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00Y1 - 운동구의 중량체 - Google Patents

운동구의 중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00Y1
KR960001100Y1 KR92012320U KR920012320U KR960001100Y1 KR 960001100 Y1 KR960001100 Y1 KR 960001100Y1 KR 92012320 U KR92012320 U KR 92012320U KR 920012320 U KR920012320 U KR 920012320U KR 960001100 Y1 KR960001100 Y1 KR 960001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eight
housing
assembly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775U (ko
Inventor
박종연
Original Assignee
박종연
김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연, 김수옥 filed Critical 박종연
Priority to KR92012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00Y1/ko
Publication of KR940002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00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운동구의 중량체
제 1 도 (a)는 본 고안의 중량체에 대한 조립전상태 단면도
(b)는 본 고안의 중량체에 대한 조립상태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중량체에 대한 타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도로써,
(a)는 조립전 상태 단면도
(b)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중량체가 아령으로 사용되는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 15 : 조립공
16 : 턱부 20 : 덮개
21 : 통공 22 : 턱부
30 : 중량물 40 : 조립관
50 : 결합수단 51 : 플랜지
본 고안은 역도 및 아령과 같은 운동구의 중량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그 생산성이 우수하고 견고하게 조립될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 역도나 아령과 같이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운동구 중량체는 용융금속을 주물에 의한 방법으로 소정의 중량으로 각각 단위 무게별로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량체는 그 상용목적으로 사용된 후 바닥에 놓을때 손에서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았고, 이때에 중량체에는 자체의 하중으로 충격을 크게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그 취급상태가 거칠게 다루어 지므로,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충격이 중량체에 반복적으로 가해져 중량체에 크랙이 생기고, 결국에는 깨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중량체가 파손되면, 운동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어서, 해당 중량체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깨어진 중량체와 교체해주어야 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속이 빈 함체에 중량물을 채워 넣는 형식으로 중량체를 형성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속이 빈 합성수지의 함체에 유동상에 중량물을 필요에 의해 가변적으로 채워 넣을수 있도록 주입구를 형성하고, 이 주입구를 캡으로 밀폐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중량물이 깨지거나 할 염려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특히 예로서 역기의 경우 물품의 특성상 매우 무거운 중량을 보유한 상태로 들어 올려진 후 바닥면으로 원위치 시킬 때 신체의 높이에서 바닥면으로 부터 자유낙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합성수지재로 된 함체가 쉽게 파손된다.
또, 모래나 물과 같은 유체형상물로 그 중량을 채우게 할 경우 비중이 금속보다 현저히 낮은 결과로, 중량체의 부피가 현저히 커지게 되어, 정상적으로 중량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속이 빈 상태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함체를 성형하기 위하여는 고가의 사출금형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그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피의 증가없이 성형될 수 있도록 운동구의 중량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성형이 손쉽고, 그 조립된 상태에서 반복되는 충격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한 운동구의 중량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제작자 및 그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운동구의 중량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내부에 소정의 용적으로 바닥면(13)과 원주면(11)에 의해 내부가 속이 빈 수장공간(12)을 가지며 일측에 뚫어진 조립공(15)의 타측이 트여지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공간에 채워져 중량을 유지하는 중량물(30)과; 이 중량물(30)이 함체(10)에 채워진 상태에서 트여진 개구를 폐쇄시키며 중앙에 통공(21)이 뚫어지는 덮개(20)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함체(10)의 중앙을 관통하여 덮개(20)와 함체(10)을 연결시키는 조립관(40)과; 상기 조립관(40)을 덮개(20)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5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이 결합수단(50)은 조립관(40)의 양끝단을 확장시켜 덮개(20)에 밀착되도록 하는 프랜지(51)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51)가 위치되는 덮개(20) 및 함체(10)의 위치로는 턱부(16)(22)를 단턱지게 형성하여 플랜지(51)가 각각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10)는 속이 빈 상태로 내부에 중량물을 수장할 수 있도록 담겨지게 하는 용기체이다.
따라서, 완성되는 중량체의 형상을 감안하여 그 외부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게 하고, 내부에는 속이 빈 상태로 바닥면(13)과 원주면(11)에 의해 수장공간(12)이 일측이 트여진 상태로 성형된다.
이 수장공간(12)의 크기는 그 내부로 채워지는 중량물의 비중을 감안하여, 완성되는 중량체의 하중을 감안하여 용적을 설계하게 된다.
그리고, 바닥면(13)에는 조립관(40)이 관통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공(15)이 뚫어지고, 이 조립공(15)의 타측은 외부로부터 트여진 상태로 성형되는데, 이 함체(10)는 일정두께의 판재를 주로 프레스기에 의해 성형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 중량물(30)은 함체(10)의 수장공간(12)에 채워져 전체적으로 소정의 하중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주어진 공간내에서 큰 하중을 갖도록 비교적 비중이 큰 재료를 선택하게 된다.
이 중량물(30)로는 입자 상태가 좋은 데, 모래, 자갈 및 철분말등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철분말이 가장 바람직 하다.
그 이유는, 통상의 대부분 기계분야에서 금속을 가공할 때 많은 양이 칩(Chip) 또는 슬러지 상태, 그리고 분말로 탈락하여 처리문제로 심각한 철분말을 수거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폐기물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그 값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철분말은 비중이 광물질등에 비하여 크고, 종래 일반적으로 각종 스포츠대회등에 사용되는 역기의 중량체와 동일한 제질로 사용되는 것에 의해, 그 전체 부피나 중량감각등이 일치되어 일반인 연습용은 물론 전문가용까지 모두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중량물로 철분말을 이용할 경우 이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함체(10)의 수장공간(12)내에 채워진 상태에서 입자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융수지가 같은 결합체를 혼합하는 것도 좋다.
따라서, 함체(10)에 채워진 상태에서 마치 단위 금속체가 일체로 채워진 것과 같은 상태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20)는 중량물(30)이 함체(10)에 채워진 상태에서 그 트여진 개구를 막혀지게 하는 커버체이다.
