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689B1 -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4689B1 KR950014689B1 KR1019860004545A KR860014545A KR950014689B1 KR 950014689 B1 KR950014689 B1 KR 950014689B1 KR 1019860004545 A KR1019860004545 A KR 1019860004545A KR 860014545 A KR860014545 A KR 860014545A KR 950014689 B1 KR950014689 B1 KR 9500146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pper
- door
- lever
- doors
- pist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7/00—Hopper cars
- B61D7/14—Adaptations of hopper elements to railways
- B61D7/16—Closure elements for discharge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7/00—Hopper cars
- B61D7/14—Adaptations of hopper elements to railways
- B61D7/16—Closure elements for discharge openings
- B61D7/24—Opening or closing means
- B61D7/26—Opening or closing mean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종류의 호퍼차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호퍼차용의 호퍼 도어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제3도는 피스톤 및 공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중앙 프레임(sill)의 부분 단면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의 다른 부분을 도시하는 제3도에 연속적인 부분 단면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5-5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6-6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선 7-7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제3도의 선 8-8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랫치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10-10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실린더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랫치 캠을 구비한 체결부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레버의 직립 아암의 상단부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레버 아암과 함께 사용되는 스플라인형 조정 채결부의 정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상부 레버 아암과 제13도의 조정 부품의 결합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5도 내지 제19도는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각종 호퍼 도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0도 및 제21도는 도어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도어 립부가 밀봉부를 형성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1쌍의 대향된 호퍼 도어의 개략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5도와 유사한 도면.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구조체의 측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선 24-24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5도는 제어 밸브 및 제한 밸브와 연결된 본 발명의 공기 실린더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식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차 차체 2 : 트럭
7 : 측면 프레임(sill) 8,159,218 : 중앙 프레임
9,10 : 프레임 부재 11 : 수직 지지대
12 : 상현 14 : 삼각형 지지대
16 내지 23 : 도어 24,25 : 내부 호퍼 시이트
26,27: 외부 호퍼 시이트 28,29 : 경사 시이트
30,31 : 덮개 33,34 : 폐쇄 패널
36 내지 39 : 힌지 부재 41,47 : 스트랩형 부재
42 : 직립 러그(lug) 조립체 43,44 : 러그부
45,172,219 : 공기 실린더 48 : 피스톤 로드
50 : 슬로트 51 : 작동비임
52 : 내지 56,61 : 피봇트 핀
60 : 아암 62,63 : 금속판
70,76 : 보강판 77 : 원통형 샤프트
78,120,200,203 : 레버 81 : 보강판
83 : 구멍 84 : 조절 체결부
89 : 링부 부재 96 : 정지 조립체
98 : 앵글부재 100,102 : 미조정 부재
111,116,175,176 : 링크 조립체 114 : 지지대
115 : 러그부
119,130,180,181,206,207,208 : 정지 조립체
122,123 : 브라켓트 조립체 124 : 조절 체결부
126,178,179,204,205 : 링크 조립체 141 : 미조정판
142,143,144 : 앵글 부재 147 : 랫치 부재
150 : 랫치핀 151 : 관 스프링
152 : 지지판 155,156 : 캠 표면
157 : 캠 부재 158,209 : 호퍼차
160,161 : 단부 경부 시이트 162,163 : 중간 경사 시이트
164 내지 167,183 내지 188 : 활송 장치
168 내지 171,189 내지 194,210 내지 217 : 호퍼 도어
173 : 작동비임
본 발명은 철도 호퍼차(hopper car)의 호퍼 도어용의 개량된 자동 도어 작동 및 고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물을 고속으로 배출할 수 있는 현대식 호퍼차용의 도어 작동 및 고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크기와 용량이 크게 증가된 철도 호퍼차들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호퍼차는 차의 중앙 프레임(sill)의 종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차의 전장에 걸쳐 거의 연장하는 다수쌍의 대향되어 협력 작용하는 호퍼 도어를 구비하고 있다. 쌍을 이루는 도어는 쌍들은 개방되는 경우에 차의 전체 바닥을 거의 개방시켜 화물이 매우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된 새롭고, 대형이며 보다 진보된 타입의 호퍼차에 있어서, 호퍼차의 크기가 증가하여 호퍼 도어 역시 대형 중량이 된다. 그 결과, 미합중국 특히 제4,366,757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호퍼차용으로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도어 작동 및 고정 수단이 제시되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187,684호 및 제3,596,609호에는 호퍼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 기구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신규의 그리고 보다 진보된 타입의 호퍼차의 호퍼 도어를 개폐 및 고정시키기 위한 자동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호퍼 도어 작동 고정장치는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3,187,684호 및 제3,596,609호에 개시된 것보다 개량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소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본 장치의 주요부가 확실한 보호를 위하여 중앙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작동 장치는 모든 도어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세그멘트식 작동비임을 이용한다. 이러한 세그멘트식 비임 자체는 공지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작동 장치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다수의 개량점 및 장점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은 직경의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적은 수의 피스톤 행정이 요구되므로, 필요한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버 시스템은 현재까지 획득된 것보다 많은 기계적 장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작동 장치는 보다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 및 고정창치는 대향된 쌍을 이루는 관계로 그리고 활송 장치(chute)와 개별적 결합관계로 배치된 호퍼 도오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각종의 호퍼 도어 장치를 갖는 호퍼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차의 호퍼 도어를 작동 및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면, 호퍼차는 역 U자형 단면의 중앙 프레임과, 상기 중앙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호퍼 도어를 갖는 형태의 것이다.
호퍼 도어는 개별적으로, 대향되어 협력 작용하는 쌍으로, 또는 그 조합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호퍼 도어는 중앙 프레임의 각 측면에 배치되고 또한 적정 지지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 폐쇄 패널을 구비한다. 호퍼 도어가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폐쇄 패널은 활송장치의 개구를 폐쇄한다. 호퍼 도어가 대향된 쌍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각각의 폐쇄 패널은 거의 3각형인 내부 및 외부 호퍼 시이트와 협력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작동 및 고정장치는 호퍼 도어가 대향 배치된 경우에 대향된 호퍼 도어의 인접 쌍 사이에, 또한 호퍼 도어가 개별적으로 배치된 경우에 각각의 단일 호퍼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샤프트를 구비한다. 각각의 샤프트 단부는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샤프트는 중앙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샤프트상에 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레버는 인접하고 있는 도어에 대하여 아암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레버 아암과 인접한 호퍼 도어에는 링크의 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레버는 중앙 프레임까지 연장하고 또한 세그멘트식 비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직립 아암을 가지며, 상기 세그멘트식 비임은 중앙 프레임내에 위치하고 그 프레임에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중앙 프레임 내부에는 실린더 및 피스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스톤의 자유 단부는 상기 비임의 한 단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및 비임은 레버, 링크 및 호퍼 도어 모두가 과심(over-center)의 고정된 도어 폐쇄 상태로 유지되는 제1위치와, 레버, 링크 및 호퍼 도어가 도어 개방 상태로 과심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피스톤과 비임을 상기 제1도어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래치(latch)가 제공되어 있다.
몇몇 경우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일 레버 대신, 각각의 샤프트상에 1쌍의 도어 레버 및 중앙 레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종 호퍼 도어 설비를 갖는 호퍼차 적용될 수 있으나, 예시의 목적을 위해 제1도에는 4쌍의 협력 작용하는 호퍼 도어와 호퍼차의 전장에 걸쳐 연장하는 중앙 프레임(sill)을 갖는 타입의 현대식 호퍼차가 도시되어 있다.
호퍼차는 통상의 트럭(2)상에 장착되는 신장된 차체(body ; 1)를 구비한다. 차체(1)는 수직 축면(3,4)과, 통상 경사 시이트로 불리는 경사진 단부벽 또는 경사 시이트(5,6)로 이루어져 있다.
차체에는 신장된 측면 프레임 부재 또는 측면 프레임(그중 하나가 참조부호 7로 도시됨)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프레임 부재 또는 중앙 프레임(8)과, 상기 중앙 프레임(8)으로부터 측면 프레임까지 차체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부가적인 프레임 부재(9,10)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이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의 단부에는 적정 지지 부재(비도시)가 제공되어 있는 것은 당업자가 알 수 있다. 호퍼차의 측면(3,4)은 측면 프레임(7)으로부터 상현(top chord ; 12)까지 상방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brace ; 11)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의 단부는 또한 수지 지지 부재(13)를 구비한다. 경사 시이트(5,6)는 다수의 3각형 지지대(14)(그중 하나가 제1도에 도시됨)에 의해 부가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내(14)는 차체의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경사 시이트(5,6)까지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3각형 지지대(14)의 수직 가장자리는 수직 패널 또는 차체 볼스터(bolster) 웨브(15)(그중 하나가 제1도에 도시됨)를 지지한다.
제1도에 도시된 호퍼차에 있어서, 차 바닥에 배출구는 마주보며 쌍을 이루고 협력 작용을 하는 도어(16-17,18-19,20-21,22-23)에 의해 폐쇄되어있다. 제2도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도어(16 내지 23) 각각은 중앙 프레임(8)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2개의 개별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16-23)각각은 횡방향 프레임 부재(9,10)중 적절한 하나에 의하여 힌지식으로 부착 및 지지되어 있고, 제1도에 도시된 폐쇄위치와 하방으로 현수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대향된 각 쌍의 호퍼 도어(16-17,18,19,20,21,22,23)는 중앙 프레임(8)의 각 측면에 배치된 1쌍의 내부 호퍼 시이트와 협력 작용을 한다.
