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51Y1 -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 Google Patents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51Y1
KR960000551Y1 KR92027240U KR920027240U KR960000551Y1 KR 960000551 Y1 KR960000551 Y1 KR 960000551Y1 KR 92027240 U KR92027240 U KR 92027240U KR 920027240 U KR920027240 U KR 920027240U KR 960000551 Y1 KR960000551 Y1 KR 960000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ower generator
water
pow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7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294U (ko
Inventor
정원영
Original Assignee
정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영 filed Critical 정원영
Priority to KR92027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551Y1/ko
Publication of KR940016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의 조립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의 조립사시도
제 4 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의 회전부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B-B선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C-C 선 단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부 2 : 스크류
3 : 지지부
본 고안은 유수(流水)가 갖는 속도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땜의 수문 배출구에 장착하여 아주 빠른 유속(流速)과 매우 강한 유압(流壓)으로 배출되는 유수에 의해 강한 회전력을 얻도록 하고자하는 동력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기술로는 물의 낙차(落差)를 이용하여 높이 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發電)하는 발전용수차(發電用水車)와 같은 것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 발전용 수차는그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이며, 고가여서 일반 중소 산업분야에서도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중심 회전축에 나선형 스크류를 형성하여 되는 동력발장치를 만들어, 이를 완만한 속도로 자연방류되는 하천수의 흐르는 물속에 설치하여 동력을 얻는 것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와같이 회전축에 스크류를 형성하고있는 동력발생장치는, 원통면적(반경 방향 단면에서 보아)의 대부분을 회전축과 스크류가 막아닫고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유수(流水)의 흐름 속도를 매우 크게 감속시키므로, 위와 같은 동력발생장치는 빠른 유속과 강한 유압을 갖는 땜의 수문 배출구에는 장착할 수 없는 것이며(물의 흐름을 스크류가 차단하므로, 그리하여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자연방류하는 하천수의 어느 한쪽 물속에 잠기도록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동력발생효과가 극히 작은 것이며, 또한 하천수에 섞여 있는 불순물이 동력발생장치에 유입되는 경우에 이 불순물 이외 원통과 스크류 사이에 걸려 회전축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회전부를 형성하여 이 회전부를 지지부안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하며, 상기 회전부의 내통면을 따라 스크류를 형성하되, 회전부의 중앙부에는 흐르는 물이 그대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하지 아니하며, 또한 불순물의 장치안에 걸리지 아니하도록 하는 동력발생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 도면과 함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를 조립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이하 "동력발생기"라 함)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1)를 형성하고, 이 회전부(1)의 내원통면에는 스크류(2)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부(1)는 지지부(3)안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여 상기 지지부(3)를 땜의 수문 배출구(H)에 조립하였을 때에, 수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유수에 의해 스크류를 회전시키므로서 회전부(1)를 회전시켜 동력을 얻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회전부(1)는 유수(流水)의 수압을 직접 받아, 이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몸체(11)를 형성하고 이회전몸체(11)의 내원통면(11B)에는 스크류(2)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때 회전몸체(11)는 몸체(11)의 중앙쪽, 즉 한쪽 스크류(2)의 끝단과 다른 한쪽 스크류의 끝단과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띄어서 관통공(15)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이 관통공(15)은 땜의 수문 배축구에서 흐르는 물의 대부분이 물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키지 아니하고 그대로 흐르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몸체(11)에는 스러스트베어링(B2)을 조립하기 위한 베어링 시트(16)를 가공하고, 회전몸체(11)의 외원통면(11A)에는 몸체(11)의 회전력을 다른 동력 전달부에 전달하기 위하며 제 1 동력전달체(19)를 형성하는 것이며, 제 1 도에서는 제 1 동력전달체(19)를 기어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스크류(2)는 상기 회전몸체(11)의 내원통면에 형성되여 유수의 축방향의 수압을 직접 받은 다음 회전분력을 발생하여 이 회전분력을 상기 회전몸체(11)에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스크류(2)의 형성방법은, 제 2 도에서는 4줄의 나선형 스크류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줄 또는 2줄 이상의 나선형 스크류를 회전몸체(11)의 한쪽 끝단에서 다른 한쪽 끝단에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외에도 나선형 스크류를 일정한 간격을 띄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지부(3)는 땜의 수문 배출구(H)에 고정되며, 회전부(1)로 하여금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몸체(31)를 그안에 회전부(1)를 수납 가능한 크기로 형성하며, 지지몸체(31)의 한쪽에는 수문 배출구(H)에 고정하기 위하여 접합부(32)를 형성하고, 지지몸체(31)의 다른 한쪽은 상기 회전부(1)의 추력을 받기 위하여 서포터(3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의 제 1 동력전달체(1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제 2 동력전달체(5)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제 1 도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동력전달체(5)는 기어형인 제 1 동력전달체(16)와 치합이 가능하도록 피동기어(51)를 형성하고 이 피동기어(51)을 축(52)에 고정하고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부분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제 