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355Y1 -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 Google Patents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55Y1
KR960000355Y1 KR2019930012669U KR930012669U KR960000355Y1 KR 960000355 Y1 KR960000355 Y1 KR 960000355Y1 KR 2019930012669 U KR2019930012669 U KR 2019930012669U KR 930012669 U KR930012669 U KR 930012669U KR 960000355 Y1 KR960000355 Y1 KR 960000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ricycle
pinion
output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615U (ko
Inventor
이상모
Original Assignee
이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모 filed Critical 이상모
Priority to KR201993001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355Y1/ko
Publication of KR950003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1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combustion engine
    • B62M6/25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combustion engine power-driven at ax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낸 요부확대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삼륜차 2 : 엔진
3 : 출력축 4 : 출력기어
5 : 회전축 6 : 전동기어
7 : 바퀴 8 : 피니언
9 : 동축 10 : 베어링
11: 이동편 12 :지지케이스
13 : 안내통로 14 : 스프링
15 : 와이어 16 : 조절레버
본 고안은 유의용 삼륜차(일명 씽씽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출력기어와 바퀴의 전동기어를 피니언에 치합시키거나 분리하는 수단에 의해 엔진의 출력을 바퀴로 전달 또는 단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엔진은 공회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삼륜차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엔진의 가동이 계속되어지도록 하고 또한, 출발시에는 피니언의 치합에 의해 바퀴를 회전시켜서 신속하게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된 유희용삼륜차의 동력전달 및 단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희용 삼륜차 즉, 일명 씽씽카라고 불리우는 어린이용 유희구는 앞바퀴가 한개이고 뒷바퀴가 두개로 형성되어 있어 최초에는 사용자가 수동에 의해 이 삼륜차를 타고 즐겼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의 삼륜차 뒷바퀴부분에 엔진을 장착하여 이 엔진의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면서 이른바 자동으로도 삼륜차를 몰고 다녔었다. 그러나 상기의 엔진의 동력을 켜고 끄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엔진이 가동하거나 중단되는 수단을 채택하고있기 때문에 정지상태에서는 항상 엔진이 꺼져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시 출발을 하려 할때에는 엔진을 재시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일시정지를 할때에도 엔진이 꺼져버렸기 때문에 시동을 자주걸어서 엔진을 가동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희용 삼륜차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들의 동력을 연결시켜 주거나 끊어줄수 있는 장치를 장착함으로서 정지상태에서도 엔진의 가동이 지속되어 공회전을 하는 상태로 되어질 수 있고 아울러 신속하게 동력을 전달할수 있도록된 것이며 이로 인한 간편성과 엔진의 효과적인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의 출력기어와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지는 전동기어를 나란히 일정한 간격을 두어 설치하고, 이들의 중간에는 와이어에 의해 전, 후로 이동될 수 있는 피니언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피니언이 전동기어와 출력기어에 치합되면 바퀴의 회전이 허용되는 상태가 되고, 반대로 피니언을 이들과 분리시키면 엔진은 가동되지만 바퀴의 회전은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충분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나타낸 요부확대 작용으로서, 유희용 삼륜차(1)의 뒷바퀴(7)상측으로는 엔진(2)이 장착되어지고, 엔진(2)의 출력축(3)에는 출력기어(4)가 고정되어진다. 또한 바퀴(7)를 양측에 고정하고 있는 회전축(5)에는 전동기어(6)가 설치되는 바, 출력기어(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출력기어(4)와 전동기어(6)의 사이에는 피니언(8)이 위치되어 출력기어(4)와 전동기어(6)의 동력을 전달내지는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는바, 이 피니언(8)을 이동축(9)에 고정설치 되어지고, 이동축(9)의 양단은, 지지케이스(12)내부의 안내통로(13)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편(11)의 베어 링(10)에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이동편(11)의 일면에는 삼륜차(1)의 조절레버(16)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5)일단이 결속되어지고 이동편(11)을 출력기어(4)와 전동기어(6)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피니언(8)의 이동에 의해 출력기어(4)와 전동기어(6)의 동력을 전달 또는 단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지된 방법으로 엔진에 연결된 레버를 당겨 엔진(2)을 시동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유희용 삼륜차(1)의 조절레버(l6)를 당긴상태에서 시동을 걸게 되는 바, 조절레버(16)를 당기면 조절레버(16)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5)가 당겨지면서 지지케이스(12)내의 이동편(11)을 당기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이동편(11)이 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안내통로(13)를 따라 제 2 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것과 같이 이동되는 것이며, 이동편(11)에 베어링(10)으로 결합되어 있는 이동축(9)과 피니언(8)도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피니언(8)이 출력기어(4)와 전동기어(6)와의 탈치합을 하는 상태가 되므로 엔진(2)이 가동되어도 출력축(3)과 출력기어(4)가 회전될 뿐 회전축(5)의 전동기어(6)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바퀴(7)도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엔진(2)의 가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주행을 할때에는 잡고 있던 조절레버(16)를 놓게 된다. 