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937B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937B1
KR960002937B1 KR1019930014238A KR930014238A KR960002937B1 KR 960002937 B1 KR960002937 B1 KR 960002937B1 KR 1019930014238 A KR1019930014238 A KR 1019930014238A KR 930014238 A KR930014238 A KR 930014238A KR 960002937 B1 KR960002937 B1 KR 96000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cover
seed
soil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566A (ko
Inventor
손준근
Original Assignee
손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근 filed Critical 손준근
Priority to KR101993001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937B1/ko
Priority to JP5270837A priority patent/JPH0799970B2/ja
Publication of KR95000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01C7/102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eed 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01C5/068Furrow packing devices, e.g. press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종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파종부와 복토부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종기에 의한 파종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부분 측면도로서, a도는 개폐판을 닫고 종자 및 흙을 수납홈에 수납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b도는 개폐판을 닫고 종자 및 흙을 수납홈에 수납완료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c도는 개폐판을 열어 파종 및 복토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제5도는 연동회동기구와 조작핸들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로서, a도는 종자 또는 흙을 정량 수납할때의 상태도, b도는 종자 또는 흙을 낙하시킬때의 상태도.
제6도는 종자의 파종량 및 흙의 복토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도는 종자의 파종량 및 흙의 복토량을 최대로 조절한 상태도, b도는 종자의 파종량 및 흙의 복토량을 최소로 조절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내틀 11,12 : 안내부재
17 : 정지편 18a,18b : 연결판체
20 : 파종부 21 : 파종틀체
22 : 바닥면 22a : 종자수납공
22b : 종자낙하공 22c : 미천공부
23 : 종자수납공간 23a,23b : 격벽
24 : 회동개폐판 24a : 회전축
25 : 연동회동기구 26a : 크랭크부
26b : 연동레버 27 : 파종조작핸들
28 : 파종량 조절편 30 : 복토부
31 : 복토틀체 32 : 바닥면
32a : 흙수납공 32b : 흙낙하공
22c : 미천공부 23 : 흙수납공간
33a,33b : 격벽 34 : 회동개폐판
34a : 회전축 35 : 연동회동기구
36a : 크랭크부 36b : 연동레버
37 : 복토조작핸들 38 : 복토량 조절편
본 발명은 볍씨 등 각종 종자를 파종하는데 사용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볍씨를 육묘상자에 정량적으로 파종하는데 적합하며, 또한 종자를 육묘상자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파종할 수 있고, 파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앙기를 이용하여 모내기를 하기 위하여는 뿌리가 서로 엉켜 매트(Mat)상으로 형성되는 소위 매트상(Mat狀) 묘를 준비하여야 한다.
매트상 묘를 얻기 위하여는 볍씨를 춤이 낮은 육묘상자의 바닥에 흙을 깔고 그 위에 일정량의 볍씨를 뿌린 다음 그 위에 다시 복토하고 있다.
여기서 파종량을 정확히 할 것과 파종시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파종하는 것이 양질의 매트상 묘를 얻는데 매우 중요한 요건이다.
그러나 작업자의 경험에 따라 수작업으로 종자를 뿌리는 경우에는 볍씨의 파종량이 정확하게 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볍씨가 육묘상자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뿌려지지 않게 되어 양질의 매트상 묘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파종기가 안출되었다.