3 도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부(1)의 외원통부(11A)는 베어링(B1)을 개재하여 지지몸체(31)에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하며, 회전부(1)의 한쪽 끝단 베어링시트(16)는 베어링(B2)을 개재하여 지지서포터(33)에 조립한 다음 체결구(S)를 사용하여 지지접합부(32)를 수문 배출구(H)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동력발생기를 땜의 수문 배출구(H)에 고정하고 난다음 땜의 수문 배출구(H)를 열어 땜안의 물을 배수하면 땜의 물은 고속과 고압으로 배출되면서 회전부(1)의 내원통부를 따라 흐르게 되며 이렇게 내원통부를 따라 흐르는 유수중 일부는 회전부(1)의 관통공(15)을 통과하여 회전부(1)의 외부를 방출하고, 유수의 일부는 스크류(2)에 충돌하여 회전부(1)를 회전시킴으로서 이 회전력은 제 1 동력전달체(16)를 거쳐 제 2 동력전달체(5)로 전달되며, 이렇게 회전하는 제 2 동력전달체(5)의 축(52)에 발전기와 같은 각종 기계기구들을 점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동력발생기는 회전부의 내원통면에 스크류를 형성하되, 회전부의 중앙부은 공간부로하여 관통공을 함께 형성하므로서 지금까지 종래의 동력발생장치에서와 같이 앞쪽에서 흐르는 유수의 흐름방향이나 또는 속도를 크게 변동시키지 아니하면서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 땜의 수문배출구의 방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많은 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땜안에 혼입되여 있는 많은 양의 불순물은 전부 회전부의 관통공을 통하여 유수와 함께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땜의 청결을 유지하면서도 동력발생기의 고장을 유발시키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동력발생기의 회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는 몸체(11)를 따라 형성하고 있는 스크류(2)의 폭을 크게 하여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관통공(16)의 직경은 작아지게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서는 본원 고안에 따른 동력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회전몸체(11)의 내원통면에 스크류(2)를 형성하고 있는 회전부(1)의 구성은 동일한 것이나, 회전부(1)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달리하고 있는 것으로, 지지부(6)는 원통형으로 하지 아니하고, 세로대(61A)를 가로대(61B) 및 대각대(61C)로 고정하여 4각틀형으로 하며 지지몸체(61)를 형성하고있으며, 이 지지몸체(61)의 한쪽에는 접합부(62)를 형성하고 또한 지지몸체(61)에는 상기 회전부(1)의 베어링시트(16)와 함께 스러스트베어링(B2)을 지지 조립하기 위한 서포터(64)를 여러개 가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부품들을 조립할 때에는 회전부몸체(11)를 베어링(B1)을 개재하여 지지부몸체(61)에 조립하고, 회전부베어링시트(16)를 스러스트베어링(B2)을 개재하여 지지부서포터(64)에 조립하고, 접합부(62)를 땜의 수문배출구(H)에 갖다 대고 고정구(S)로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며, 이와같이 형성된 동력발생기의 작용효과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는 유수의 흐름이 있는 곳이면 어느 곳에나 설치하여 본체 내부에 유입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에너지에 의하여 본체 내부에 스크류와 함께 회전부를 회전시키므로서 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중공(中空)의 회전몸체의 내원통면에 나선형 스크류를 형성하되 회전몸체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며, 회전몸체의 외원통면에는 베어링시트를 가공하여 되는 회전부와 ;
    상기 회전몸체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몸체를 형성하고, 이 지지몸체에는 서포터를 가공하고, 접합부를 형성하여 되는 지지부를 ;
    구비한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KR92027240U 1992-12-29 1992-12-29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KR960000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240U KR960000551Y1 (ko) 1992-12-29 1992-12-29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240U KR960000551Y1 (ko) 1992-12-29 1992-12-29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294U KR940016294U (ko) 1994-07-22
KR960000551Y1 true KR960000551Y1 (ko) 1996-01-17

Family

ID=1934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7240U KR960000551Y1 (ko) 1992-12-29 1992-12-29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80B1 (ko) * 2019-04-08 2020-05-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형 소수력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2970A1 (en) * 2003-10-31 2005-05-12 Jae Won Park Two fold spiral turb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80B1 (ko) * 2019-04-08 2020-05-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형 소수력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294U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8158A (en) Pressure exchanger having axially inclined rotor ducts
US5503530A (en) Walter's whirl-wind vertical axis wind turbine
RU2006105189A (ru)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генератор и элемент пропеллер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энерг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тока воды
IT1261397B (it) Ammortizzatore rotante
WO2009113656A1 (ja) 水力発電装置
KR960000551Y1 (ko) 유수에 의한 동력발생기
CN110247622A (zh) 光伏跟踪支架及其旋转减振装置
JPH0579450A (ja) 風 車
KR930016678A (ko) 레이디얼 베어링
JP3143189U (ja) 小型水力発電機
KR850001714A (ko) 주행시이트의 사행(蛇行) 수정장치
US4222700A (en) Unidirectional rotation turbine apparatus with reverse flow
FR2378939B1 (ko)
KR910020423A (ko) 쌍 롤러형 샤시 동력계
CN86105549A (zh) 核反应堆冷却剂泵的叶轮/转轴组件
JPH09158888A (ja)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JP3063354U (ja) 潮流発電用水車
JPH08100756A (ja) 水平垂直ブレードによる抗力差回転体
JPH09177652A (ja) 回転羽根装置
KR930700774A (ko) 회전펌프
JPS6220388B2 (ko)
SU1560062A3 (ru) Жидкостно-кольцева машина
AT369525B (de) Energiesparende waermepumpe
SU1329825A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очиститель жидкостей
US1306487A (en) j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