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285Y1 -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285Y1
KR960003285Y1 KR2019930011127U KR930011127U KR960003285Y1 KR 960003285 Y1 KR960003285 Y1 KR 960003285Y1 KR 2019930011127 U KR2019930011127 U KR 2019930011127U KR 930011127 U KR930011127 U KR 930011127U KR 960003285 Y1 KR960003285 Y1 KR 960003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cking piece
central
lower plate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282U (ko
Inventor
서창래
Original Assignee
서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래 filed Critical 서창래
Priority to KR2019930011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285Y1/ko
Publication of KR950000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제1도내지 제 18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각각 나타낸 예시도로써,
제1도는 본 고안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판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판 베어링의 반 단면도.
제3도는 작동판 베어링의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힌지리벳의 사시도.
제6도는 상기 제5도의 단면도.
제7도는 상기 제5도의 정면도.
제8도는 상기 제5도의 평면도.
제9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10도는 상기 제9도 원제품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11도는 상기 제10도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13도는 상기 제12도의 평면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상태를 설명하는 평면 예시도.
제15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상태를 설명하는 평면 예시도.
제16도는 상기 제15도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17도는 상기 본 고안의 제3실시상태를 설명한 힌지리벳이 결합되는 하부결합판의 요부발췌 사시도.
제18도는 본 고안중, 제1,2실시 상태의 힌지리벳이 결합되게 하기 위한 하부결합판의 요부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 작동판 0 : 큰 볼베어링
5 : 작은 볼베어링 1 : 중심구멍
1a : 걸림구멍 2 : 걸림홈
3 : 반구홈 10 : 상판
20 : 하판 30 : 중심축
30' : 확장부 30a : 걸림편
30b : 머리 30c : 확장홈
40 : 좌대고정판 50 : 힌지핀
본 고안은,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회전의자 상측 좌대가 360도 회전 하거나, 전.후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치하는 연결판 회전기능을 가진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에 고정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작동판의 하부판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회전 수단의 볼 베어링이 훼손되거나, 이에 따른 마찰부가 훼손되었을때, 중심축이 따라 돌면서 작동판 마모를 가속화시키게 되는데, 이것을 예방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인 업무용 회전의자들은 그 대부분 축이 밑대에 삽입돼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주로 가정이나, 오피스텔과 같은곳의 응접실에서 고급가구로 사용하는 등나무 회전의자의 회전 및 안락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져서 사용되고 있는 등나무 회전의자의 작동장치들은 국내실용신안공보 제307호, 공고번호 제74-1187호와 같이 아래위의 회전판 사이 원주연상에 수십개의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돼있고 이때의 상판은 하판과 양측이 힌지핀으로 결합구성 돼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일본 실용신안공보소 53-51313호에서와 같이 납작한 판상의 베어링판으로 구성되어 의자의 좌대가 회전도록하는 장치가 있음을 알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제품은 회전 중심축을 지지해주는 고정수단이 없었던 관계로, 상판이나 하판이 회전할 때 상기의 중심축이 따라 돌게되어, 구동마찰에 의한 볼베어링의 마모율을 가속화시키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조용하게 휴식을 취하며 요람을 즐기고자 할때 요란하고, 불쾌한 금속마찰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조용한 야간에 사용할 수 없는 페단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원출원인은, 상기 종래 제품에서 발생되던 문제점을 감안하여, 1990년 9월 22일자로 출원한바 있는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90-14697호(1993. 6. 23자 의견서제출 심사계류중)와, 1990년 9월 25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0-14792호(상기 동일자 의견서제출 심사계류중)가 개량고안돼서 선출원된바 있는데, 이와 같은 선출원의 요지는, 전,후 작동에 의한 마찰마모 방지 및 소음해소를 위한 장치로써, 마찰방지링과의 유기적인 결합수단을 비롯한: 네곳 모서리에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번거로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볼트를 체결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개량출원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그 아래 위의 상판(10)과 하판(20)을 결합하는 중심축(30)과 하판(20)의 결합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상. 하판(10)(20)이 회동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마모방지와, 조용하고 안락한 휴식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안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첨부도면 제1도내지 제18도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의 상판(10)이나 하판(20)에 상관없이, 양쪽 내지 어느 한쪽 중심구멍(1)에, 걸림홈(2)을 형성하고, 걸림편(30a)을 가진 중심축(30)을 형성하여, 상.하판(10)(20)을 결합한다.
