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67Y1 -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67Y1
KR960002467Y1 KR2019930010415U KR930010415U KR960002467Y1 KR 960002467 Y1 KR960002467 Y1 KR 960002467Y1 KR 2019930010415 U KR2019930010415 U KR 2019930010415U KR 930010415 U KR930010415 U KR 930010415U KR 960002467 Y1 KR960002467 Y1 KR 960002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plate
clamp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417U (ko
Inventor
김순구
Original Assignee
김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구 filed Critical 김순구
Priority to KR2019930010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67Y1/ko
Publication of KR9500014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작업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a)는 받침부의 사용 상태 예시 평면도
(b)는 (a)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a)는 다리부의 정면도
(b)는 (a)에서 지지목이 삽착된 상태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레버부분의 사시도
제5도는 클램프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a)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
(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받침부
13, 14, 27, 42 : 나사못삽입공 20 : 다리부
21 : 지지판 22 : 지지벽
30 : 클램프 31 : 본체
32 : 레버 40 : 고정판
41 : 걸림턱 43 : 안내홈
50 : 지지대 51 : 발판
52 : 연결대
본 고안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의 높이와 넓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불규칙한 바닥면에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건축물의 시공시 또는 보수시에 다용도로 쓰이고 있지만 지형지물의 형태와 작업위치에 따라서 사용 변경을 해야하는 폐단으로 인하여 인력과 시간 및 자원의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즉, 미장이나, 타일, 페인팅등의 공사시 작업자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벽면이나 천정을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 대부분의 기존 작업대는 목재에 못이나 철사를 고정제로 하여 만든 것으로 운반 및 보관이 어려운 관계로 인하여 제 사용이 불편해서 다시 제작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 왔다.
또한, 작업대의 설치가 어려운 지형에서는 그 높이 만큼의 받침대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견고함이 결여된 받침대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해왔던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면 첫째로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고, 둘째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으로 대변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받침부와 다리부가 일체로된 본체에 발판을 안치하여 나사못등으로 작업대를 구성하는 것으로 조립이 쉽고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한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형의 본체(1)의 상면을 받침부(10), 측면을 다리부(20)로 하여 받침부(10)에는 다수의 나사못 삽입공(13)(14)이 천공되어 있으며, 양측단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측벽(11)에 의해 저면 내측에는 연결대(52)를 삽지할 수 있는 삽지홈(12)이 형성되고 양연단에는 안내홈(43)과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턱(41)을 가진고정판(40)이 입설 융착되어 발판(51)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고 본체(1)의 양측면을 다리부(20)에는 지지판(21)에서 절취한 연장편(25)이 일체로 된 지지벽(22)이 절곡되고, 내측에는 지지대(50)을 삽설할 수 있는 삽설홈(23)이 형성되어지며, 다리부(20)의 내면으로는 지지판(21)과 레버(31)에 걸쳐져 있는 스프링(26)에 내삽된 환봉(24)이 클램프(30)의 삽입공(33)과 통공(28)을 연하여 삽입 체결되어지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4는 돌출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의 예시와 같이 받침부(10)를 대칭하여 놓고 삽지홈(12)에 삽지될 수 있도록 한쪽을 작게 구성하여 삽지한후 발판(51)에 맞도록 나사못 삽입공(13)(14)을 선택적으로 맞추고 상면 양연단에 입설 융착된 고정판(40)의 내측으로 발판(51)을 안치한 후 나사못 삽입공(42)에 나사못을 체결하는 것이다.
제2도의 (b)는 받침부(10)의 다른 연결 방법으로 연결대(52)를 삽지홈(12)에 내삽하여 나사못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발판(51)의 넓이에 맞추어 조절하거나 몇개의 발판(51)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발판(51)은 목재 뿐만 아니라 금속, 합성수지등 작업자가 작업을 행할때 휘어 지거나 절단되지 않는 것이면 가능하다.
작업대의 높이 조절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체 (1)의 양측면 다리부(20)의 지지벽(22) 내면에 지지대(50)를 삽착, 스프링(26)의 힘에 의하여 클램프(30)의 본체(31)을 밀어 돌출부(34)가 지지대(50)를 고정하도록 한다.
