며,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프린팅 매체를 지지하는 블록면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요판프레스, 플랙소그래픽, 레터프레스의 경우에는 웨브의 측부에서 프린팅 실린더쪽으로 가압실린더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단지예로서의 첨부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린팅 장치의 다른 특징들도 설명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재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다.
제1도에서는 본 발명의 웨브(본 실시예에서는 종이임)처리시스템이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제1부분(1)은 웨브(2)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로울로부터 종이를 끌어내어 프린팅 유니트(3)과 건조유니트(4)로 급송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종이웨브(2)가 90°로 꺽어지는 것은 바아(5) 주위를 종이가 통과함으로써 이루어지며, 프린팅 유니트(3)과 건조유니트(4)를 통과한 다음 웨브(2)는 다시 바아(6)를 통해서 90°로 꺽어지고 절단 접힘부(7)로 간다. 영상프린트가 완료된 웨브는 절단 또는 접힘과정을 지나 화살표(8)방향으로 이동하여 쌓여진다. 물론 종이웨브 유입유니트(1), 프린팅유니트(3), 건조유니트(4), 절단 및 접힘부(7)의 배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실제적인 형상은 공간 등의 요인에 의해 정해진다.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종이웨브는 이어서 프린팅 유니트(3)으로 이동된다.
제2도에서는 상기 유니트(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공급된 웨브를 오프셋시키는 프레스이다. 제2도에서는 프레스는 3개의 카트리지(40,41,42)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카트리지는 각각 한쌍의 블랭킷 실린더(43,44)와 한쌍의 판실린더(45,46)을 구비한다. 상기 판실린더(45,46)의 외부면에는 프린팅판이 형성되고, 이 판실린더는 블랭킷 실린더(43,44)중 하나와 서로 접촉한다. 결국 각각의 카트리지는 하나씩의 프린팅쌍을 갖는 것이다. 대체로 판실린더 및 블랭킷 실린더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그외에도 판실린더의 원주가 블랭킷 실린더의 원주의 1/2인 경우도 이미 공지된 바 있다. 도시된 것처럼, 카트리지(40,41,42)는 서로 인접해 있으며, 이것은 카트리지(40,41,42)의 배치공간을 작게 한다. 그러나, 상기 카트리지(40,41,42)의 배치를 서로 이격되게 설치해도 무방하다. 웨브(2)는 로울러(47) 주위를 지나서 각 카트리지(40,41,42)의 블랭킷 실린더(43,44) 사이를 지난다. 카트리지(40,41,42)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양호하지만 카트리지(40,41,42)를 완전히 수평으로 배치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 경우 모든 카트리지는 웨브를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웨브상에 프린트될 영상은 판실린더(45,46)상에서 지지되며, 블랭킷 실린더를 통해 웨브상으로 옮겨진다(오프셋 프린팅). 이것 자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다.
제2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웨브의 양측에는 프린팅 매체, 즉 잉크공급 및 가습(dampening)트레인(48,49)을 구비하는 유니트가 있다. 상기 트레인(48,49)은 한꺼번에 또는 다른 수직이동이 가능하며, 각각은 또한 상기와 같은 수직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드로우-오프(throw-off)장치를 구비한다.(트레인(48,49)을 비교).
프린팅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트레인(48,49)는 카트리지(40,41,42)중 하나와 상관관계에 있도록 수직으로 이동한다. 잉크공급 및 가습로울러(50)은 정확한 작동도형과 압력을 확실하게 해주는 기구에 의해서 판실린더(45,46)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트레인(48,49)는 웨브의 양측에 위치 하나 3개의 카트리지(40,41,42)와 공통적인 관계를 갖는다. 만약 제2카트리지(41)이 프린팅작업에 들어가면 상기 트레인(48,49)이 작동하여 로울러(50)이 상기 제2카트리지(41)의 판실린더(45,46)과 접촉할 수 있도록 움직인다.
이상과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프린팅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 프린팅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트레인(48,49)는 드로운-오프형태로 이동하며, 나머지 2개의 카트리지(40,42)중 하나와 연결될때까지 수직이동 된다. 그리고 로울러(50)이 2개의 카트리지(40,42)중 하나의 판로울러(45,46)과 접촉함으로써 새로운 프린팅작업이 수행된다.
카트리지를 고정트레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기구학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카트리지가 기계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허용하는데 이것은 종래의 배치 형식보다 월등히 효과적이다.