이러한 2개의 내부 호퍼 시이트가 참조부호 24 및 25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대향된 각 쌍의 호퍼 도어는 또한 측면 프레임(7)에 부착된 1쌍의 외부 호퍼 시이트와 협력 작용을 한다. 이러한 2개의 외부 호퍼 시이트는 참조부호 26 및 27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의 호퍼차에 있어서, 협력 작용하는 호퍼 도어의 쌍(18-19,20-21)은 1쌍의 경사 시이트(28,29)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중앙 프레임(8)에는 릿지부(30a)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벽 표면을 갖는 뚜껑 또는 덮개(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인접한 호퍼 도어의 쌍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부재(9)에는 릿지부(31a)로부터 하방 외측으로 테이퍼진 벽 표면을 갖는 뚜껑 또는 덮개(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또는 덮개(30,31)는 화물을 분쇄할 뿐만 아니라, 배출 작업중에 화물을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부재(9)는 지지대(strut)(그중 하나가 참조 부호 32로 도시됨)에 의해 부가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2)는 프레임 부재(9)로부터 차체의 수직 측면(3,4)까지 상방 외측으로 연장한다. 지지대는 화물의 배출 유동에 대하여 최대 강도와 최소 저항을 제공하도록 원형 단면의 튜브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부재(9,10)는 형상이 약간 상이하다. 이것은 프레임 부재(9)가 호퍼 도어의 쌍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프레임 부재(10)가 경사 시이트(5,6,28,29)의 최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때문이다. 프레임 부재(9)는 단면이 거의 U자형태이고, U자 형상의 다리부는 도어 힌지 장착 표면을 제공하도록 상방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10)도 단면이 U자 형태이지만, U자 형상의 한 다리부가 수직으로 배향되고, 인접 경사 시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용 지지부를 형성하며, 다른 다리부는 도어 힌지 장착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방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2도에는, 호퍼 도어(16)가 도시되어 있다. 모든 호퍼 도어 (16 내지 23)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호퍼 도어(16)에 대한 설명이 나머지 호퍼 도어(17 내지 23) 모두에 대한 설명으로 간주될 수 있다. 호퍼 도어(16)는 신장된 지지대(35)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또한 상호 경상(mirrorimage) 대칭을 이루는 2개의 폐쇄 패널(33,34)을 구비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는 폐쇄 패널(33,34)이 중앙 프레임(8)의 양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폐쇄 패널(33,34)의 최상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쌍을 이루는 힌지 부재(36-37,38-29)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쌍을 이루는 힌지부는 경사 시이트(5)의 저부 가장자리에서 횡방향 프레임 부재(10)상에 장착된 쌍을 이루는 힌지 부재와 협력 작용을 한다. 폐쇄 패널(33,34)은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가적인 지지 부재(비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폐쇄 패널(33,34)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내측으로 구부러진 립부(lip)(33a,34a)가 제공되어 있다. 립부(33a,34a)는 제1도에서 참조부호 26과 27로 도시된 것과 같은 외부 호퍼 시이트와 협력 작용을 한다. 이와 유사하게, 폐쇄 패널(33,34) 내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내측으로 구부러진 립부(33b,34b)가 제공되어 있다. 립부(33b,34b)는 제1도에서 참조부호 24와 25로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 호퍼 시이트와 협력 작용을 한다. 폐쇄 패널(33,34)의 저부 가장자리에는 한쌍의 대향된 호퍼 도어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호 밀봉부를 형성하는 립부(33c,34c)가 제공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횡방향 지지대(35)는 직립 러그부(lug ; 40)를 지지하며, 그 목적은 하기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는 제3도 ,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4도는 제3도의 연속이고, 이들 도면은 호퍼 도어(16-17,18-19)를 작동시키는 도어 작동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연속이고, 이들 도면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 평면도이다. 하기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3도 내지 제6도의 장치는 중앙 프레임 길이의 대부분에 대하여 연속하며 그리고 동일한 레버 장치가 호퍼 도어(20-21,22-23)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반복 설치되어 있다(제15도 참조).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중앙 프레임(8)의 단면 형상을 가장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7도 및 제8도를 간략히 참조하기로 한다. 중앙 프레임(8)은 하방으로 현수하는 다리부 또는 측면부분(8b,8c)에서 종단하는 수평 베이스 또는 웨브 부분(8a)을 갖는 역 U자형 또는 모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측면 부분(8b,8c) 각각은 외측으로 연장하는 측면 플랜지 부분(8d,8e)에서 종단한다.
제3도 내지 제6도로 돌아가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랩(strap)형 부재(41)가 중앙 프레임의 플랜지 부분(8d,8e)에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스트랩형 부재(41)는 공기 실린더 (45)의 후단부에 부착된 1쌍의 러그부(43,44) 사이에 수납된 직립 러그 조립체(42)를 지지한다. 러그 조립체(42)와 실린더 러그부(43,44)에는 핀(46)이 관통하는 동축이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상술된 방식에 의하여 공기 실린더(45)가 중앙 프레임(8)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스트랩형 부재(47)가 중앙 프레임의 플랜지 부분(8d,8e)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그리고 그곳에 적절히 부착되어 있다. 스트랩형 부재(47)는 공기 실린더(45)의 전방 단부를 위한 지지체로 작용한다. 따라서, 공기 실린더(45)는 스트랩형 부재(47)와 중앙 프레임(8)의 수평 베이스 또는 웨브부분(8a) 사이에서 약간 선회 운동할 수 있다.
공기 실린더(45)에는 피스톤 로드(48)가 제공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의 자유단은 체결부(49)를 지지한다. 체결부(49)는 피스톤 로드(48)의 자유단에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체결부(49)의 전방 단부에는 신장된 횡방향 슬로트(50)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제10도 및 제11도 참조).
작동비임의 전체가 참조부호 51로 지시되어 있다. 작동비임은 다수의 세그멘트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 내지 제6도에서, 3개의 세그멘트가 참조부호 51a,51b 그리고 51c로 지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호퍼차의 특정 실시예에서 중앙 프레임(8)의 길이 대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5개의 세그멘트가 제공되어 있다(제15도 참조). 하기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접 도어 레버의 쌍 사이에 개별 작동비임 세그멘트가 제공될 수 있다. 제6도에 가장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비임 세그멘트(51a)의 우측단부(상기 도면에서 볼때)는 1쌍의 아암(52,53)에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다. 작동비임 세그멘트(51b)의 인접 단부도 1쌍의 아암(54,55)에 고정된다. 세그멘트(51a, 51b)의 인접 아암은 서로 끼워져 있으며, 피봇트 핀(56)을 수납하기 위하여 동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비임 세그멘트(51b)의 반대측 단부도 작동비임 세그멘트(51c)의 아암(59,60)과 협력 작용을 하며 피봇트 핀(6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아암(57,58)에서 종단한다. 모든 작동비임 세그멘트에 대하여 동일한 종류의 부착부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세그메트는 직렬로 피봇트 연결되어 있다. 작동비임 세그멘트는 장방형 단면을 가지는 금속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 실린더(45)에 가장 가까운 비임 세그멘트(51a)의 단부는 1쌍의 금속판(62,63)이 부착되어 있다. 금속판은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존재한다. 판(62,63)의 자유단에 형성된 동축의 구멍과 피스톤 로드 체결부(49)에 형성된 신장된 슬로트(50)에 핀(64)이 관통한다(제10도 및 제11도 참조), 따라서, 피스톤 로드(48)의 종방향 변위에 의하여 작동비임(51)이 중앙 프레임(8)의 종방향으로 변위된다. 모든 공기 실린더(45), 체결부(49), 판(62,63)은 작동비임(51)과 함께 중앙 프레임(8) 내부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보호된다.
이하, 제3도, 제5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브라켓트(65)가 중앙 프레임(8)의 다리부 또는 측면 부분(8c)과 인접 플랜지(8e)로부터 하방으로 현수하고 있다. 브라켓트(65)는 볼트(67,68)에 의해 중앙 프레임의 다리부 또는 측면부분(8c)의 내측 표면에 체결된 판(66)을 구비한다. 판(66)은 중앙 프레임(8)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하며, 그 하단부에 인접하여 내측표면에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고정된 짧은 원통형 부재(69)를 가지고 있다. 상기 판의 외측 표면상에, 측방으로 연장하는 보강판(70)이 판(66)에 용접되어 있다. 보강판(70)은 중앙 프레임의 플랜지 부분(8e) 아래에 배치되고 볼트(72)에 의해 플랜지부분에 체결된 굴곡 부분(71)을 가지고 있다.
브라켓트(65)의 정반대측에는 하방으로 현수된 판(74), 원통형 부재(75) 및 보강판(76)을 구비하는 동일한 브라켓트(73)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브라켓트(65,73)는 필요한 경우 일체형 주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브라켓트의 원통형 부재(69,75) 내부에 원통형 샤프트(77)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77)에는 레버(78)가 용접되어 있다.
제3도에서 가장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78)는 호퍼 도어(16)쪽으로 연장하는 제1아암(78a)과 직립 레버 아암(78b)을 가지고 있다. 직립 레버 아암(78b)의 자유단은 횡방향 피봇트 핀(79)에 의해 판(62,63)사이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0도에서 가장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판(62)에는 수직 슬로트(80)가 형성되어 있다. 판(62)에는 보강판(81)이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판에는 대응하는 신장된 슬로트(82)가 형성된다. 판(63)도 유사한 동일 크기의 신장된 슬로트(비도시)와, 상기 판(62)의 보강판(81)과 동일한 보강판(83)(제5도 참조)을 가지고 있다. 판(62,63) 사이에 직립 레버 아암(78b)이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공기 실린더(45) 및 피스톤 로드(48)는 레버(78)를 제3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도어 폐쇄위치와 제3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도어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중에 피봇트 핀(79)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는 판(62,63)에 형성된 신장된 수직 슬로트에 의해 수용된다. 레버(78) 및 샤프트 (77)는 브라켓트의 원통형 부재(69,75) 내부에서 선회이동한다.
