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24449A - 적응적으로 각 프레임에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 Google Patents

적응적으로 각 프레임에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24449A
KR950024449A KR1019940000740A KR19940000740A KR950024449A KR 950024449 A KR950024449 A KR 950024449A KR 1019940000740 A KR1019940000740 A KR 1019940000740A KR 19940000740 A KR19940000740 A KR 19940000740A KR 950024449 A KR950024449 A KR 950024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information amount
unit
digit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476B1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0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476B1/ko
Publication of KR95002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2Dynamic bit allo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인간의 인지 정보량(perceptual entropy)에 따라 각 프레임에 비트를 적응적으로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디지탈 오디오부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가진 프레임군(group of frame ; GOF)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각 프레임에 대해 적응적으로 비트를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가진 프레임군을 입력하여 제1전력 밀도 스펙트럼(power den-sity specthm)을 구하고, 이 전력밀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인간의 인지 정보량(perceptual entropy)을 산출하는 인지 정보량 계산부와, 상기 인지 정보량 계사누에서 얻은 인지 정보량에 응답하여 상기 1프레임군내의 각 프레임에 적응적으로 비트를 할당하는 직응적 프레임 비트 할당(adaptive frame bit allcoatiom)부와,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에 적응적으로 할당된 비트를 상기 입력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에 적용하여 부호화하는 부호기로 이어진다.

Description

적응적으로 각 프레임에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1프레임군(1GOF)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4)

  1. 입력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가진 프레임군(group of frame ;GOF)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인간의 인지 정보량에 응답하여 각 프레임에 대해 적응적으로 비트를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가진 프레임군을 입력하여 제1 전력 밀도 스펙트럼(power density spectrum)을 수하고, 이 제1 전력밀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인간의 인지 정보량(perceptual entropy)을 산출하는 인지 정보량 계산부와; 상기 인지 정보량 계산부에서 얻은 인지 정부량에 응답하여 상기 프레임군내의 각 프레임에 적응적으로 비트를 할당하는 적응적 프레임 비트 할당(adaptive frame bit allocatiom)부와; 상기 입력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상기 각 프레임에 할당된 비트를 적용하여 부호화하는 부호기를 포함하는 적응적으로 각 프레임에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량 계산부는, 상기 제1 전력 밀도 스펙트럼에 의해 마스킹 문턱치(masking threshold)를 구하고, 이 마스킹 문턱치 이하의 영역으로서, 인간의 귀로서는 감지할 수 없는 영역의 제2전력 밀도 스펙트럼을 구하며, 그다음 상기 제1 전력 밀도 스펙트럼과 제2 전력 밀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에 대한 인지 정보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프레임 비트 할당부는, M개 (여기서, M은 1 GOF 내의 프레임수)의 프레임을 가진 1프레임군의 i번째(여기서, i는 양의 정수로서,, 1GOF의 임의의 프레임을 나타냄) 프레임에 대한 인지 정보량을 PEi라 하고, 상기 1프레임군내의 평균 인지 정보량 PER과, 1프레임군에 대한 표준편차 PEstd를 이용하여 가중치(δ)를 구하고, 그다음 상기 평균 인지정보량(PER)과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지정보량 (Xi)을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구할 수 있으며,
    여기서, if(i > 0) sign(i) = 1, if(i< 0) sign(i) = -1, if(i = 0) sign(i) = 0 이고, i는 상기 Index범위내에 존재하며, 그 다음, 상기 소정의 인지 정보량에 대응하는 프레임 비트 할당 상태를 나타내는 Index에 의해 최종 각 프레임에 적응적으로 비트를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오디오 복호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기는, 입력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서브 밴드(subband)로 분할하는 대역 분할 필터부와,; 상기 입력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프레임 단위로 인간의 청각특성에 의해 신호대 마스킹에 대한 파라메터를 검출하는 심리 음향 모델부와 ; 상기 분할된 서브 밴드에 대해 상기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각각 적응 비트를 할당하여 압축부호화하는 비트 할당 및 양자화부와; 상기 비트할당 및 양자화부에서 제공되는 양자화 샘플들과 상기 검출된 파라메터를 통해 전송 선로 및 기록 매체의 특성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부응하기 위해 계층구조로 포맷팅하는 비트스트림 포맷팅부를 포함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00740A 1994-01-18 1994-01-18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프레임별 비트 할당장치 KR96001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740A KR960012476B1 (ko) 1994-01-18 1994-01-18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프레임별 비트 할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740A KR960012476B1 (ko) 1994-01-18 1994-01-18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프레임별 비트 할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449A true KR950024449A (ko) 1995-08-21
KR960012476B1 KR960012476B1 (ko) 1996-09-20

Family

ID=1937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740A KR960012476B1 (ko) 1994-01-18 1994-01-18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프레임별 비트 할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4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476B1 (ko) 199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24447A (ko) 다수개의 채널 및 프레임에 적응적으로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JP4237826B2 (ja) 複数のサブバンドビットアロケーションを用いた可変長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
JP2906646B2 (ja) 音声帯域分割符号化装置
KR100335611B1 (ko) 비트율 조절이 가능한 스테레오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175028B2 (ja) デジタル信号の符号化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復号化方法及び装置
EP3457400B1 (en) Voice audio encoding device, voice audio decoding device, voice audio encoding method, and voice audio decoding method
EP0884850A2 (en) Scalable audio 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48697B2 (ja) 信号のディジタル・ブロック・コ−ド化方法
JPH0140537B2 (ko)
JPH08204574A (ja) 適応的符号化システム
KR960704300A (ko)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부호화/복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및 부호화/복호화 장치(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encoding/de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and encoding/decoding apparatus)
KR20040053865A (ko) 비트율 조절가능한 오디오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US5761636A (en) Bit allocation method for improved audio quality perception using psychoacoustic parameters
JP2000151413A (ja) オーディオ符号化における適応ダイナミック可変ビット割り当て方法
KR950024449A (ko) 적응적으로 각 프레임에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JP3297238B2 (ja) 適応的符号化システム及びビット割当方法
KR970006827B1 (ko) 오디오신호 부호화장치
Mazor et al. Adaptive subbands excited transform (ASET) coding
KR940012930A (ko) 프레임 가변적응 비트할당방법 및 장치
KR0152016B1 (ko) 가변 비트할당을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시스템
KR970006825B1 (ko) 오디오신호 부호화장치
KR960003453B1 (ko) 채널 및 각 프레임에 적응적으로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장치
KR0144841B1 (ko) 음향신호의 적응적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JP2575265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の符号化方法
KR100204471B1 (ko)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기의 비트 할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