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051B1 - 소결광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결광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051B1
KR960000051B1 KR1019930027038A KR930027038A KR960000051B1 KR 960000051 B1 KR960000051 B1 KR 960000051B1 KR 1019930027038 A KR1019930027038 A KR 1019930027038A KR 930027038 A KR930027038 A KR 930027038A KR 960000051 B1 KR960000051 B1 KR 960000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ed
sintering
ore
raw material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550A (ko
Inventor
황병운
김경섭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조말수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조말수,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051B1/ko
Publication of KR95001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결광 제조방법
제1도는 통상적인 분 소성 백운석의 처리공정도.
제2도는 생석회와 융액형성용 코팅제를 혼합하여 조립한 경우의 의사입자 입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분소성 백운석과 용액형성을 코팅제를 혼합하여 조립한 경우의 의사입자 입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4도는 융액형성용 코팅제의 첨가량에 따라 소결광의 상온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고로용 원료인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결 배합 원료의 조립공정에서 첨가되는 바인더로서 분소성 백운석을 첨가하여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용 원료인 소결광을 제조함에 있어 소결원료로 사용되는 철광석을 그 입도가 매우 작고 분포가 넓어 이들을 그대로 소결하는 경우 통기도 저해등에 따라 생산성이 악회되므로 이들 원료에 수분과 바인더를 첨가, 미분(통상 1mm 이하)을 대립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조립공정을 통하여 미분 장입량을 낮추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결 배합원료의 조립(Granulation)과정에서 0.125mm 이하인 미분이 많게 되는 경우 대립에 부착되고 남은 잉여 미분이 소결 과정에서 공기의 통로를 막게되어 통기성이 저하되면서 소결시간이 길어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그 양이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공정에서 사용하는 미분을 부착하는 바인더로는 주로 생석회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소결광 제조방법에서는 이러한 직경 0.125mm 이하인 미분이 많은 광종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조립용 바인더로 사용되는 생석회 첨가량을 증가하여 조립공정을 강화하거나, 소결과정에서 발생된 직경 5mm 이하인 반광을 중배합하거나 대립이 많은 광종과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이같이 조립공정에 고가인 생석회를 많이 첨가하는 경우 소결괄 생산단가가 상승되므로 그 사용량이 한정된다.
따라서 생석회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바인더로서 효과가 우수한 분 소성 백운석을 소결용 바인더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분 소성 백운석을 사용하는 경우 소결 광의 상온강도가 저하되어 회수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이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이유로 지금까지는 제1도에서와 같이 백운석 소성시에 발생되는 분 소성 백운석을 단광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단광 제조공정에서의 분진 및 미분의 재발생과 함께 단광처리에 따른 공정원가가 비싸 현재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방법들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고로용 원료인 소결과 제조방법에서 원료의 사전처리 공정중 조립에 사용되는 생석회 대용으로 소성 백운석을 사용하고, 이를 소결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소결광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분 철광석 입자, 원료 처리 집진 더스트 및 제강공정 발생 슬래그를 미분화(0.125mm 이하)하여 첨가하되 이들을 조립공정의 부착입자로 하여 소결시 용액 형성용 코팅제로 사용함으로서 소결광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소결광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결배합원료에, 소결배합원료중량에 대하여 바인더인 분소성 백운성 : 1-2중량%, 및 전로슬래그, 미분철광석, 및 소결 원료 처리공장에서 원료처리시 비산되는 미분을 포집한 미분더스트로 이루어진 융액형성용 코팅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액형성용 코팅제 : 5중량% 이하를 첨가하여 조립한 다음, 소결하여 소결광을 제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소결광 제조에 사용되는 소결 배합원료는 통상, 중량%로, 철광석 : 55-60%, 석회석 : 12-15%, 규석 : 1-3%, 사문암 : 1-3%, 코크스 : 3.5-4%, 및 소결광제조시 발생되는 -5mm 이하의 반광 : 18-22%로 조성된다.
그러나 이들 소격배합원료를 소결기에 그대로 장입하는 경우에는 소격층내 통기성 확보가 어렵게 되므로 이들을 조립화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조립공정에서는 수분과 함께 배합원료중의 미분입자들을 결합하는 바인더가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 바인더로서 1-2중량%의 생석회를 첨가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인더로서 생석회 대용으로 분소성백운석을 1-2중량% 첨가한다.
상기 융액 형성용 코팅제는 극미분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대립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어 소결시 쉽게 융액화 될 수 있으며, 전로 슬래그의 경우 원료 광석에 비해 월등히 높은 반응성을 지니고 있어 이들의 첨가로 열 원단위로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밖에 소결용 부원료로 첨가되는 석회석 또는 규사대용으로 전로슬래그, 집진 더스트와 미분 철광석이 사용되는 경우 폐기물로 재처리되던 자원의 직접 활용에 따라 폐기비용, 부원료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고 이들 융액 형성용 코팅제는 기존의 부원료와 달리 재료가 고품위 철분을 함유하고 있어 저 슬래그 성분의 고품위 소결광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융액 형성용 코팅제의 조절로 소결광의 성분 조정이 용이하여 소결광의 조직제어가 가능하고 피환원성등 전반적인 품질의 개선이 가능하다.