클램프(30)의 예시도로써 일측에는 레버(32)를 가지고 양측으로 삽입공(13)을 가져 레버(32)는 다리부(20)의 내측으로 향하게 하여 양연장편(25)의 통공(28)에 맞추어 환봉(24)을 삽입, 고정시키며 환봉(24)을 축으로 일측은 지지판(21)에, 일측은 레버(32)에 걸쳐져진 스프링(26)을 레버(32)가 하방으로 밀고 클램프(30)의 본체(31) 부위는 지지대(50)의 방향으로 힘을 가해 지지대(50)를 고정하며, 반대로 레버(32)를 당기면 클램프(30)의 본체(31)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을 해 지지대(50)가 풀어져 지지대(50)의 높이를 조절 가능케 한 것이다.
클램프(31)의 본체(31)에는 돌출부(32)는 지지대(50)의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를 두어 지지대(50)를 보다 단단히 고정할 수도 있다.
제6도는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한쌍의 본체(1)를 발판(51)의 길이에 맞게 놓고 연결대(52)를 조절한 후 받침부(10) 상면의 고정판(40) 내측으로 뻗어 이루어진 걸림턱(41) 상면으로 발판(51)을 안치하여, 작업에 필요한 작업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형에 따라서는 발판(51)의 한측에만 본체(1)를 세우고 타측에는 지형을 이용하여 작업대를 설치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작업대는 발판(51)의 넓이 및 높이 조절을 자유로이할 수가 있어 작업의 현장에서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 작업대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행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수가 있으며 작업을 마친 경우에는 조립의 역순으로 분해하면 기존의 작업대보다 부피가 작아,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형의 본체(1)의 상면을 받침부(10), 측면을 다리부(20)로 하여 받침부(10)에는 다수의 나사못삽입공(13)(14)이 천공되어 있으며, 양측단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측벽(11)에 의해 저면 내측에는 연결대(52)를 삽지할 수 있는 삽지홈(12)이 형성되고 양 연단에는 안내홈(43)과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턱(41)을 가진 고정판(40)이 입설 융착되어 발판(51)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고 본체(1)의 양측면을 다리부(20)에는 지지판(21)에서 절취한 연장편(25)이 일체로된 지지벽(22)이 절곡되고 나사못 삽입공(27)을 가지며, 내측에는 지지대(50)을 삽설할 수 있는 삽설홈(23)이 형성되어 지며, 다리부(20)의 내면으로는 지지판(21)과 레버(31)에걸쳐져 있는 스프링(26)에 내삽된 환봉(24)이 클램프(30)의 삽입공(33)과 통공(28)을 연하여 삽입하고 클램프(30)의 본체(31) 중앙에는 돌출부(34)가 있어 지지대(50)를 고정케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업대
KR2019930010415U 1993-06-14 1993-06-14 작업대 KR960002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415U KR960002467Y1 (ko) 1993-06-14 1993-06-14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415U KR960002467Y1 (ko) 1993-06-14 1993-06-14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17U KR950001417U (ko) 1995-01-04
KR960002467Y1 true KR960002467Y1 (ko) 1996-03-25

Family

ID=1935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415U KR960002467Y1 (ko) 1993-06-14 1993-06-14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17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4515A (en) Hanger bar for ceiling fixtures
CA2619115C (en) Adjustable electrical box hanger bar assembly
AU5932499A (en) Anchoring biscuit device
CA2123482A1 (en) Tool for positioning joist hanger on header
US4743004A (en) Coping jig
US6810996B2 (en) Bracket for a sawhorse and other multiple piece stands
US4805315A (en) Free standing squaring tool with open corners
KR960002467Y1 (ko) 작업대
US6272951B1 (en) Joist hanger mounting tool
JP4053098B2 (ja) 足場装置
CA2072290A1 (en) Forming leveling tool
JPS5939024B2 (ja) 自立性構造物の組立具
US4372516A (en) Shelf mounting bracket and assembly
JPH01256662A (ja) アウトレツトボツクスの設定具
US5312095A (en) Joist hangar installation tool
GB2249604A (en) Pipe bracket
US4822209A (en) Elongated concrete groover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KR102669495B1 (ko) 거치형 사다리
KR200250962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고정너트
KR19990022285U (ko) 건축용 거푸집 어깨걸이
JP3045667B2 (ja) 枠組足場用敷板
KR20170111425A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GB2274700A (en) Pipe bracket
GB2053670A (en) Tres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