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23B1 - 집진표시기 - Google Patents

집진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23B1
KR960001123B1 KR1019940006782A KR19940006782A KR960001123B1 KR 960001123 B1 KR960001123 B1 KR 960001123B1 KR 1019940006782 A KR1019940006782 A KR 1019940006782A KR 19940006782 A KR19940006782 A KR 19940006782A KR 960001123 B1 KR960001123 B1 KR 96000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tube
dust
stopper
dust collec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473A (ko
Inventor
김숙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23B1/ko
Publication of KR95002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진표시기
제1도는 종래의 집진표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의 조절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의 또다른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관 2 : 피스톤
3 : 조절기 4 : 연결관
5 : 조절마개 6 : 마개취부대
7 : 나사구조 8 : 개구부
9 : 스프링 10 : 원추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집진표시기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는 조절기가 장착된 집진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의 진공청소기는 보조필터가 고정되어 질 수 있는 흡기구를 갖는 분리벽에 의하여 구획된 집진실과 전동송풍실을 갖는 본체부, 흡입브러쉬가 일측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고, 손잡이부가 역시 타측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는 다수개의 분리관으로 구성된 연장관 및 상기 본체부와 연장관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전동송풍실내에 취부된 전동송풍기의 회전에 의하여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전동송풍실과 상기 분리벽의 흡기구를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 집진실에 감압이 발생한다.
상기 집진실은 상기 분리벽의 흡기구와 주름관 취부구조를 제외하고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전동송풍실로부터 발생되어지는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어지는 공기흐름은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연장관의 흡입브러쉬에 흡입되어 상기 연장과,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 취부구조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내로 유입되어지며, 상기 주름관 취부구조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먼지봉투속을 통과하여 거의 대부분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먼지봉투내에 잔류하게 되고, 먼지봉투 자체에 의항여 걸러진 깨끗한 공기흐름만이 전동송풍실쪽으로 흡입된다. 따라서, 먼지봉투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이 누적되는 경우에는 공기흐름이 상당한 저항을 받게되고, 상기 집진실에는 항상 동일한 흡입력이 적용되기 때문에 모터의 과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먼지봉투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이 누적되기 전에 적절한 시기에 먼지봉투를 교체하여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집진표시기를 청소기 본체의 외면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고정시켰다.
제1도에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도시한 종래의 집진표시기는 투명관(1)의 내부에 적어도 두가지 색상 즉, 파란색과 붉은색을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관(1)의 일측부에는 조절마개(5)가 형성된 단부가 연장관 등에 의하여 대기압을 받도록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고, 그 타측단부는 집진실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대기압과 집진실내의 공기압의 차이에 의하여 그 기압차가 적은 경우 즉, 공기흐름이 먼지봉투내의 먼지 등에 의하여 덜 저항을 받는 경우에는 그 기압차가 상기 스프링(9)의 탄성을 극복할 수 없으므로 집진표시기의 표시창에는 파란색 부분에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봉투를 교환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대기압과 집진실내의 공기압의 차이에 의하여 그 기압차가 큰 경우, 공기흐름이 먼지봉투내의 먼지 등에 의하여 상당한 저항을 받는 경우에는 그 기압차가 상기 스프링(9)의 탄성을 극복하게 되어 집진표시기의 표시창에는 붉은색 부분이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봉투를 교환하여야 할 시기를 감지하여 청소를 중단하고, 먼지봉투를 새것으로 교환한 후 계속 청소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집진표시기는 그 작동원리상 기압차를 이용하여야 하며, 그 기압차는 결국 집진표시기내의 스프링(9)의 반발력과 청소기의 전동송풍기의 흡입능력에 따라 좌우되어지며, 이는 청소기에서 사용되어지느 전동모터의 출력과 전동모터의 작동전압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투명관(1)내로 유입되어지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마개(5)의 개구부(8)의 면적이 협소하여 효과적인 유량의 조절이 불가능하고, 개구부(11) 자체가 편심되어 있어 공기의 유선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떨림 및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유로가 부채꼴의 형상으로 각이 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류가 발생하여 집진상태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없었다.
더욱이, 집진표시기는 일률적으로 제작되어지므로 청소기를 제작하는 메이커 측에서는 각 청소기의 사양별로 서로다른 집진표시기를 제작하여 그 모델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의 저하 및 원가의 상승 등의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집지표시기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는 조절기가 장착된 집진표시기를 개발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의 집진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표시기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는 조절기가 장착된 집진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표시가가 장착되어질 진공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는 조절기가 장착된 집진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으로 도색된 피스톤이활주가능하게 취부된 투명관, 상기 투명관의 일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기 및 상기 투명관의 타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집진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의 설명]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집지표시기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으로 도색된 피스톤(2)이 활주가능하게 취부된 투명관(1), 상기 투명관(1)의 일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기(3) 및 상기 투명관(1)의 타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집진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관(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관(1)과 투명관(1)내에 활주가능하게 추부된 피스톤(2)은 종래의 집진표시기의 투명관(1) 및 피스톤(2)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자에게는 투명관(1)의 형상, 재질 및 길이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작 및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는 집진표시기의 투명관(1)의 일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지는 조절기(3)에 특징이 있으며, 이 투명관(1)을 통하여 상기 집진실을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져 그 속을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조절기(3)는 내주면에 나사구조(7)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8)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토의 타측면이 원추부(9)인 조절마개(5)와 상기 조절마개(5)의 원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구조(10)와 나사결합되어질 수 있는 나사구조(10)가 내부면에 형성되어지고, 투명관(1)의 단부의 개방된 면적보다 약간 더 넓은 개구부(11)가 측면에 형성된, 속이 빈 원통형의 마개수용부(6) 및 상기 마개수용부(6)를 투명관(1)의 일측단부에 기밀적으로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자(7)로 이루어진다. 이들 조절마개(5)와 마개수용부(6) 및 고정자(7)들은 모두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이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가공성이 양호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조절기(3)가 플라스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도 (a), (b) 및 (c)에 조절기(3)의 작동순서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자(7)를 투명관(1)의 일측단부에 압입에 의하여 삽입,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자(7)에 상기 마개수용부(6)를 고정시킨 후, 상기 마개수용부(6)와 상기 조절마개(5)를 서로 나사결합하여 상기 조절마개(5)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마개(5 )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조절마개(5)의 원추부(9)가 상기 마개수용부(6)를 따라 상기 고정자(7)내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지며, 그에 따라 상기 마개수용부(6)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개방 또는 밀폐하므로써 그 개방 및 밀폐의 정도에 따라 상기 투명관(1)내로 유입되어지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제3도 (a)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조절마개(5)가 상기 마개취부대(6)내로 약간 삽입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조절마개(5)의 원추부(9)가 상기 투명관(1)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자(7)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마개수용부(6)의 측며에 형성된 개구부(11)가 거의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공기의 흐름은 거의 저항을 받지 아니하고, 충분한 양으로 상기 투명관(1)내로 유입되어질 수 있다.
제3도 (b)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조절마개(5)가 상기 마개취부대(6)의 거의 중간까지 삽입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조절마개(5)의 개구부(9)가 상기 투명관(1)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자(7)내로 약간 삽입되어지며,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약간의 저항을 받으면서 상기 투명관(1)내로 유입도어진다.
또한, 제3도 (c)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조절마개(5)가 상기 마개수용부(6)의 거의 끝부분까지 삽입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조절마개(5)의 원추부(9)가 상기 투명관(1)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자(7)의 내부 깊숙히까지 삽입도어져 있고,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상당한 저항은 받으면서 매우 제한된 유량의 공기만이 상기 투명관(1)내로 유입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마개(5)의 상기 마개수용부(6)내로의 나사결합에 의한 삽입의 정도에 따라 상기 투명관(1)내를 통하여 청소기의 집진실내로 호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므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집진표시기가 취부된 각 청소기의 사양에 따라 최적의 집진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조절한 채로 청소기를 조립 및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기의 각 모델에 따라 별개로 제작하여 청소기에 조립하여야 했던 기존의 집진표시기에 비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더욱 중요하게는 집진표시가가 채용되어지는 각 청소기에 따라 최적의 집진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조절하므로써 청소기의 전동송풍기가 과부하상태에서 무리하게 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기 장체의 수명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으로 도색된 피스톤(2)이 활주가능하게 취부된 투명관(1), 상기 투명관(1)의 일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기(3) 및 상기 투명관(1)의 타측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져 집진실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관(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3)과 그 내부면에 나사구조(7)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개구부(8)가 형성되어진 조절마개(5)와 상기 조절마개(5)의 나사구조 (7)와 나사결합되어질 수 있는 나사구조(7)가 그 오면에 형성된, 중공(中空)의 마개취부대(6)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취부대(6)가 상기 투명관(1)의 단부에 기밀적으로 고정되어져 상기 투명관(1)내로 유입되어지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표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3)의 개구부(8)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와류의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한 원추부(10)가 더욱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표시기.
KR1019940006782A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KR960001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82A KR960001123B1 (ko)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82A KR960001123B1 (ko)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73A KR950026473A (ko) 1995-10-16
KR960001123B1 true KR960001123B1 (ko) 1996-01-19