그 예로서 가다오까 스끼오 등에 의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83-1824호와 같이 육묘상자를 일정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종자송출장치의 밑을 통과시킴으로써 육묘상자에 종자를 파종하는 장치와, 김 현기에 의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86-3057호와 같이 상자형 틀체의 바닥에 다수개의 간격유지봉에 의해 다수개의 종자낙하공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슬라이드판을 설치하여 종자낙하공의 하부를 슬라이드판으로 막은 상태에서 종자를 종자낙하공과 슬라이드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종자수납공간내에 균일하게 수납하고, 슬라이드판 하부에 육묘상자를 위치시킨 다음 슬라이드판을 슬라이딩시켜 여는 것에 의하여 종자수납공간내에 수납되어 있던 종자가 육묘상자위에 낙하되도록 한 파종기가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가다오까 스끼오 등의 장치에서는 자동적으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은 있으나, 종자의 크기와 함수량 또는 작업시의 습도 등에 의해 종자송출장치에서 송출되는 종자의 송출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양질의 매트상 묘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김 현기의 파종기에서는 종자낙하공과 슬라이드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종자수납공간이 일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자의 종류에 따라 파종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종자수납공간이 열리는 순간 수납되어 있던 종자가 직하방으로만 낙하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자수납공간의 직하방에만 파종되고 종자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간격유지봉의 직하방에는 파종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육묘상자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한 파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양질의 매트상 묘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자수납공간에 종자를 수납한 후 슬라이드판을 열때 종자수납공간이 일시에 열리지 않고 한쪽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열리기 때문에 파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자의 파종이 육묘상자의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져 양질의 매트상 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파종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종량을 종자의 종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자가 육묘상자의 전면에 걸쳐서 일시에 낙하되어 파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종과 복토를 일괄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묘상자를 안내하는 안내틀과 ; 이 안내틀의 도중에 육묘상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바닥면에 천공된 종자수납공으로, 하부는 종자낙하공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종자수납공간을 가지는 파종틀체와, 이 파종틀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종자수납공간의 종자낙하공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과, 이 회동개폐판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회동기구 및 이 연동회동기구를 작동시키는 파종조작핸들로 되는 파종부 및 이 안내틀의 도중에 육묘상자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바닥면에 천공된 흙수납공으로, 하부는 흙낙하공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흙수납공간을 가지는 복토틀체와, 이 복토틀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흙수납공간의 흙낙하공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과, 이 회동개폐판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회동기구 및 이 연동회동기구를 작동시키는 복토조작핸들로 되는 복토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종기에 의한 파종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부분 측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자의 파종과정을 보인 것이다. 여기서 제4도와 제5도는 파종부(2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부호와 복토부(3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부호를 병기하여 파종작동과 복토작동을 함께 설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위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틀(10)과, 이 안내틀(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파종부(20)와 복토부(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틀(10)은 한쌍의 안내부재(11, 12)를 다수개의 연결부재(13)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결된다.
안내틀(10)의 폭은 육묘상자(B)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안내부재(11, 12)가 육묘상자(B)의 양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5개의 육묘상자(B)를 연이어 올려놓을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각 연결부재(13)에는 육묘상자(B)의 저면에 구름접촉되는 안내롤러(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안내틀(10)을 구성하는 안내부재(11, 12)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결간(16)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각(15)이 고정설치되어 안내틀(10)이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내틀(10)의 최선단에는 정지편(17)이 부착되어 새로운 육묘상자를 계속해서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선단측으로 이동되는 육묘상자가 더이상 밀려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파종부(20)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틀(10)의 일측단에서 대략 육묘상자(B) 하나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육묘상자(B) 하나를 덮을 수 있는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복토부(30)는 파종부(20)에서 육묘상자(B) 하나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육묘상자(B) 하나를 덮을 수 있는 범위에 걸쳐서 설치된다.
파종부(20)는 상부는 바닥면(22)에 천공된 종자수납공(22a)으로, 하부는 종자낙하공(22b)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종자수납공간(23)을 가지는 파종틀체(21)와, 이 파종틀체(21)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종자수납공간(23)의 종자낙하공(22b)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24)과, 이 회동개폐판(24)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회동기구(25) 및 이 연동회동기구(25)를 작동시키는 파종조작핸들(27)로 구성된다.
파종틀체(21)는 상기 안내틀(10)의 양측 안내부재(11, 12)에 연결판체(18a)에 의해 일정 높이로 연결된다.