이 덮개(20)는 함체(10)의 트여진 개구를 막혀지도록 그 내, 외측의 형상과 상응하는 크기로 끼워 조립되게 하고, 중앙에 통공(21)이 뚫어져 조립공(15)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함체(10)에 덮개(20)가 중량물(30)을 보호하도록 덮어진 상태로 그 중앙에는 속이 빈 파이프형상의 조립관(40)이 끼워져,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함체(10)와 덮개(20)가 분리되지 않토록 결착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운동구 중량체가 역기로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있다.
즉, 이 조립관(40)의 내부로 운동자가 손으로 들기 위한 별도의 역기바(1)를 끼운 상태로 양측에 중량체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들어 올리는 운동을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조립관(40)은 속이 빈 상태를 가지는 것이며, 조립성을 위하여 함체(10) 및 덮개(20)에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50)이 매우 중요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인 결합수단(50)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즉, 조립관(40)을 함체(10)와 덮개(2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조립관(40)의 단부를 확장하여 플랜지(5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함체(10)와 덮개(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조립관(40)에 플랜지(51)를 형성하는 것을 프렌스기에 의해 일회 가공으로 보다 신속히, 견고하게 그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며, 이 플랜지(51)의 절곡길이를 감안하여 조립관(40)의 처음 길이를 설정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 플랜지(51)가 위치되는 덮개(20) 및 함체(10)의 위치로는 턱부(16)(22)를 형성하는것이 외관상 좋다.
제 1 도는 이 결합수단(50)에 의해 하나의 조립관(40) 양측에서 덮개(20) 및 함체(10)가 각각 동시에 결합되고, 덮개(20)와 함체(10)의 원주면(11)이 접하는 위치에서도 보다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 지도록 원주면(11)의 끝단을 덮개(20)의 외측으로 감아 밀착토록 말음처리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중량물(30)이 채워지는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내부의 금속입자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보다 완전하게 중량물(30)을 감싸지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 2 도는 조립관(40)의 양측에 플랜지(51)를 확대 성형하여 함체(10)와 덮개(20)가 결합토록 하는 것은 제 1 도에서와 동일하나, 덮개(20) 내지는 함체(10)의 원주면(11)중 어느 하나의 내경을 끼움 가능하도록 확대시킨 상태에서 상호 끼워서 결합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물질의 유입이나, 중량물의 탈락입자등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는 없을 것이다.
또한, 이함체(10)와 덮개(20)가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부를 장식부재(60)로 감싸지게 성형하는 것도 좋다.
이 장식부재(60)는 연질합성수지, 내지는 고무재로 외주면을 따라 감싸지게 형성하여 함체(10)와 덮개(20)의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물질등의 유입, 유출을 보다 완전하게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장식적 효과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운동구 중량체로써 일명 아렴의 사용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조립관(40)의 양측으로 함체(10) 및 중량물(30), 그리고 가장 외측으로 덮개(20)가 위치되고, 이 덮개(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50)으로 상기와 같이 플랜지(51)를 양단에서 각각 확대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관(40)이 아령의 핸들바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며,조립관(40)의 중간에 위치되는 함체(10)의 결합부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 함체(10)의 원주면(11) 끝단부와 덮개(20)가 조립되는 경계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원주면(11)의 끝단을 덮개(20)의 외측으로 감아 밀착토록 말음 처리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양단이 트여진 조립관(40)에 마개(41)를 씌워 폐쇄토록 하는 것에 의해 그 외관을 미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좋다.
한편, 이 조립관(40)의 양단에 위치되는 함체(10)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는 감촉을 좋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43)를 조립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충격이 반복적으로 여러번 가해져도 종래와 같이 깨어지는 현상이 없어, 사용수명을 길게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함체와 덮개, 조립관을 분리형으로 하고, 그 조립을 보다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므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생산원가 절감으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그 결합상태가 견고하여 연결부가 분리되어 버리게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토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그 내부에 소정의 용적으로 바닥면(13)과 원주면(11)에 의해 내부가 속이 빈 수장공간(12)을 가지며 일측에 뚫어진 조립공(15)의 타측이 트여지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공간에 채워져 중량을 유지하는 중량물(30)과;
    이 중량물(30)이 함체(10)에 채워진 상태에서 트여진 개구를 폐쇄시키며 중앙에 통공(21)이 뚫어지는 덮개(20)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함체(10)의 중앙을 관통하여 덮개(20)와 함체(10)를 연결시키는 조립관(40)과;
    상기 조립관(40)을 덮개(20)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5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이 결합수단(50)은 조립관(40)의 양끝단을 확장시켜 덮개(20)에 밀착되도록 하는 플랜지(51)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51)가 위치되는 덮개(20) 및 함체(10)의 위치로는 턱부(16)(22)를 단턱지게 형성하여 플랜지(51)가 각각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의 중량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와 함체(10)의 원주면(11)이 접하는 위치에서는 원주면(11)의 끝단을 덮개(20)의 외측으로 감아 밀착토록 말음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의 중량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관(40)은 그 양측으로 함체(10)에 중량물(30)이 채워지고 덮개(20)가 덮어져 결합되는 아령의 핸들바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의 중량체.
  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관(40)에는 함체(10)의 사이로 손잡이(43)가 끼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의 중량체.
KR92012320U 1992-07-06 1992-07-06 운동구의 중량체 KR960001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320U KR960001100Y1 (ko) 1992-07-06 1992-07-06 운동구의 중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320U KR960001100Y1 (ko) 1992-07-06 1992-07-06 운동구의 중량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775U KR940002775U (ko) 1994-02-15
KR960001100Y1 true KR960001100Y1 (ko) 1996-02-07

