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477B1 - 꽃대 절단기 - Google Patents

꽃대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477B1
KR950014477B1 KR1019900700517A KR900700517A KR950014477B1 KR 950014477 B1 KR950014477 B1 KR 950014477B1 KR 1019900700517 A KR1019900700517 A KR 1019900700517A KR 900700517 A KR900700517 A KR 900700517A KR 950014477 B1 KR950014477 B1 KR 95001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upport
fixed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148A (ko
Inventor
안도니 에스. 캠파넬리
대니엘 에이. 매트레
Original Assignee
로즈스타 인코포레이티드
안도니 에스.캠파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즈스타 인코포레이티드, 안도니 에스.캠파넬리 filed Critical 로즈스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70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2003/007Using spr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22With receptacle or support for cut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2With guard means
    • Y10T83/8722Stat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Kniv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꽃대 절단기
본 발명은 꽃대 절단기에 관한 것이며 꽃병이나 수반등에 꽂기직전에 꽃대를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지에서 공급된 꽃들은 전시할시에는 수중에서 꽃대를 절단하여 습한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한다. 절단된 꽃의 수명은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당히 연장된다.
여러 문헌들에서 꽃대를 수중에서 절단하는 것이 적절함을 기술하고 있다.
예컨대, 수중에서 꽃대를 절단하는 장점에 대해서는 1979. 6. 14자 플로리스트스 리뷰(Florist's Review)지에서 H. Paul Rasmussen이 기고한 "꽃병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수중에서의 장미줄기 재절단''이라는 제목의 기사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는 관형부분을 포함하여 식물의 생명유지 시스템 역할을 하는데, 이는 꽃 및 꽃잎으로 물을 전달하는 수관역할을 한다. 줄기는 또한 당분 등의 성분을 절단하는 수관역할도 함께 한다. 수관은 스트로(straw)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수관은 물이 충전되어 있는 동안에는 물을 계속 상승시킨다. 그러나, 줄기를 공기중에서 절단하게 되면, 수관 절단부에 기포가 발생되어 물의 사이펀현상은 중지된다. 나아가서, 식물의 경우에, 당분성분은 줄기를 통해 뿌리로 하강한다. 나무에서 줄기를 절단하면, 당분은 잠시 동안은 계속 이동한다. 당분은 절단면을 지나 이동하고 개방된 수관내로 이동하여, 여기에서 결정화 됨으로써 수관을 폐색시켜, 꽃 조직내의 자연스럽고 적절한 유동을 다시 간섭하게 된다. 이는 꽃 조직내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특히 그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줄기를 수중에서 절단하여 수중에서 유지시키면 줄기를 대기중에서 절단하는데 따른 모든 문제점들이 제거된다. 수중에서 줄기를 절단하는데 따른 문제점들을 기술하고 있는 기사도 많이 있다. 꽃의 수화를 신속하고 완전하게 할수록, 물 및 물에 포함된 성분의 이동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선된 작용은 "시들은 장미를 포함하여 시들은 꽃들을 재생시킬 수 있게 하며, 꽃의 기능을 강화시켜 보다 활력 있는 꽃을 제공하며, "BVD-컷(cut)" 카네이션과 같이 꽃의 만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업적인 목적을 위해, 다발로 묶여진 많은 꽃들의 줄기들을 절단하기 위한 여러 기계화 도구가 제안되었다. 도매점이나 전시를 위해 꽃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꽃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꽃병 또는 수반등에 꽃을 꽂기 직전에 수중에서 꽃대를 절단한다. 1982년 9월 14일자로 Allan H. Hauser에게 허여된 ''단일 꽃대 절단기"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8,832호에는 최종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형의 휴대용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착탈자재한 뚜껑을 갖는 소형의 휴대용 병을 마련한다. 뚜껑에 길로틴(guillotine) 날을 고정하고 병(jar)내에는 액체에 침지되는 길로틴 절단장치를 마련한다. 뚜껑에는 하나 또는 소량의 줄기를 액체내로 침지시켜 절단장치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안내벽을 갖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정위치에 있을때 사용자는 단지 길로틴 날을 작동시킴으로써 하나의 줄기 또는 여러줄기들을 부드럽게 완전히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길로틴 날은 수동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거나, 상기 특허에 기재된바와 같이 특정형태의 동력 작동기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특허에 기재된 소형의 휴대용 장치는 가정, 사무실등과 같이 단지 하나 또는 수개의 줄기들만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매우 효율적이다.