이때의 걸림편(30a)은, 첨부도면 제5도내지 제16도에 의해 예시한 바와 같이, 머리(30b)와 축간 양측에 일체형성하거나, 머리(30b)내측면으로 상. 하판(10)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 많큼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상기의 걸림편(30a)은, 그 형상이나, 모양도 직각형으로 부터 삼각형, 또는 원뿔형 어느 모양으로든 실시 가능하며, 상기의 걸림홈(2)역시 걸림편(30a)의 형상에 따라 결합될수 있도록 첨부도면 제17도에서와 같이, 중심구멍(1)주변으로 한개내지 두개, 혹은 세개도 좋고, 도시된 바와같이 네개의 걸림편구명(1a)을 형성하며, 어떤 경우에는 관통치 않고도 엠보싱 수단처럼 요홈으로 형성하여 상기의 걸림편(30a)이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실시한다.
또 어떤 경우에는, 첨부도면 제1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중심구멍(1)과 연계되도록 상기의 걸림홈(2)을 실시할 수 있고, 또 다른 경우 즉, 도면 제15도에서와 같이 걸림편(30a)을 원뿔형 내지 송곳끝같이 날카롭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걸림홈(2)을, 중심구멍(1)주변에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걸림편(30a)끝을 민자로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2)이나 걸림편구멍(1a), 또는 엠보싱 요홈이 필요하지만, 그 끝을 날카롭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중심축(30)을 리벳팅할 때 그 압축 프레싱과정에서 하판(20)에 홈집을 내면서 억지박힘 되기때문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본 고안의 구조결합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작동판(A)은, 일명 평베어링이라고 통칭되고 있으며, 제3도 내지 제4도에 예시된 작동판(B)은, 일명 럭킹이라고 통칭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평베어링은, 식탁과 같이 다소 간단하거나 작은 화전의자에 사용되며, 럭킹은 대형 안락의자에 사용된다.
따라서 평베어링은, 수평적으로만 회전작동 하게되고, 럭킹은 의자의 좌대가 수평적으로 회전되게 할 뿐만아니라 전.후방향 요람식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본 고안은, 평베어링이나 럭킹의 구조적 장치중, 수평회전시의 중심축(30)의 구조적장치와 그 역할에 관한 것으로서, 주변설명을 간략하게 설명한체 본론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평베어링은, 수십개의 볼베어링(0)이 내설되는 원형상의 반구홈(3)을 가진 상. 하판(10)(20)이 결합되며, 상기의 럭킹은, 상기와 같은 구조외에 좌대고정판(40)이 상판(10)과 힌지핀(50)으로 양측이 결합되는 한편, 전면과 후면에 코일 스프링이 탄설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의 상. 하판(10)(20)은, 설치된바와 같은, 중심구멍(1)에 중심축(30)이 끼워지고 그 상단부 즉, 확장부(30')를 바깥방향으로 확장함에 따라 그 중심축(30) 주변과 반구홈(3)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돼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의 볼베어링(0)을, 하판(20)의 반구홈(3)에 꽉 들어차도록 채운다음 상판(10)을 얹고 중심구멍(1)저면으로부터 중심축(30)을 끼운다.