이하, 제12도를 참조하면, 직립 레버 아암(78b)의 자유단이 도시되어 있다. 아암(78b)의 단부에는 치형부가 형성된 구멍(83)이 제공되어 있다. 치형부가 형성된 구멍(83)은 제14도에 도시된 치형부가 형성된 조절 체결부(8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절 체결부(84)는 피봇트 핀(79)을 수용하기 위하여 편심구멍(85)을 가지고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아암(78b)의 구멍(83)내에서의 조절 체결부(84)의 회전 위치는 피봇트 핀의 구멍(85) 위치를 결정한다. 구멍(85)은 실선의 한 위치와 점선의 다른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부품 배열에 의하면, 도어를 적절히 개폐하도록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절 체결부는 구멍(83)의 형상에 따라 복수 측명의 등각 등변 부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레버(78)의 아암(78a) 자유단은 링크 조립체(86)에 의해 도어(16)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86)는 제3도 및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링크 조립(86)는 1쌍의 판(87,88)과 링크 부재(89)를 구비한다. 판(87,88)의 한 단부에는 동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 아암(78a)의 자유단도 천공되어 있다. 상기 판의 구멍과 아암(78a)의 구멍에는 볼트 또는 피봇트 핀(90)이 통과하기 때문에, 판은 레버 아암의 자유단에 피봇트 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판 자체는 별도의 볼트(91,92)에 의해 상호 유지된다. 볼트(92)는 판(87,88)에 형성된 1쌍의 동축 구멍과 링크 부재(89)의 본체부에 형성된 긴 슬로트(93)를 통과한다. 판(87,88)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의 단부와 상기 판의 대응하는 내측 표면이 참조부호 9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다. 협력작용을 하는 링크 부재(89)의 링크 본체에 형성된 슬로트(93)와 함께 링크 조립체(86)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도어(16)가 적절히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링크 조립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링크 부재(89)의 자유단부는 분기되어 있고, 링크 조립체(86)가 도어(16)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도어(16)의 러그부(40)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분기부에 형성된 동축 구멍에 볼트 또는 피봇트 핀(95)이 통과 한다.
호퍼 도어(16)용 도어 작동 및 고정기구는 정지 조립체(96)의 제공에 의해 기본적으로 완성된다. 정지 조립체(96)는 제3도, 제5도 및 제8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정지 조립체(96)는 중앙 프레임(8)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랩형 부재(97)를 구비하며, 상기 부재의 단부는 중앙 프레임의 측방 플랜지 부분(8d,8e)의 하측면에 용접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스트랩형 부재(97)의 중앙부분은 재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오목하게 되어 있다.
스트랩형 부재(97)의 거의 중앙 하측면에는 앵글 부재(98)의 하부 다리부(99)가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정지부재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미조정 부재(100)가 다리부(99)에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미조정 부재(100)는 도어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 레버(78)의 제1아암(78a)과 접촉한다. 앵글부재(98)는 도어(16)가 개방위치에 있으면 레버(78)의 직립 아암(78b)에 의하여 정지 조립체가 적절히 결합할 수 있도록 미조정 부재(102)(제3도 및 제5도 참조)가 제공된 직립 다리부(101)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3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정지 조립체는 앵글부재에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앵글부재 다리부(102)의 내측표면과 스트랩형 부재(97)의 상부 표면에 용접된 지지부재(103)에 의해 완성된다.
제3도는 폐쇄위치에 있는 호퍼 도어(16)가 도시되어 있다. 폐쇄위치에 있으면, 아암(78a)과 링크 조립체(86) 사이의 선회점(90)은 샤프트(77)의 축과, 링크 조립체(86) 및 도어(16)의 러그부(40) 사이의 선회점(95)을 통해 인출된 가상선 약간 위에 위치한다.따라서, 조립체는 도어(16)가 폐쇄되는 경우에 과심(over-center) 위치에 있게 되므로, 도어를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조립체의 과심 정도는 정지 조립체(96)에 대한 아암(78a)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부재의 과심 위치가 너무 크면, 도어(16)는 개방위치쪽으로 다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정기 조립체(96)에 의해 방지된다.
도어(16)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레버(78)를 중심을 지나 회전시키도록 공기 실린더 피스톤 로드(48)와 작동비임(51)을 충분히 이동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아암(78a)과 링크 조립체(86) 사이의 선회점(90)이 샤프트(77)의 축방향 중심과, 링크 조립체(86) 및 도어(16)의 러그부(40) 사이의 선회점(95)을 지나는 가상선 아래로 이동하면, 도어(16)는 호퍼차가 비어 있을 때는 도어의 자체 중량에 의해, 또는 호퍼차가 적재되어 있을 때는 도어 자체의 중량과 차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에 의해(실린더(45)의 피스톤을 견인) 개방위치 상태에 있다. 호퍼차가 비어 있는 겅우에 호퍼 도어(16)의 중량이 도어를 개방위치 상태로 야기하기에 불충분하거나, 또는 어떤 이유로 도어가 개방위치 상태가 되지 않으면, 작동기구는 도어를 개방위치로 밀어젖힌다. 도어(16)가 개방위치 상태가 되고 또한 속도가 실린더(45)의 피스톤 속도를 초과하면, 피스톤과 실린더(45)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완충 효과를 제공한다. 도어(16)의 최대 개방위치는 정지 조립체(96)에 대한 링크 아암(78b)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된 부품은 도어립부(33c)가 호퍼차가 설치되는 레일에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16)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린더 피스톤 로드(48)와 비임(51)의 운동을 역으로 하고, 호퍼 도어(16)가 아암(78a)과 정지 조립체(96)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과심 도어 폐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3도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레버(78)를 회전시키면 된다.
호퍼 도어(17,18)는 레버(104)에 의하여 제어된다. 레버(104)는 브라켓트(106,107) 내부에 장착된 횡방향 연장 샤프트(105)에 부착되어 있다. 브라켓트(106,107)는 서로 동일하고, 앞에서 설명된 브라켓트(63,75)와 동일하다.
한가지를 제외하고, 레버(104)는 레버(78)와 동일하며, 도어(18)를 향하여 연장하는 아암(104a)과 직립아암(104b)를 갖는다. 레버(104)는 호퍼 도어(17)를 향하여 연장하는 짧은 제3아암(104c)이 제공된 것이 상기 레버(78)와 다르다. 레버(78)는 제3아암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레버(104)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직립 아암(104b)은 제13도의 조절 체결부(84)와 동일한 조절 체결부(108)를 가지고 있다. 작동비임 세그멘트(51a,51b)를 연결하는 피봇트 핀(56) 또한 조절 체결부(108)의 구멍을 통과한다.
도어(17)에는 도어(16)의 지지대(35)와 동일한 횡방향 지지대(109)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109)는 도어(16)의 러그부(40)와 동일한 러그부(11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링크 조립체(111)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조립체는 피봇트 핀(112)에 의해 도어(17)의 러그부(110)에 피봇트 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111)의 타단부는 피봇트 핀(113)에 의해 레버 아암(104c)에 피봇트 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호퍼 도어(18)는 상기 도어(16)의 지지대(35)와 동일한 횡방향 지지대(114)를 가지고 있다. 지지대(114)는 도어(16)의 러그부(40)와 유사한 러그부(115)를 지지하고 있다. 링크 조립체(116)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조립체의 일단은 피봇트 핀(117)에 의해 도어(18)의 러그부(115)에 부착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116)의 타단은 피봇트 핀(118)에 의해 레버 아암(104a)의 자유단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116)는 링크 조립체(86)와 동일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111)은 링크조립체(86,116)와 동일하며, 단지 차이점은 링크 조립체(111)가 링크 조립체(86, 116)보다 약간 더 길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레버(104)용으로 정지 조립체(119)가 제공되어 있다. 정지 조립체(119)는 상술된 정지 조립체(96)와 동일하며, 동일한 목적을 위해 작용한다.
레버(104) 및 호퍼 도어(17,18)의 작동은 레버(78) 및 호퍼 도어(16)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레버(104) 및 호퍼 도어(17,18)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위치에 있으면, 링크 조립체(111)와 레버 아암(104c) 사이의 선회점(113)은 링크 조립체(111)와 도어(17)의 러그부(110) 사이의 선회점(112)과, 레버(104)의 샤프트(105)의 축방향 중심을 통해 인출된 가상선 바로아래의 과심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17) 및 링크 장치는 과심 고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레버 아암(104a)과 링크 조립체(116) 사이의 선회점(118)은 샤프트(105)의 축방향 중심과, 링크 조립체(116)와 호퍼 도어(18)의 러그부(115) 사이의 선회점 (117)을 통해 인출된 가상선 바로 위에서, 그 가상선에 대하여 과심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호퍼 도어(18) 및 링크 장치는 과심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호퍼 도어(17,18)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회점(113,118)이 중심을 통과하는데 충분한 정도만큼 공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48)와 작동비임(51)은 우측(제4도에서 볼때)으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이것이 달성되면, 호퍼 도어(17,18)는 차가 비어 있는 경우에 자체 중량에 의하여(충분히 무거우면), 또는 차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도어 자체의 중량과 화물의 중량에 의해 도어의 개방위치 상태에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작동기구는 호퍼 도어(17,18)를 완전 개방위치로 밀어젖힐 수 있다.