Hauser 특허에 기재된 구조가 줄기를 절단하는데 매우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나, 이는 줄기 조직을 너무많이 절단한다. 나아가서, 가동날은 평면날로서 그 이동면은 납작한 고정 절단날의 평면에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날 구조는 시간이 지날수록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절단날들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줄기의 절단 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나아가서 가동날 구조는 교환을 위해 절단기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된다. 이는 절단날이 고정날에 밀접계합된 상태로 활주 이동하도록 칼날이 장착된 경우에 길로틴 작동에 의해 꽃대를 적절히 절단하기 위해서는 예리한 날을 사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한 구조이다.
그러나, 절단날은 거의 면도날 정도의 예리한 날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예리한 날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나아가서, 칼날구조는 조립된 상태에서도 약간 노출되며 특히 분해시에는 외부에 완전히 노출된다. 예리한 칼날은 그 취급이 어렵다. 부가해서, 줄기는 절단 장치를 지나 병내로 이동되고 병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내측으로 돌출된다. 꽃대의 선단으로부터 1인치 내기 0.5인치 정도로 그 선단을 약간만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부가해서, 가동날 및 고정날을 장착하는 방법은 대량 생산에 적합치 않으며 그 수명도 그리 길지 못하다.
따라서 꽃대를 적절히 위치시킴으로써 꽃대를 적정상태로 절단하며 분해시에 예리한 칼날에 의한 취급상의 어려움이 없는 개선된 휴대용 꽃대 절단기가 요구되어 왔다. 나아가서, 가동날은 꽃대의 절단 상태를 적정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길로틴 날 구조를 갖는 소형이고 휴대용인 개선된 꽃대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가동 길로틴 날 조립체 또는 유니트는 일체로 성형되고, 적정구조로 된 외부 보호 가드(guard) 유니트는 길로틴 날 조립체에 대해 꽃대를 적절히 위치시킬 수 있는 정지유니트를 포함한다.
실제 구조에서, 외부가 평면벽으로 된 가드는 대략 고정날 유니트와 정렬된다. 바닥벽은 칼날지지부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진 순부(lip)로 되어 있으며 지지부에 대해 약간 간격을 두고 종결된다. 가드는 평면벽에 고정되고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날 지지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측벽들을 포함한다. 가동날 유니트는 가드내에서 고정날과 접촉 위치한다. 가드는 전체 절단 과정에 걸쳐 가동날 유니트를 감싼다. 가드는 고정날 지지부에 착탈자재하게 고정되며 제거시에는 날 유니트의 주기적인 교환을 위해 가동날 유니트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꽃대를 연속해서 예리하게 절단할 수 있게 한다.
뚜껑 또는 캡은 대략 컵형태의 부재로서 용기 정부에 착탈자재하게 고정된 립(rim)을 갖는다. 뚜껑은 직경 방향으로의 관형 슬로트를 갖는데, 이는 뚜껑 및 용기 직경의 약 1/2 정도로 뚜껑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안내벽은 용기 내부 및 하향으로 돌출된다. 안내벽은 그에 고정된 평면 절단날을 갖는 수직 날 지지벽으로 종결된다. 지지벽 및 날은 상호간에 및 관형 안내부의 개구부와 정렬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고정날 개구부의 하연부는 납작한 절단면을 형성한다. 가동날 유니트는 상기 뚜껑을 통해 연장되며 평면판으로 나타나며 고정날과 접촉되는 수직날 지지부를 갖는 지지 플런저 또는 스템을 갖는다. 길로틴 날은 수직날 지지부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된 조립체를 형성하되 각을 이룬 상태로 고정되어 고정날의 절단날 위로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적절한 구조에서, 날 및 지지부는 일체인 칼날 유니트의 삽입 및 발출을 위해 마련된 돌출된 파지부를 갖는 단일의 일제로 된 칼날 유니트로 형성된다.
특히, 적합한 꽃대 절단 장치에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는 용기내로 돌출되고 용기에 고정된 길로틴 날 유니트를 통과하는 꽃대의 하단부를 카버하기에 충분한 보호 액체를 포함한다. 길로틴 날 유니트용의 지지구조는 용기 뚜껑에 고정되고 용기 내로 돌출된다. 가드 유니트는 지지부에 착탈자재하게 고정되고 유니트의 고정날에 대해 외측으로 격설되어 위치한다. 가드 유니트는 고정 달 유니트에 겹쳐지며 날지지 유니트를 향해 측방향으로 돌출된 바닥벽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날 및 가동날 유니트 주위에 상당한 덮개를 유지하게 된다. 가드의 바닥벽은 절단 날들에 근접된 상태로 줄기를 위치시키기 위한 정지부역할을 한다.
나아가서, 유체 통로의 중단은 줄기의 하단부로부터 1인치 이내이다. 따라서, 줄기의 유통 통로를 효율적으 로 유지하는 장점을 얻기 위해서는 줄기의 최하부 부분만을 제거하면 된다. 바닥 가드벽은 줄기를 적절히 위치시킨다.
