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49B1 - Error recovery unit for module communication of dual ring - Google Patents

Error recovery unit for module communication of dual 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49B1
KR960001049B1 KR1019930019080A KR930019080A KR960001049B1 KR 960001049 B1 KR960001049 B1 KR 960001049B1 KR 1019930019080 A KR1019930019080 A KR 1019930019080A KR 930019080 A KR930019080 A KR 930019080A KR 960001049 B1 KR960001049 B1 KR 96000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data
error
loop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0421A (en
Inventor
박찬
김종원
백정훈
최준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3001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49B1/en
Publication of KR95001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04L1/242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 H04L1/243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at the transmitter, using a loop-back

Abstract

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data; a buffer for storing data information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inputting an error recovering signal, and outputting an output data; an error recovering unit for inputting a state signal of adjacent module, a ring state signal, a transmission signal, an output signal of the buffer, sensing an error by applying a transmission clock from outside, outputting a loop back signal from the multiplexer, and recovering the error; a garbage erasing unit for erasing garbage of data transmitted; and a loop 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unit for inputt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which garbage is erased, and outputting a tagging data to the multiplexer.

Description

이중량 구조의 모듈통신을 위한 오류복구장치Error recovery device for module communication with double weight structure

제1도는 본 발명의 이중링 구조하의 모듈통신을 위한 오류복구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rror recovery apparatus for module communication under a double r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류복구회로의 일실시예시도.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rror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링 구조하의 오류복구에 의한 모듈 연결 구성도.Figure 3 is a module connection configuration by the error recovery under the double r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다중회로 2 : 오류 복구회로1: multiple circuit 2: error recovery circuit

3 : 개비지 소거회로 4 : 버퍼3: garbage elimination circuit 4 buffer

5 : 루프백 모듈식별 번호 태킹 회로 6 : 더코더5: loop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circuit 6: the coder

7 : 셀 경계 제어회로7: cell boundary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국제 표준 기구인 CCITT에서 권고한 광대역종합전 보통신망의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규격에 준하는 이중링 구조의 모듈통신을 위한 오류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rror recovery apparatus for a module communication of a dual ring structure conforming to the user-network interface standard of the broadband general-purpose general network recommended by CCITT, an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종래의 이중링 구조의 모듈통신은 모듈 및 링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대비하여 1개의 링 전에는 데이타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반대 반향의 나머지 1개의 링 전체는 예비링으로서 같은 데이타를 전송하여 정상 상태일 때 데이타 전송량을 1개의 링만을 사용하는 것과 다름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double-ring structure communication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before one ring in case of errors that may occur in modules and links, and the entire remaining one r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ransmits the same data as a spare ring to maintain normal st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ata transfer amount is equivalent to using only one ring.

상기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정상 상태일 때 2개의 링을 각각 다른 데이타 전송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데이타 전송량이 2개의 링을 각각 다른 데이타 전송용으로 사용하여 데이타 전송량이 2배로 증가하도록 하고 모듈 및 링크에서 유가 발생할 경우 오류가 발생한 부분만을 사용하지 않고 나머지 정상상태의 링을 이용하여 오류를 복구하는 것으로, 동일 기능모듈들을 두개의 링에 의해 연결한 통인 기능에 대하여 모듈 및 링크의 오류를 북구하고 오류복구와 관련하여 링 상에 떠도는 개비지(garbage)를 소거하도록 한 이중링 구조의 모듈통신을 위한 오류복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uses two rings for different data transmissions in a steady state, thereby using two rings for different data transmissions. In case of failure in module and link, the error is recovered by using the remaining normal ring instead of using only the part where error occu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rror recovery device for module communication of a dual ring structure that allows the north of the link to be lost and erases garbage on the ring in connection with the error recove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내의 루프 백 경로와 전송매체에 의해 물리직 경로로 부터의 데이타를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 상기 다중화 수산으로 부터의 다중화된 데이타 정보를 저장하고 오류 복구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데이타를 출력하는 버퍼, 인접모듈 상태신호와 방향링 상태신호 및 송신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버퍼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으며 외부로 부터의 전송클럭을 인가하여 오류발생을 감지한 후 상기 다중화 수단으로 루프백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로 우회신호를 출력하여 복구를 수행하는 오류 복구 수단, 모듈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시스템 클럭 및 루프백 데이타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데이타중 개비지를 식별하여 소거하기 위한 개비지 소거수단, 및 상기 개비지 소거수단에 연결되어 개비지 소거된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중화 수단으로 태깅 데이타를 출력하는 루프백 모듈 식별 번호 태깅수단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lexing means for multiplexing data from a physical path by means of a loop back path and a transmission medium in a module, storing multiplexed data information from the multiplexed fisheries, and recovering an error recovery signal. The multiplexing means after detecting an error by receiving a buffer, an output signal of a neighboring module, a directional ring status signal, and a transmission signal,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buffer, and applying a transmission clock from the outside. Error recovery means for performing recovery by outputting the loopback signal and outputting the bypass signal to the outside; And a gabbage erased transmission signal connected to the garbage elimination means. Provided with a loop-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means for tagging the output data group to the multiplexing means.