상기 융액 형성용 코팅제는 상온강도를 증가시키므로 분 소성 백운석을 조립용 바인더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타나는 소결광의 강도저하를 방지해주며, 특히, 철분이 높은 코팅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용액 형성용 코팅제의 첨가량이 소결배합원료에 대하여 5% 이상인 경우에는 오히려 통기 저항등에 따른 생산성 저하등의 문제점이 야기되므로, 상기 용액 형성용 코팅제의 첨가량은 5% 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융액 형성용 코팅제의 입도는 200 메쉬(meah)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 소성 백운석을 조립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조립효과를 높이는 한편, 미분철광석, 전로슬래그(래들 슬래그) 및 원료 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집진 더스트를 바인더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소결시 생성되는 융액의 조성을 강도가 높은 조성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바인더와 혼합한 코팅제는 이들의 전량 부착분화되도록 1차 조립공정을 거친 원료의 표면에 수분이 존재하는 배합원료에 분사하여 표면에 코팅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표 1과 같은 화학성분을 갖는 배합원료들을 하기표 2와 같은 배합비로 배합한 다음, 이 배합원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및 2.0%의 융액형성용 코팅제를 첨가하여 조립한 다음, 이 조립물에 대하여 통상의 조립시험에 의해 의사입자의 크기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었다.
제2도는 바인더로서 생석회를 사용한 경우에고, 제3도는 바인더로서 분 소성 백운석을 사용한 경우이다.
[표 1]
[표 2]
A : 호주광석
B : 인도 괴파쇄 광석
C : 남미광석
D : 남미 자철광
바인더 : 생석회, 분 소성 백운석
제2도 및 제 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조건에서 조립한 결과 융액 형성용 코팅제의 첨가량이 증가되면서의 사입자의 크기가 증가되고 있으며, 바인더로서 생석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분 소성 백운석을 사용하는 경우가 조립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조립된 조립물중 바인더로서 분 소성 백운석을 사용한 것을 통상의 소결 모사 실험을 행한 후, 상온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4도에 나타내었다.
이때, 소결 모사 실험은 모사 실험장치에서 두께 2mm인 철판을 사용하여 4등분하고 이들 각 부위에 서로 다른 융액 형성용 코팅제를 첨가하여 조립한 소결용 배합원료를 장입한 후, 분할용 철판을 회수한 후 동일한 조건에서 조결한 것이다.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융액 형성용 코팅제를 분 소성 백운석과 함께 첨가하는 경우 분 소성 백운석만 첨가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결광의 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결배합원료에, 소결배합원료중량에 대하여 바인더인 분 소성 백운석 : 1-2 중량%, 및 전로 슬래그, 미분 철광석, 및 소결원료 처리공장에서 원료처리시 비산되는 미분을 포집한 비분 더스트로 이루어진 융액 형성용 코팅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융액 형성용 코팅제 : 2중량% 이하를 첨가하여 조립한 다음, 소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의 제조방법.
KR1019930027038A 1993-12-09 1993-12-09 소결광 제조방법 KR960000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038A KR960000051B1 (ko) 1993-12-09 1993-12-09 소결광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038A KR960000051B1 (ko) 1993-12-09 1993-12-09 소결광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550A KR950018550A (ko) 1995-07-22
KR960000051B1 true KR960000051B1 (ko) 1996-01-03

Family

ID=1937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038A KR960000051B1 (ko) 1993-12-09 1993-12-09 소결광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58B1 (ko) * 2011-12-26 2014-01-2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미분광석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58B1 (ko) * 2011-12-26 2014-01-2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미분광석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550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938B1 (ko) 소결광 제조용 원료의 제조방법
CN102242251A (zh) 一种碱性钒钛球团矿及其制备方法
CA1044897A (en) Pellets useful in shaft furnace direct red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0580106C (zh) 冷压团块和造球的方法
US4168966A (en) Agglomerates for use in a blast furna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704673B2 (ja) 半還元焼結鉱の製造方法
KR960000051B1 (ko) 소결광 제조방법
KR0173842B1 (ko) 고결정수 철광석을 원료로 사용하는 소결광의 제조방법
US4001007A (en) Material for sintering emitting a lesser amount of nitrogen ox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3825638A (en) Method for producing cold bound agglomerates from particulate mineral concentrates
US4082540A (en) Material for sintering emitting a lesser amount of nitrogen ox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476284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FI127031B (en) METHOD AND ORGANIZATION FOR TREATMENT OF CHROMATIC CONCENTRATE FOR PELLETING AND SYNTHETATION AND PELLETABLE FEED
JPS627253B2 (ko)
KR100226890B1 (ko) 혼합 더스트를 첨가한 소결광 제조방법
CN1500891A (zh) 用含铁尘泥生产的小球烧结矿及其工艺方法和专用的竖炉
KR950013825B1 (ko) 비소성펠릿(pellet)의 제조방법
KR890004858B1 (ko) 소결광제조를 위한 미분석회석의 사전처리법
CA1070953A (en) Agglomerates for use in a blast furna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58213837A (ja) クロム鉱石の焼結法
KR100376540B1 (ko) 고상 환원법에 의한 괴상 환원철의 제조방법
JPS6221055B2 (ko)
JPH06220549A (ja) 焼結原料の予備処理方法
JPH0415278B2 (ko)
JPH066754B2 (ja) 鉄鉱石の焼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