가동날 유니트는 뚜껑에 저어널되어 있는 스템과 이 스템에 일체로 되어 있는 칼날판을 포함한다. 상기판은 고정된 칼날을 지나 이동될 수 있도록 평평한 칼날을 수집하고 위치시키기 위해 편위된 각의 접점을 갖는다. 돌출턱(finger ledge)은 착탈자재한 칼날 유니트의 삽입 및 발출을 위해 판 및 스템의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은 꽃의 최종 소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꽃대의 짧은 길이를 꽃을 전시할 가정 또는 현장에서 직접 절단할 수 있는 상당히 개선된 소형의 꽃대 절단기를 제공하게 된다. 칼날 유니트는 여러번 사용한 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꽃대 절단기를 유지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설명)
첨부된 도면중 특히 제1도 내지 3도를 참조하여 보면. 개선된 꽃대 절단기(1)은 꽃(3)의 꽃대(2)가, 꽃대의 종단부(4)를 절단하기 위해 꽃대 절단기내에서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하여 도시하였다. 도시된 꽃대 절단기(1)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348,832호에 기재된 구조 및 기술을 답습하여 물(6) 또는 다른 적절한 액체가 예컨데 용기의 전체 깊이의 약 2/3 정도의 상당한 깊이로 충전된 소형 용기 또는 병(jar)(5)를 포함한다. 도시된 병(5)의 바닥은 약간 확대되어 있고 측벽과 유연하게 결합되며 최대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한편 다수의 꽂대를 지지하며, 절단된 꽃대 단부들은 병(5)내에 저장된다.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정부 뚜껑에는 깔대기형 측면 개구부를 제공하여 뚜껑이 덮혀있을 때에도 병내로 물 또는 다른 첨가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이 개구부에 의해 병내의 물을 절단된 줄기들이 병으로부터 쏟아지지 않는 상태에서 꽃병등에 부을 수 있게 된다.
대략 V-형 개구부를 갖는 뚜껑의 확대된 부분은 병 또는 용기로부터 꽃병등으로 액체를 쉽게 부을 수 있게 한다. 경사지고 테이퍼진 개구부는 특히 병 또는 용기로부터 꽃병등으로 절단된 꽃대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뚜껑은 내충격 강도가 높은 폴리스틸렌등으로 도시된 구조와 같이 성형하는 것이 좋다.
뚜껑(7)은 병 상단부에 착탈자재하게 부착되며 뚜껑의 일측면에서 개구부 또는 슬로트(8)을 포함한다. 꽃대 안내 부재(9)는 뚜껑 개구부(8)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병을 가로지르게 연장되는 꽃대(2)를 안내하고 꽃대의 하단부를 물(6)내에 잠기도록 안내한다. 길로틴 절단유니트(10)은 병(5)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절단 유니트(1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되어지고 안내 부재(9)의 최내측 단부에 고정된 특수한 고정 절단 날(11)과 가동지지부(13) 상에 지지되고 수동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고정날(11)을 지나 이동될 수 있는 길로틴 칼날 유니트(12)를 포함한다. 가동 지지부(13)은 뚜껑을 통해 연장되고 뚜껑(7)의 외부에서 작동 뚜껑(15)에 고정된 축(14)를 포함한다. 스프링(16)은 가동지지부(13)을 상승되도록 압압하여 길로틴 칼날 유니트(12)를 상승시키고 가동칼날(18)의 하부 절단날(17)을 고정 칼날(11)의 절단날(19)의 상부로 격설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7)에는 특정의 가드 요소(20)이 착탈자재하게 고정되고, 이는 뚜껑(7)의 내부면에서 고정 칼날(11)과 가동칼날 지지부(13)에 대해 측방향으로 격설된 상태로 아래로 돌출된다. 가드요소(20)은 고정칼날(11)의 하부단으로 돌출되며 고정 칼날(11)의 하부단과 정렬되어 절단장치를 덮는다. 도시된 안내요소(20)은 뚜껑(7)내의 꽃대 안내부 및 가동 칼날의 통로에 수직인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 순부(21)을 포함한다. 순수(21)은 정지벽을 형성하는데, 여기에는 절단과정중의 꽃대(2)의 하단부가 위치한다. 순부는 꽃대를 약 1인치 정도 절단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가드 요소(20)은 뚜껑으로부터 고정칼날 지지부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칼날 장치에 대해 거의 완전한 덮개를 형성하며 뚜껑에 관련된 위험성을 최소로 하는 측벽 구조물을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동 길로틴 칼날은 특히 예리하게 형성된 절단날로 형성하는데, 이는 고정 칼날의 지지면과 결합하여 꽃대(2)를 절단하기 위한 전단 작용을 이룬다. 사용자는 날카로운 칼날들에 대해 위험성을 인지하고 칼날에 대해 상해를 입을 수 있음을 숙지하고는 있으나, 특히 여기에 기재된 가드 요소는 우연한 사고에 의한 부상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절단날에 대해 꽃대(2)를 정확하고 적절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실시예에서, 정부 뚜껑 또는 캡(7)은 상당한 깊이를 갖도록 성형하여 외부 주연부립(25)를 갖는 컵형 부재가 대응된 병(5)의 나사부에 나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도 및 3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7)은 완전히 조립된 위치에서 병의 상부로 돌출된다. 병(5)에는 정지턱(26)을 형성하는 약간 만입된 목부분을 마련하는데, 여기에는 조립시에 뚜껑의 내측연부가 위치하게 된다. 뚜껑(7)의 상단부에는 측면부분(27)이 확개되고 그 내부에 액체 이송용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미세한 크라운(crown) 구조를 제공한다.
