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24B1 - 집진표시기 - Google Patents

집진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24B1
KR960001124B1 KR1019940006784A KR19940006784A KR960001124B1 KR 960001124 B1 KR960001124 B1 KR 960001124B1 KR 1019940006784 A KR1019940006784 A KR 1019940006784A KR 19940006784 A KR19940006784 A KR 19940006784A KR 960001124 B1 KR960001124 B1 KR 96000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ston
dust
dust collecting
transpar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475A (ko
Inventor
김숙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24B1/ko
Publication of KR95002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진표시기
제1도는 종래의 집진표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의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관 2 : 피스톤
3 : 조절기 4 : 연결관
5 : 조절마개 6 : 스프링
8 : 돌기 9 : 스프링고정구
10 : 홈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집진표시기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그 안의 스프링의 압축도를 조절하여 표시되는 집진의 정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집진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의 진공청소기는 보조필터가 고정되어 질 수 있는 흡기구를 갖는 분리벽에 의하여 구획된 집진실과 전동송풍실을 갖는 본체부, 흡입브러쉬가 일측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질 수 있고, 손잡이부가 역시 타측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는 다수개의 분리관으로 구성된 연장관 및 상기 본체부와 연장관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전동송풍실내에 취부된 전동송풍기의 회전에 의하여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전동송풍실과 상기 분리벽의 흡기구를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 집진실에 감압이 발생한다. 상기 집진실은 상기 분리벽의 흡기구와 주름관 취부구조를 제외하고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전동송풍실로부터 발생되어지는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어지는 공기흐름은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연장관의 흡입브러쉬에 흡입되어 상기 연장과,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 취부구조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내로 유입되어지며, 상기 주름관 취부구조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먼지봉투속을 통과하여 거의 대부분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먼지봉투내에 잔류하게 되고, 먼지봉투 자체에 의항여 걸러진 깨끗한 공기흐름만이 전동송풍실 쪽으로 흡입된다. 따라서, 먼지봉투에 먼지등의 이물질이 많이 누적되는 경우에는 공기흐름이 상당한 저항을 받게되고, 상기 집진실에는 항상 동일한 흡입력이 적용되기 때문에 모터의 과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먼지봉투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이 누적되기 전에 적절한 시기에 먼지봉투를 교체하여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집진표시기를 청소기 본체의 외면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고정시켰다. 제1도에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도시한 종래의 집진표시기는 투명관(1)의 내부에 적어도 두가지 색상 즉, 파란색과 붉은색을 갖는 피스톤(2)과 상기 피스톤(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관(1)의 일측부에는 조절마개(5)가 형성된 단부가 연장관 등에 의하여 대기압을 받도록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고, 그 타측단부는 집진실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대기압과 집진실내의 공기압의 차이에 의하여 그 기압차가 적은 경우 즉, 공기흐름이 먼지봉투내의 먼지 등에 의하여 덜 저항을 받는 경우에는 그 기압차가 상기 스프링(6)의 탄성을 극복할 수 없으므로 집진표시기의 표시창에는 파란색 부분에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봉투를 교환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대기압과 집진실내의 공기압의 차이에 의하여 그 기압차가 큰 경우, 공기흐름이 먼지봉투내의 먼지 등에 의하여 상당한 저항을 받는 경우에는 그 기압차가 상기 스프링(12)의 탄성을 극복하게 되어 집진표시기의 표시창에는 붉은색 부분이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봉투를 교환하여야 할 시기를 감지하여 청소를 중단하고, 먼지봉투를 새것으로 교환한 후 계속 청소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집진표시기는 그 작동원리상 기압차를 이용하여야 하며, 그 기압차는 결국 집진표시기내의 스프링(6)의 반발력과 청소기의 전동송풍기의 흡입능력에 따라 좌우되어지며, 이는 청소기에서 사용되어지는 전동모터의 출력과 전동모터의 작동전압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더우기, 집진표시기는 일률적으로 제작되어지므로 청소기를 제작하는 메이커측에서는 각 청소기의 사양별로 서로다른 집진표시기를 제작하여 그 모델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의 저하 및 원가의 상승 등의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집지표시기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는 조절기가 장착된 집진표시기를 개발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표시기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집진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표시가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집진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으로 도색된 피스톤이활주가능하게 취부된 투명관, 상기 투명관의 일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기 및 상기 투명관의 타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집진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집진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스프링고정구가 게재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의 설명]
제2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집지표시기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으로 도색된 피스톤(2)이 활주가능하게 취부된 투명관(1), 상기 투명관(1)의 일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기(3) 및 상기 투명관(1)의 타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집진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관(4)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집진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과 상기 스프링(6) 사이에 사익 스프링(6)이 스프링고정구(9)에 권회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돌기(8)가 형성된 스프링고정구(9)가 게재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관(1)과 투명관(1)내에 활주가능하게 취부된 피스톤(2)은 종래의 집진표시기의 투명관(1) 및 피스톤(2)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투명관(1)의 형상, 재질 및 길이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작 및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조절기(3) 역시 종래의 집진표시기의 단부에 기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투명관(1)내로 유입되어지는 공기흐름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구성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적절한 조절기(3)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스프링고정구(9)는 상기 스프링(6)의 일측단부가 수용되어질 수 있는 홈(10)이 형성된 원통과 상기 원통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원통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의 단부에 스프링(6)이 걸릴 수 있는 돌기(8)가 형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스프링(6)자체가 하나의 강선을 반복적으로 권회시켜 형성되어진 것으로 스프링(6) 자체는 하나의 강선이 연속적으로 경사진 상태로 권회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6)의 일측단부를 상기 스프링고정구(9)의 원통에 형성된 홈(10)에 삽입시키고, 스프링(6)의 경사진 강선을 상기 스프링고정구(9)로부터 연장된 축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8)에 걸리도록 한 다음 상기 스프링(6)을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고정구(9)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링(6)의 경사진 강선이 상기 돌기(8)에 걸려 말려들어가거나 또는 풀려나오게 된다. 