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22322A - 최적 비트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최적 비트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22322A
KR950022322A KR1019930030524A KR930030524A KR950022322A KR 950022322 A KR950022322 A KR 950022322A KR 1019930030524 A KR1019930030524 A KR 1019930030524A KR 930030524 A KR930030524 A KR 930030524A KR 950022322 A KR950022322 A KR 950022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bits
bit allocation
satisfied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3003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22322A/ko
Priority to JP6325985A priority patent/JPH07234695A/ja
Priority to CN94119914A priority patent/CN1115907A/zh
Publication of KR95002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3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 비트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심리음향모델을 이용한 비트할당 방법에서 보조 데이타 영역을 가상으로 설치하여 최적 비트할당을 구현하고 다중 채널 모드인 경우 가상 서브밴드 개념을 사용하여 비트할당 효율을 최대화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다중 채널인 겨우 채널별 비트할당 크기가 채널수만큼 쪼개져 있기 때문에 채널마다 비트할당 효율이 일정하여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점이 있어 채널이 많을수록그만큼 할당되지 못하고 남게되는 잉여 비트수가 많아져 비트할당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음성신호 한 프레임 분량을 처리하는 채널 개념이 아닌 가상 서브밴드 갠념을 도입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비트할당 이용율을 높이면서 음질 열화를 최소로 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한 서브밴드에 비트를 하나 할달할 경우 신호이득은 약 6[dB]정도 높아지고 따라서 청각 특성상 주파수 분할 능력이 높은 저주파영역에 많은 비트를 할당해야 할 필요가 많아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가청주파수대의 음질 열화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저주파수대의 효과를 그대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조 데이타 영역을 가상으로 설치하여 최적 비트할당을 구현하고 다중 채널 모등인 경우 가상 서브밴드 개념을 사용하여 비트할당 효율을 최대화 하여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음질을 가지면서 같은 용량의 디스크에 더 많은 음악을 녹음 재생할 필요가 있는 각종 음성 매체 및 방송 매체에 이용이 가능하며 음질열화를 줄이면서 좀더 많은 음성 정보를 제한된 용량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적 비트할당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제1차 유효할당비트수(eadb)를 구하는 순서도.
제2도는 총 할당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수(eadb)보다 클 때 실행하는 순서도.
제3도는 총 할당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수(eadb)보다 작을 때 실행하는 순서도이다.

Claims (4)

  1. 심리음향 모델을 이용한 비트 할당 방법으로 보조 데이타 영역을 가상으로설치하여 최적 비트할당을 구현하고 다중 채널 모드인 경우 가상 서브밴드 개념을 ㅅ용하여 비트할당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1차 유효할당비트스(eadb)르 구하는 단계와; 총 할당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스(eadb)보다 클 때 실행하는 단계와; 총 할당가능비트수(asdb)가 유효할당비트스(eadb)보다 작을 때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최적 비트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차 유효할당비트스(eadb)를 구하는 단계는 심리음향모델(psychoacoustic model)방법에 의해서 구한 신호대 마스크비(SMR)를 기준자룔로 사용하여 음성정보이외의 음성 보조 정보 예를 들면 저주파 보강용 채널정보등을 적용하기 위한 영역인 가상보조 데이타 영역(ancillary data aere)을 가상적으로 설정한 후 비트 할당이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면 보조데이타 영역으로서의 기능을 좀더 보강시키기 위해 실제 설정하는 제1단계(A1)와; 총 할당가능비트스(adb)를 구하여 결정하는 제2단계(A2)와; 가 채널의 서브밴드를 한 채널 서브밴드 신호 처리시에 동시 처리하기 위하여 같으 주파수 대역의 서브밴드끼리 한 블럭으로 정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제3단계 (A3)와; 신호대 마스크비(SMR)와 신호대 잡음비(SNR)정보를 가지고 해당 서브밴드의 마스크대 잡음비(MNR)를 구하는 제4단계(A4)와; 상기 제4단계(A4)에서 구한 마스크대 잡음비(MNR)값이 0보다 작은가의 여부를 물어보는 제5단계(A5)와; 상기 제5단계(A5)에 조건에 만족하면 한 서브밴드의 할당된 비트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덱스(BIT)에 