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62B1 -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62B1
KR960002462B1 KR1019930007113A KR930007113A KR960002462B1 KR 960002462 B1 KR960002462 B1 KR 960002462B1 KR 1019930007113 A KR1019930007113 A KR 1019930007113A KR 930007113 A KR930007113 A KR 930007113A KR 960002462 B1 KR960002462 B1 KR 960002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high frequency
magnetron
cooking cha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62B1/ko

Links

Landscapes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이 전자렌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a도는 입사파가 진행되는 상태를 예시한 본 발명의 평단면도, (b)는 반사파가 진행되는 상태를 예시한 본 발명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파관 11 : 주 도파관
12 : 보조 도파관 20 : 입벽
21 : 유통구 30 : 마그네트론
40 : 조리실 A,B,C : 개구부
D : 입구
본 발명은 전장실의 일측에 부착되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조리실로 안내 유도하도록 한 도파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주파의 가열분포를 개선하고 마그네트론으로 되돌아오는 반사파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의 조리실 일측 도파관에는 마그네트론을 설치하여 고주파를 발생하도록 구성한 것인데, 주로 전장실의 저면판에 취부된 고압트랜스의 제1차 및 2차 유도코일이 상호 유도 작용을 하여 생성된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마그네트론에 인가함에 따라 마그네트론이 고주파를 생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된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조사(照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주파가 조리실 내부에 조사된 후에는 조리실 내벽면에 일정각도로 고주파가 반사되면서 음식물에 전달되는 것인데, 특히 고주파가 조리실 벽면에 반사될 때 항시 일정한 각으로 반사되는 것인바 고주파가 음식물의 특정부위에 집중적으로 조사되어 음식물이 국부가열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조리실 상부면에 스터러 팬이 축설된 스터러 커버(STIRRER COVER)를 부착토록 하므로서 스터러 팬이 회전할 때 이에 삽지된 보조철편이 따라서 회전되면서 고주파가 분산되게 반사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국부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었으며, 또한 음식물이 회전되는 트레이위에 놓여지게 하여 고주파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구성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 전자의 경우와 같이 조실 상부면에 스터러 커버를 부설하는 종래의 기술은 고주파를 분산시키는 효과는 있는 것이나, 스터러 팬과 이에 삽지된 보조철편 등을 설치함에 따르는 문제즉, 재료비가 증가되는 폐단 및 설치구조가 복잡한 문제점과 이와같은 스터러 팬을 회동시키는 풍력을 유도시킬 수 있는 윈드 가이드(WIND GIDE)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둘째 ; 후자의 경우에는 트레이를 회동시킬 수 있는 모터를 설치해야 하는 것인바,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 및 비교적 고가품인 모터를 설치해야 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세째 ; 상기와 같은 양자의 기술구성들은 도파관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조리실 내부에 조사된 고주파의 입사파가 반사되어 개구부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반사파에 의하여 마그네트론이 영향을 받아 마그네트론의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파관의 개구부로 고주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리실 내부로 고주파를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조사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의 도파관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마그네트론(3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가 조리실(40)로 조사되도록 한 도파관(10)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파관(10)의 중앙에 최소한 한개 이상의 유통구(21)를 가진 입벽(20)을 설치하여 도파관(10)을 주 도파관(11)과 보조 도파관(12)으로 나누어 형성하되 입구(D)가 형성된 주 도파관(11)의 일측 바닥면에는 개구부(A)를 형성하고, 보조 도파관(12)의 양측 바닥면에는 개구부(B)(C)를 형성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40)은 조리실이고, (31)은 마그네트론(30)의 안테나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제2a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마그네트론(30)이 안테나(31)에서 발생된 고주파의 입사파가 주 도파관(11)의 입구(D)를 통과하여 주 도파관(11)의 끝단 바닥면에 뚫려진 개구부(A)를 통해서 조리실(40) 내부로 조사되는 것인데, 이때 일부의 입사파는 주 도파관(11)으로 진행하면서 입벽(20)에 형성된 유통구(21)를 통과하여 보조 도파관(12)으로 유입된 후 보조 도파관(12)의 끝단 바닥면에 뚫려진 개구부(B)를 통해서 조리실 내부로 조사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현상을 고주파의 파장을 λ라고 했을 때 고주파 진행방향의인 지점에 일정크기의 유통구(21)를 뚫어 놓으면 고주파의 일부가 유통구(21)를 통과하는 고주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에서도 주 도파관(11)의 입구(D)와 입벽(20)의 유통구(21)와의 간격은로 형성한 것이고 유통구(21)와 유통구(21) 사이의 간격도로 형성하므로서 주 도파관(11)을 진행하는 고주파의 입사파가 효과적으로 보조 도파관(12)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보조 도파관(12)의 개구부(B)를 통해 조리실로 조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마그네트론(30)에서 발생된 고주파의 입사파가 주 도파관(11)의 개구부(A)와 보조 도파관(12)의 개구부(B)를 통해 조리실(40)로 유입된 후 조리실(40)의 내벽면 등에 반사되어 다시 개구부(A)(B)를 통하여 주 도파관(11) 및 보조 도파관(12)으로 유입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고주파의 반사파는 제2a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고주파의 특성에 의한 도파관(10)의 방향성 결합기의 원칙에 의하여 보조 도파관(12)의 개구부(C)를 통하여 다시 조리실(40)로 유입되어 음식물에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1개의 도파관을 통하여 고주파가 조리실(40)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주 도파관(11) 및 보조 도파관(12)에 뚫려진 최소한 3개 이상의 개구부(A)(B)(C)를 통하여 고주파의 입사파가 조리실(40)로 유입되는 것인바, 캐비티 본체의 조리실(40)로 유입되는 경로가 여러곳이므로 고주파의 가열 분포가 확산되어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구부(A)(B)를 통하여 반사되는 고주파의 반사파는 대부분이 개구부(C)를 통하여 조리실(40) 내부로 다시 유입되고 미세한 반사파가 마그네트론(30)이 설치된 입구(D)로 유입되나 입구(D)로 조사되는 고주파의 입사파와 마주치게 되어 대부분이 상쇄되는 것인바 마그네트론(30)이 반사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기기의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입벽(20)에 뚫려진 유통구(21)는 마그네트론(30)이 조사되는 입구(D)와의 거리를로 유지하는 것 이외에도 유통구(21)의 폭을 3㎜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고주파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의 크기가 최소한 3㎜ 이상인 점을 감안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도파관(10)을 주 도파관(11)과 보조 도파관(12)으로 나누고 이들의 바닥면에 다수의 개구부(A)(B)(C)를 형성한 후 고주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고주파가 상기한 개구부(A)(B)(C)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므로서 음식물이 국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마그네트론(30)으로 반사되는 고주파의 반사파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인바 마그네트론의 수명을 상당히 늘릴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마그네트론(3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가 조리실(40)로 조사되도록 한 도파관(10)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파관(10)의 중앙에 최소한 한개 이상의 유통구(21)를 가진 입벽(20)을 설치하여 도파관(10)을 주 도파관(11)과 보조 도파관(12)으로 나누어 형성하되 입구(D)가 형성된 주 도파관(11)의 일측 바닥면에는 개구부(A)를 형성하고, 보조 도파관(12)의 양측 바닥면에는 개구부(B)(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저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입벽(20)에 뚫려진 유통구(21)와 도파관(10)의 입구(D) 및 유통구(21)와 유통구(21) 사이의 간격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유통구(21)의 폭을 최소한 3㎜ 이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KR1019930007113A 1993-04-27 1993-04-27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KR960002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113A KR960002462B1 (ko) 1993-04-27 1993-04-27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113A KR960002462B1 (ko) 1993-04-27 1993-04-27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462B1 true KR960002462B1 (ko) 1996-02-17