모듈간 통신을 위해 4옥텟의 헤더와 52옥텟의 페이로드로 정의된 56옥텟의 모듈통신용 셀 단위로 동작하며, 장치 내부적으로는 32비트 단위를 기본으로 처리하고 이와 같은 모듈통신 기능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망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 기준 모델 중 ATM 계층하위에서 수행된다. 기본적으로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어 각각 2개의 물리적인 전송매체에 접속되며, 2개의 전송매체의 전송방향은 서로 반대이고 각각 링을 형헝한다.For module-to-module communication, it operates in 56-octet module communication cell units defined by 4-octet headers and 52-octet payloads, and internally processes 32-bit units internally. It is performed under the ATM layer of the protocol reference model of the network user-network interface. Basically, it consists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each connected to two physical transmission media. The transmission directions of the two transmission media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form a ring.

본 발명에 해당하는 오류복구장치는 오듈통신 기능을 위한 송수신부와 물리적인 전송매체 사이에 위치하여 오류 발생시에 전송매체와 송수신장치간의 연결을 단절하고 송수신부간의 루프백(loop-back), 또는 우회(bypass) 연결을 통해 링 상의 통신모듈들간의 연결을 유지하고, 루프백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개비지를 소거한다. 역으로, 오류발생으로 링에서 제거된 모듈이나 링크를 링상에 다시 연결시킬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오류 복구를 위해서는 단지 1개. 또는 2개만의 셀 손실을 보장한다.The error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a transceiver and a physical transmission medium for the modu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when an error occurs, disconnec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medium and the transmission device and loops back or bypass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Bypass connection maintai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s on the ring and eliminates garbage generated with loopback. Conversely, it can also be used to reconnect a module or link removed from the ring due to an error. Only one for the error recovery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only two cell losses are guarante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류 복구 회로의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이중링 구조하의 오류 복구에 의한 모듈 연결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다중 화회로, 2는 오류 복귀회로, 3은 개비지 소거회로. 4는 버퍼, 5는 루프백 모듈식별 번호 태깅 회로, 6은 디코더, 7은 셀 경계 제어회로를 각각 나타낸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error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dule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by the error recovery under a double ring structu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here 1 is the multiplexing circuit, 2 is the error return circuit, and 3 is the garbage elimination circuit. 4 denotes a buffer, 5 denotes a loop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circuit, 6 denotes a decoder, and 7 denotes a cell boundary control circuit.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오류 복구 장치는, 다중화 회로(1)와, 디코더(6)와 셀 경계 제어회로 (7)를 구비하는 오류 복구회로(2), 개비이 소거회로(3), 버퍼(4), 루프백 모듈식별 번호 태깅 회로(5)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rror recove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rror recovery circuit 2 including a multiplexing circuit 1, a decoder 6, and a cell boundary control circuit 7, an open circuit cancellation circuit 3, and a buffer. (4), the loop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circuit (5),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다중화 회로(1)에 의해 루프백신호가 인에이볼되는 경우 물리매체 접속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랑 데이타[32 : 0] 대신 모듈통신 기능의 송신부로 부터의 루프백 데이터[32 : 0]를 모듈통신기능의 수신부에 의해 액세스되는 버퍼(4)로 전달하고, 반대로 디스에이블 되는 경우 링 데이타[32 : 0]를 버퍼(4)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loopback signal is enabled by the multiplexing circuit 1, loopback data [32: 0]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f the module communication function instead of the Lang data [32: 0] from the physical medium connection (not shown). It transfers to the buffer 4 which is accessed by the receiving unit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nversely, ring data [32: 0] is transferred to the buffer 4 when disabled.