작동기구는 또한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호퍼 도어(17,18)의 최대 개방위치는 레버 아암(104b)과 정지 조립체(119)간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호퍼차가 설치되는 레일에 호퍼 도어의 립부가 접촉하지 않는다.
호퍼 도어(17,18)를 페쇄하기 위하여, 호퍼 도어(17,18)와 각각의 링크장치가 장치 조립체(119)에 대한 레버 아암(104a)의 접촉에 의해 결정되는 과심 고정위치에 복귀할 때까지, 공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48)와 작동비임(51)은 제3도 및 제4도에서 볼때 좌측으로 이동한다.
호퍼 도어(19)는 레버(120)에 의해 작동된다. 레버(120)는 상기 레버(104)와 동일하며, 아암(120a,120b,120c)이 제공되어 있다. 레버(120)는 샤프트(105 또는 77)와 동일한 샤프트(121)에 부착되어 있으며, 샤프트(121)는 브라켓트(65,73 또는 106,107)와 동일한 브라켓트 조립체(122,123)에 설치되어 있다.
레버(120)의 직립 아암(120b)에 제13도의 조절 체결부(84)와 동일한 조절 체결부(124)가 제공되어 있다. 아암(120b)은 작동비임 세그멘트(51b,51c)를 연결하는 피봇트 핀(61)에 의해 작동비임(51)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120)의 아암(120c)은 참조부호 125에서 링크 조립체(126)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 조립체(126)는 링크 조립체(111)와 동일하다.링크 조립체(126)의 타단은 참조부호 127에서 호퍼 도어(19)의 횡방향 지지대(129)상의 러그부(128)에 피봇트 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레버(120)의 아암(120a)은 호퍼 도어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상기 레버 아암(102a)의 목적은 정지 조립체(130)와 협력 작용을 하기 위한 것이다. 정지 조립체(130)는 정지 조립체(96,119)와 동일하며, 동일한 목적을 위해 작용한다.
호퍼 도어(19)와 작동 및 고정 기구는 호퍼 도어(17)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제4도에 있어서, 도어(19)는 도어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링크 조립체(126)와 레버 아암(120c)사이의 선회점(125)은 레버 샤프트(121)의 축방향 중심과, 링크 조립체(126) 및 호퍼 도어(19)의 러그부(128) 사이의 선회점(127)을 통해 인출된 가상선 바로 아래의 과심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호퍼 도어(19)는 폐쇄위치에 고정된다. 선회점(125)의 과심 위치는 레버 아암(120a)과 정지 조립체(130)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호퍼 도어(19)를 개방하기 위하여, 선회점(125)이 중심을 통과하게 하는데 충분한 정도만큼 피스톤 로드(48)와 작동비임(51)을 우측(제3도 및 제4도에서 볼때)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뿐이다. 그후, 호퍼 도어(19)는 자체 중량에 의해(충분히 무거우면), 또는 차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자체 중량과 화물의 중량에 의해 개방된다. 필요에 따라, 작동기구가 호퍼 도어(19)를 완전 개방위치로 밀고, 경우에 따라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호퍼 도어(19)의 최저 위치는 정지 조립체(130)에 대한 레버 아암(120b)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이것은 차가 설치되는 레일에 호퍼 도어(19)의 립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호퍼 도어(19)를 폐쇄하기 위하여, 링크 조립체(126)와 레버 아암(120c) 사이의 선회점(125)이 정지 조립체(130)에 의해 결정되는 과심 고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48)와 작동비임(51)이 좌측(제3도 및 제4도에서 볼때)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제1도, 제3도,제4도 및 제15도를 참조하면, 호퍼 도어(20)에는 레버(78)와 동일한 레버(131)와, 링크 조립체(86)와 동일한 링크 조립체(132)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호퍼 도어(21,22)에도 레버(104)와 동일한 레버(134)와, 링크 조립체(111,116)와 동일한 링크 조립체(135,136)가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호퍼 도어(23)에는 레버(120)와 동일한 레버(138)와, 링크 조립체(126)와 동일한 링크 조립체(139)가 제공될 수 있다. 호퍼 도어(20 내지 23)용으로 필요한 부가적인 3개의 레버는 비임 세그멘트(51c,51d,51e)의 접속부에서 작동비임(51)에 피봇트 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레버(131,134,138)는 정지 조립체(96)와 동일한 정지 조립체(133,137,140)를 각각 가지고 있다. 호퍼 도어(20 내지23)의 작동은 호퍼 도어(16 내지 19)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전술한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3,187,684호 및 제3,596,609호에 개시된 것보다 개량되었음을 나타낸다. 무엇보다도 먼저,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는 보다 간단하며, 보다 적은 수의 부품을 가진다. 둘째로,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의 대부분이 중앙 프레임(8) 내부에 배치되므로써, 그것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외부 프레임 아래의 작동기구의 부품들은 별도의 보호를 위해 폐쇄 도어 프로파일 상방에 배치된다.
전술한 미국 특허들에 개시된 도어 작동 시스템에는 호퍼 도어가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이것은 작동의 대부분이 실린더의 추력(thrust) 말기에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에서는 호퍼 도어가 공기 실린더 피스톤 로드(48)의 행정 개시, 즉 최대 기압에서 중심을 지나 이동된다. 도어가 중심을 통과하면, 도어는 자체 중량에 의해(충분히 무거우면), 또는 자체 중량과 차내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에 의해 개방위치 상태에 있게 된다. 그 결과, 도어는 공기 실린더(45) 내부의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48)에 제동을 가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공기 실린더는 도어 개방 작동중에 호퍼 도어에 대한 완충기로 작용한다.
보다 적은 실린더 행정이 필요하면(따라서 보다 낮은 가압 공기가 필요하면), 작은 직경의 피스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의 레버와 링크 조립체는 세그멘트형 비임을 이용하고, 보다 긴 레버 아암과 보다 절대적인 과심 도어 폐쇄위치를 가지는 종래 작동 시스템보다 많은 기계적 장점을 특징으로 한다. 부품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는 도어를 동시에 폐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의도적으로 방출될 때까지 호퍼차의 모든 역학적 조건하에서 작동비임(51)을 도어 폐쇄위치에 자동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자동 랫치 수단이 작동비임(51)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랫치 수단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랫치 수단은 미합중국 특허 제4,132,1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동비임 랫치는 상기 종래 기술의 개량점, 즉 작동이 정확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적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
제3도, 제5도,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랫치 기구는 공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48)와 체결부(49) 상방에 있는 공기 실린더(45)의 전방 표면에 장착된 랫치 구조물을 구비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랫치 구조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조정판(그 중 하나가 참조부호 141로 지시됨)을 구비한다. 미조정판 (141)에 인접하여, 상부 수평 다리부(142a)와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142b)를 갖는 앵글부재(142)가 제공되어 있다. 앵글부재(142)에 인접하여, 1쌍의 앵글부재(143,144)가 설치되어 있다. 앵글부재(143)는 앵글부재(142)의 하향 연장 다리부(142b)에 접촉하는 다리부(143a)와, 전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143b)를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앵글부재(144)는 앵글부재(142)의 하향 연장 다리부(142b)에 접촉하는 다리부(144a)와, 전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144b)를 갖는다. 전술한 조립체는 1쌍의 볼트(145,146)에 의해 공기 실린더(45)의 전방 표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조립체는 실린더(45)의 전방표면과 일체의 주조부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앵글부재(143)의 다리부(143b)와, 앵글부재(144)의 다리부(144b)는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놓여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리부 사이에는 랫치부재(147)의 본체가 위치한다. 랫치부재의 본체와 함께 앵글부재의 다리부(143b,144b)에는 동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에는 피봇트 핀(148)이 통과한다. 따라서, 랫치부재(148)는 공기 실린더(45)의 전방표면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9도 및 제10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랫치부재(147)의 전방단부는 분기되어 있으며, 분기부(147a,147b)의 전방단부에는 후크형 부분(148,149)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비임(51)의 제1세그멘트(51a)에 부착된 판(62,63)에는 랫치 핀(150)을 수용하기 위하여 1쌍의 동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랫치 핀(150)은 제10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49)의 핀(64) 바로위에 위치한다. 랫치 핀(150)은 랫치부재(147)의 후크형 부분(148,149)에 의하여 결합된다.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작동비임(51)과 실린더 피스톤 로드(48)는 거의 완전히 철수된 고정위치, 즉 호퍼 도어(16 내지 23)가 완전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 차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랫치부재(147)는 탄성 판스프링(151)에 의해 고정위치(도시된 바와 같이, 랫치핀(150)에 결합)로 편향된다. 판스프링(151)의 전방단부(151a)는 랫치부재(147)의 분기부(147a,147b)의 전방단부 상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판스프링(151)의 후방단부(151b)는 앵글부재(142)의 다리부(142a) 상부표면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판(152)에 의해 적소에서 계류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152)은 1쌍의 볼트(153,154)에 의해 앵글부재(142)의 다리부(142a)에 공정되어 있다.