꽃대 유입구(8)은 뚜껑(7)의 일측면에 삼각형 부분으로 형성한다. 꽃대 안내부는 하향 내측으로 돌출된 경사진 꽃대 지지벽이다. 경사벽(9)의 하단부는 수직 칼날 지지벽(27)과의 연결부에서 종결된다. 수직 칼날지지벽(27)은 상부 수위(水位)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병(5)의 바닥에 대해 격설된 상태로 종결되도록 병(5)내에 위치한다. 지지벽(27)은 개구부(28)을 가지며 바닥연부는 꽂대 안내부(9)와 일체인 상태로 그에 대해 정렬된다. 고정 절단 칼날(11)은 지지벽에 고정된다.
제3 내지 5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칼날(11)은 판형 부재로서 지지벽의 최내측면 상의 양측면들에 형성된 측면 채널(29)들내에 고정된다. 제3도 및 4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은 채널을 관통하여 위로 돌출된다. 칼날 상단부 및 채널은 제3도에 (3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약간 테이퍼형으로서, 칼날을 지지부내에 고정된 지지 상태로 고정한다.
따라서, 칼날(11)은 모든 통상적인 힘들을 지탱하고 지지부내에서 신뢰성 있게 지지된다.
절단날(11)의 측면연부는 약간 테이퍼진 연부로서 내측으로 편위된다. 상기 연부에는 지지부의 측면 채널들 내의 보족 돌출부들과 결합되는, 예컨대 1조의 직각삼각형 노치(31)들로 위치한 바와 같은 다수의 체결노치들을 마련한다. 조립시에, 칼날(11)은 채널내에서 상향력을 받게되며 치들은 채널의 측면 연부와 계합되도록 이동되어 유니트를 정위치에 고정하게 된다.
평면 연부(19)의 하단부는 소형 곡선 확대부(32)가 형성된 안내벽(9)의 최하단으로부터 위로 격설된다. 꽃대(2)는 안내부를 따라 삽입될시 약간 상승되어 꽃대단부(4)를 개구부를 통해 이동시킨다. 꽂대 단부(4)는 다음에 고정칼날(11)의 절단날(9) 상에 착좌되는 적정위치로 된다. 가동칼날(18)의 절단연부(17)은 꽃대상부에 위치하고 제1도 및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칼날의 하향 이동에 따라 절단작용을 하도록 위치된다.
고정칼날(11) 및 가동칼날(18)은 적절히 냉간압연된 스테인레스 스틸, 적합하게는 22게이지 타입 304 스테인레스 스틸로 공히 성형하는 것이 좋다. 고정 칼날은 평면으로 되어 있어 예리한 절단 연부를 형성하며 끝말림(burr) 등이 없도록 성형한다.
고정칼날(1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벽 내의 꽃대 개구부와 정렬된 대략 직각삼각형의 개구부를 갖는다. 직각삼각형 개구부의 바닥연부는 수평면 내에 위치하고 길로틴 칼날 유니트(18)과 함께 절단 작용을 하는 바닥 절단 날(19)를 형성한다.
고정칼날 바닥절단날은 제5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의 평면 칼날 연부로 도시되었다. 고정칼날의 날 개구부는 예리한 절단 날이 꽃대를 자를때 꽃대를 지지한다. 이에 의해 꽃대들은 가동칼날의 통로 내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며, 가동칼날은 예리한 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경사진구조에 의해 꽃대가 고정칼날의 개구부를 통과할때 꽃대를 자르게 된다.
가동칼날 유니트(l3)은 L-형 지지부를 포함하는데, 평면 칼날 지지부 벽(35)는 고정 칼날(11)과 접하고 상부 수평벽(36)은 고정칼날 지지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스템(14)는 수평벽에 고정되고 카버(7)을 통해 위로 돌출된다.
