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478B1 -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 Google Patents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478B1
KR950014478B1 KR1019930015858A KR930015858A KR950014478B1 KR 950014478 B1 KR950014478 B1 KR 950014478B1 KR 1019930015858 A KR1019930015858 A KR 1019930015858A KR 930015858 A KR930015858 A KR 930015858A KR 950014478 B1 KR950014478 B1 KR 95001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ixed
support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014A (ko
Inventor
장근홍
Original Assignee
장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홍 filed Critical 장근홍
Priority to KR101993001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478B1/ko
Publication of KR95000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2017/065Trellis-work for supporting vines having wire-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제1도 본 발명 클립의 사시도.
제2∼5도 본 발명 클럽을 고정철선에 끼워 고정하는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
제6,7도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제8도 본 발명의 정면도.
제9도 종래 합성수지 클립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지지부 나 : 고정부
다 : 손잡이부 1 : 클립
2 : 돌출부 3 : 제1접지부
4 : 연결부 5 : 제2접지부
6 : 탄지부 7 : 탄지부의 단부
본 발명은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고탄성력과 불산화성이 우수한 철선을 꾸부려 클립을 형성하되 원호상의 지지부 일측에 두개의 접지부와 한개의 탄지부로 구성된 고정부를 구성하고 이 고정부를 이용하여 클립이 고정철선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합성수지편으로 된 클립에 비하여 클립을 끼우는 작업이 신속용이하고 고정철선의 굵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수명이 더욱 길게 되는 효과가 있도록 한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444호 및 동제93-5934호에서 제시된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클립을 형성하되 원호상으로 만곡 형성된 지지부(100)의 일측에 삽입홈(101)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101)에 고정철선을 강제삽입하여 클립이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합성수지 클립은 고정철선의 굵게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삽입홈을 갖는 여러 종류의 클립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금형비등의 제작경비가 많이 들고 고정철선이 삽입홈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고정철선을 삽입홈에 끼울때 상당한 정도로 강제삽입이 되게 하여야 하므로 삽입작업에 힘이 많이 들고, 많은 량의 삽입작업을 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며 또 합성수지는 햇빛이나 비바람등의 자연환경에서 쉽게 화학반응하여 탄성을 잃게 되므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탄성력을 갖고 불산화성이 우수한 철선으로 클립을 절곡형성하되, 특히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가 두개의 접지부와 한개의 탄지부를 갖고 이 접지부와 탄지부의 3점 작용에 의하여 클립이 고정철선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클립이 고정철선에 쉽고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였으며 지지부와 손잡이 사이에 돌출하는 돌출부가 고정부보다 위로 돌출되게 하여 포도줄기를끼우면 고정철선 아래에 위치한 돌출부가 원래 자리로 복귀되면서 저절로 고정철선 위로 올라가 걸리도록하므로서 포도송이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탄성력과 불산화성이 우수한 철선으로 클립(1)을 형성하되 클립(1)은 제1도와 같이 원호상으로 만곡된 지지부(가)와 지지부(가)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나) 및 손잡이부(다)로 구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지지부(가)가 만곡된 방향(화살표(A)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화살표(B)방향)을 외측이라 하며 지지부(가)를 증심으로 고정부(나)가 있는 쪽(화살표(E)방향)을 좌측, 그 반대쪽(화살표(G)방향)을 우측이라 한다.
지지부(가)의 우측에 지지부(가)의 단부를 절곡 연장하여 손잡이부(다)를 형성하되 손잡이부(다)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서 지지부(가)와 손잡이부(다) 사이에 돌출부(2)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는 외측으로 돌출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제8도에서와 같이 고정부(나)와 지지부(가) 및 손잡이부(다)보다 윗쪽으로 돌출하여 위치토록 하므로서 손잡이부(다)를 당겼다 놓으면 돌출부(2)는 복귀할때 항상 고정철선(30)의 위로 복귀하여 걸리도록 하였다.
지지가(가)의 좌측단부를 절곡연장하여서 된 고정부(나)는 제1도와 같이 지지부(가)의 단부가 상측으로 휘어지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 형상의 제1접지부(3)를 구성하고 제1접지부(3)의 단부가 좌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부(4)를 구성하고 연결부(4)의 단부가 외측으로 휘어진 다음 다시 하측과 내측으로 차례로 절곡되어''''형상의 제2접지부(5)를 구성하고 제2접지부(5)의 단부가 외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탄지부(6)를 구성하였다.
