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95Y1 -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95Y1
KR960000595Y1 KR2019930011713U KR930011713U KR960000595Y1 KR 960000595 Y1 KR960000595 Y1 KR 960000595Y1 KR 2019930011713 U KR2019930011713 U KR 2019930011713U KR 930011713 U KR930011713 U KR 930011713U KR 960000595 Y1 KR960000595 Y1 KR 960000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ining
drum
alarm device
conduc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988U (ko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1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595Y1/ko
Publication of KR950000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드럼 브레이크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플레이트 2 : 브레이크 슈우
3 : 브레이크 라이닝 4 : 브레이크 드럼
5 : 계기판 10 : 접촉단자
20 : 경보수단
본 고안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드럼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럼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재를 접촉시켜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들어, 유압식 드럼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여 작동하는 매스터 실린더와, 그 유압을 받아 라이닝이 부착된 브레이크 슈우를 드럼쪽으로 밀어붙여서 제동력을 발생케하는 휘일실린더와, 유로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와, 그리고 호오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우에 있는 브레이크 직경은 일정두께 이상으로 마모되면 교체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상태에 따라서 교체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하부로 들어가 드럼을 탈거한 후 브레이크 라이닝의 두께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브레이크 라이닝을 적정한 시기에 확인하여 교체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라이닝의 과잉마모로 인하여 제동력이 떨어져서 사고발생의 위험이 있고, 브레이크장치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브레이크 라이닝이 어느 일정수준으로 마모되었을때 운전자가 이러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상태를 손쉽게 감지하여 적정시기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느수준 이상으로 마모가 되었을 경우 브레이크 슈우와 백플레이트에 고정된 접촉단자가 접속되도록 하고, 이 경우 브레이크 슈우와 접촉단자간의 물리적 접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어 이를 차실내 경보수단에 연결시킨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는 접촉단자(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접촉단자(10)은 절연체(10a), 전도체(10b) 및 도전판(1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단자(10)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 1)에 형성된 고정구멍(1a)안에 고정시킨다.
절연체(10a)와 전도체(10b)는 일체로 결합되며 원형단면을 갖는다.
절연체(10a)는 전도체(10b)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되, 바람직하기로는 고무등과 같은 신축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중간에 절연체(10a)를 끼우고 백플레이트(1)의 고정구멍(1a)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전판(10c)는 일정두께를 가진 금속판이며, 그 일단을 전도체(10b)에 고정시킨다. 전도체(10b)와 함께 접촉단자(10)가 백플레이트(1)에 고정되면 도전판(10c)은 브레이크 슈우(2)의 외주연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경보수단(20)은 경보벨 또는 경보등을 사용하며, 운전자 앞쪽에 있는 계기판(5)등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인식하기 쉽게하는 것이 좋다. 이 경보수단(20)은 전도체(10b)에 접속하여 도전판(10c)과 통전되도록 한다.
다시말해서, 전도체(10b)와 경보수단(20)은 (+)극으로 접속한다. 경보수단(20)의 (-)극은 차체에 접지시키며, 브레이크 슈우(2)도 차체의(-)극에 접지시킨다.
이에 따라서, 도전판(10c)이 브레이크 슈우(2)에 접촉할때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10)가 백플레이트(1)에 있는 고정구멍(1a)에 고정된다. 접촉단자(10a)와는 외측에 제공된 절연체(10a)가 고무질과 같이 신축성이 있으므로 고정구멍(1a)내에 단단히 고정되며, 내측의 전도체(10b)로부터 연장된 도전판(10c)은 브레이크 슈우(2)의 외연과 일정간격을 두고 있다. 부언하면, 이 브레이크 수유(2)의 외연에는 마찰재인 브레이크 라이닝(3)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부착되어 있으며 도전판(10c)은 브레이크 라이닝(3)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레이크 라이닝(3)의 외면은 브레이크 드럼(4)의 내면과 마찰되도록 브레이크 슈우(2)가 위치되면, 이 브레이크 슈우(2)는 백플레이트(1)에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폐달을 밟아 제동을 하면 브레이크 슈우(2)가 외향으로 확장된다. 브레이크 슈우(2)가 확장되면 브레이크 라이닝(3)이 브레이크 드럼(4)의 내면에 마찰되어 차량의 제동력이 얻어진다.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3)이 점차 마모되고, 제동시 브레이크 슈우(2)의 외면이 접속단자(10)의 도전판(10c)에 점차로 근접하게 된다.
만약, 일정한도까지 브레이크 라이닝(3)이 마모되면, 브레이크 슈우(2)의 외면이 도전판(10c)에 접촉되며, 회전되지 않는 브레이크 슈우(2)의 외면이 도전판(10c)에 접촉되므로 도전판(10c)의 훼손이 없고 지속적으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렇게 브레이크 슈우(2)의 외면이 도전판(10c)에 접촉되면 이때, 전류가 통전되고 계기판(5)에 있는 경보수단(20)이 작동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라이닝(3)의 교체를 해줘야 함을 인지하게 된다.
물론, 경보수단(20)은 운행중엔 작동하지 않고 제동시에만 브레이크 슈우(2)와 도전판(10c)이 접촉되므로 이때에 작동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브레이크 라이닝을 적정한 시기에 교체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보호하며 제동력 상실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Claims (1)

  1. 브레이크 라이닝(3)이 일정한도 까지 마모되면 접촉되도록 브레이크 슈우(2)의 외연과 일정간격을 두고서 접촉단자(10)의 도전판(100)을 백플레이트(1)상의 직각방향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마모 경보 장치.
KR2019930011713U 1993-06-30 1993-06-30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KR960000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713U KR960000595Y1 (ko) 1993-06-30 1993-06-30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713U KR960000595Y1 (ko) 1993-06-30 1993-06-30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988U KR950000988U (ko) 1995-01-03
KR960000595Y1 true KR960000595Y1 (ko) 1996-01-18

Family

ID=1935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713U KR960000595Y1 (ko) 1993-06-30 1993-06-30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5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988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3012A (en) Abrasion alarm device for disk brake
US3716113A (en) Warning device for indicating wear of friction pads in disk brake
US4298857A (en) Brake wear indicator system
JPH0554569B2 (ko)
US6637262B2 (en) Electrical wear sensor for disc brake
US5865543A (en) Bearing failure detection apparatus
US6481539B1 (en) Disc brake lining wea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5339928A (en) Friction member provided with a wear indicator device and disk-brake fitted with such member
KR960000595Y1 (ko)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US5767768A (en) Brake pad wea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5015990A (en) Brake replacement warning system and device useful therein
US3611283A (en) Brake-wear-indicating system
US3553642A (en) Electrical brake lining wear indicator
US3755774A (en) Axle identifying brake warning system
KR100250197B1 (ko) 패드의 마모상태 감지장치
US6345699B1 (en) Brake actuator service limit sensor
KR200212672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점검장치
KR950006679Y1 (ko)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보장치
JP2580474Y2 (ja) パツド摩耗警告装置
KR0156358B1 (ko) 브레이크 패드 마모 경보장치
JPH064114Y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におけるパッドの摩耗検知装置
JPH07293603A (ja) ドラムブレーキの防水装置
KR19980043998U (ko) 브레이크 패드 교환시기 표시장치
KR0141034B1 (ko) 브레이크 패드 마모 경보장치
KR19990001740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