제4도 및 5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 및 지지판들에는 수평벽(36) 및 스템(1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측면 연장 태브(36a)가 형성된다. 태브(36a)는 지지판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교환시에 사용자가 가동 칼날 유니트를 안정하게 파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날카로운 칼날 부분을 만지지 않고서도 스템(14)가 스프링 압압실내로 위로 돌출되는 상태로 가동 칼날 유니트(13)을 조립할수 있게 된다. 칼날(18)은 지지판에 영구 고정시키거나 또는 적층시킨다. 이는 가동지지부 상에서 분리된 요소로서 면도날과 같이 예리한 칼날을 교환하는데 따른 위험을 감소시킨다. 지지 유니트는 칼날이 적층된 성형부재로 형성하여 염가이고 교환자재한 칼날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제3 내지 5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벽(35)는 고정 절단날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하는 고정날 지지벽(27)의 채널부(29)내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지지된다. 가동지지벽(35)는 고정날 지지벽과 계합하며 그 채널내에서 슬라이드하는 작은 가이드 돌출부(37)을 갖는 대략 정방형인 부재다. 돌출부(37)은 가동날 지지체를 낮은 마찰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 채널의 내벽과 접하는 작은 반원형 연부를 구비한다. L형 지지체의 벽(30)은 고정날(41)과 접하는 평면을 갖는다. 지지벽(35)의 외면에는 각이진 단부(39)가 형성된다. 가동절단 길로틴날(18)은 이 각이진 표면과 접하여 고정되며 그로부터 하향하여 돌출한다. 따라서, 길로탄날(18)은 고정날과 슬라이드식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도시한 실시예에서, L형 지지체는 적당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날(18)은 사다리꼴을 형성하기 위해 약간 테이퍼를 이룬 단부들을 갖는 대략 장방형 날이며 절단연부는 구조물의 긴 연부를 따르고 있다. 경사단부(39)는 날(18)이 적당한 절단위치에서 외연부 및 측연부를 따라 견고히 유지되도록 상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날(18)에는 경사표면의 부분과 정렬된 1조의 떨어져 배치한 개구부들이 형성된다. 1조의 고정돌기(40)은 날 지지벽(39)와 일체로 모울딩된다. 날은 제3 내지 5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체부로서 가동지지체에 날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절단위치에서 지지체에 열 고정된다. 날을 가동벽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들도 구비될 수 있다.
가동날(18)은 지지부(39)로부터 경미한 각도로 하향하여 돌출한다. 날의 하단부는 예리한 절단연부(17)에서 끝나는 테이프진 원추형 부재로서 형성된다. 절단연부(l7)의 각면과 장착벽의 각 관계는 가동날(18)의 예리한 절단연부(17)이 고정날(11)의 슬라이딩 면과 슬라이드 계합하게 위치한다. 가동날과 고정날의 슬라이딩 면들은 평탄하고 평활한 표면들로 형성된다. 가동 절단날 유닛(13)의 벽(35)도 날(11)과 계합하는 평활한 슬라이드면을 갖는다. 가동 지지체가 하향하여 밀리며 고정날 개구부를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절단연부(17)은 고정날(11)의 수평절단연부(19)를 지나 이동하여 꽃대 단부(4)를 평활하고 예리하게 절단한다.
가동날(18)은 고정날의 평탄연부면으로 경사진다. 날(18)은 테이퍼 절단연부(17)을 갖는 고품질 스텐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연부(17)은 1측부만 예리하게 되면 그 연부는 많은 절단을 위해 유지한다. 치수관계는 조립되었을때 가동날(18)이 약간의 압력하에 고정날(11)의 평탄면상에 지지되도록 가동날의 최외측 연부가 고정날(1l)의 평면에 대해 약간 편위되게 선택된다. 날(18)이 개구부를 지나, 특히 고정날의 절단연부(19)를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그 압력은 개구부와 특히 고정날의 절단날의 절단연부를 가로질러 원활하게 이동하게 한다. 날의 적당한 구조는 아주 원활한 고품질의 절단작용을 제공한다. 이것은 꽃대를 꾸기거나 찢기거나 하지 않고 전단할 수 있게 하며 꽃대의 절단단부가 눈에 띄게 찢어지거나 부서시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형 개구부 또는 통로내로 물이 잘 이동하도록 통로를 개방하면서 꽃대를 잘 전단한다.
