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26Y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26Y1
KR960003026Y1 KR2019930018967U KR930018967U KR960003026Y1 KR 960003026 Y1 KR960003026 Y1 KR 960003026Y1 KR 2019930018967 U KR2019930018967 U KR 2019930018967U KR 930018967 U KR930018967 U KR 930018967U KR 960003026 Y1 KR960003026 Y1 KR 960003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mbrella
piece
spr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872U (ko
Inventor
이원식
문희숙
Original Assignee
이원식
문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식, 문희숙 filed Critical 이원식
Priority to KR2019930018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026Y1/ko
Publication of KR950007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산
제1도는 본 고안의 우산대 내부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우산살을 펼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우산살을 접은 상태도.
제4도는 제2도의 "A"부분확대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B"부분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링크 11 : 고정편
12 : 연결편 20 : 제2링크
21 : 결합돌편 30 : 제3링크
31 : 연결편 40 : 탄성링크
41 : 스프링 P1~P4 : 결합핀
50 : 우산대 51 : 받침편
52 : 스프링 53 : 인장끈
60 : 상부브라켓트 70 : 하부브라켓트
본 고안은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 구성부품을 간소화 할수 있는 절접 가능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우산을 접고 펼치는 동작시에 우산대의 외주연에 형성된 스프링을 내부로 설치하고, 마지막 우산살을 접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링크의 단부에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구조가 간편하고 우산살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우산을 접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는 부품을 구성함에 있어 우산대 외주연으로 슬라이딩하는 브라켓트에 연동되도록 스프링과, 우산천을 고정하는 마지막 우산살을 절첩시키는 우산링크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우산 구조는 마지막 우산살을 절첩시키는 우산링크는 브라켓트와 연결된 우산링크에 회동되도록 고정되어 있어 마지막 우산살을 접고 펴는 동작시 다른 물체에 우산살이 걸리는 경우 유연성을 부여하지 못함에 따라 휘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또한 한 번 휘어진 우산살은 펴준후에도 완전한 선형을 이루지 못하는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우산대 외주연으로 슬라이딩 되고 우산살을 지지하는 브라켓트는 스프링이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하 작동됨과 동시에 수축, 이완작용을 하는 스프링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대의 내부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내설되고 이와 브라켓트가 인장끈으로 연결되며, 브라켓트에 연결되어 우산살을 형성하는 우산링크는 마지막 우산링크를 절첩시키는 스프링이 끝단에 구비된 탄성링크로 작동시킴으로서, 우산의 절첩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구성부품의 간소화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을뿐만 아니라 사용시 불량률이 적은 우산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주연으로 상하섭동 되도록 설치된 하부 브라켓트(70)에 내부로 스프링(52)에 의해 탄지된 받침편(51)이 인장끝(53)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우산대(50)와, 우산대(50)상단에 고정된 상부 브라켓트(60)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중앙에 고정편(11)이 고착되며 끝단에는 연결편(12)이 형성된 제1링크(10)와, 하부 브라켓트(70)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측단은 제1링크(10)의 고정편(11)에 결합핀(P1)으로서 연결된 제2링크(20)와, 제1링크(10)의 연결편(12)에 결합핀(P2)으로서 연결되는 연결편(31)이 형성되고 외측단부는 우산천을 고정시키는 외부끝(32)이 구비된 제3링크(30)와, 제3링크(30)의 연결편(31)선단에 결합핀(P3)으로 연결되며, 내측단으로는 스프링(41)이 설치되어 제2링크(20)의 결합돌편(21)에 힌지핀(P4)으로 연결된 탄성링크(40)와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11a)는 돌출편, (61)은 통공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구성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1도는 우산대(50) 외주를 따라 상하 작동되는 하부 브라켓트(70)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단의 고정된 상부 브라켓트(60)에는 제1링크(10)의 일단이 결합되고, 우산대(50)의 외주면을 따라 섭동되는 하부 브라켓트(70)는 제2링크(2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있다.
하부 브라켓트(70)가 상하 섭동됨에 의해 이에 연결된 각 우산링크는 접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하부 브라켓트(70)는 우산을 펼칠시에 우산대(50) 내부로 설치된 스프링(52)이 압축된 상태에서 우산대 하단의 잠금장치(도면 미도시)를 사용자가 눌러 해제시키면 우산대(50) 길이방향의 하향으로 탄발함과 동시에 우산대(50) 외주연에 인장끈(53)으로서 연결된 하부 브라켓트(70)는 상부 브라켓트(60)로 탄력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우산을 접을시에는 상부 브라켓트(60)으로 위치한 하부브라켓트(70)를 사용자가 하부에 형성된 잠금장치를 잡아 당기게 되면 인장끈(53)으로 연결된 받침편(51)이 상승함과 동시에 이의 사이에 팽창되어 탄지된 스프링(52)은 압축되면서 우산링크를 펼치기 위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서 우산살을 구성하는 각 우산링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1링크(10)의 중간 부위에 고착된 고정편(11)은 제2링크(20)의 일단부와 힌지결합하기 위해 돌출편(11a)이 형성되고 이의 단면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제5도에서와 같이 결합핀(P1)으로 제2링크(20)타측단과 힌지결합된다.