제3도 및 제4도에서는 제2도의 프레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적절한 구동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3도에서 평면도로 표시되는 것처럼 트레인(48,49)는 단부지지부(52a)를 통해 실린더(43,44,45,46)을 지지하는 프레스이 주프레임(52)에 대해 이동이 가능한 지지프레임(51)상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트레인(48,49)의 수평이동 매커니즘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제2도에서는 이와같은 수평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51)상에 정지부(53)이 설치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지지프레임(51)의 수직이동, 즉 트레인(48,49)의 수직이동은 지지프레임(51)상에 장치된 호이스트모터(54)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모터(54)는 상기 지지프레임(51)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베벨기어(56,57)을 통해서 2개의 축(58,59)에 이어져 있는 축(55)를 구동시킨다. 상기 2개의 축(58,59)중 하나(58)은 주프레임(52)상의 기어랙(61)과 맞물려 있는 피니언(60)을 구동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축(59)는 마찬가지로 주프레임(52)의 양축상에 있는 기어랙(64,65)에 각각 맞물려 있는 2개의 피니언(62,63)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모터(54)의 구동은 처음 축(55,58,59)를 구동시키고 이에따라 3개의 피니언(60,62,63)이 각각 관련되는 랙(61,64,65)상에서 아래 위로 이동된다. 이에따라 지지프레임(51)은 주프레임(52)에 대해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도시된 배치에 있어서는 3점 장착이 사용되었으나 4점 또는 그 이상의 다중점 장착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때는 주프레임(52)상의 랙과 축(58,59)상의 피니언을 추가한다. 지지프레임의 정확한 수직위치 선정은 모터(54)의 정확한 제어나 또는 주프레인(52)상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정지부(66)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정지부(66)은 스프링부하는 받고 있어서 지지프레임(51)이 이 정지부(66)를 지나갈때 이 정지부(66)은 주프레임(52)로부터 이격되는 쪽으로 움직이며 이에따라 지지프레임(51)은 상기 정지부(66) 위로 하강한다. 상기 정지부(66)는 지지프레임(51)의 하강 이동을 허용하며, 제2도에 있는 카트리지(4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압력이 제거되어야만 한다.
다음에는 실린더(43,44,45,46)의 구동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실제로, 첫번째 실린더(43,45)에 대한 구동트레인과 또다른 실린더(44,46)에 대한 구동트레인은 서로 동일한 것이며, 따라서 설명은 첫번째 실린더(43,45)에 대한 구동트레인에 관한 것으로만 국한한다.
축(67)은 주프레임(52)에서 위쪽으로 뻗어 있으며 그 프레임(52) 위에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축(67)과의 회전을 위해 기어(68)이 제공되며, 이 기어(68)은 워엄휘일(72)에 연결되는 워엄(71)쪽으로 뻗어있는 축(70)에 연결된 기어(69)와 맞물려 있다. 하나의 축(73)이 상기 워엄휘일(72)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부(74)에 의해 지지프레임(51)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축(73)의 단부에 설치된 것은 에어실린더(75)로서 이것은 상기 축(73)을 축선방향에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축(73)의 타단에는 상기 판실린더(45)로부터 뻗어나온 스터브 축(78)상에서 클러치판(77)과 연결되는 또 하나의 클러치판(76)이 설치된다. 상기 2개의 클러치판(76,77)과 이들의 축(73,78)은 주프레임(52)에 있는 개구(79)를 관통한다. 판실린더(45)의 단부에는 블랭킷 실린더(43)의 기어(81)과 맞물려 있는 또다른 기어(80)이 구비된다.
따라서 에어실린더(75)가 축(73)을 구동시켜 클러치판(76,77)이 서로 맞물리면, 축(67)로부터의 구동력은 기어(68,69), 축(70), 워엄(71), 워엄기어(72), 축(73), 클러치판(76,77), 스터브축(78)을 차례로 지나서 판실린더에 전달되고, 이로부터 기어(80,81)을 통해 블랭킷 실린더에 최종 전달된다.