가동절단 유닛(13)의 최상위치에서의 수평지지벽(36)은 커버(7)의 밑과 접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커버(7)에는 꽃대 개구부와 대략 정렬되는 캡수납 요부(40)이 형성된다. 제2 및 3도와 같이, 요구(40)은 대개구부(8)의 폭과 상응하는 폭과 약간 보다 큰 길이를 갖는 대략 장방형인 개구부다. 관형 가이드(41)은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의 캡수납 요부(40) 내에서 상향하여 돌출한다. 관형 가이드(4l)은 가이드 외부로 상향하여 돌출하는 가동지지대(14)를 수납하기 위한 가이드를 한정한다. 커버의 베이스에서 가이드의 개구부는 대의 최대 폭과 거의 상응하여, 그것은 최소의 마찰 계합을 제공하고 경량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십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로부터 상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는 약간 확대된 내경을 가지며, 대 주위에 공간을 형성한다. 코일스프링(16)은 대를 둘러싸는 가이드내에 배치된다.
캡(15)는 캡과 계합하여 그안에서 신축되도록 된 중심허브(42)를 갖는 조립된 컵형상 부재로서 도시된다. 캡의 외주는 커버요부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커버요부내로 하향하여 돌출한다. 캡(15)는 대략 장방형의 외형을 가지며 외측 개구부 또는 요부(40)과 밀접하게 계합된다. 가동 꽃대의 상응하는 정렬된 부분은 감소된 직경을 가지며 캡 허브(42)내로 상향하여 돌출하여 꽃대와 견고한 마찰 계합을 이룬다. 스프링(16)은 캡 허브(42)와 가이드(41)의 베이스 사이에서 작용한다. 스프링은 상승된 가동날 조립체를 유지하며, 캡의 외부는 커버로부터 상향하여 떨어져 있다. 최외측 위치에서 캡의 하단부는 제5도와 같이 커버 요부내로 약간 돌출한다.
작동시, 작업원이 단지 노출된 캡을 하향하여 누르면, 가동날 조립체가 절단운동을 통해 이동하여 날 개구부내에 위치한 꽃대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절단한다.
플라스틱가이드(20)은 커버(7)의 저벽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고정날 지지벽(27)에 제거될 수 있게 고정되어 가동날 기구위에 놓이는 그 일체부를 형성한다. 제6 내지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20)은 커버(7)의 저벽 직하방으로 하향하여 신장하는 대략 얕은 U형 부재다. 가이드(20)은 가동날 밖으로 떨어져 있는 중심기벽(46)가 1조의 측벽(45)를 포함하는 원형 보호벽이다. 기벽(46)은 캡으로부터 하향하여 돌출하며 측벽상의 2개의 하부돌기 사이에서 내향하여 돌출된 내향하여 경사진 립(21)의 하단부에서 끝나는 평탄 부재다. 가이드의 기벽(86)과 측벽(55)는 고정날의 개구부와 대략 정렬된 개구부(46a)를 갖는다. 가이드는 단일편의 일체로 모울딩된 플라스틱 부재가 바람직하다.
특히, 제6 내지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의 측벽(46)에는 가이드의 최외측 기준연부로부터 상향하여 돌출하는 돌기(48)을 갖는 측부장착 플랜지(47)이 형성된다. 제3 및 8도와 같이 돌기는 커버의 베이스의 상응하는 요부들과 계합하며 가이드를 고정날(11)과 가동날 유닛(13)에 대해 배치한다.
가이드(20)은 고정날 지지체에 제거할 수 있게 클램핑 된다. 따라서, 그 유닛은 원형 보호체(45-46)에 가요성 있게 연결되는 측부장착 플랜지(47)을 갖는 적당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플랜지들은 경사 로킹 돌기(48)이 상단부에 인접되게 지지체의 측벽(48)을 고정벽지지체(27)에 고정하기 위해 쉽게 외향하여 구부러진다. 가이드 하단부는 내향하여 돌출하여 지지체의 하단부에 로킹되는 편위레그를 포함한다. 제거할 수 있는 가이드는 작동중 날의 예리한 연부 주위에 적당한 울타리를 유지하면서 유닛으로서 날 유닛을 대체하기 위해 날 유닛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돌기 및 노치들은 측벽과 기벽을 날 구조물에 대해 외향하여 떨어지게 하며 또한 절단운동시 적당한 지지 및 가동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가동날 지지체의 수평벽의 외측연부와 정열되는 벽을 형성한다. 측벽과 기벽의 다수의 떨어져 있는 개구부들은 액체가 유닛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하게 한다. 노치와 인접하며 정렬된 측벽들의 최하단부는 외측기벽과 대략 정렬되게 내향하여 신장하는 내향 돌출 단계부를 구비한다.
기벽은 절단날과 특히 절단날 개구부와 정렬된 대략 평탄한 평면부를 가지며 현수된 고정날 지지체위로 하향하여 돌출한다. 따라서 가이드는 날구조물 주위에 울타리를 제공한다.