Family

ID=1933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320U KR960001100Y1 (ko) 1992-07-06 1992-07-06 운동구의 중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775U (ko) 199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1485B2 (ja) 流体コンテナー用の保護カウリング
AU2019214531B2 (en) Kettlebell-type device
US7048678B2 (en) Dumbbell having interlocking components
US5960677A (en) Nonrecoil impact tool
US4449707A (en) Golf club head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US4811949A (en) Construction of a club-head for a golf club
US4451042A (en) Golf club head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KR100495274B1 (ko) 충격흡수 가능한 덤벨 및 바벨원판
EP1343210A4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THE EXTERNAL PACKAGING BODY OF A PRODUCT
US20100048362A1 (en)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equipment systems
KR960001100Y1 (ko) 운동구의 중량체
CN110303142A (zh) 一种镁合金铸造浇口装置
KR200424417Y1 (ko) 개량 아령
EP0205060A3 (de) Strahlenschutzbehälter zum Transport und zur Lagerung radioaktiver Materiali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1559820B1 (ko) 자동 개폐가 가능한 식품용기
US20060027471A1 (en) Dumbbell set suitcase and portable fitness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FI79861B (fi) Kammarvaegg.
US645123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ront fork of a cycle
KR200292396Y1 (ko) 압축쓰레기통
KR200374296Y1 (ko) 덤벨의 축봉
KR880002151Y1 (ko) 아 령
ITMI20000185U1 (it) Dispositivo di chiusura per recipiente a vapore
KR19990005189U (ko) 프라스틱통 아령·바벨
KR200291028Y1 (ko) 아령
JPS6481634A (en) Manufacture of r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100001880;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71229

Effective date: 19980929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71229

Effective date: 1998092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