Family

ID=1938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782A KR960001123B1 (ko) 1994-03-31 1994-03-31 집진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73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5364C (en) Cyclone dust collector
CA2466820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A2413499A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use in a vacuum cleaner
KR19980054304A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960001123B1 (ko) 집진표시기
KR960001122B1 (ko) 집진표시기
CN208447461U (zh) 一种智能吸尘器
KR950023380A (ko) 청소기 집진표시기
KR960000625Y1 (ko) 집진표시기
CN205493717U (zh) 便携式吸尘器
KR960001124B1 (ko) 집진표시기
CN205493713U (zh) 吸尘器用积尘盒
CN212186364U (zh) 一种风路组件以及吸尘器
CN210541328U (zh) 一种吸尘口高度可调的吸尘器地刷
KR970007006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표시기
CN109171557B (zh) 一种吸尘器
CA2397437C (en) Discharging duct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CN101278815A (zh) 真空吸尘器前盖打开两档限位结构
CN219438958U (zh) 一种吸尘器集尘装置
CN214011169U (zh) 一种氧浓度检测用探头装置
CN107049143B (zh) 吸尘器的尘杯组件及吸尘器
KR20040080088A (ko) 진공청소기의 안전장치
KR0154298B1 (ko) 진공청소기
CN212394793U (zh) 一种吸尘器的外置式风道结构
KR960009317Y1 (ko) 진공청소기의 호스어댑터 패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