이를 위해 오류복구회로(2)는 상기 물리매체 접속부의 인접모듈상태신호에 의해 루프백 수행여부를 판단한다. 인접모듈이나 링크의 오류를 알리는 인접모듈 상태신호를 수신한 상기 오류복구회로(2)는 상기 버퍼(4)에 대한 모듈통신기능 수신부의 56옥텟 모듈통신용 셀 단위 액세스를 보장하기 위해 모듈통신기능 수신부의 현재 액세스 상태를 알리는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4)로 부터 액세스 중인 모듈통신용 셀의 액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액세스가 완료되는 순간 상기 다중화 회로(1)로의 루프백 신호를 인에이블 시킨다. 여기서, 인접모듈이나 링크한 특정 링 상에서 자기 모듈로 데이타를 전달하는 모듈통신의 송신 장치나 송신장치에 연결된 물리적인 전송매체를 의미하며, 상기 오류복구 회로(2)는 상기 다중화 회로(1)로 부터 상기 버퍼(4)로의 입력데이타의 입력을 위해 적절한 입력신호를 생성한다.To this end,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loopback based on the adjacent module status signal of the physical medium connection unit.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receiving the neighbor module status signal informing the error of the neighbor module or the link is a module communication function receiver to ensure cell-based access for 56 octets of module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buffer (4). Wait until the access of the module communication cell being accessed from the buffer 4 is completed by using the output signal indicating the current access state of the signal, and enable the loopback signal to the multiplexing circuit 1 at the moment of completion of access. Here, means a transmission device or a physic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module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magnetic module on the adjacent module or a specific ring linked,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to the multiplexing circuit (1) To generate an input signal suitable for the input of input data into the buffer 4.

상기 오류 복구회로(2)는 인접모듈 상태신호 힌 반향링 상태신호에 대한 디코더(6)와 56옥텟의 모듈통신용 셀 단위 액세스보장을 위해 출력신호나 송신신호를 이용하여 루프백신호, 우회신호 및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셀경계 제어회로(7) 구성된다.The error recovery circuit 2 uses a decoder 6 for the adjacent module status signal Hin echo ring status signal and a loopback signal, a bypass signal, and an input by using an output signal or a transmission signal to ensure cell-level access for module communication of 56 octets. The cell boundary control circuit 7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상기한 오류복구동작을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rror recovery ope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3도는 모듈 1 내지 모듈 5의 다섯개의 모듈을 시계방향으로 배열하여, 이중링을 형성하는 개략도로서,(A)는 정상 동작중의 이중링 구성도, (B)는 모듈 오류 복구를 위한 루프백 구성도, (C)는 링크 오류 복구를 위한 루프백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forming five rings of five modules of Modules 1 to 5 in a clockwise direction, in which (A) is a double ring configuration during normal operation, and (B) is a loopback for module error recovery. Configuration diagram (C) is a loopback configuration diagram for link failure recovery.

(A)도는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의 이중링에 의한 모듈간 연결 구성을 보여주며, 만약 (B)에서 처럼 특정 모듈(예로서, 모듈3)이 다운(down)되는 등의 오류로 인해 동작을 할 수 없는 경우, 모듈 3을 인접 모듈로 갖는 모듈 2 및 모듈 4는 각각 자신의 오류복구회로(2)에서 인접모듈상태 신호에 의해 모듈 3의 오류를 인식하고 상기 다중화 회로(1)로 루프백 신호를 발생시켜 이중링을 하나의 단방향 링으로 변화시킨다. 만약(C)에서 처럼 특정 링크(예로서, 모듈 3으로 부터 모듈 2로의 송신 링크)의 오류로 인해 그 링크에 연결된 모듈간의 정보 송신이 불가능할 경우, 모듈 3을 인접모듈로 갖는 모듈 2는 (B)에서와 같이 루프백을 수행하지만 모듈 3을 인접 모듈로 갖는 모듈 4는 모듈 3으로 부터의 송신 링크의 상태가 양호하므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modules by double ring during normal operation without error. If (B) shows a certain module (for example, module 3) is down, If the operation is not possible due to the failure, the module 2 and the module 4 having the module 3 as the adjacent module recognize the error of the module 3 by the adjacent module status signal in their error recovery circuit 2, respectively, and the multiplexing circuit 1 A loopback signal is generated to change the double ring into a single unidirectional ring. If, as in (C),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modules connected to that link due to an error in a particular link (e.g., a transmission link from module 3 to module 2), module 2 with module 3 as an adjacent module (B) The loopback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6), but module 4 having module 3 as an adjacent module performs normal operation because the transmission link from module 3 is in good condition.