그때의 값(MAX)을 치환하고 제9단계(A9)를 수행하게 하는 제6단계(A6)와; 전제조건이 최대 16비트 할당을 한 경우 잡음비가 0보다 크면 즉, 상기 제5단계(A5)의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최초로 마스크대 잡음비(MNR)가0보다 크게되는 비트할당 정보를 구하고 한 서브밴드의 할당된 비트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텍스(BIT)값이 0과 같은가의 여부를 물어보는 제7단계(A7)와; 상기 제7단계(A7)에서 조건에 만족하면 그 서브밴드에는 음성정보가 전혀 할당되지 않고 가상 서브밴드수(N)에 1을 더하고 상기 제4단계(A4)를 다시 수행하게 하는 제8단계(A8)와; 상기 제7단계(A7)에서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그 서브밴드에 유효할당비트수(eadb)를 계산하고 각 서브밴드의 유효할당비트스(eadb)를 모두 더해서 그 프레임의 유효할당 비트수를 구하는 제9단계(A9)와 상기 제3단계(A3)에 의해서 구해지는 서브 밴드수를 NMAX로 표시하고 가상 서브밴드수(N)와 값이 같은가의 여부를 물어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8단계(A8)를 수행하게 하는 제10단계(A10)와; 상기 제10단계(A10)의 조건에 만족하면 유효할당비트스(eadb)와 총 할당 가능비트수(adb)의 값이 같은가의 여부를 조건에 만족하면 종료하고 만족하지 않을 경우 총 할당 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스(eadb)보다 크면 그때 실행하는 순서도로 분기하고 총 총 할당 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스(eadb)보다 작으면 그때 실행하는 순서도로 분기하는 제11단계(A11)로 이루어진 최적 비트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총 할당 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스(eadb)보다 클 때 실행하는 단계는 신호대 마스크비에 1.0을 더해서 해당 서브밴드의 새로운 신호대 마스크비(SMR)[N]값을 가지고 마스크대 잡음비가 0보다 큰 최초의 비트할당정보 비트 [N]값을 구하는 제1단계(B1)와; 현재 비트할당정보(BIT2[N])와 전의 비트할당정보에 1을 더한값 (BIT[N]+1)이 같은가의 여부를 물어보는 제2단계(B2)와; 상기 제2단계(B2)의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즉, 그 서브밴드의 전의 비트 [N]값과 같은 경우에는 그 서브밴드는 건너 뛰어야 하므로 가상 서브밴드 (N)에 1을 더하여 제1단계(B1)를 다시 수행하게 하는 제3단계(B2)와; 상기 제2단계(B2)의 조건에 만족하면 그 전의 비트 [N]의 정보가 0인가의 여부를 물어보는 제4단계(B4)와; 상기 제4단계(B4)의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1)의 식에 의해 유효 할당비트수를 구하는 제5단계(B5)와 ; 상기 제4단계(B4)의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의 비트할당정보에서 전의 비트할당정보 만큼의 차이만을 유효할당비트수에 더하여 유효할당비트수를 구하는 제6단계(B6)와 ; 상기에서 구한 유효할당비트수와 총 할당가능비트수와의 차이르 잉여비트라로 할때 이 잉여비트의 값이 0-12사이에 존재하는 값인가의 여부를 물어 조건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잉여비트가 12보다 크면 상기 제3단계(B3)를 다시 수행하게 하고 잉여비트가 0보다 작을 경우는 총 할당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스(eadb)보다 작을 때 실행하는 순서도로 분기하게 하는 제7단계(B7)와; 상기 제7단계(B7)의 조건에 만족하면 최적비트 할당이 이루어진 것으로 이 잉여비트를 가상보조 데이타 영역에 귀속시켜 보조데이타의 용량을 늘려주고 다시 제1차 유효할당비트수(eadb)를 구하는 단계의 맨 마지막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8단계(B8)로 이루어진 최적 비트할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총 할당 가능비트수(adb)가 유효할당비트스(eadb)보다 작을 때 실행하는 단계는 신호대 마스크비에 1.0을 빼서 이 새로운 신호대 신호대 마스크비값을 가지고 0보다 큰 최초의 비트할당 정보 비트[N]값을 구하는 제1단계(C1)와; 현재 비트할당정보(BIT2[N])와 전의 비트할당정보에 1을 뺀값(BIT2[N]-1)이 같은가의 여부를 물어보는 제2단계 (C2)와; 상기 제2단계 (C2)의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즉, 그 서브밴드의 전의 비트 [N]값과 간은 경우에는 가상 서브밴드(N)에 1을 더하여 제1단계(C2)를 다시 수행하게 하는 제3단계(C3)와; 상기 제2단계 (C2)의 조건에 만족하면 그 전의 비트 [N]의 정보가 1인가의 여부를 물어보는 제4단계(C4)와; 상기 제4단계(C4)의 조건에 만족하면 그 서브밴드의 할당비트를 모두 제거하고 유효 할당비트수를 구하는 제5단계(C5)와; 상기 제4단계(C4)의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의 비트할당정보에서 전의 비트할당정보 만큼의 차이만을 유효할당비트수에서 빼서 유효할당비트수를 구하는 제6단계(C6)와; 상기에서 구한 유효할당비트수에서 총 할당가능비트수를 뺀값을 과잉비트라고 할때 이 과잉비트의 수가 0보다 작거나 같은 값인가의 여부를 물어 조건에 만족하지 않을경우 상기 제3단계(C3)를 다시 수행하게 하는 제7단계(C7)와; 상기 제7단계(C7)의 조건에 이 과잉비트를 가상보조 데이타 영역에 귀속시켜 보조데이타의 용량을 늘려 주고 다시 제1차 유효할당비트수(eadb)를 구하는 단계의 맨마지막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8단계(C8)로 이루어진 최적 비트할당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30524A 1993-12-29 1993-12-29 최적 비트할당 방법 KR950022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524A KR950022322A (ko) 1993-12-29 1993-12-29 최적 비트할당 방법