제10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랫치부재(147)는 캠표면(155,156)을 제공하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캠 부재(157)가 체결부(49)에 장착되어 캠표면(157a,157b)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랫치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이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는 랫치 조립체가 철수된 도어 폐쇄위치에서 작동 비임(51)을 유지하는 랫치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148)와 체결부(49)가 거의 완전히 철수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캠부재(157)의 캠표면(157a)은 랫치부재(147)의 캠표면(155)에 인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퍼 도어(16 내지 23)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면, 공기 실린더(45)가 작동되고 피스톤 로드(48) 및 체결부(49)는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볼때 우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캠부재(157)의 캠표면(157a)은 랫치부재(147)의 캠표면(155)과 협력 작용하여 랫치부재를 판스프링(151)의 작용에 대항하여 랫치핀(150)과의 결합에서 벗어나도록 승강시킨다. 랫치부재(147)가 랫치핀(150)을 방출시키는 시점에 핀(64)은 체결부(49)의 슬로트(50) 후단부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48)가 계속 이동하면 언래치(unlatch) 작동비임(51)이 이동한다. 도어 폐쇄 작동중, 피스톤 로드(48) 및 체결부(49)가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볼때 좌측으로 이동하며, 랫치부재(147)의 캠표면(156)은 먼저 캠부재(157)의 캠표면(157b)에 접촉된다. 따라서, 랫치는 랫치핀(150)이 랫치부재(147)의 후크형 부분(148,149) 아래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위치까지 판스프링(15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승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랫치부재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부(49)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랫치 조립체는 공기 실린더(45)의 작동에 의해 도어 개방위치로 의도적으로 이동될 때까지 작동비임(51)과 호퍼 도어(16 내지 23)가 호퍼차의 모든 역학적 조건하에서 도어 폐쇄위치에 잔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는 매우 용도가 넓으며, 구조가 다른 호퍼 도어를 갖는 여러가지 타입의 호퍼차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16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6도를 참조하면, 역 U자형 또는 모자 형태의 중앙 프레임(159)과, 단부 경사 시이트(160,161)와, 중간 경사 시이트(162, 163)를 갖는 호퍼차(158)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호퍼차(158)는 대향된 쌍을 이루는 활송장치(chute)(164-165,166-167)를 가지고 있고, 활송장치(164-167)는 호퍼 도어(168-171)를 가지고 있다. 호퍼 도어는 제2도의 호퍼 도어(16)와 유사하다.
본 실시에에서, 작동비임(173)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공기 실린더(172)가 제공되어 있다. 공기 실린더(172)는 참조부호 172a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차(158)의 인접 단부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다. 호퍼 도어(168, 169)는 링크 조립체(175)에 의해 호퍼 도어(168)에 연결되며 링크 조립체(176)에 의해 호퍼 도어(169)에 연결된 레버(174)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유사하게, 호퍼 도어(170,171)는 링크 조립체(178)에 의해 호퍼 도어(170)에 연결되며 링크 조립체(179)에 의해 호퍼 도어(171)에 연결된 레버 아암(177)에 의해 작동된다. 레버(174,177)는 제4도의 레버(104,120)와 동일하다. 링크 조립체(175,178)는 링크 조립체(111,126)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6)와 동일할 수 있다. 레버(174,177)는 제3도 및 제4도의 정지 조립체(96,119,130)와 동일한 정지 조립체(180,181)를 각각 가지고 있다 호퍼 도어(168-169 및 170-171)의 작동은 제3도 및 제4도의 호퍼 도어(17,18)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제17도는 6개의 활송장치(183 내지 188)를 갖는 호퍼차(18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활송장치는 호퍼 도어(189 내지 19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작동 및 고정기구는 역 U자형 또느 모자형 단면을 갖는 중앙 프레임(195a)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실린더(195) 및 2-세그멘트 작동비임(196a-196b)을 구비한다.
호퍼 도어(189,190)는 레버(197)와 1쌍의 링크 조립체(198,199)에 의해 작동되며, 이와 유사하게, 호퍼 도어(191, 192)는 레버(200)와 1쌍의 링크 조립체(201,202)에 의해 작동된다. 마지막으로 호퍼 도어(193,194)는 레버(203)와 1쌍의 링크 조립체(204,205)에 의해 작동된다. 레버(197,200,203) 각각은 협력 작용하는 정지 조립체(206, 207, 208)를 가지고 있다. 정지 조립체(206 내지 208)는 제3도 및 제4도의 정지 조립체(96,119,130)와 동일하다. 레버(197,200,203)는 제4도의 레버(104,120)와 동일하다. 링크 조립체(198,201,204)는 제4도에 도시된 링크 조립체(111,126)와 동일하고, 링크 조립체(199,202,205)는 제3도 및 제4도의 링크 조립체(86,116)와 동일하다. 그 결과, 호퍼 도어(189-190,191-192,193-194)의 작동은 제3도 및 제4도의 호퍼 도어(17-18)에 관하여 설명된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조가 다른 도어를 갖는 또다른 실시예의 호퍼차가 제18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전체가 참조 부호 209로 지시되어 있다. 호퍼차(209)는 4쌍의 대향 및 협력 작용하는 호퍼 도어(201-211,212-213,214-215,216-217)를 갖는다.
호퍼차는 공기 실린더(219)와, 4개의 세그멘트(220a,220b,220c,220d)로 이루어진 작동비임을 수용하는 역 U자형 또는 모자형 단면의 중앙 프레임(218)을 가지고 있다.
호퍼 도어(210)는 레버(221)와 링크 조립체(222)에 의해 작동되며, 호퍼 도어(211,212)는 레버(223)와 1쌍의 링크 조립체(224,225)에 의해 작동되고, 또한, 호퍼 도어(213,214)는 레버(226)와 1쌍의 링크 조립체(227,228)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호퍼 도어(215,216)는 레버(229)와 1쌍의 링크 조립체(230,231)에 의해 작동된다. 마지막으로, 호퍼 도어(217)는 레버(232)와 링크 조립체(233)에 의해 작동된다. 레버(221,223,226,229,232)는 정지 조립체(234 내지 238)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정지 조립체(234 내지 238) 모두는 제3도의 정지 조립체(99) 및 제4도의 정지 조립체(119,130)와 동일할 수 있다. 레버(221)는 제3도의 레버(78)와 동일하고, 나머지 레버(223,226,229,232)는 제4도의 레버(104,120)와 동일하다. 링크 조립체(222,225,228,231) 모두는 제3도의 링크 조립체(86) 및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6)와 동일하다. 링크 조립체(224,227,230,233)는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1, 126)와 동일하다.
호퍼 도어(210)의 작동은 제3도의 호퍼 도어(16)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호퍼 도어(211-212,213-214,215-216)의 작동은 제3도의 호퍼 도어(17)와 제4도의 호퍼 도어(18)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고, 마지막으로 호퍼 도어(17)의 작동은 제4도의 호퍼 도어(19)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호퍼 도어의 마지막 실시예의 구조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호퍼차는 전체가 참조 부호 239로 지시되어 있다. 호퍼차(239)는 단부 경사 시이트(240,241)와 역 U자형 또는 모자형 단면의 중앙 프레임(242)을 갖는다. 중앙 프레임(242)은 실린더(243)와, 3개의 세그멘트(244a, 244b,244c)로 이루어진 작동비임을 수용한다.
제19도에 도시된 호퍼차(239)에는 호퍼 도어(239)에는 호퍼 도어(246)에 의해 폐쇄된 말단 활송장치(245)와, 3쌍의 대향 및 협력 작용하는 호퍼 도어(247-248,249-250,251-253)가 제공되어 있다. 최종 호퍼 도어(253)는 말단 활송장치(254)를 폐쇄한다.
호퍼 도어(246,247)는 레버(255)와 링크 조립체(256,257)에 의해 작동된다. 동일한 장치가 호퍼 도어(248-249,250-215,252-253)에 제공되어 있다. 제19도에 도시된 레버(255,258,261,264) 모두는 제4도의 레버(104, 120)와 동일하고, 제19도의 모든 링크 조립체(256, 259, 262, 265)는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1,126)와 동일하다. 제19도의 링크 조립체(257,260,263,266)는 제3도의 링크 조립체(86) 및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6)와 동일하다. 제19도의 호퍼 도어의 작동은 제3도 및 제4도의 호퍼 도어(17,18)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레버(255,258,263,266) 모두는 정지 조립체(267,268,269,270)를 각각 가지고 있다. 정지 조립체는 제3도의 정지 조립체(96) 및 제4도의 정지 조립체(130)와 동일하다.
상술된 바로부터, 본 발명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는 여러가지 형태의 호퍼 도어 구조를 갖는 호퍼차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현존하는 호퍼차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호퍼 도어(16)의 패널(33,34)은 하방으로 연장하는 립부(33c,34c)를 각각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립부는 소정의 호퍼차의 호퍼 도어 구조에 따라, 협력 작용하는 호퍼 도어 또는 활송장치에 상응하는 립부와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협력 작용하는 인접 호퍼 도어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각종의 립부 구조가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3,596,609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하, 제20도 및 제21도를 참조하면, 협력 작용하는 쌍을 이루는 호퍼 도어의 인접하는 페쇄 패널이 참조 부호 271,272로 지시되어 있다. 협력 작용하는 패널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립부(271a,272a)를 각각 가지고 있다. 제20도는 호퍼 도어 폐쇄 과정중 초기 접촉 지점에 있는 패널(271,272)을 도시한다. 먼저, 패널립부(271a,272a)가 상호 접촉하고, 그들 사이에 협소한 V형태를 형성한다. 호퍼 도어가 최종적으로 과심된 완전 폐쇄위치에 도달하면, 립부(271a, 272a)는 거의 평행하게 서로 가압되어 그 사이들 화물이 통과할 수 없도록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22도 내지 제24도를 참조하면, 중앙 프레임은 전체가 참조부호 273으로 지시되어 있다. 중앙 프레임(273)은 중앙부분(273a)과 단부부분(그중 하나가 참조부호 273b로 지시)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 프레임(273)의 중앙부분(273a)은 중앙 프레임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상부부분(274)과 하향 연장 다리부(275, 276)를 갖는 역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술된 실시예 사이의 주요 차이는 중앙 프레임의 중앙부분(273a)의 하향 연장 다리부(275, 276)의 말단에 내측으로 구부러진 플랜지(277,27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단부부분(273b)은 상술된 실시예의 전체 중앙 프레임(8)에서와 같이 모자형 단면 구조를 갖는다. 중앙 프레임(273)의 다른 단부부분(비도시)도 이와 유사하게 모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 프레임(273)의 단부부분(273b)은 부착판(279 내지 283)을 사용하여 용접에 의해 중앙부분(273a)의 인접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중앙 프레임(273)의 타단부(비도시)도 이와 유사하게 중앙부분(273a)에 부착되어 있다.