에어실린더(75)가 축(73)을 구동시켜 클러치판(76,77)을 서로 격리시키면 구동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더구나, 이와같은 축(73)의 이동은 개구(79)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는 클러치판(76)을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므로 지지프레임상의 모든 조립체가 주프레임(52)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배치는 사용되지 않는 카트리지의 실린더에 어떤 구동력도 전달하지 않으며, 아울러 그러한 실린더의 프린팅판을 교체하는 경우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실린더 구동매커니즘이 트레인(48,49)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어떤 특정한 시간에 프린팅작업을 하지 않는 실린더를 우발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은 전혀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
클러치판(76,77)에 의해 형성된 클러치는 또다른 기능을 갖는다. 상기 클러치판(76,77)은 판실린더(45)의 위치를 구동상태에 맞추기 위해 단일위치로 클러치를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판실린더(45)의 초기위치에 관계없이 판실린더(45)의 회전은 축(67)의 회전과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축(67)과 판실린더(45)의 회전수 일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주구동력에 대해 영상프린팅을 신속히 하거나 또는 지체시키는 것이 필요할때이다. 이러한 요구를 달성시키기 위해서 워엄(71)이 선형작동기(82)에 의해 축(7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작동기(82)는 축(70)상에 고정된 워엄(71)을 통상적으로 홀드시키고 있다. 이것은 워엄휘일(7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축(73)과 클러치판(76,77)을 통해서 구동축(67)의 위치에 대해 판실린더(45)를 구동시킨다. 워엄(71)의 이동은 모터나 유압램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축(67)에 대한 판실린더(46)의 이동은 또다른 판실린더(45)에서의 방식과 동일하게 실시하는데 상기 판실린더(45)의 이동과 동시에 실시하든지 또는 따로 실시하든지를 선택할 수 있다.
트레인(48,49)의 실린더(50) 구동을 제4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제2도와 동일한 도면이나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해 카트리지(40,41,42)를 모두 생략했다. 여기서는 주프레임(52)에 대해 지지프레임(51)을 이동시키기 위해 호이스트모터(54)로부터의 구동형식이 사용된다.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83)은 축(70)과 기어(69)에서 워엄(71)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기어(83)은 축(85)상에 있는 에피사이클릭기어(84)와 연결된다. 축(85)의 각단부는 종래의 방식에서처럼 잉크공급 및 가급유니트내에 있는 구동시스템에 연결된 기어(87)과 접촉하는 기어(86)을 지지한다. 따라서 축(70)은 축(85)에 연결되고, 축(69)로부터의 구동력과 연결되는데, 상기 구동력은 제3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각 실린더(43,44,45,46)을 구동시키고 잉크공급 및 가습로울러(50)을 구동시킨다.
이와같은 일치화는 판실린더(45,46)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프레스가 2개의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실린더를 구비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시스템은 하나의 규격에 대해서만 일치화 될 것이다. 따라서 프린팅작업은 트레인(48,49)이 각기 다른 규격의 실린더를 갖는 트레인으로 이동할 때 일치화에서 벗어난다. 제4도에서 도시된 배치에 의하면 에피사이클릭 기어(84)에 의해 축(85)에 연결된 보조구동모터(88)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 상기 구동모터(88)의 회전속도가 감지되어 비교기(89)로 그 정보가 보내지고, 여기서 웨브가 통과하는 로울러(90)의 회전속도와 상기 구동모터(88)의 회전속도를 비교한다. 상기 로울러(90)은 에피사이클릭 기어(84)와 상관 관계를 갖는다. 만약 구동상태가 일치화되지 않는 것이 발견되면 일치화될때까지 모터(88)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따라서 모터(88)의 구동력은 기어(83)에 의해 축(85)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제4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또다른 특징에 대해 도시하는데, 이것은 핀실린더 및 블랭킷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축(67)이 프린팅 유니트를 넘어 연장하는 축(91)로부터 구동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또다른 추가프린팅 유니트가 축에 연결되거나, 제4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프레홀더(92)의 천공기에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절단유니트의 천공기와 절단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것은 뒤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주축(91)에는 천공기(95)를 회전시키는 프레홀더(92)의 축(94)를 구동시키는 기어(93)이 구비된다. 