이는 제2링크(20)의 하부 브라켓트(70) 결합단이 하부로 하강시에 제1링크(10)를 끌어내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링크(10) 타측단에 형성된 연결편(12)은 제3링크(30)의 연결편(31)과 결합핀(P2)으로 연결되어 절접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한편, 제2링크(20)의 제1링크(10)와의 결합부위 즉, 결합핀(P1)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한 결합돌편(21)과 제3링크(30)의 연결편(31) 선단부 사이에는 탄성링크(40)를 결합핀(P4)(P3)으로 연결한다.
탄성링크(40)의 제2링크(20) 결합돌편(21)으로는 탄성링크(40)와 제2링크(20) 사이에 스프링(41)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제2도에서와 같이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제3도에서와 같이 접을시에 탄성링크(40)가 제일끝단의 우산천(도면 미도시)이 고정되는 제3링크(30)를 상향으로 절첩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스프링(41)은 제2링크(20)가 하강시에 제3링크(30)의 연결편(31)선단부를 밀게됨과 동시에 탄성을 유지함으로써 번잡한 곳, 예를들어 사람이 많은 곳이나 갑자기 버스를 타게되는 등의 다른 물체에 걸리게 되는 경우에도 우산살을 탄력적으로 유지하여 휘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우산을 펼친상태에서도 제3링크(30)를 항상 끌어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게 되어 우산의 끝부분이 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우산을 접고 펴는 동작을 우산대(50)내부로 설치된 스프링(52)과 우산살을 형성하는 제2링크(20) 및 제3링크(30) 사이에 스프링(41)이 설치된 탄성링크(40)로서 작동시킴에 따라 우산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우산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우산을 형성하는 구성부품을 줄임으로서 생산성 향상 및 제작단가를 낮출수 있는 경제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외주연으로 상하섭동 되도록 설치된 하부 브라켓트(70)에 내부로 스프링(52)에 의해 탄지된 받침편(51)이 인장끈(53)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우산대(50)와, 우산대(50) 상단에 고정된 상부 브라켓트(60)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중앙에 고정편(11)이 고착되며, 끝단에는 연결편(12)이 형성된 제1링크(10)와, 하부 브라켓트(70)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측단은 제1링크(10)의 고정편(11)에 결합핀(P1)으로서 연결된 제2링크(20)와, 제1링크(10)의 연결핀(12)에 결합핀(P2)으로서 연결되는 연결편(31)이 형성되고 외측단부는 우산천을 고정시키는 외부끈(32)이 구비된 제3링크와, 제3링크(30)의 연결편(31) 선단부에 결합핀(P3)으로 연결되며, 내측단으로는 스프링(41)이 설치되어 제2링크(40)의 결합돌편(21)에 결합핀(P4)으로 연결된 탄성링크(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2019930018967U 1993-09-21 1993-09-21 우산 KR960003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967U KR960003026Y1 (ko) 1993-09-21 1993-09-21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967U KR960003026Y1 (ko) 1993-09-21 1993-09-21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872U KR950007872U (ko) 1995-04-15
KR960003026Y1 true KR960003026Y1 (ko) 1996-04-13

Family

ID=1936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967U KR960003026Y1 (ko) 1993-09-21 1993-09-21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0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872U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646A (en) Foldable tent frame for coupling tent cloth with tent frame in integral form
US3902514A (en) Three-stage collapsible dome-rib umbrella
EP1809137B1 (en) Asymmetric umbrella
US2649103A (en) Folding umbrella
KR200400446Y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프레임 구조
US5193565A (en) Rib linkage joint
KR960003026Y1 (ko) 우산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US5158102A (en) Umbrella frame having folding ear structures
KR100792581B1 (ko) 우산포 자동정렬 우산
KR101279138B1 (ko) 우산
CN112704311A (zh) 一种直骨型自动开收伞骨结构
KR200347258Y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0466352B1 (ko) 절첩식 침대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CN217658495U (zh) 一种反转式折伞结构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102502066B1 (ko) 빗물받이 커버를 갖춘 우산
KR200297005Y1 (ko) 3단 절첩식 우산 및 양산의 살대 결합구조
KR200229481Y1 (ko) 우산
KR102062572B1 (ko) 밖으로 접히는 우산
KR960005654Y1 (ko) 파라솔의 받침살 절첩장치
KR960003028Y1 (ko) 우산용 링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