중앙 프레임의 중앙부분(273)과 내측으로 구부러진 플랜지(277, 27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많은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1도에 참조부호 24,25로 나타낸 것과 같은 내측 호퍼 시이트는 중앙 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275, 276)의 측면에 직접 고정(어떤 적정 수단에 의해)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참조부호 8d,8e와 같은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가 없는 경우에, 각각의 호퍼 도어의 호퍼 도어 패널(33, 34)은 제2도에서 참조부호 284,285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될 수 있다. 물론, 이것에 의해 배출구가 확장된다.
제22도 내지 제24도의 실시예에서, 공기 실린더(45)와 유사한 유체 실린더(바람직하게는 공기 실린더)(288)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288)는 스트랩(289,290)에 의해 지지되며, 제3도에 도시된 실시에에서와 같이 선회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 아니라 중앙 프레임의 단부부분(273b)내에 단단히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288)는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291)를 구비한다.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291)의 자유단부에는 제3도의 체결부(49)와 동일한 체결부(292)가 제공되어 있다. 체결부(292)는 핀(293)에 의하여 제3도 및 제5도의 판(62,63)과 동일한 1쌍의 판(294,295)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비임(296)은 제3도 및 제5도의 작동비임(51)과 같이 세그멘트로 분할되어 있다. 2개의 세그멘트(296a,296b)가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되어 있다. 세그멘트(296a,296b)는 제4도 및 제6도의 피봇트 핀(56)과 동일한 피봇트 핀(29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제22도 내지 제24도의 실시예는 제19도에 도시된 타입의 호퍼차에 제19도의 실린더(243a)위치에 공기 실린더(288)가 제공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제19도의 레버(255)와 동일한 레버(298)가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되어 있다. 레버(298)는 샤프트(299)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샤프트(299)는 브라켓트(300,301)의 원통형 부분(300a,301a)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브라켓트(300,301)는 제7도의 브라켓트(65,73)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트(300,301)가 개별 부품으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고 주조된 부재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트(300)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 플랜지 부분(300b)과 내측으로 구부러진 플랜지 부분(300c)을 가지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브라켓트(301)도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 플랜지 부분(301b)과 내측으로 구부러진 플랜지 부분(300c)을 가지고 있다. 제7도의 실시예와 달리, 브라켓트(300)는 1쌍의 볼트(302,303)(제23도 참조)에 의해 중앙 프레임 다리부(275)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다. 브라켓트 플랜지 부분(300c)은 중앙 프레임 다리부(275)의 내측으로 구부러진 다리부(278) 아래에 위치하고, 볼트(304)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브라켓트(301)는 볼트(305,306,307)에 의해 중앙 프레임 다리부(276)와 내측으로 구부러진 플랜지(277)에 부착되어 있다.
레버(298)는 피봇트 핀(297)에 의해 작동비임(296)에 피봇트 식으로 연결된 직립 아암(298a)을 가지고 있다. 직립 아암(298a)은 제12도 내지 제14도에 관하여 설명된 조정수단(84)과 동일한 조정수단(308)을 구비할 수 있다. 레버(298)는 제19도의 링크 조립체(256)와 동일한 링크 조립체(비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아암(298b)을 가지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레버(298)는 제3아암(298c)을 가지고 있다. 제3아암(298c)은 제19도의 링크 조립체(257)와 동일한 링크 조립체(비도시)에 의해 제19도의 도어(247)와 동일한 도어(비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298)는 제19도의 정지부재(267)와 동일한 정지부재(30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지부재(309)는 스트랩(311)의 하측부에 부착된 강철앵글(310)을 구비한다. 스트랩(311)은 중앙 프레임(273)의 내측으로 구부러진 플랜지(277,278)까지 연장 및 고정되어 있다. 제8도에 관하여 설명된 정지부재(96)와 달리, 판(311)은 제8도의 판(97)에서와 같이 중앙에 오목부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강철앵글(310)은 상기 강철앵글의 상부 다리부와 판(311) 사이에서 연장하는 부가적인 판(312)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강철앵글, 레버 아암(298a,298c)이 정지부재(309)에 접촉하면 적절한 회전위치에 존재하도록 미조정 수단(313,314)을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에에서 판(311)은 평면이기 때문에, 레버 아암(298c)은 정지부재(309)와 협력 작용하는 작은 접합 연장부(315)를 구비하고 있다.
제22도 및 제23도의 도어 작동 조립체는 랫치 조립체(36)를 구비할 수 있다. 랫치 조립체는 제9도 및 제10도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3도는 실린더(288)의 전방단부와 일체를 이루는 단일부품으로서 랫치 후크(318)를 지지하는 구조물(317)을 도시한다.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은 상술된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 실린더(45)는 도어 개방 과정중에 도어에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제22도 내지 제24도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33도에서, 공기 실린더(45)의 단부에는 오리피스(316,317)가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어 개방 및 폐쇄 과정중에, 오리피스는 도입구 및 배출구로 작용한다. 전술한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 도어 개방 과정중에 배출물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제25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제25도에서 실린더(45)가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48)와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오리피스(316)가 도관(318)에 의해 제어 밸브(319)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오리피스(317)는 도관(320)에 의하여 제어 밸브(319)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 밸브(319)는 도관(321)을 통하여 압력 공기원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관(322,323)에 의해 배기부 또는 저장소에 연결되어 있다.
라인(320)에는 제한 밸브(324)가 설치되어 있다. 제한 밸브는 공기원으로부터의 공기가 도관(320)을 통하여 실린더(45)의 구멍(317)에 유입될 때 제한 밸브가 이러한 공기의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배기공기가 실린더 구멍(317)에서 나올때, 그 공기의 대부분이 제한 벨브(324)에 의하여 제한 및 전환된다. 따라서, 작용에 있어서, 도어 개방 과정중에 밸브(319)는 도관(318)과 실린더 구멍(316)을 압력 공기원의 도관(321)에 연결하도록 이동된다. 그러므로, 압력공기가 실린더에 유입되어, 피스톤 로드(48)가 신장된 위치로 이동되므로서 작동비임을 작동시키고 도어를 개방시킨다. 피스톤 전방의 실린더(45) 내부 공기는 구멍(317)을 통하여 배출되고, 공기의 대부분은 제한 밸브(324)를 통과하여 상기 밸브에 의해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제한 밸브는 실린더(45)가 도어 개방 과정중에 완충 효과를 제공하도록 배기 공기의 통과를 조절한다. 배기 공기의 일부의 밸브(319)의 도어 개방위치에서 배기도관(323)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320)을 통과한다. 도어 폐쇄 과정중에, 밸브(319)는 도어 폐쇄위치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압력 공기원으로부터의 도관(321)은 밸브(319)를 거쳐 도관(320)에 연결되고, 제한 밸브(324)를 통하여 방해받지 않고, 구멍(317) 및 실린더(45)로 통과하여,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 조립체(48)를 도어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피스톤 후방의 공기의 실린더 구멍(316)과 주 제어밸브(319)가 도어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 배기도관(322)에 연결되는 제한 밸브(324)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획득된 조절 완충 효과는 도어 작동 기구 및 관련 부품이 받는 마모 및 응력을최소화시킨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3,596,609호에서 도어 작동기구는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1,116)와 동일한 링크 조립체가 소정의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각각의 도어 패널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어 구조물이 매우 크고, 매우 무거우며, 화물이 매우 무거운 경우, 또는 화물이 도어 패널에 결빙될 수 있는 성질이 있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3,596,60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링크 조립체는 도어 패널에 결빙된 화물의 부분을 도어 패널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도어 개방 과정중에 도어 패널을 약간 구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구조가 제2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도어 작동 기구에 제공될 수 있다. 제26도에서 제4도의 작동비임 세그멘트(51a,51b)가 연결 피봇트 핀(56)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325)는 중앙 프레임(8)의 경계를 지나 차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차체 프레임의 적당한 부분들로부터 연장하는 브라켓트(비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325)에 중앙 레버(326)가 비회전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 레버(326)의 상단부는 피봇트 핀(56)에 의해 작동비임(51)에 피봇트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앙레버(326)의 상단부에는, 제12도 내지 제14도의 조정 수단(84)과 유사하며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조정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325)에 1쌍의 도어 레버(327,328)가 비회전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중앙 레버(326)는 제4도에 도시된 레버(104)의 직립 아암(104b)과 동일하며, 도어 레버(327,328)는 제4도에 도시된 레버(104)의 아암(104a,104c)과 각각 동일함을 제26도로부터 알 수 있다. 각각의 도어 레버(327,328)의 일단부에는 링크 조립체(329,3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329,330)는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6)와 각각 동일하다. 이와 유사하게, 도어 레버(327,328)의 반대측 단부에도 링크 조립체(331,3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331,332)는 제4도의 링크 조립체(111)와 동일하다.