종자수납공(22a)은 바닥면(22)의 전장에 걸쳐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바닥면(22)의 양단부에 미천공부(22c)을 남김으로써 각 종자수납공간(23)에 수납되고 남은 종자를 모아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자수납공간(23)은 종자수납공공(22a)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하향절곡된 전, 후방 격벽(23a, 23b)에 의하여 형성되며, 격벽(23a, 23b)중 일측 격벽(23a)은 타측 격벽(23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개폐판(24)은 파종틀체(21)의 양측벽(21a, 21b)과 안내틀(10)의 안내부재(11, 12)를 연결하는 양측 연결판체(18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24a)에 말아감아서 고정되고 수평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그 자유단이 격벽(23a)에 닿게되고, 그 자유단이 격벽(23a)의 하단부를 향하는 경사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자유단과 격벽(23a) 사이에 종자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틈새가 형성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동회동기구(25)는 회동개폐판(24)의 회전축벽(24a)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파종틀체(21)의 연결판체(18a)으로 관통돌출된 단부에 형성된 크랭크부(26a)와, 연결판체(18a)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크랭크부(26a)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연동레버(26b)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부(26a)는 도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축(24a)을 연장단부에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별도의 크랭크를 제작하여 회전축(24a)의 단부에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연동회동기구(25)를 작동시키는 파종조작핸들(27)은 일단부가 상기 연결판체(18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부가 연동레버(27)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파종조작핸들(27)의 자유단부에는 손잡이(27a)가 설치된다.
또한 연결판체(18a)의 일측에는 연동레버(26b)의 일단부 상면의 상승 높이를 규제하는 파종향 조절편(28)이 승강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파종량 조절편(28)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체(18a)에 고정된 볼트(29a)가 관통되는 안내장공(28a)이 상, 하로 길게 형성되어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볼트(29a)에 체결되는 너트(29b)에 의하여 승강조절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너트(29b)는 나비너트를 사용함으로써 풀고 조이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파종량 조절편(28)의 하단에 연동레버(26b)의 상면이 걸리는 걸림편(28b)이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보강을 위한 절곡편(28b′)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복토부(30)는 상부는 바닥면(32)에 천공된 흙수납공(32a)으로, 하부는 흙낙하공(32b)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흙수납공간(33)을 가지는 복토틀체(31)와, 이 복토틀체(31)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흙수납공간(33)의 흙낙하공(32b)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34)과, 이 회동개폐판(34)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회동기구(35) 및 이 연동회동기구(35)를 작동시키는 복토조작핸들(37)로 구성된다.
상기 복토틀체(31)은 상기 안내틀(10)은 상양측 안내부채(11, 12)에 연결판체(18b)에 의해 일정 높이로 고정연결되어 있다.
흙수납공(32a)은 바닥면(32)의 전자에 걸쳐서 일정 간겨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바닥면(32)의 양단부에 미천공부(32c)을 남김으로써 각 종자수납공간(33)에 수납되고 남은 종자를 모아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자수납공간(33)은 흙수납공(32a)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된 전, 후방 격벽(33a, 33b)에 의하여 형성되며, 격벽(33a, 33b)중 일측 격벽(33a)은 타측 격벽(33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개폐판(34)은 복토틀체(31)의 양측벽(31a, 31b)가 안내틀(10)의 양측 안내부재(11, 12)을 연결하는 연결판체(18b)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34a)에 말아감아서 고정되고 수평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그 자유단이 격벽(33a)에 닿게되고, 그 자유단이 격벽(33a)의 하단부를 향하는 경사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자유단과 격벽(33a) 사이에 종자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틈새가 형성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동회동기구(35)는 회동개폐판(34)의 회전축(34a)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복토틀체(31)의 측벽(31a)으로 관통돌출된 단부에 형성된 크랭크부(36a)와, 연결판체(18b)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크랭크부(36a)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연동레버(36b)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부(36a)는 도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축(34a)을 연장단부에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별도의 크랭크를 제작하여 회전축(34a)의 단부에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연동회동기구(35)를 작동시키는 복토조작핸들(37)은 그 일단부가 상기 연결판체(18b)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가부가 연동레버(37)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복토조작핸들(37)의 자유단부에는 손잡이(37a)가 설치된다.