아울러 에피사이클릭 기어(96)이 제공되어 비교기(89)에 링크 연결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한쌍의 트레인(48,49)가 3개의 카트리지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카트리지느느 각각의 판실린더상에 각기 다른 영상을 구비할 수 있고, 실린더의 크기도 각기 다르게 구비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카트리지로부터 다른 카트리지로 이동함으로써 프린트의 길이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제4도의 도시와는 또다른 배치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그중 하나의 실시예로 제5도에서처럼 제2도에 도시된 3개의 카트리지(40,41,42)와 동일한 4개의 카트리지(100,101,102,103)을 갖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는 종이웨브(2)가 카트리지(100,101,102,103)의 중앙을 통해 윗쪽으로 이동한다. 4개의 트레인이 제공되며 상부에 있는 한쌍의 트레인(104,105)는 윗쪽에 있는 2개의 카트리지(100,101)과 상관작용을 하고 하부의 트레인(106,107)은 밑에 있는 2개의 카트리지(102,103)과 상관 작용을 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유사한 규격의 프린트 실린더에서 2개의 상이한 색깔을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하고, 영상의 교환이나 반복적인 영상의 길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5도의 도시처럼 각 카트리지의 실린더는 예를들어 카트리지(100,102)의 실린더를 다른 카트리지(101,103)의 실린더보다 작게 할 수 있는 등 각기 다른 규격으로 설정해도 된다. 제5도에 도시된 프레스는 전술한 바와같이 4개의 카트리지와 이격된 위치에 있고, 제2도의 프레스와 대체로 동일한 것인데 제3도와 제4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구동장치를 갖는다. 따라서 제5도의 배치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시스템의 한가지 특징은 카트리지를 추가시키고, 이에 따라 트레인(48,49)를 추가시킴으로써 각기 다른 프린팅작업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제2도에서 제5도까지에 설명한 실시예는 카트리지의 배치형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잉크공급 및 가습유니트를 갖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배치되고, 상기 유니트가 카트리지에 대해 이동이 가능한 수평배치로 하여 프린팅이 실시될 수 있도록한 배치구조도 가능하다. 하나나 혹은 2개의 유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와 판실린더의 구동은 제3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수직유니트이다. 여기서 다른 것은 평행한 수평동력축이 판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구동력축으로부터의 구동은 상기 주동력축을 2쌍의 베벨기어를 통해 수평축에 연결시키고 있는 수직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같이, 카트리지의 배열을 고정시키고, 잉크공급 및 가습유니트를 가동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대적 운동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반대로 유니트를 고정시키고 카트리지를 가동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로울러 안내레일 또는 공기압잭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판실린더의 구동은 제4도에서 도시 설명된 것처럼 하나의 기어클러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가동성의 카트리지를 사용하는데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유니트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을 고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유니트를 가동성으로 하는 것보다 카트리지를 가동성으로 하는 것이 훨씬 어렵다고 생각된다.
제6도와 제7도에서는 유니트를 고정적으로 하고 카트리지를 가동적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 설명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는 4개의 카트리지(111,112,113,114)를 구비하며 하나의 카로우젤(carousel)(115)을 형성한다.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카트리지는 한쌍의 판실린더(116)과 한쌍의 블랭킷 실린더(117)을 구비하는데 그 형식은 제2도에서의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카트리지(111,113)의 판 및 블랭킷 실린더(116,117)은 또다른 카트리지(112,114)의 실린더(116,117)보다 작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111,113) 및 카트리지(112,114)가 각기 다른 반복길이를 제공할 수 있다.
종이웨브(2)는 로울러(118,119)를 통해서 프린팅 장치속으로 들어가고, 2개의 카트리지(112,114)를 통해 수평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카로우젤(115)는 제1프레임(120)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프레임(121)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잉크공급 및 가습유니트(122)(제7도에서는 하나의 유니트로 도시)를 지지한다.