그러나, 모듈 4가 모듈 3으로 송신한 정보중 모듈 3을 목적지로 하는 정보를 제외하고는 원하는 모듈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듈 3은 자체적으로 역방향 링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오류복구회로(2)에서 반향링 상태신호에 의해 모듈 3과 모듈 2간의 송신링크의 오류를 인식하고 모듈통신기능의 송신부로 우회신호를 보내어 모듈4 방향의 수신링크로 우회시킨다. 이 경우에도 루프 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향링 상태신호를 수신한 상기 오류복구회로(2)는 모듈 4의 송신부에 의한 56옥텟의 모듈통신용 셀 단위 송신을 보장하기 위한 모듈 3의 모듈통신 기능 송신부의 현재 송신 상태를 알리기 위해 상기 오류복구회로(2)로 전달되는 송신신로를 이용하여 송신중인 모듈 통신용 셀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송신 완료되는 순간 모듈 3이 송신부로 우회신호를 인에이블시킨다.However, a problem arises in that module 4 cannot transmit to a desired module except for information destined for module 3 of module 3.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odule 3 recognizes an error in the transmission link between the module 3 and the module 2 by the echo ring state signal in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and determines the state of the reverse ring. Send a bypass signal to the transmitter to bypass the receive link in module 4 direction. Also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the loop back,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having received the echo ring state signal is provided with the module communication function transmitter of the module 3 for ensuring 56 octets of cell unit transmission for module communication by the transmitter of the module 4. Wait until the transmission of the module communication cell being transmitted is completed by using the transmission path transmitted to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to inform the current transmission state, and the module 3 enables the bypass signal to the transmitter at the moment of completion of transmission. .

반대로 오류발생으로 인해 이중링에서 제거된 모듈이나 링크를 다시 링에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오류복구회로(2)에서 모듈이나 링크의 양호상태를 표시하는 인접모듈상태신호나 반향링 상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버퍼(4)에 대한 출력신호는 모듈통신 송신부로 부터의 송신신호를 참조하여 현재 진행중인 모듈통신용 셀의 출력 또는 송신을 완료한 순간 루프백신호나 우회신호를 디스에이블 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module or link removed from the double ring due to an error occurs is connected to the ring again, when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receives an adjacent module status signal or an echo ring status signal indicating a good state of the module or link. The output signal to the buffer 4 refers to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module communication transmitter to disable the loopback signal or the bypass signal at the moment of completing the output or transmission of the module communication cell in progress.

상기한 오류복구를 수행하는 경우 특히 (B)와 같이 특정 모듈이 오류로 인해 링에서 제거되는 경우에는 그 모듈을 목적지로 하는 정보들은 링 상에 개비지로 떠돌아 다니게 된다. 이러한 개비지를 소거하기 위해 일단 모듈통신기능의 송신부로 부터 발생되는 모든 루프백데이타[32 : 0]에 대해 상기 루프백식별번호 태깅 회로(5)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듈식별번호를 56옥텟 단위 모듈통신용 셀의 첫 4옥탯에 해당하는 루프백데이타[32 : 0]의 비트 31로부터 비트 28까지에 기록하여 루프백시킨 후, 자신의 모듈식별번호를 태깅한 송신신호에 맞추어 루프백데이타[32 : 0]에 의해 전달되는 56옥텟의 모듈통신용 셀을 상기 개비지 소거회로(3)에서 소거 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error recovery, in particular, when a particular module is removed from the ring due to an error as shown in (B), information destined for the module is floated on the ring. In order to erase such garbage, the module communication number is stored in 56 octet unit using its loopback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circuit (5) for all loopback data [32: 0] generated from the transmitter of the module communication function. After loopback by writing bits 31 to 28 of loopback data [32: 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ur octaves of the loop, th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is transmitted by loopback data [32: 0]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ignal tagged with its own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he 56 octets of module communication cells are erased by the garbage elimination circuit 3.