또한 연결판체(18b)의 일측에는 연동레버(36b)의 일단부 상면의 상승 높이를 규제하는 복토량 조절편(38)이 승강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복토량 조절편(38)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체(18b)에 고정된 볼트(39a)가 관통되는 안내장공(38a)이 상, 하로 길게 형성되어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볼트(39a)에 체결되는 너트(39b)에 의하여 승강조절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너트(39b)는 나비너트를 사용함으로써 풀고 조이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복토량 조절편(38)의 하단에 연동레버(36b)의 상면이 걸리는 걸림편(38b)이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보강을 위한 절곡편(38b′)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종기에 의하여 파종하기 위하여 육묘상자(B)를 안내틀(10)의 최후단에서 파종부(20)밑으로 계속해서 밀어넣으면 먼저 밀어넣은 육묘상자는 안내틀(10)의 최후단→파종부(20)밑→파종부(20)와 복토부(30) 사이의 공간부→복토부(30)밑→안내틀(10)의 최선단으로 이동되며, 최선단에 이른 육묘상자(B)는 안내틀(10)의 최선단에 부착된 정지편(17)에 걸려서 더이상 밀려나가지 않게 되며, 이에따라 파종부(20)와 복토부(30)의 하부에는 항상 파종 또는 복토할 육묘상자가 위치하게 된다.
파종부(20)에서 육묘상자(B)에 파종함에 있어서는 파종부(20)의 파종조작핸들(27)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그 중간부에 연결된 연동레버(26b)가 우측으로 이동 및 상승되면서 이에 연결된 각 회전축(24a)에 형성된 크랭크부(26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회전축(24a)에 결합된 회동개폐판(2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4a도와 같이 종자낙하공(22b)을 막게되고, 제5a도와 같이 연동레버(26b)는 그 일측단 상면이 파종량 조절편(28)의 하단 걸림편(28b)에 걸린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파종틀체(21)의 바닥면(22)위에 파종할 종자(C)를 쏟아넣고 솔이나 빗자루(40)로 쓸거나 막대 등으로 긁어서 종자(C)가 종자수납공간(23)내로 고루 수납되도록 한다.
종자수납공간(23)내로 수납되고 남은 종자(C)들은 바닥면(22)의 미천공부(22c)측으로 밀어놓는다.
종자(C)의 수납이 완료되면 바닥에 흙(S)을 깐 육묘상자(B)를 안내틀(10)의 최후단부에 올려놓고 파종부(20)의 밑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제5b도와 같이 파종조작핸들(27)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파종조작핸들(27)의 중간부에 연결된 연동레버(26b)가 좌측으로 이동 및 하강하게 되며 이에따라 연동레버(26b)에 연결된 크랭트부(26a)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이 크랭크부(26a)가 일체로된 회전축(24a)에 결합된 회동개폐판(2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종자낙하공(22b)을 개방하게 되어 종자수납공간(23)내에 수납되었던 종자(C)가 낙하하여 그 밑에 위치해 있는 육묘상자(B)에 파종된다.
회동개폐판(2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종자낙하공(22b)을 개방하는 과정을 보면, 제4b도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회동개폐판(24)이 경사지게 된 상태에서 격벽(23a)의 하단과 회동개폐판(24)의 선단 사이의 간극이 종자(C)의 굵기보다 약간 크게 되므로 종자(C)는 제4b도의 실선표시와 같이 회동개폐판(24)이 수직으로 되기전에 경사진 회동개폐판(24)을 따라서 굴러내리기 시작하므로 종자낙하공(22b)의 직하방 뿐만 아니라 종자낙하공(22b)들 사이의 직하방에도 종자(C)가 파종되어 육묘상자(B)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파종이 완료되고 바닥에 흙을 깐 육묘상자(B)를 다시 안내틀(10)의 최후단으로부터 파종부(20)밑으로 밀어넣으면 새로 밀어넣은 육묘상자가 종자(C)의 파종이 완료된 육묘상자(B)를 복토부(30)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되는 바 파종부(20)와 복토부(30) 사이에는 육묘상자(B) 하나가 들어갈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그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파종부(20)밑에 밀어넣은 육묘상자(B)에 상술한 방법으로 파종한 다음 다시 새로운 육묘상자를 파종부(20)밑으로 밀어넣으면 파종완료된 육묘상자와 그 전에 파종완료된 육묘상자가 연속적으로 밀려서 이동하게 되고 먼저 파종완료된 육묘상자는 복토부(30)의 밑에 위치하게 된다.