링크 조립체(329,330)는 인접 도어(비도시)의 패널중 하나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링크 조립체(331,332)는 인접한 도어(비도시)의 도어 패널중 하나의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중앙 레버(326)는 호퍼 도어의 개방위치를 결정하도록 제3도의 정지부재(96)와 동일한 정지부재(333)를 구비할 수 있다. 정지부재(333)는 중앙 프레임(비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레버(327,328)는 도어의 폐쇄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정지부재(334,335)를 구비할 수 있다. 정지부재(334,335)는 호퍼차 프레임(비도시)에 부착 및 현수되어 있다.
제4도의 레버(104)는 3개의 부분, 즉 중앙레버(326)와 도어 레버(327,328)로 분할되어 있음을 제26도로 부터 알 수 있다. 이외에, 링크 조립체(329~332) 각각이 도어 패널의 횡방향 중심 가까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6도의 조립체 작동은 제4도의 레버(104)와 링크 조립체(111,116)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도어 작동 시스템의 모든 레버에 이와 동일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실린더(45)가 공기 실린더로 설명되었으나, 유압 실린더도 가능하다. 사실, 어떤 적당한 원동기가 작동비임(51)에 제어식의 직선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한 공기 실린더(45) 대신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것이 여기에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도 마찬가지이다.
원동기가 호퍼차의 중앙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크기 또는 성질이 중앙 프레임 내부 장소를 배제하는 경우에는 다른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Claims (30)
-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호퍼 도어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호퍼 도어를 작동 및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호퍼 도어는 활송 장치를 폐쇄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활송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호퍼 시이트와 협력작용하는 대향된 쌍으로 또는 그 조합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프레임 각각에 위치하고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한쌍의 폐쇄 패널을 갖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및 고정 수단을 상기 호퍼 도어가 대향 배치된 경우에 인접 쌍의 인접 호퍼 도어의 외부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호처 도어가 개별적으로 배치된 경우에 각각의 단일 호퍼 도어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샤프트 ; 상기 샤프트 각각에 비회전식으로 장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인접 호퍼 도어용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을 인접 호퍼 도어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링크를 각각 갖는 레버 수단 ; 상기 중앙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세그멘트형 작동비임 ;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엥서 상기 비임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비임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원동기 수단 ; 및 상기 호퍼 도어 각각의 과심(over-center) 폐쇄 및 고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 수단 각각을 직립 아암에 접촉시키고, 상기 호퍼 도어 각각의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른 아암중 하나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호퍼차 프레임상에 장착된 정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각각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레버 수단 각각은 상기 중앙 프레임내에서 연장하는 직립아암을 가지며, 상기 직립 아암은 상기 비임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되고, 상기 비임은 상기 레버 수단, 링크 및 호퍼 도어 모두가 과심의 고정된 도어 폐쇄위치에서 유지되는 제1위치와, 상기 레버수단, 링크 및 호퍼 도어 모두가 도어 개방위치로 과심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항에 이서서, 상기 레버 수단 각각은 일체형의 단일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항에 이서서, 상기 레버 수단 각각은 중앙 레버와 제1 및 제2도어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 레버는 상기 중앙 프레임 하방에 위치하는 샤프트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되고 또한, 직립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도어 레버는 상기 중앙 레버의 외측에서 상기 샤프트에 그리고 상기 중앙 프레임의 각 측면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도어 레버 각각은 길이 조절할 수 있는 링크 중 하나에 의해 각각의 인접 호퍼 도어의 패널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각각의 인접 호퍼 도어용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아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처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수평 베이스부분과,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부 각각의 말단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이 모자형 단면을 갖도록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종방향의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의 단부에 부착된 종방향의 단부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분은 수평 베이스부분과 말단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진 대향된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부분 각각은 베이스부분과, 말단부가 상기 단부부분에 모자형 단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향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는 중앙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또한 세그멘트형 비임의 한 단부에 작동식으로 부착된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를 갖는 유체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을 상기 제1도어 폐쇄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해제가능한 랫치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직립 아암과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과 피봇트식 연결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수평 베이스부분과,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부 각각의 말단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이 모자형 단면을 갖도록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종방향의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의 단부에 부착된 종방향의 단부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분은 수평 베이스부분과 말단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진 대향된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부분을 각각은 베이스부분과, 말단부가 상기 단부부분에 모자형 단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향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는 중앙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또한 세그멘트형 비임의 한 단부에 작동식으로 부착된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를 갖는 유체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형 비임을 상기 제1도어 폐쇄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해제가능한 랫치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의 세그멘트는 피봇트 핀에 의해 선회이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며, 상기 피봇트 핀 각각은 상기 직립레버 아암중 하나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직립 다리부와 거의 수평한 다리부를 갖는 강철 앵글부재를 장착하는 수단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직립 다리부는 레버 수단에 의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도어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버 수단의 직립 레버 아암을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며, 상기 거의 수평 다리부는 레버 수단에 의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도어 폐쇄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버 수단의 다른 아암중 하나를 위한 접촉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는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를 갖는 공기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실린더는 중앙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는 세그멘트형 비임의 한 단부에 작동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직립 레버 아암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구멍은 다수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직립 레버 아암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상응하는 형태의 소켓트내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규칙적인 형상의 조정부재에 편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실린더는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는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와, 상기 공기 실린더의 전후방 단부 각각에 있는 유입구-배출구와, 압력공기원과,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을 제2도어 개방위치로부터 제1도어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압력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배기부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을 상기 제2도어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압력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전방 단부의 구멍을 배치부에 연결하는 제어밸브 수단과, 상기 도어 폐쇄위치로부터 도어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공기 실린더와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가 도어에 완충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 구멍으로 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한하도록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과 연결된 제한 밸브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을 제1도어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가 작동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세그멘트형 비임의 단부와 결합가능하며 상기 공기 실린더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해제가능한 랫치 수단과, 상기 랫치 수단을 비임 고정위치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랫치 수단은 도어 개방 과정중에 상기 랫치 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와 협력작용하는 캠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의 세그멘트는 피봇트 핀에 의해 선회이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며, 상기 피봇트 핀 각각은 상기 직립 레버 아암중 하나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직립 다리부와 거의 수평한 다리부를 갖는 강철 앵글부재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그 내부에 부분적으로 상기 강철 앵글부재를 장착하는 수단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직립 다리부는 레버 수단에 의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도어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버 수단의 직립 레버 아암을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며, 상기 거의 수평 다리부는 레버 수단에 의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도어 폐쇄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버 수단의 다른 아암중 하나를 위한 접촉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직립 레버 아암 자유단부에 형성된 구멍은 직립 레버 아암의 상기 자유단부에 형성된 상응하는 형상의 소켓트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치형부를 갖는 조정 부재내에 편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실린더는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는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와, 상기 공기 실린더의 전후방 단부 각가에 있는 유입구-배출구와, 압력공기원과,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을 제2도어 개방위치로부터 제1도어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아압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배기부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을 상기 제2도어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압력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을 배기부에 연결하는 제어밸브 수단과, 상기 도어 폐쇄위치로부터 도어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공기 실린더와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가 도어에 완충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 구멍으로 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한하도록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과 연결된 제한 밸브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트형 비임을 제1도어 폐쇄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가 작동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세그멘트형 비임의 단부와 결합가능하며 상기 공기 실린더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해제가능한 랫치 수단과, 상기 랫치 수단을 비임 고정위치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랫치 수단은 도어 개방 과정중에 상기 랫치 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와 협력작용하는 캠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수평 베이스부분과,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부 각각의 말단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이 모자형 단면을 갖도록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종방향의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의 단부에 부착된 종방향의 단부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분은 수평 베이스부분과 말단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진 대향된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부분 각각은 베이스부분과, 말단부가 상기 단부부분에 모자형 단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향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호퍼 도어와 상기 호퍼 도어를 작동 및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호퍼 도어는 활송 장치를 폐쇄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활송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호퍼시이트와 협력작용하는 대향된 쌍으로 또는 그 조합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프레임 각각에 위치하고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한쌍의 폐쇄 패널을 