가이드의 일체로 된 장착 측벽부(50)도 고정날 지지체(27)의 측부 채널(29)의 외측부위로 슬라이드하기위해 떨어져 있는 대략 평탄한 벽이다. 벽(50)의 내면은 1조의 떨어져 있는 요부(51)을 포함한다. 각 요부(5l)은 대략 직삼각형 경사표면이다. 측벽은 벽 구조물에 가이드를 안정되게 연결하기 위해 커버의 채널벽(29)상의 상응하는 측벽 돌기위로 상향하여 신축한다.
측벽(50)의 하단부는 그 부재를 고정지지 구조물에 접합 또는 용접할 수 있게 하도록 날지지체상의 상응하는 돌기와 계합하는 상호연결된 단계벽(53)으로 모울딩 된다.
일반적으로, 고정날은 무한정한 수명을 가지며 유닛내에 영구히 지지된다. 예리한 절단연부를 갖는 가동날은 꽃대를 원활하고 깨끗하게 전단하기 위해 한정된 작동수명을 갖는다. 실제로, 스테인레스강제 가동날은 약 300회 절단의 수명을 가질 것이다. 가동날(18)은 신장된 탭의 손가락 파지에 의해 교체되는 날 유닛의 일체부로서 형성된다. 이것은 최소의 보수를 필요로 하며 캡의 날 유닛을 안전하게 교체될 수 있게 한다.
자아로부터 분리되는 커버(7)로, 가이드(20)는 칼 구조에 대해 보호울타리를 제공하며, 칼연부와 우연히 계합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시한 실시예에서 가이드립(21)은 개구부내의 꽃대의 위치를 제한하며 최적 전단을 위해 그 위치를 정확히 정한다. 가동날 유닛을 교체하기 위해 사용자는 측벽 또는 플랜지(47)을 구부리고 가이드를 제거한다. 캡이 제거되며 사용자는 손가락 탭으로 가동날 유닛을 잡아서 낡은 유닛을 제거하고 새 유닛을 삽입한다.
하나의 꽃대가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2개 이상의 꽃대도 꽃대 절단기에 삽입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소형의 10 센티미터(4인치) 쟈아 또는 용기(decantur)를 갖는 꽃대 절단기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꽃대를 절단할 수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고정날은 약 1센티미터(7/16인치)의 개구부를 갖는다. 쟈아는 약 13센티미터(5인치)의 공칭직경과 약10센티미터(4인치)의 길이를 갖는다. 이 장치는 수동조작과 예리한 가동날의 누름에 의한 단일 패스로 36개의 꽃대까지 절단할 수 있다.
그러나 한번에 절단하는 꽃대의 수를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최적의 결과를 위해서는 주어진 시간에 수개 이상의 꽃대을 절단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꽃대를 보호 액체의 조중에 유지하면서 낱개 또는 수개의 꽃대를 절단하는데 특히 유용한 소형의 콤팩트한 꽃대 절단기의 현저히 개량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 절단구조는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최적의 절단구조를 제공한다.
제1도는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는 절췌하고 일부는 단면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에 따라 취한 꽃대 절단기의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에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5-5에 따라 취한, 가동날 장착부를 나타내는 경사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선 6-6에 따라 취한 부분 확대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에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8-8에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Claims (17)

  1. 고정날 유닛 넘어 용기내로 돌출하는 꽃대의 하단부를 씌우기에 충분한 보호 액조를 한정하기 위한 휴대식 용기와 고정날을 가로질러 이동하기 위해 장착되며 액조내에 위치하는 가동날 유닛을 포함하는 꽂대 절단기에 있어서, 날 조립체용 지지 구조물이 용기내의 고정날 지지체, 상기 고정날 지지체와 접하게 가동적으로 고정된 상기 가동날 유닛용 가동지지체, 및 상기 가동지지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날 지지체와 외향하여 떨어지게 배치되고 가동날 유닛과 정렬된 원형부분을 가지며 거기로부터 외향하여 횡방향으로 떨어지게 배치되는 가이드 유닛으로 구성되게 개량된 꽃대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가동날 유닛 위로 하향하여 신장하며 상기 고정날과 상기 가동날 주위에 울타리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날 지지체를 향해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저벽부를 포함하는 꽃대 절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용기에 제거할 수 있게 고정된 제거할 수 있는 정부 커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날 지지체가 상기 커버수단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가동날 유닛이 상기 고정날 지지체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고정되며 상기 커버수단을 통해 신장하는 외부 조작기를 갖는 꽃대 절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 유닛이 상기 날 지지체 유닛에 고정된 고정날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가 상기 날 유닛과 대략 정렬된 평탄한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를 향해 내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지지체와 약간 떨어져 있는 상기 저벽을 한정하는 저부 경사 립을 갖는 꽃대 절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평탄한 벽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날 지지체에 외향 및 내향하여 신장하는 측벽들과, 상기 측벽들을 상기 고정날 지지체에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꽃대 절단기.