이때에 걸림편(30a)이, 상기의 하판(20) 중심구멍(1)주변에 형성된 걸림홈(2)에 일치하도록 끼우고 이렇게 중심축(30)을 끼운후 작은 볼베어링(5)이 촘촘하게 안착된 베어링집(5a)을, 상기의 상판(10)중심부 즉, 상판(10)위로 돌출된 중심축(30)의 주변에 재치되도록 하여 별도의 돌기확장기구가 장착된 프레스로 상기의 중심축(30)상면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스의 돌기확장기구는 상기 중심축(30)의 확장홈(30c)으로 삽입되면서 압압되므로 확장부(30')가 도면 제2도 및 제4도에 보는 바와같이 바깥쪽으로 만곡확장되면서 베어링집(5a)을 감싸 결합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의 걸림편(30a)도 걸림홈(2)에 끼워진체 중심축(30) 상단이 리벳팅되는 관계로 하판(20)에 견고하게 결합돼 있게 되므로, 작은 볼베어링(5)이나, 큰 볼베어링(0)이 마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설령 상기의 볼베어링(5)(0)이 마모되더라도 중심축(30)이 겉돌거나, 상판(10)내지 하판(20)을 따라 돌지 않게 되므로, 제품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마찰에 의한 불쾌한 금속음이 발생되지 않아서 보다 안락한 휴식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부의 작은 원과 외부의 큰 원에 작은 볼베어링(5)과 큰 볼베어링(0)이 입설되어 하판(20)의 상면에서 상판(10)이 회전하는 공지의 작동판(A,B)에 있어서, 상기 하판(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구멍(1)의 양측에 걸림편구멍(1a)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구멍(1)에 끼워지는 중심축(30)의 머리(30b)에는 걸림편(30a)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30a)이 상기의 하판(20)에 형성한 걸림편구멍(1a)에 끼워져서 중심축(30)이 따라 돌지 못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는, 상기 중심축(30)의 몸체와 머리(30b)부의 상관선부에 걸림편(30a)을 연합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의 걸림편(30a)을 몸체로부터 벗어난 위치의 머리(30b) 면에 형성하며, 상기의 하판(20)에는 상기의 걸림편(30a)과 일치하는 위치에 걸림편구멍(1a)을 형성하여 중심축(30)이 따라 돌지 못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장치.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는, 상기의 걸림편(30a)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걸림편(30a)의 몸체를 일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그 단부를 평평하게 형성하거나, 혹은 몸체를 상협 하광형(피라밑형 또는 원뿔형)으로 끝이 날카롭게 형성하여 상기 하판(20)에 형성된 걸림편구멍(1a)에 끼워져서 따라돌지 못하게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장치.
KR2019930011127U 1993-06-23 1993-06-23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KR960003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127U KR960003285Y1 (ko) 1993-06-23 1993-06-23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127U KR960003285Y1 (ko) 1993-06-23 1993-06-23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282U KR950000282U (ko) 1995-01-03
KR960003285Y1 true KR960003285Y1 (ko) 1996-04-19

Family

ID=1935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127U KR960003285Y1 (ko) 1993-06-23 1993-06-23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2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42B1 (ko) * 2008-05-28 2008-08-25 이강해 회전의자용 회전체
KR100893633B1 (ko) * 2008-06-04 2009-04-17 이강해 원위치회전체와 결합되는 의자받침대
KR200457295Y1 (ko) * 2009-09-21 2011-12-14 안호창 고정장치가 구비된 회전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282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9145A (en) Retractible armrest support
US10045627B2 (en) Worksurface assembly, body support member having a worksurface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2860368A (en) Swivel glide unit for furniture legs
US7610682B2 (en) Method of affixing a caster on a wooden or plastic furniture leg
GB2324031A (en) Swivelling and tilting chair
JP2021501092A (ja) レベルキャスター
KR960003285Y1 (ko) 회전의자 작동판의 중심축 고정결합 구조
US2284571A (en) Oscillating chair
US1638725A (en) Glide caster
US2203320A (en) Counter chair
AU2017329476B2 (en) Seating furniture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US957480A (en) Caster.
KR100651612B1 (ko) 의자용 등받이의 조립구조
KR102341831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JPH047796Y2 (ko)
US642921A (en) Ball-caster.
US171272A (en) Improvement in school-desks
JP3736585B2 (ja) 椅子の座席と背凭れの傾動装置
JP6927721B2 (ja) 什器
KR200240595Y1 (ko) 전신 운동기
JPH0246418Y2 (ko)
JP3933729B2 (ja) 椅子の背支桿取付構造
JP4695353B2 (ja) 椅子
KR200263957Y1 (ko) 의자의 틸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