이와같이 조절레버(16)를 놓게되면 지지케이스(12)내의 안내통로(13)에서 이동편(11)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4)이 이완되는 상태가 되고, 아울러 이동편(11)이 이 스프링(14)의 탄력성에 의해 후진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따라 이동축(9)의 피니언(8)도 이동되면서 출력축(4)과 전동기어(6)에 제 2 도 실선과 같이 치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엔진(4)의 동력은 출력축(3)과 출력기어(4)를 통해 피니언(8)으로 전달되어지고, 이 피니언(8)은 회전축(5)의 전동기어(6)로 전달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바퀴(7)가 회전되어 삼륜차(1)가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행중에 잠시 정지를 할때에나 정지를 시킬때에나 단시간 정지를 시킬 때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레버(16)를 당기면 피니언(8)이 출력기어(4)와 전동기어(6)로 부터 떨어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바퀴(7)가 정지를 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물론 바퀴(7)의 정지작용은 통상의 브레이크장치(도시안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일시정지상태에서 엔진(2)은 지속적으로 공회전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재출발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시동을 출발시마다 걸어야 하는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간단한 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 동력을 끊어주거나 연결시켜줄 수 있는 것이어서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엔진(2)의 출력기어(4)와, 상기 출력기어(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회전축(5)의 전동기어(6)와, 상기 출력기어(4)와 상기 전동기어(6)에 동시에 치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피니언(8)과 상기 피니언(8)이 장착된 베어링(10)과, 상기 베어링(10)이 장착된 이동편(11)과, 상기 이동편(11)의 일측에 탄설된 스프링(14)과 상기스프링(14)에 와이어(15)를 통하여 연결된 조절레버(16)를 포함하는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전달 및 단절장치.
KR2019930012669U 1993-07-10 1993-07-10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KR960000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669U KR960000355Y1 (ko) 1993-07-10 1993-07-10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669U KR960000355Y1 (ko) 1993-07-10 1993-07-10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615U KR950003615U (ko) 1995-02-17
KR960000355Y1 true KR960000355Y1 (ko) 1996-01-06

Family

ID=1935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669U KR960000355Y1 (ko) 1993-07-10 1993-07-10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3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615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0240B1 (en) Power assist system for vehicle
EP0688272B1 (en) Wheelchair drive system
US4671374A (en) Main stand device for two-wheeled motorcycle
US2857008A (en) Power roller skates
JP6214778B2 (ja) オートバイ用後進装置
US3538640A (en) Power drive disconnect for toy vehicles
ZA84609B (en) Electric mower with gear drive
KR960000355Y1 (ko) 유희용 삼륜차의 동력 전달 및 단절장치
US545303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motely retrieving a radio-controlled model
KR100776854B1 (ko) 일륜 전동스쿠터
CA2376787A1 (en) Motorization of a bicycle with a simple replacement of the bottom bracket
US4172504A (en) Bicycle engine
KR20030067016A (ko) 자전거의 추진장치
US4595381A (en) Toy vehicle with electric motor
KR100362592B1 (ko) 무선 조종 모형 자동차 세트를 이용한 무선 조종 모형 보트
KR860002943Y1 (ko) 슬라이드 보오드
KR200231352Y1 (ko) 수동 겸용 전동식 스쿠터
CN217048896U (zh) 飞旋踏板连动机构
US2065437A (en) Motor vehicle
KR810000378Y1 (ko) 어린용 자동차의 구동장치
KR830001793Y1 (ko) 완구 승용차
JPH06144211A (ja) 車両用駐車ブレーキ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3052641B2 (ja) 車両用クラッチ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3052640B2 (ja) 車両用クラッチ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2003231490A (ja) 二輪車・三輪車用車体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