갖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및 고정 수단은 상기 호퍼 도어가 대향 배치된 경우에 인접쌍의 인접 호퍼 도어의 외부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호퍼 도어가 개별적으로 배치된 경우에 각각의 단일 호퍼 도어의 외부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햐프트 ; 상기 샤프트 각각에 비회전식으로 장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인접 호퍼 도어용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을 인접 호퍼 도어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링크를 각각 갖는 일체형의 단일 부재로 된 레버 ; 상기 중앙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작동비임 ;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비임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비임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원동기 수단 ; 및 상기 호퍼 도어 각각의 과심 폐쇄 및 고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 각각을 직립 아암에 접촉시키고, 상기 호퍼 도어 각각의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른 아암중 하나에 접촉시키기 위한 정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각각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레버 수단 각각은 상기 중앙 프레임내에서 연장하는 직립 아암을 가지며, 상기 직립 아암은 상기 비임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비임은 상기 레버 링크 및 호퍼 도어 모두가 과심의 고정된 도어 폐쇄위치에서 유지되는 제1위치와, 상기 레버, 링크 및 호퍼 도어 모두가 도어 개방위치로 과심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 수단을 중앙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 수단은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를 갖는 공기 실린더이며, 상기 공기 실린더는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는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와, 상기 공기 실린더의 전후방 단부 각각에 있는 유입구-배출구와, 압력공기원과, 상기 비임을 제2도어 개방위치로부터 제1도어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압력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배기부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비임을 상기 제2도어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압력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을 배기부에 연결하는 제어밸브 수단과, 상기 도어 폐쇄위치로부터 도어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공기 실린더와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가 도어에 완충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 구멍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한하도록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과 연결된 제한 밸브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호퍼 도어와, 상기 호퍼 도어를 작동 및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호퍼 도어는 활송 장치를 폐쇄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활송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호퍼 시이트와 협력작용하는 대향된 쌍으로 또는 그 조합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프레임 각각에 위치하고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한쌍의 폐쇄 패널을 갖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및 고정 수단은 상기 호퍼 도어가 대향 배치된 경우에 인접 쌍의 인접 호퍼 도어의 외부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호포 도어가 개별적으로 배치된 경우에 각가의 단일 호퍼 도어의 외부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샤프트 ; 상기 샤프트 각각에 비회전식으로 장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인접 호퍼 도어용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아암과 상기 아암으로 인접 호퍼 도어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링크를 각각 갖는 레버 수단 ; 상기 중앙 프레임 내부에 배치 되고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작동비임 ; 상기 중앙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그리고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비임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비임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원동기 수단 ; 및 상기 호퍼 도어 각각의 과심(over-center) 폐쇄 및 고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 수단 각각을 직립 아암에 접촉시키고, 상기 호퍼 도어 각각의 개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른 아암중 하나에 접촉시키기 위한 정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각각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레버 수단 각각은 상기 중앙 프레임내에서 연장하는 직립 아암을 가지며, 상기 직립 아암은 상기 비임에 선회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비임은 상기 레버 수단, 링크 및 호퍼 도어 모두가 도어 개방위치로 과심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 수단은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를 갖는 공기 실린더이며, 상기 공기 실린더는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가 통고하는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와, 상기 공기 실린더의 전후방 단부 각각에 있는 유입구-배출구와, 압력공기원과, 상기 비임을 제2도어 개방위치로부터 제1도어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압력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배기부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비임을 상기 제2도어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방단부의 구멍을 상기 압력공기원에 연결하고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을 배기부에 연결하는 제어벨브 수단과, 상기 도어 폐쇄위치로부터 도어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공기 실린더와 피스톤-피스톤 로드 조립체가 도어에 완충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단부 구멍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한하도록 상기 전방단부의 구멍과 연결된 제한 밸브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6/799,634 US4688488A (en) | 1985-11-19 | 1985-11-19 | Automatic actuating and locking apparatus for the hopper doors of a railroad hopper car |
US799,634 | 1985-11-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4689B1 true KR950014689B1 (ko) | 1995-12-13 |
Family
ID=251763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4545A KR950014689B1 (ko) | 1985-11-19 | 1986-05-29 |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KR1019860004545A KR870004865A (ko) | 1985-11-19 | 1986-06-09 | 호퍼차(hoppercar)의 호퍼 도어 작동 및 쇄정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4545A KR870004865A (ko) | 1985-11-19 | 1986-06-09 | 호퍼차(hoppercar)의 호퍼 도어 작동 및 쇄정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688488A (ko) |
KR (2) | KR950014689B1 (ko) |
IN (1) | IN166758B (ko) |
PT (1) | PT82671B (ko) |
ZA (1) | ZA86397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29908A (en) * | 1987-06-03 | 1989-05-16 | Thrall Car Manufacturing Co. | Hopper car automatic discharge door mechanism with operating lever adjustable support |
US4843974A (en) * | 1987-06-03 | 1989-07-04 | Thrall Car Manufacturing Company | Hopper car with automatic discharge door mechanism |
US4766820A (en) * | 1987-06-03 | 1988-08-30 | Thrall Car Manufacturing Company | Hopper car with automatic discharge door mechanism |
US6749268B1 (en) | 2002-06-28 | 2004-06-15 | Michael E. Wheeler | Closing apparatus for twin pendulum hopper doors |
US20060185553A1 (en) * | 2005-01-25 | 2006-08-24 | Taylor Fred J | Railroad hopper car door actuating mechanism |
WO2006116358A2 (en) * | 2005-04-21 | 2006-11-02 | Taylor Fred J | Railroad hopper car transverse door actuating mechanism |
US20060272541A1 (en) * | 2005-06-03 | 2006-12-07 | Taylor Fred J | Railroad hopper car door actuating mechanism |
US20070107624A1 (en) * | 2005-11-17 | 2007-05-17 | Taylor Fred J | Manual railroad hopper car door actuating mechanism |
US7980636B2 (en) * | 2006-01-20 | 2011-07-19 | Mip Holdings, Llc | Automated gate control and methods |
US20100270848A1 (en) * | 2009-04-24 | 2010-10-28 | Heider Dale J | Apparatus for opening hopper door |
US8371657B2 (en) * | 2010-02-12 | 2013-02-12 | Timpte, Inc. | Storage hopper assembly |
US8596203B2 (en) | 2011-05-11 | 2013-12-03 | National Steel Car Limited | Railroad car and door mechanism therefor |
US8915193B2 (en) * | 2013-03-15 | 2014-12-23 | National Steel Car Limited | Railroad car and door mechanism therefor |
US9862394B2 (en) * | 2013-10-07 | 2018-01-09 | American Railcar Industries, Inc. | Door and door operating assembly for a railca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US10648217B2 (en) | 2017-04-19 | 2020-05-12 | National Steel Car Limited | Railroad hopper car body fittings |
US12103571B2 (en) * | 2021-05-17 | 2024-10-01 | Railcar Innovations, LLC | Longitudinal door operating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87684A (en) * | 1961-03-06 | 1965-06-08 | Ortner Freight Car Co | Rapid discharge hopper car |
US3596609A (en) * | 1969-08-13 | 1971-08-03 | Ortner Freight Car Co | Rapid discharge hopper car door actuator |
US3772996A (en) * | 1972-07-14 | 1973-11-20 | Pullman Inc | Motor operated hopper door mechanism actuates latch |
US4084515A (en) * | 1976-09-16 | 1978-04-18 | Pullman Incorporated | Locking mechanism for hopper door actuator assembly |
US4132177A (en) * | 1977-04-25 | 1979-01-02 | Ortner Freight Car Company | Rapid discharging hopper car automatic door latch |
US4224877A (en) * | 1978-05-26 | 1980-09-30 | Pullman Incorporated | Railway hopper car closure actuating mechanism |
US4284011A (en) * | 1980-03-10 | 1981-08-18 | Ortner Freight Car Company | Restraint assembly for the hopper door actuator of a rapid discharging railroad hopper car |
US4366757A (en) * | 1980-11-20 | 1983-01-04 | Ortner Freight Car Company | Actuating and locking means for the hopper doors of a railroad hopper car |
US4508037A (en) * | 1982-05-24 | 1985-04-02 | Pullman Standard, Inc. | Door lever adjusting device for hopper car doors |
US4601244A (en) * | 1985-07-05 | 1986-07-22 | Miner Enterprises, Inc. | Operating system for railroad hopper car gate assembly doors |
-
1985
- 1985-11-19 US US06/799,634 patent/US468848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
- 1986-05-15 IN IN434/DEL/86A patent/IN166758B/en unknown
- 1986-05-28 ZA ZA863973A patent/ZA863973B/xx unknown
- 1986-05-28 PT PT82671A patent/PT82671B/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6-05-29 KR KR1019860004545A patent/KR950014689B1/ko active
- 1986-06-09 KR KR1019860004545A patent/KR870004865A/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4865A (ko) | 1987-06-02 |
ZA863973B (en) | 1987-01-28 |
IN166758B (ko) | 1990-07-14 |
PT82671A (en) | 1986-06-01 |
PT82671B (pt) | 1992-10-30 |
US4688488A (en) | 1987-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14689B1 (ko) | 호퍼차의 호퍼 도어 작동 및 고정장치 | |
US4766820A (en) | Hopper car with automatic discharge door mechanism | |
US6067912A (en) | Automated discharge system for hopper car | |
US4741274A (en) | Hopper door operating mechanism | |
US4250814A (en) | Dual hopper car doors | |
US4366757A (en) | Actuating and locking means for the hopper doors of a railroad hopper car | |
US4829908A (en) | Hopper car automatic discharge door mechanism with operating lever adjustable support | |
US5261333A (en) | Automated ballast door mechanism | |
US7080598B2 (en) | Railway hopper car with longitudinal discharge openings | |
US6082958A (en) | Lift-type loading platform system | |
US2268290A (en) | Door operating means | |
US4136621A (en) | Railway hopper car door locking mechanism | |
EP0551280A1 (en) | DEVICE LOCATED ON VEHICLE LOADING PLATFORMS INCLUDING TANKS. | |
US3931768A (en) | Hopper vehicle | |
CA1047836A (en) | Hopper vehicle | |
US3764026A (en) | Material transfer mechanism | |
CA1060711A (en) | Locking end actuating mechanism for railway hopper car doors | |
US5335958A (en) | Automatic positive tailgate latching mechanism | |
KR0131818B1 (ko) | 가용성 보울 팁 트럭 | |
US5601032A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railroad hopper car discharge doors | |
US4284011A (en) | Restraint assembly for the hopper door actuator of a rapid discharging railroad hopper car | |
US3452886A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operating discharge doors of railway cars | |
US20080276828A1 (en) | Railway car door operator assembly | |
US20060032396A1 (en) | Safety latch lock indicator for railcar door operation mechanism | |
KR20050113187A (ko) | 부트 도어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비된 차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