복토부(30)에 의한 복토작동은 상술한 파종부(20)에 의한 파종작동과 같으므로 제4도 및 제5도에서는 하나의 부분에 파종부(2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부호와 복토부(3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부호를 병기하고 별도의 도면을 생략한다.
복토부(30)에서 파종완료된 육묘상자(B)에 복토함에 있어서는 복토부(30)의 복토조작핸들(37)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그 중간부에 연결된 연동레버(36b)가 우측으로 이동 및 상승되면서 이에 연결된 각 회전축(34a)에 현성된 크랭크부(36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회전축(34a)에 결합된 회동개폐판(3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4a도와 같이 흙낙하공(32b)을 막게 되고, 제5a도와 같이 연동레버(36b)는 그 일측단 상면이 복토량 조절편(38)의 하단 걸림편(38b)에 걸린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복토틀체(31)의 바닥면(32) 위에 복토할 흙(S)를 쏟아넣고 솔이나 빗나루(40)로 쓸거나 막대 등으로 긁어서 흙(S)이 흙수납공간(33)내로 고루 수납되도록 한다.
흙수납공간(33)내로 수납되고 남은 흙(S)들은 바닥면(32)의 미천공부(32c)측으로 밀어놓는다.
이 상태에서 제5b도와 같이 복토조작핸들(37)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복토조작핸들(37)의 중간부에 연결된 연동레버(36b)가 좌측으로 이동 및 하강하게 되며 이에따라 연동레버(36b)에 연결된 크랭크부(36a)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이 크랭크부(36a)가 일체로 된 회전축(34a)에 결합된 회동개폐판(3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흙낙하공(32b)을 개방하게 되어 흙수납공간(33)에 수납되었던 흙(S)이 낙하되어 그 하부에 위히채 있는 육묘상자(B)에 복토된다.
회동개폐판(3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흙낙하공(32b)을 개방하는 과정을 보면, 제4b도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회동개폐판(34)이 경사지게 된 상태에서 격벽(33a)의 하단과 회동개폐판(34)의 선단 사이의 간극이 흙(S)의 굵기보다 약간 크게되므로 흙(S)은 제4b도의 실선표시와 같이 회동개폐관(34)이 수직으로 되기전에 경사진 회동개폐판(34)을 따라서 굴러내리기 시작하게 되므로 흙낙하공(32b)의 직하방 뿐만 아니라 흙낙하공(32b)들 사이의 직하방에도 흙(S)이 복토되어 육묘상자(B)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한 복토가 이루어지게 된다.
흙(S)의 수납이 완료된 육묘상자(B)는 복토하기 위하여 새로운 육묘상자를 복토부(30)측으로 밀어넣을때 밀려서 제3도의 우측끝부분과 같이 복토부(30)에서 빠져나와 동依낼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제6a도, b도는 파종량 및 복토량의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6a도는 파종량 및 복토량을 최대로 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제6b도는 파종량 및 복토량을 최소로 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파종량과 복토량은 종자수납공간(23)과 흙수납공간(33)의 용적에 의해 결정되며, 이 용적은 회동개폐판(24) 및 (34)의 상승 높이에 의해 결정되고, 회동개폐판(24) 및 (34)의 상승 높이는 연동레버(26b) 및 (36b)의 우측으로서 이동거리 및 상승 높이에 의해 결정되며, 연동레버(26b) 및 (36b)의 우측으로의 이동거리 및 상승 높이는 파종량 조절편(28) 및 복토량 조절편(38)의 하단 높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들 조절편(28) 및 (38)의 하단걸림편(28b) 및 (38b)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6a도와 같이 파종량 또는 복토량을 최대로 함에 있어서는 상기 파종량 조절편(28) 또는 복토량조절편(38)을 파종량 조절편(28) 또는 복토량 조절편(38)에 천공된 안내장공(28a) 또는 (38a)의 상단이 파종틀체(21) 또는 복토틀체(31)의 측벽(21a) 또는 (31a)에 고정된 볼트(29a) 또는 (39a)에 접촉되는 하한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볼트(29b) 또는 (39b)에 체결된 너트(29c) 또는 (39c)를 조여 고정시키면 연동레버(26b) 또는 (36b)의 상승될 수 있는 상한높이가 낮게 되어 이에 연동되는 회동개폐판(24) 또는 (3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각도가 작게되므로 종자수납공간(23) 또는 흙수납공간(33)의 깊이가 최대로 되어 종자 또는 흙의 수납량, 즉 파종량 또는 복토량이 최대로 되는 것이다.