Family

ID=1935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113A KR960002462B1 (ko) 1993-04-27 1993-04-27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6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0652C (zh) 微波炉门的屏蔽电磁波的设备
CA1050121A (en) Microwave oven with surface mode transmission
EP1515589B1 (en) Door assembly of microwave oven
JPH10106741A (ja) 電子レンジの導波管システム
KR100200063B1 (ko) 전자렌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EP0148562B1 (en) High frequency heating unit
US4463239A (en) Rotating slot antenna arrangement for microwave oven
KR850000580B1 (ko) 마이크로파 오븐의 균일가열 장치
GB2129121A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KR960002462B1 (ko) 전자렌지용 도파관의 구조
US3430022A (en) Microwave oven
CA1114453A (en) Combination microwave and resistively heated oven
US5935479A (en) Microwave oven with two microwave output apertures
GB2127259A (en) High-frequency heating appliance
KR200154601Y1 (ko) 전자 렌지의 마이크로파 방사 구조
KR100284084B1 (ko) 전자렌지
KR200373470Y1 (ko) 전자레인지
KR200154603Y1 (ko) 전자 렌지용 마이크로파 조절 구조
KR940004005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장치
KR950014717A (ko) 전자렌인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JP3690094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896311B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JP3192784B2 (ja) 電子レンジ
KR200239617Y1 (ko) 전자렌지
KR20220161028A (ko) 전기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