상기 유니트(122)는 웨브가 급송되는 카로우젤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2개의 유니트는 카로우젤의 양측에 설치되어 카트리지(111,113)이나 카트리지(112,114)를 구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제6도와 7도에 있는 프린팅 장치는 한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작동된다. 예를 들어 다만 하나의 카트리지(114)를 사용하여 하나의 프린트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카트리지(112)로 다른 프린트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트리지(114)에서의 프린트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카트리지(114)의 블랭킷 실린더(117)가 웨브(2)로부터 후퇴하고, 이 카트리지(114)에의 구동력은 제거되며, 카트리지(112)의 블랭킷 실린더(117)이 웨브(2)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구동력이 상기 카트리지(112)에 전해진다. 이처럼 해서 카트리지(112)를 사용하는 것이 완료되면 다음 카트리지(114)가 준비된다. 만약 카트리지(112,114)가 동일한 프린트 반복길이와 프린팅 직경을 갖는 경우라면, 2개의 카트리지(112,114)를 각기 이용하여 2가지 색깔의 작업을 텐덤형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작업을 카트리지(111,113)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23)이 카로우젤(115)를 구동시켜서 프레임(120)상으로 카로우젤(115)를 90°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카트리지(111,113)이 웨브(2)와 정열배치된다. 카로우젤(115)의 정확한 위치선정은 스탭(도시생략)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카로우젤(115)의 회전은 한쌍의 카트리지로부터 다른 카트리지로 변경되기 위해서 웨브(2)가 찢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제6도의 실시예는 제2도의 실시예에 비해 이점이 적다. 화살표(124)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카로우젤(115)는 요구에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에 대한 구동배치에 관해 설명한다. 제7도에 의하면 축(125)(이것은 제4도에서 설명한 프린팅 시스템 전체를 위해 구동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이 기어(126), 축(127)을 통해 구동하고 기어(128)을 통해서 유니트(122)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장치(129)에 연결된다. 상기 장치(129)는 제4도에서 설명한 것과 대동 소이하며 구동력은 보조모터(131)에 의해 작동되는 에피사이클릭 기어(130)을 통해 전달된다.
축(127)은 또한 워엄휘일(134)상에서 작동하는 워엄(133)에 연결되는 기어(132)를 구비한다. 상기 워엄휘일(134)는 축(135)를 돌리고 이축(135)의 일단에는 선형작동기(136)이 타단에는 클러치(137)가 부착된다. 상기 클러치(137)은 카트리지(111,112,113,114)중 하나의 판실린더(116)을 구동시키는 축(138)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의 구동은 제3도에서의 경우와 유사하며 따라서 그 작동도 유사하다.
제6도의 우측에 개략 도시한 것처럼 축(127)은 카로우젤(115)의 양측 가장자리로 연장하여 또다른 잉크공급 및 가습유니트(도시생략)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선하려고 하는 또다른 주안점은 제2도(제5도 또는 제6도 제7도)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카트리지(40,41,42 또는 100,101,102,103 또는 111,112,113,114)내에 있는 실린더의 장착에 관한 것이다. 만약 실린더가 종래 형식으로 장착된다면 카트리지를 바꿔야 하는 경우마다 프린팅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길이 선정을 다시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번째 관념은 블랭킷 실린더를 정확한 접촉위치에서 빼내고 또 장치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블랭킷 실린더가 접촉상태에 있으면 프린팅이 수행된다. 또 이 블랭킷 실린더가 접촉상태에서 해제되더라도 연속적인 프린팅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더구나 카트리지는 프레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규격이 다른 실린더를 갖는 카트리지로 교환할 수 있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정확한 이송위치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린트기에서 최소의 시간 소비만으로도 여러 가지 교환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블랭킷 실린더(43,44)를 웨브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한가지 실시예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실선표시는 실린더가 프린팅작업에 있을때의 위치이며, 점선표시는 그렇지 않을때의 위치이다. 하나의 블랭킷 실린더(44)는 상관하는 판실린더(46), 제3도의 기어(79,80)과 접촉하도록 가압되어 또한 다른 블랭킷 실린더(43)(웨브는 이 블랭킷 실린더(43) 사이에 물려져서 양호한 프린팅작업을 할 수 있다)에 대해 서로 접촉하도록 가압되어진다. 상기 블랭킷 실린더(43)는 결국 판실린더(45)와 서로 마찰 접촉한다. 대체로 블랭킷 실린더(43,44)의 장착에서는 약간의 여유가 주어지는데 이에 따라 블랭킷 실린더(44)가 인접하는 실린더와 접촉하도록 가압되면 2개의 실린더(43,44)가 모두 연관되는 판실린더 및 상호작용 블랭킷 실린더에로의 접촉압력의 반작용으로 정확한 프린팅위치를 자동적으로 선정하게 된다.
블랭킷 실린더(43,44)를 서로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그중 하나(제8도에서는 44)를 가동적으로 하고 그 축이 위치(B와 A)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실린더가 홈속에 놓여지는 지지부의 단부를 장착함으로써 달성되며, 상기 홈의 일단은 위치(B)에서 실린더축에 관련되는 것이고 타단은 실린더축이 위치(A)에 있을 때 홈의 측부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갖도록 설정된다. 실린더축은 프린팅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때 부하플런저(140)에 의해 위치(B)쪽으로 가압되며 이에따라 블랭킷 실린더(44)는 점선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상관되는 판실린더(46) 및 다른 블랭킷 실린더(43)과의 접촉상태에서 벗어난다.
