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31413A -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31413A
KR950031413A KR1019940010905A KR19940010905A KR950031413A KR 950031413 A KR950031413 A KR 950031413A KR 1019940010905 A KR1019940010905 A KR 1019940010905A KR 19940010905 A KR19940010905 A KR 19940010905A KR 950031413 A KR950031413 A KR 95003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ood
materials
straw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승철
Original Assignee
기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승철 filed Critical 기승철
Priority to KR101994001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31413A/ko
Publication of KR95003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413A/ko

Links

Landscapes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을 가공 사용하고 남은 폐목재와 톱밥, 벼농사 및 밀농사후 발생한 부산물인 볏짚과 밀
짚, 의류의 제조시 발생한 폐자재인 섬유의 폐원단과 생활 쓰레기인 합성수지 및 폐종이를 이용하여 상기의 소재를 각각 특성에 맞게 분쇄 건조 가공하여 분쇄한 소재를 2-6종류를 혼합하여 열경화성 접착제로 결합하여 판상으로 성형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와 식물섬유질과 폐자재를 이용한 복합 판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 및 건축용 판재인 합판이나 파티클보드는 그 주원료가 목재를 사용함으로, 근래와 같이 자연환경 보호 측면에서 목재의 벌목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추세에 비추어 보면 목재의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바이다. 또한 이로인한 판재의 제조원가 상승에 영향을 미쳐 판재의 소비자에게 막대한 물적인 부담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원목의 목질부에서 펄프나 각재용의 목재에 이용되고 남은 폐목재와 톱밥과 벼농사 및 밀농사후 발생한 볏짚, 밀짚, 의류의 제조시 발생하는 섬유의 폐원단과 생활 쓰레기인 합성수지 및 폐종이를 주원료로 하여 이들의 소재를 상호 특성에 부합되게 한합하여 판재를 제조함으로서 통상적인 건축용 합판 및 파티클보드와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어, 폐목재 및 볏짚, 밀짚 폐자재를 이용함으로서 생산원가 절감과 원활한 원료 공급면에서 잇점이 있고, 농가 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의 활용으로 공해 방지와 더불어 자연보호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자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판재의 단면도.

Claims (7)

  1. 종래의 파티클보드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원료인 목재를 포함하는 폐목재 및 톱밥, 볏짚, 밀짚, 폐원단, 폐종이등을 소재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40-120 메쉬 또는 0.8-18미리 크기로 각각 분쇄 또는 마쇄하여, 함수율 6%이하로 건조한 후 통상적인 판재성형용 금형틀내부에 합성수지 또는 섬유의 직물지 망사의 형태인 다공성 부재를 평탄하게 내입하고, 그 위에 상기의 분쇄 또는 마쇄된 소재를 1종류 또는 2-6종류의 소재를 고르게 혼합하여 삽입하고, 그 위에 재차 다공성 부재를 평탄하게 내입하여 점성 5-550센티 포이즈의 열경화성 접착제를 ㎥당 30-1000g을 도포하고, 압력 5-40㎏/㎤, 온도 80-210℃도 소재 및 다공성 부재의 펼친 두께의 1/8-1/20이 되도록 1-8분간 가열 압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재를 1종류만을 이용하여 상기의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소재를 2종류만을 이용하여 상기의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소재를 3종류만을 이용하여 상기의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부재를 판재의 일면에만 결합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부재를 판재의 양면에 결합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7.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40010905A 1994-05-19 1994-05-19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KR950031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905A KR950031413A (ko) 1994-05-19 1994-05-19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905A KR950031413A (ko) 1994-05-19 1994-05-19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413A true KR950031413A (ko) 1995-12-18

Family

ID=6668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905A KR950031413A (ko) 1994-05-19 1994-05-19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314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563B1 (ko) * 2002-01-03 2005-03-18 박희태 목재칩을 이용한 성형목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563B1 (ko) * 2002-01-03 2005-03-18 박희태 목재칩을 이용한 성형목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7235A (en) Reconstituted board products from plant-fiber residues
CN101642925B (zh) 一种利用蓖麻秆为原料的脲醛树脂胶中密度纤维板
CN102179856B (zh) 一种高强度刨花板及其制造方法
KR100864484B1 (ko) 성형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HK1001021A1 (en) Structures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CN100503191C (zh) 一种木基棉花秸秆复合人造板的制造方法
CN102225569B (zh) 一种高强度无机人造板及其制造方法
KR100666772B1 (ko) 폐지폐 및 폐목재칩을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
CN104339434A (zh) 一种用棉花秸秆制造复合人造板的方法
CN108544628A (zh) 一种木丝增强稻草秸秆板及其制备方法
EP3135811B1 (en) Production method of pulp derived from biomass for producing composite boards
CN104369251A (zh) 一种棉花秸秆复合人造板的制造方法
KR100873926B1 (ko) 폐자재를 이용한 패널의 제조방법
KR950031413A (ko) 폐목재와 농사 부산물과 폐자재를 이용한 내수성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킨 판재의 제조방법
CN202129833U (zh) 一种复合木板
KR950031411A (ko) 폐목재와 식물섬유질과 폐자재를 이용한 복합 판재 및 제조방법
CN208867351U (zh) 一种木丝增强稻草秸秆板
KR950031412A (ko) 폐목재와 식물섬유질과 폐자재를 이용한 복합 판재 및 제조방법
KR100305105B1 (ko) 볏짚을이용한판상물의제조방법
CN204505456U (zh) 一种竹刨花与木纤维复合板
KR20060092161A (ko) 볏짚을 이용한 기능성 판재 및 그 제조방법
US2486601A (en) Process of producing a molding powder
DE1994997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lattenförmigen Dämm- und Konstruktionswerkstoffen sowie Formkörpern
CN103538133A (zh) 笋衣低密度纤维板及其生产工艺
GB811533A (en) Improvements in a process for producing high density hard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