한편, 제6b도와 같이 파종량 또는 복토량을 최소로 함에 있어서는 상기 파종량 조절편(28) 또는 복토량 조절편(38)을 파종량 조절편(28) 또는 복토량 조절편(38)에 천공된 안내장공(28a) 또는 (38a)의 하단이 파종틀체(21) 또는 복토틀체(31)의 측벽(21a) 또는 (31a)에 고정된 볼트(29a) 또는 (39a)에 접촉되는 상한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볼트(29b) 또는 (39b)에 체결된 너트(29c) 또는(39c)를 조여 고정시키면 연동레버(26b) 또는 (36b)의 상승될 수 있는 상한 높이가 놓게 되어 이에 연동되는 회동개폐판(24) 또는 (3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각도가 크게되므로 종자수납공간(23) 또는 흙수납공간(33)의 깊이가 최소로 되어 종자 또는 흙의 수납량, 즉 파종량 또는 복토량이 최소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자수납공간과 흙수납공간 하단의 종자낙하공과 흙낙하공을 회동개폐판으로 막은 상태에서 종자와 흙을 수납한 다음 회동개폐판을 회동시켜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수납된 종자의 파종과 흙의 복토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동개폐판이 회동하여 개방될때 회동개폐판이 완전히 개방되어 수직을 이루기 전에 회동개폐판이 경사진 상태에서 종자와 흙이 낙하되어 파종 및 복토되는 것이므로 종자낙하공 및 흙낙하공의 직하방 뿐만 아니라 이들 낙하공 사이 부분의 직하방에도 파종 및 복토되는 등 파종 및 복토가 육묘상자의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동레버의 우측으로의 이동 거리 및 상승 높이르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종자 및 흙의 수납량을 결정하는 회동개폐판의 상승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파종량 및 복토량을 종자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종자수납공간 및 흙수납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는 종자낙하공 및 흙낙하공을 회동개폐판에 의하여 일시에 열어 종자 및 흙이 일시에 낙하되면서 파종 및 복토되도록 하였으므로 파종 및 복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안내틀에 파종부와 복토부를 설치하여 파종완료된 육묘상자를 복토부로 이동시켜 복토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파종과 복토를 일괄 작업으로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1)

  1. 육묘상자(B)를 안내하는 안내틀(10)과 ; 이 안내틀(10)의 도중에 육묘상자(B)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바닥면(22)에 천공된 종자수납공(22a)으로, 하부는 종자낙하공(22b)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종자수납공간(23)을 가지는 파종틀체(21)와, 이 파종틀체(21)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종자수납공간(23)의 종자낙하공(22b)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24)과, 이 회동개폐판(24)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회동기구(25) 및 이 연동회동기구(25)를 작동시키는 파종조작핸들(27)로 되는 파종부(20) 및 ; 이 안내틀(10)의 도중에 육묘상자(B)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바닥면(32)에 천공된 흙수납공(32a)으로, 하부는 흙낙하공(32b)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흙수납공간(33)을 가지는 복토틀체(31)와, 이 복토틀체(31)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흙수납공간(33)의 흙낙하공(32b)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34)과, 이 회동개폐판(34)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회동기구(35) 및 이 연동회동기구(35)를 작동시키는 복토조작핸들(37)로 되는 복토부(3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틀(10)은 다수개의 육묘상자(B)가 동시에 연이어 올려놓아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함과 아울러 파종부(20)와 복토부(30)는 안내틀(10)에 올려놓아진 육묘상자(B)중 어느 하나가 파종부(20)와 복토부(30)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틀(10)의 최선단부에는 육묘상자(B)가 걸려 정지되는 정지편(17)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틀체(21)의 바닥면(22) 양단부에는 미천공부(22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동기구(25)는 회동개폐판(24)의 회전축(24a)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파종틀체(21)의 측벽(21a)과 상기 안내틀(10)의 양측 안내부재(11, 12)를 연결하는 연결판체(18a)에 관통돌출된 