또다른 블랭킷 실린더(43)은 실린더축을 초과규격의 구멍(도시생략)내에 있는 원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피봇지지부(141)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멍의 외주는 블랭킷 실린더(43)이 판실린더(45)와 접촉관계에 있을 때 축의 위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상기 판실린더로부터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곧 블랭킷 실린더(44)가 위치(B)로 이동하는 경우 블랭킷 실린더(44)와 판실린더(45) 사이를 개방하기 위한 간극 및 2개의 블랭킷 실린더(43,44) 사이의 간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43)은 또다른 실린더(44)의 뒤에 위치하지만 이 실린더(44)에 접촉하지는 않는다. 유사한 효과가 블랭킷 실린더(43)의 지지부를 판실린더(45)와 접촉하도록 허용하는 홈내에 장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이때 판실린더(45)로부터 블랭킷 실린더(43)가 이격되는 것이 제한된다. 만약 블랭킷 실린더(43)이 판실린더(45)와 접촉하는 것을 유지시켜 주는 수단이 없다면 블랭킷 실린더(43)은 중력에 의해 생기는 분리력으로 피봇지지부(141)상에서 이격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분리력은 일정값 이상을 초과해서는 않되며, 만약 실린더(43)상의 중력이 이 소정값을 초과하게 되면 지지부(141)상에서의 공기실린더 작동과 같은 편심수단이나 스프링(142)에 의해 분리력이 감소된다.
아울러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블랭킷 실린더(44)는 지점(145)에서 피봇하고 있는 레버(144)에 연결된 블랭킷(143)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레버(144)가 공기압 시스템(146)에 의해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움직이면, 힘이 실린더(44)에 가해지고, 상기 실린더(44)의 축을 플런저(140)의 가압력에 반해서 (B)의 위치로부 터(A)의 위치로 이동시키려 한다. 이 (A)의 위치는 프린팅 위치이다. 블랭킷 실린더(44)는 판실린더(45)와 밀착되어 있고 아울러 또다른 블랭킷 실린더(43)이 접촉하여 이 실린더(43)가 그의 판실린더(45)와 접촉하도록 이동시킨다. 정확한 위치선정과 압력설정은 블랭킷 실린더가 그에 인접하는 실린더들에 가하는 제한기능과 블랭킷 실린더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된 힘에 의해 결정되며, 이 시점에서는 더 이상 실린더를 장착하기 위한 홈이나 개구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진 않는다.
따라서 “온”위치에서 실린더중 하나를 프린팅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 또다른 실린더를 힘의 반작용에 의해 제어된 제한구역 너머로 종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오프”위치에서는 홈과 개구를 구비함으로써 프린팅작업은 신속하고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 경우는 프레스에 다른 카트리지를 장치했을 경우라도 마찬가지다. 실린더는 연속면상에서 작동해야 하며, 이러한 작동은 뒤에서 다시 설명할 실린더베어러(bearer)에 의해 수행된다.
제2도에서 제7도까지를 참조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프린트기는 연속적으로 프린트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며, 요구되는 정확한 설치완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의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시간 절약이라는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단일 색깔(검정색 포함)의 프린트작업에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공통적인 잉크공급 및 가습트레인을 구비하는데에 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여러개의 카트리지와 트레인이 필요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지만 색깔을 프린트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된다.
제9도 및 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린더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 설명하는 것인데, 여기서 각각의 실린더는 각기 다른 림유니트가 끼워질 수 있을만큼 소정의 크기를 갖는 코어(150)을 구비한다. 제9도에서는 비교적 두꺼운 림유니트(151)을 갖는 실린더를 도시하며, 제10도에서는 반대로 비교적 얇은 림유니트(152)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림유니트(151,152)를 서로 맞바꿈으로써 실린더의 효과적인 직경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때에 프레스로부터 코어(150)을 제거할 필요는 없다. 상기 림유니트(151,152)는 내식성의 성질이 있으며 이 림유니트를 제거 가능하게 한 것은 역시 이 유니트를 용이하게 유지보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만약 내식성의 성질이 없다면 습기가 많은 액체의 산성 수지가 부식을 초래할 것이다.
