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38Y1 -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38Y1
KR960000438Y1 KR2019930016548U KR930016548U KR960000438Y1 KR 960000438 Y1 KR960000438 Y1 KR 960000438Y1 KR 2019930016548 U KR2019930016548 U KR 2019930016548U KR 930016548 U KR930016548 U KR 930016548U KR 960000438 Y1 KR960000438 Y1 KR 960000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packing
connector
r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794U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19930016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38Y1/ko
Publication of KR950006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구 본체 2 : 단턱부
3 : 패킹 4 : 너트
5,5' : 경사부 6 : 단턱부
7 : 고정용 C링
본 고안은 굴곡관을 연결하여 고정할때 사용하는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캡 내부에 2단으로 경사부와 단턱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일측이 절단된 고정용 C링을 체결하며, 연결구의 내부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심지게 형성된 패킹을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패킹이 삽입된 연결구에 C링이 삽입되어 있는 고정캡을 체결한 다음 굴곡관을 연결구로부터 삽입하여 한 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굴곡관을 연결할 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단턱부와 경사부를 형성하고 단턱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고무패킹을 굴곡관을 삽입 체결하되 굴곡관의 외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고무패킹을 체결하고 고무패킹의 일측에서 고정구와 너트로서 고무패킹을 압축하여 누수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단순히 고무패킹을 이용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미세한 진동으로 인하여 너트가 쉽게 풀리는 단점이 있었고, 너트가 풀어질 경우에는 패킹의 압축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누수를 방지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굴곡관을 조립 체결할 때 굴곡관에 C링과 너트를 삽입하고 연결구에는 고무패킹을 삽입하며, 이 상태에서 굴곡관을 패킹의 내부를 체결한 다음 C링이 체결되어 있는 너트를 연결구에 체결하여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인건비를 지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누수를 방지하고 굴곡관을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의 연결구에 체결되어 있는 고무패킹의 내경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굴곡관의 굴곡부에 체결되게 하여서 된 굴곡관 체결장치(89년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13040호)가 안출되었으나, 상기의 고안은 고무패킹의 돌출부에 의하여 고무패킹과 굴곡관 사이의 누수방지 효과를 최대로 하였으나, 진동으로 인하여 본체에서 너트가 자주 풀리는 근본적인 단점과 경사부가 형성된 고무패킹이 본체의 경사부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가 약간만 풀리면 물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편심되게 형성된 패킹을 삽입하고, 연결구와 체결되는 너트의 내부에 2중의 단턱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C링을 삽입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패킹이 삽입되고 너트에는 고정용 C링이 삽입 체결된 공지의 굴곡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는 단턱부(2)를 형성하여 편심되게 형성된 패킹(3)을 삽입하고, 너트(4)의 내부 일측에는 2단으로 경사부(5)(5')와 단턱부(6)를 형성하여 C링(7)을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8은 굴곡관을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체결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관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2)에 편심지게 형성된 패킹(3)을 삽입하고, 연결구 본체(1)의 일측에는 C링(7)이 체결된 너트(4)를 체결한 다음 연결구 본체(1)에서 굴곡관을 삽입하여 밀어 넣고 너트(4)를 조이면 되는 것이다.
즉 굴곡관을 너트(4)에서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굴곡관은 C링(7)과 패킹(3)을 지나 연결구 본체(1)의 단턱부(2)에 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너트(4)를 조이면 너트(4)는 C링(7)을 압착하게 되고 C링(7)은 고무패킹(3)을 압착하면서 굴곡관을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너트(4)가 C링(7)을 압착하게 되면 고무패킹(3)의 탄발력에 의하여 너트(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5)를 타고 단턱부(6)로 들어가 굴곡관을 견고히 압착하면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너트를 과다하게 조일 경우 C링은 2차 경사부(5')를 타고 압착되면서 견고히 굴곡관을 고정하게 되고 어느정도 일측으로 밀리게 되면 너트(4)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C링(7)은 굴곡관을 압착함과 동시에 경사부(5')에 의하여 일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되기 때문에 너트(4)가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단턱부를 형성하게 편심되게 형성된 패킹을 삽입하고, 너트의 내부에는 경사부와 단턱부를 형성하여 C링이 체결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연결구와 너트를 조립한 상태에서 굴곡관을 원터치방식으로 삽입 체결하기 때문에 조립이 손쉽고 간편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으며, 굴곡관을 고정하고 있는 C링이 너트의 경사부에 의하여 미끄러지면서 단턱부에 체결되어 굴곡관이 견고히 고정하게 되어 굴곡관에 의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가 있고, C링이 너트의 단턱부에 삽입되므로서 너트가 직접 패킹을 눌러주기 때문에 패킹이 굴곡관의 굴곡부에 밀폐되게 삽입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으며, 패킹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이 연결구와 내부를 밀폐되고 고정할 수가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패킹이 삽입되고 너트에는 고정용 C링이 삽입체결된 공지의 굴곡관 연결구에 있어서, 너트(4)의 내부 일측에 2단으로 경사부(5)(5')와 단턱부(6)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KR2019930016548U 1993-08-25 1993-08-25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KR960000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548U KR960000438Y1 (ko) 1993-08-25 1993-08-25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548U KR960000438Y1 (ko) 1993-08-25 1993-08-25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94U KR950006794U (ko) 1995-03-21
KR960000438Y1 true KR960000438Y1 (ko) 1996-01-10

Family

ID=1936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548U KR960000438Y1 (ko) 1993-08-25 1993-08-25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4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94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20002463A (fi) Putkiliitos
KR960000438Y1 (ko) 굴곡관 연결구의 체결 고정장치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880000490Y1 (ko) 관 이음쇠
KR960000436Y1 (ko) 관 연결구
KR200288643Y1 (ko) 나사 조임식 이음관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KR200197323Y1 (ko) 관체 연결구용 고정링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KR940000074Y1 (ko) 호스연결구
KR200187811Y1 (ko) 관의 이음장치
KR200164009Y1 (ko) 호스연결장치
KR200209186Y1 (ko) 파이프 연결소켓의 협지링 구조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KR950008900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960004384Y1 (ko) 온돌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39771Y1 (ko) 파이프의 원터치식 이음쇠
KR940007072Y1 (ko) 주름관 연결구
KR920006190Y1 (ko) 구조물 체결구
KR960007449Y1 (ko) 배관 이음용 커플링
KR960009112Y1 (ko) 파이프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