탄지부(6)의 단부(7)는 제1,2접지부(3)(5)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또한 제1,2접지부(3)(5)내의 고정철선 접점(3')(5')보다 약간 위로 돌출토록 하므로서 고정철선(30)이 제l,2접지부(3)(5)내를 지나면 접점(3')(5')에 의하여 고정지지되고 탄지부(6)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8)은 손잡이부(다)의 단부
(10)은 지주
(20)은 포도줄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클립(1)은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지주(10)에 횡으로 설치된 고정철선(30)에 고정부(나)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끼워 고정하고 손잡이부(다)의 단부(8)를 당겨 지지부(가)가 벌어지게 한다음 지지부(가)내에 지지코자 하는 포도줄기(20)가 들어가게 하는 손잡이부(다)의 단부(8)를 놓아주면 지지부(가)가 탄성에 의하여 원래 자리로 복귀하여 포도줄기(20)를 지지하게 되며 이때 돌출부(2)는 제5도와 같이 고정철선(30)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가 지지부(가)가 열렸다 닫힐때 저절로 제6도와 같이 고정철선(30)의 위로 복귀하여 위치하므로서 포도송이등의 하중으로 인하여 지지부(가)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2)가 고정철선(30)의 위로 복귀하는 작용은 이미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고정부(가)보다 윗쪽으로도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고정철선(30)을 복구시에는 자연히 고정철선(30)의 위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부(나)를 이용하여 클립(1)을 고정철선(30)에 끼우는 방법을 제2∼5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3도에서와 같이 탄지부(6)와 연결부(4)사이를 통하여 고정철선(30)이 제2접지부(5)내로 삽입되게하고 제4도와 같이 지지부(가)가 고정철선(30)의 위쪽을 넘어 고정철선(30)의 약간 외측으로 이동되게 하므로서 고정철선(30)이 제2접지부(5)의 접점(5')부분과 탄지부(6)에 접하도록 하고 다시 지지부(가)가 고정철선(30)의 아래로 통하여 고정철선(30)내측으로 이동케하여 제5도와 같이 고정철선(30)이 제1접지부(3)내로 들어가 접점(3')에 접하도록 하면 고정철선(30)이 제1,2접지부(3)(5)의 접점(3')(5')의 지지력과 접점(3')(5')쪽으로 탄력이 작용하는 탄지부(6)의 강한 작용을 받게 되므로 클립(1)이 고정철선(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클립(1)을 고정철선(30)으로부터 분리할때는 삽입의 역순으로 하면 간단히 분리된다.
이때 돌출부(2)는 고정철선(30)아래에 위치하게 되나 지지부(가)가 열렸다가 닫힐때는 고정철선(30)의 위로 복귀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가)를 이용하여 클립(1)을 고정철선(30)에 끼워 고정하므로 고정철선(30)의 굵기에 관계없이 끼워 사용할 수 있어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고정철선(30)에 삽입이 신속용이하여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고 삽입작업에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으며 고탄성력 불산화성이 우수한 철선을 사용하므로서 햇빛등의 자연환경에서 합성수지에 비하여 쉽게 탄성을 잃지 않으므로 보다 오래 사용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탄성력과 불산화성이 우수한 철선으로 클립(1)을 형성하되 원호상으로 만곡 형성된 지지부(가)의 일측에 제1접지부(3)와 제2접지부(5) 및 탄지부(6)로 구성된 고정부(나)를 절곡 형성하고 지지부(가)의 타측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손잡이부(다)를 형성하여 지지부(가)와 손잡이부(다) 사이에 돌출부(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하고 이 돌출부(2)는 동시에 고정부(나)보다 윗쪽으로 돌출하여 위치토록 하여서 된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KR1019930015858A 1993-06-19 1993-06-19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KR95001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858A KR950014478B1 (ko) 1993-06-19 1993-06-19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858A KR950014478B1 (ko) 1993-06-19 1993-06-19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941 Division 1993-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014A KR950000014A (ko) 1995-01-03
KR950014478B1 true KR950014478B1 (ko) 1995-12-02

Family

ID=1936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858A KR950014478B1 (ko) 1993-06-19 1993-06-19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72B1 (ko) * 2005-08-23 2007-02-12 장근홍 결속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45B1 (ko) * 2002-04-23 2007-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선회형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72B1 (ko) * 2005-08-23 2007-02-12 장근홍 결속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014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5233A (en) Clips
US4767340A (en) Connecting clamp for electrical conductors
US5179768A (en) Clothespin
JP5623869B2 (ja) 部品保持具の解除操作片
EP0811331A3 (en) Molded surface fastener
KR20020082146A (ko)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A1045615A (en) Fastening device
EP0457614A3 (en) Ear tag applicator
US2935804A (en) Price tag holder
KR950014478B1 (ko) 포도줄기 결속용 클립
US1747322A (en) Button ornament
EP1450441A3 (en) Stamped battery terminal exhibiting a pivoting clamping mechanism
US2822593A (en) Paper clips
CN101282666A (zh) 销夹持器类型的固定器
KR100233757B1 (ko) 포도 결속용 클립
CN208849373U (zh) 线束固定装置
CA1299694C (en) Electrical receptacle
KR840002714Y1 (ko) 장신구용 조임쇠
US2075072A (en) Spring terminal clip
US2797693A (en) Hair clip
JPS644250Y2 (ko)
JPS6145533Y2 (ko)
KR840001789Y1 (ko) 창문의 망 부착장치
KR900007562Y1 (ko) 머리핀
US3072127A (en) Non-entangling, self-opening, resiliently closed hair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