다른 모듈식별번호가 태깅된 셀에 대해서는 루프백모듈식별번호 태깅번호(5)로 투명하게 전달시킨다. 만약, 상기 오류복구회로(2)로부터 루프백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루프백모듈번호 태깅회로(5)에 의해 루프백데이타[32 : 0]에 루프백시킨 모듈의 식별 번호를 56옥텟의 모듈통신용 셀 단위로 태깅(tagging)한 태깅데이타[32 : 0]를 상기 다중화회로(1)를 통하여 버퍼(4)로 입력하며, 이 정보는 루프백이 발생하지 않은 모듈에서는 링 데이타[32 : 0]를 통하여 상기 다중화회로(1)를 통해 상기 버퍼(4)로 입력된다.Cells tagged with other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are transparently transmitted to the loop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number (5). If the loopback signal is enabled from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dule loopbacked to the loopback data [32: 0] by the loopback module number tagging circuit 5 is 56 octets of module communication cell units. The tagging data [32: 0] tagged by the [0100] tag is input to the buffer 4 through the multiplexing circuit 1, and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ring data [32: 0] in the module where loopback has not occurred. It is input to the buffer 4 through the multiplexing circuit 1.

(B)의 경우를 살펴보면, 모듈 2와 모듈 4의 상기 루프백모듈식별번호 태깅회로(5)는 자신의 모듈식별신호를 태깅하여 상기 오류복구회로(2)의 루프백 신호에 의해 루프백을 수행한다. 이때 모듈 3을 목적지로 한 셀들은 모듈 2나 모듈 4의 모듈식별번호를 태깅한채 모듈 2나 모듈 4의 상기 개비지소거회로(3)로 전달되고 이 셀들은 링을 한바퀴 루핑 (looping)하는 동안 목적지를 찾지 못한 셀들이기 때문에 소거된다.Referring to the case of (B), the loop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circuit 5 of module 2 and module 4 tags its own module identification signal to perform loopback by the loopback signal of the error recovery circuit 2. The cells destined for module 3 are then delivered to the gate clearing circuit 3 of module 2 or module 4 while tagging th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of module 2 or module 4 and these cells are looped through the ring. The cells are erased because they do not find their destination.

(C)의 경우를 살펴보면, 모듈 2에 의해 태깅된 채 루프백된 셀들중 모듈 3을 목적지로 하는 셀즐은 모듈3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어 수신되므로 다시 모듈 2의 상기 개비지소거회로(3)로 되돌아 오지 않는다.In the case of (C), since the cells of the loopbacked cells tagged as module 2 destined for module 3 are normally delivered to module 3 and received, they do not return to the garbage elimination circuit 3 of module 2 again. Do no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사용자-망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대용량의 가입자 액세스 노드를 구성하는 단위 모듈들간이나 근거리 내에 분산되어 있는 가입자 액세스 노들 간에 단방향 이 중링 구조하의 고속통신 기능에서 모듈, 노드 또는 링크의 오류로 인해 링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못할 경우 이를 루프백이나 우회 기능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ule in a high-speed communication function under a unidirectional dual ring structure between unit modules constituting a large capacity subscriber access node located at a user-network interface of a broadband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or between subscriber access nodes distributed within a short distance. If the ring does not operate normally due to node or link error, this can be solved by loopback or bypass function.