스프링(6)의 탄성은 그 탄성계수 및 스프링 (6)의 길이 등에 반비례하므로 스프링(6)의 탄성가능한 범위인 자유자의 길이가 짧아질 수록 탄성이 감소되어진다.
상기 스프링고정구(9)는 상기 피스톤(2)의 직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2 )과 일체로 결합되어지거나 또는 상기 스프링고정구(9) 자체에 종전의 피스톤(2)에 도색한 것과 동일 도는 유사하게 도색하므로써 별도의 피스톤(2)의 사용을 피할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2)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의 힘이 커질수록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의 감압의 정도가 커져야만이 상기 스프링(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투명관(1)내의 피스톤(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제3도(a) 및 (b)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a)는 스프링(6)의 일특단부의 극히 일부만이 상기 스프랑고정구(9)의 원통의 홈(10)과 돌기(8)사이에 말려들어가 있게 되어 스프링(6) 자체의 자유자으이 감소가 거의 없으므로 스프링(6)은 충분히 인장된 상태에서 최대의 자유장으로 상기 투명관(1)내에 취부되어지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6)이 상기 투명관(1)내의 피스톤(2)을 미는 탄성력은 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관(4)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청소기 본체내의 집진실의 압력강하가 상당한 정도로 일어나야만이 상기 투명관(1)내의 피스톤(2)이 상기 스프링(6)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후방으로 밀려나오게 되며, 제3도 (b)는 스프링(6)의 상단부분이 상기 스프링고정구(9)의 원통의 홈(10)과 돌기(8)사이에 밀려들어가 있게 되어 스프링(6) 자체의 자유장이 상당히 감소되어지며, 따라서 스프링(6)은 충분히 인장되지 않고 어느 정도 감소된 자유장으로 상기 투명관(1)내에 취부되어지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6)이 상기 투명관(1)내의 피스톤(2)을 미는 탄성력이 약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관(4)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청소기 본체내의 집진실이 압력강하가 약간만 일어나도 상기 투명관(1)내의 피스톤(2)이 상기 스프링(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쉽게 후방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따라서, 지출력의 전동송풍기를 채용하는 청소기의 경우에는 스프링고정구(9 )의 원통홈(10)사이에 상기 스프링(6)을 회전시켜 밀어넣어 스프링(6)의 나머지 자유장을 짧게 하여 탄성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가 취부된 각 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최적의 집진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조절한 채로 청소기를 조립 및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기의 각 모델에 따라 별개로 제작하여 청소기에 조립하여야 했던 기존의 집진표시기에 비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더욱 중요하게는 집진표시가가 채용되어지는 각 청소기에 따라 최적의 집진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조절하므로써 청소기의 전동송풍기가 과부하상태에서 무리하게 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기 장체의 수명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으로 도색된 피스톤(2)이 활주가능하게 취부된 투명관(1), 상기 투명관(1)의 일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기 및 상기 투명관(1)의 타측단부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집진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관(4)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집진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과 상기 스프링(6)사이에 상기 스프링(6)이 스프링고정구(9)에 권회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돌기(8)가 형성된 스프링고정구(9)가 게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고정구(9)가 상기 피스톤(2)의 직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2)과 일체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표시기.
  3. 제1항에 있어서, 종래의 피스톤(2)의 사용 대신에 상기 스프링고정구(9) 자체에 종전의 피스톤(2)에 도색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도색하여 상기 피스톤(2)을 대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표시기.
KR1019940006784A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KR96000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84A KR960001124B1 (ko)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84A KR960001124B1 (ko)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75A KR950026475A (ko) 1995-10-16
KR960001124B1 true KR960001124B1 (ko) 1996-01-19

Family

ID=1938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784A KR960001124B1 (ko)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75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5835B1 (en)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US7485164B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US7374595B2 (en) Filter and system for improved sealing on a vacuum cleaner
KR100474079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960001124B1 (ko) 집진표시기
CN209404599U (zh) 多功能清洁刷
KR960001122B1 (ko) 집진표시기
KR950023380A (ko) 청소기 집진표시기
KR960001123B1 (ko) 집진표시기
CN213588153U (zh) 清洁头及手持吸尘器
CN213588156U (zh) 手持吸尘器
CN213588158U (zh) 手持吸尘器
CN212140338U (zh) 一种垃圾回收站及清洁系统
KR960000625Y1 (ko) 집진표시기
KR970007006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표시기
KR20020072465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의 집진필터 장탈착 구조
KR0154298B1 (ko) 진공청소기
CA2397437C (en) Discharging duct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CN107049143B (zh) 吸尘器的尘杯组件及吸尘器
CN219438958U (zh) 一种吸尘器集尘装置
CN214906404U (zh) 一种安装在吸尘器中的扁平吸内盒
CN213273075U (zh) 空气净化器
KR970003051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장착구조
WO2022000841A1 (zh) 吸尘器
KR200166974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