단부에 형성된 크랭크부(26a)와, 연결판체(18a)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크랭크부(26a)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연동레버(26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조작핸들(27)은 그 일단부가 상기 연결판체(18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부가 상기 연동레버(27)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체(18a)의 일측에는 연동레버(26b)의 일단부 상면의 상승높이를 규제하는 파종량 조절편(28)이 승강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틀체(31)의 바닥면(32) 양단부에는 미천공부(22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동기구(35)는 회동개페판(34)의 회전축(34a)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복토틀체(31)의 측벽(31a)과 안내틀(10)의 양측 안내부재(11, 12)를 연결하는 연결판체(18b)에 관통돌출된 단부에 형성된 크랭크부(36a)와, 연결판체(18b)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크랭크부(36a)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연동레버(36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조작핸들(37)은 그 일단부가 상기 연결판체(18b)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부가 상기 연동레버(37)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체(18b)의 일측에는 연동레버(36)의 일단부 상면의 상승높이를 규제하는 파종량 조절편(38)이 승강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KR1019930014238A 1993-07-26 1993-07-26 파종기 KR960002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238A KR960002937B1 (ko) 1993-07-26 1993-07-26 파종기
JP5270837A JPH0799970B2 (ja) 1993-07-26 1993-10-28 播種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238A KR960002937B1 (ko) 1993-07-26 1993-07-26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566A KR950002566A (ko) 1995-02-16
KR960002937B1 true KR960002937B1 (ko) 1996-03-02

Family

ID=1936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238A KR960002937B1 (ko) 1993-07-26 1993-07-26 파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99970B2 (ko)
KR (1) KR960002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6748A (zh) * 2017-04-01 2017-06-20 江苏永涛实业有限公司 一种育秧机播种调节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566A (ko) 1995-02-16
JPH0799970B2 (ja) 1995-11-01
JPH07123810A (ja)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307B1 (ko) 버킷 조절형 마늘파종기
CN111264143A (zh) 一种设施农业种植播种器
KR20100087875A (ko)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CN207022452U (zh) 一种三行棉花播种机
KR960002937B1 (ko) 파종기
CN109892066A (zh) 一种玉米定向施肥播种机
CN101485249B (zh) 保墒播种机
EP3763185A1 (en) Agricultural implement and method for precision-controlling fertilizer metering units
KR20190045694A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CN112400387A (zh) 一种同步松土、开沟、播种、覆膜的耕种方法
CN207476152U (zh) 播种机及播种设备
JPH0433697Y2 (ko)
CN220712038U (zh) 一种可控量的大豆播种机
CN219437545U (zh) 一种深度可调节的小麦种植用播种装置
CN109328560A (zh) 一种均匀撒种装置
CN219893808U (zh) 一种覆土均匀的秧盘育秧播种机
CN220570965U (zh) 一种多功能播种机
CN207820536U (zh) 一种播种机用肥箱
CN217336410U (zh) 一种用于育种的自动化播种装置
CN220858887U (zh) 一种撒种机
US2167023A (en) Side dressing apparatus for planters
KR200329334Y1 (ko) 볍씨 파종기
RU196474U1 (ru) Посевная секция зернотуковой сеялки
UA80340C2 (en) Device for sowing seed and fertilizers in holes
KR20050011826A (ko) 볍씨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