Claims (2)

모틀내의 루프 백 경로와 전송매체에 의한 물리적 경로로 부터의 데이타를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1), 상기 다중화 수단(1)으로 부터의 다중화된 데이타 정보를 저장하고 오류 복구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데이타를 출력하는 버퍼(4), 인접모듈 상태신호와 반향링 상태신호 및 송신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버퍼(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으며 외부로 부터의-전송클럭을 인가하여 오류 발생을 감지한 후 상기 다중화 수단(1)으로 루프백신호를 출력하고 외수로 우회신호를 출력하여 복구를 수행하는 오류 복구 수단(2), 모듈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시스템 클럭 및 루프백 데이타를 입력받아 전송한는 데이타중 개비지를 식별하여 소거하기 위한 개비지 소거수단(3), 및 상기 개비지 소거수단(3)에 연결되어 개비지 소거된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중화 수단(1)으로 태깅 데이타를 출력하는 루프백 모듈 식별 번호 태깅수단(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중링 구조의 모듈통신을 인한 오류복구장치.Multiplexing means (1) for multiplexing data from the physical path by the loop back path and the transmission medium in the module, and storing the multiplexed data information from the multiplexing means (1) and receiving the error recovery signal and outputting the output data. After receiving the output buffer 4, the adjacent module status signal, the echo ring status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4 is input, and an external-transmission clock is applied to detect an error occurrence. Error recovery means (2) for outputting the loopback signal to the multiplexing means (1) and outputting the bypass signal to the external channel to perform recovery, identifying the garbage among the data received by receiving th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and receiving the system clock and loopback data. And a plurality of garbage eliminating means (3) for erasing and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gnal connected to the garbage eliminating means (3) to the multiplexing means (1). And a loopback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tagging means (5) for outputting tagg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복구수단(2)은 ; 인접모듈 상태신호와 반향링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발생된 오류종류 식별하기 위한 디코더(6), 상기 디코더(6)의 출력값을 입력하고 외부로 부터의 전송클럭을 입력받아 루프백 신호와 입력신호 및 우회신호를 포함하는 복구 신호를 발생하는 셀 경제 제어수단(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링 구조의 모듈통신을 위한 오류복구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rror recovery means (2) comprises; Decoder 6 for identifying the type of error generated by receiving the adjacent module status signal and the echo ring status signal, inputs the output value of the decoder 6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clock from the outside, and receives the loopback signal, the input signal, and the detour. And a cell economic control means (7) for generating a recovery signal comprising the signal.
KR1019930019080A 1993-09-20 1993-09-20 Error recovery unit for module communication of dual ring KR960001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080A KR960001049B1 (en) 1993-09-20 1993-09-20 Error recovery unit for module communication of dual 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080A KR960001049B1 (en) 1993-09-20 1993-09-20 Error recovery unit for module communication of dual 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21A KR950010421A (en) 1995-04-28
KR960001049B1 true KR960001049B1 (en) 1996-01-17

Family

ID=1936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080A KR960001049B1 (en) 1993-09-20 1993-09-20 Error recovery unit for module communication of dual 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4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21A (en) 199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8704B2 (en) Ring transmission network loopback method and ring transmission apparatus
US5926456A (en) Path chang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TM communication apparatus
US4195351A (en) Loop configured data transmission system
US5805568A (en) Add/drop multiplexer for supporting fixed length cell
EP0949839B1 (en) ATM cell transmission system
US63450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liable transition of status signals from an interface device when using a localized sampling architecture
CA21824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sequencing
US5315581A (en) Hit-less protection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TM transmission lines
US5153920A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the acceptance and forwarding of message cell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by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equipment
EP0601768B1 (en) Bus monitor circuit for switching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KR960001049B1 (en) Error recovery unit for module communication of dual ring
US4550401A (en) Delivery information packet switching system
JPH1127282A (en) On-line circuit monitoring system
JPH0342940A (en) Atm switching device
JP3577535B2 (en) Node device of ATM communication system
JPH04100343A (en) Atm link system
SE461432B (en) TIME MULTIPLEX COUPLING SYSTEM WITH EQUIPMENT FOR TESTING AVAILABLE TIME LOCK ROAD
US5027346A (en) Node apparatus for parallel communication
KR0175571B1 (en) How to Create a Forward Performance Monitor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Cell
KR100296043B1 (en) Protection switching method for ring type atm transmission system
CN1067823C (en) Protection equipment f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service channel
JP2944420B2 (en) Transmission unit mismatch detection method and transmission unit mismatch detection device
JPH0210938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JP2003511975A (en) Reconfigurable network after sequential defect repair
WO1993011621A1 (en) Method and unit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orrect sequence of atm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