제9 및 제10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림유니트(151,152)는 클립(154,155)에 의해 상기 유니트(151,152)에 연결된 프린팅판(153)을 지지하며, 상기 클립(154,155)는 상기 프린팅판(153)이 실린더 주위에서 확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9도 및 10도는 또한 실린더의 단부에 단부링(156)과 클램프(157)이 구비되어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것들은 코어(150)위에 림유니트(151,15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링(156)은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실린더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케하는 베어러로 작용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링(156)이 상기 림유니트(151,152)보다 약간 더 두꺼워서 이 링(156)의 외주면이 프린팅판(153)의 외주면과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점이다.

Claims (9)

  1. 각각의 카트리지를 통해 공급된 웨브위에 프린팅하기 위한 카트리지로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한쌍의 인접한 프린팅 실린더를 구비하며, 각각의 카트리지의 실린더는 그 사이로 통과하는 웨브의 각각의 표면위에 프린팅 매체를 전사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열을 지어 배치된 카트리지와 ; 하나 이상의 분리된 유니트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정해진 카트리지의 양 프린팅 실린더에 프린팅 매체를 공급하는 장치와 ; 선택을 하기 위해 각각의 프린팅 매체 공급 유니트에 대해 카트리지의 서로간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중의 적어도 하나는 블랭킷 실린더이며, 상기 카트리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판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실린더는 상기 유니트 및 블랭킷 실린더인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와 상호작용하며, 따라서 프린팅 매체는 상기 유니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실린더로 전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실린더로부터 블랭킷 실린더인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로 전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상기 웨브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는 상기 웨브에 대해 프린팅 위치와 후퇴위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가 이동하는 것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의 배치열중에서 인접하고 있는 다른 카트리지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동가능하며, 상기 유니트는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 재조정장치는 상기 웨브의 공급통로에 평행인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공급통로를 따라 배치되며, 프린팅 매체 공급장치는 정해진 카트리지의 오직 하나의 프린팅 실린더를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급통로의 각각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유니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 재조정장치는 적어도 초기에는 상기 웨브에 평행인 방향외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프린팅 매체 공급장치는 상기 유니트의 대응하는 부분을 통하여 정해진 카트리지의 양 실린더에 프린팅 매체를 공급하는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니트는 잉크저장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니트는 잉크공급 및 가습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프린팅 장치.
KR1019920008117A 1986-05-14 1992-05-14 웨브의 프린팅 장치 KR96000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117A KR960003333B1 (ko) 1986-05-14 1992-05-14 웨브의 프린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611722 1986-05-14
GB868611722A GB8611722D0 (en) 1986-05-14 1986-05-14 Processing paper & other webs
KR1019870004834A KR960003346B1 (ko) 1986-05-14 1987-05-14 웨브의 급송프린팅 장치
KR1019920008117A KR960003333B1 (ko) 1986-05-14 1992-05-14 웨브의 프린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834A Division KR960003346B1 (ko) 1986-05-14 1987-05-14 웨브의 급송프린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333B1 true KR960003333B1 (ko) 1996-03-08

Family

ID=262907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119A KR950010679B1 (ko) 1986-05-14 1992-05-14 두루마리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9920008118A KR960003329B1 (ko) 1986-05-14 1992-05-14 두루마리 급지식 인쇄장치
KR1019920008117A KR960003333B1 (ko) 1986-05-14 1992-05-14 웨브의 프린팅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119A KR950010679B1 (ko) 1986-05-14 1992-05-14 두루마리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9920008118A KR960003329B1 (ko) 1986-05-14 1992-05-14 두루마리 급지식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9500106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679B1 (ko) 1995-09-21
KR960003329B1 (ko) 199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346B1 (ko) 웨브의 급송프린팅 장치
JP5290760B2 (ja) モジュール式付加的印刷グループを有する印刷機
HU195148B (en) Rotary printing machine for plain printing and indirect relief printing
US438452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business forms
JPH11157046A (ja) 輪転印刷機の作動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印刷機
EP1641621B1 (en) Printing press
USRE34483E (en) Processing paper and other webs
GB2403688A (en) Printing Press
KR960003333B1 (ko) 웨브의 프린팅 장치
CA1326868C (en) Processing paper and other webs
IE59789B1 (en) Processing paper and other webs
JP2000263907A (ja) 印刷画像左右位置調節機構を備えた版胴式印刷装置
JPH0591843U (ja) 段ボールシート用印刷機
JPH1158692A (ja) 印刷機の調色確認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