JP6325985A JPH07234695A (ja) 1993-12-29 1994-12-27 音声信号の最適ビット割り振り方法
CN94119914A CN1115907A (zh) 1993-12-29 1994-12-27 音频信号最优位分配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524A KR950022322A (ko) 1993-12-29 1993-12-29 최적 비트할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22A true KR950022322A (ko) 1995-07-28

Family

ID=1937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524A KR950022322A (ko) 1993-12-29 1993-12-29 최적 비트할당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7234695A (ko)
KR (1) KR950022322A (ko)
CN (1) CN11159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8481A (en) * 2001-05-17 2009-06-30 Sony Corp Data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distribution center apparatus, highefficiency encoding method, high-efficiency encoding apparatus, encoded data decoding method, encoded data decoding apparatus,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ub information attaching method, sub information attach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1407997B1 (ko) * 2013-05-06 2014-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덕트의 댐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6646B2 (ja) * 1990-11-09 1999-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帯域分割符号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34695A (ja) 1995-09-05
CN1115907A (zh) 199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2484A (en) Method of transmitting or storing masked sub-band coded audio signals
AU648656B2 (en) High efficiency digital data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JP3134455B2 (ja) 高能率符号化装置及び方法
US5664056A (en) Digital encoder with dynamic quantization bit allocation
US5825979A (en) Digital audio signal coding and/or deciding method
JP2906646B2 (ja) 音声帯域分割符号化装置
US5960390A (en) Coding method for using multi channel audio signals
CA2027136C (en) Perceptual coding of audio signals
JP2801197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の伝送方法
US5583967A (en) Apparatus for compressing a digital input signal with signal spectrum-dependent and noise spectrum-dependent quantizing bit allocation
US5642111A (en) High efficiency encoding or decoding method and device
EP0545017A2 (en) Data 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quantizing bits are allocated to a block in a present frame in response to the block in a past frame
JP4000261B2 (ja) ステレオ音響信号の処理方法と装置
JP3765622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
JPH0750640A (ja) 補助信号の両立性伝送および/または記憶ならびに復号方法
US5901234A (en) Gain control method and gain control apparatus for digital audio signals
JPH07202823A (ja) 符号化復号化装置
US5673289A (en) Method for encoding digital audio signals and apparatus thereof
US61670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the in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he information and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US5832426A (en) High efficiency audi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5642383A (en) Audio data coding method and audio data coding apparatus
US5754427A (en) Data recording method
US20010047256A1 (en) Multi-format recording medium
US6128593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refined psycho-acoustic modeler
KR950022322A (ko) 최적 비트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