  6. 휴대식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되며 용기와 커버의 직경의 대략 절반을 가로 질러 커버의 1측부로부터 내향하여 돌출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용기내로 내향 및 하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 수단, 용기내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수단과 대략 정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탄한 절단날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하연부가 절단연부를 한정하는 고정날 유닛, 상기 커버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장착된 지지요소를 가지며 상기 수직날의 면과 접하는 수직 길로틴 날을 갖는 가동날 유닛, 고체 상기 날지지 요소에 연결되며 절단날을 싸기 위해 상기 가동날을 둘러싸며 상기 고정날에 고정된 대략 U형상의 가이드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절단연부위에 배치된 상기 가동날의 상기 절단연부로 상승된 위치에 상기 가동날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꽃의 외측 단부를 전단하기 위한 꽃대 절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용기와 커버의 직경의 절반정도 가로질러 커버의 1측부로부터 내향하여 돌출하는 슬롯을 포함하며, 가이드 수단이 상기 용기내로 내향 및 하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커버가 액체를 도입 및 제거하기 위한 측부 개구부를 갖는 꽃대 절단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고정날에 각을 이루어 고정된 평탄한 금속부재이며, 상기 가동날이 뾰족한 내측단부에서 끝나고, 상기 뾰족한 내측단부가 고정날과 접하며 상기 가동날의 절단연부를 상기 고정칼과 슬라이드하여 접하게 배치하는 표면을 갖는 꽃대 절단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커버와 상기 고정날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가 상기 기벽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날과 대략 정렬되며, 상기 기벽이 상기 지지벽을 향해 내향하여 신장하는 저부립을 가지며, 상기 립이 상기 가이드 수단의 신장부와 대략 정렬되며 상기 절단날에 대해 꽃대를 배치하기 위해 꽃대에 의해 계합된 정지벽을 한정하는 견고한 벽부재인 꽃대 절단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수단의 신장부와 대략 정렬되며 상기 절단날에 대해 꽃대를 배치하기 위해 꽃대에 의해 한정된 정지벽을 한정하는 견고한 벽부재를 포함하는 꽃대 절단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 유닛이 상기 커버에 고정된 날 기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가 상기 고정날 유닛과 대략 정렬되며 상기 지지체를 향해 내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지지체에 대해 약간 멀어져있게 끝나는 저벽을 한정하는 저부 경사립을 갖는 외측 평탄벽을 포함하는 꽃대 절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평탄 벽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날 지지체로부터 외향 및 내향하여 신장하는 측벽들과 상기 측벽들을 상기 고정날 지지체에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꽃대 절단기.
  13. 전단점 넘어 용기내로 돌출하는 꽃대의 하단부를 씌우기에 충분한 보호 액조를 한정하기 위한 휴대식용기를 포함하며 길로틴 날 유닛이 용기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액조내에 위치하는 꽃대 절단기에 있어서, 길로틴 날 유닛용 지지구조물이 용기내로 하향하여 돌출하며 커버의 일부를 형성하는 고정날 지지체, 상기 고정날 지지체와 접하게 가동적으로 고정된 상기 가동날 유닛용 가동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제거할 수 있게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와 외향하여 횡방향으로 떨어지게 배치되고 날 유닛과 정렬된 부분을 갖는 가이드부제로 구성되며, 상기 길로틴 날 유닛이 상기 고정날 지지체와 접하게 가동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길로틴 날 유닛위로 하향하여 신장하며 상기 가동날과 상기 고정날 주위에 울타리를 유지하기위해 날지지 유닛을 향해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저벽부를 포함하게 개량된 꽃대 절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 유닛이 상기 날지지 유닛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측벽들을 상기 날지지체에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가 상기 날 유닛과 대략 정렬되고 상기 지지체를 향해 내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지지체에 대해 약간 떨어지게 끝나는 저벽을 한정하는 저부 경사립을 갖는 외측 평탄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가 상기 평탄벽에 고정되며 상기 날 지지체로부터 외향 및 내향하여 신장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꽃대 절단기.
  15. 휴대식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되는 커버, 상기 용기로부터 내향 및 하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지지벽에 고정된 평탄절단날, 상기 커버로부터 신장하며 상기 고정날과 접하는 수직날지지체를 갖는 지지대를 갖는 가동날 유닛, 상기 수직날지지체의 내면에 고정되며 거기에 각을 이루며 고정되는 길로틴날, 상기 대에 연결되며 상기 가동날의 상기 절단연부가 상기 고정 개구부와 상기 고정날 바로위에 배치되게 상승된 위치로 상기 가동날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단, 대략 U형상인 가이드, 및 상기 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날과 대략 정렬되는 기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가 커버의 내연부가 상기 용기림과 접하게 상기 용기에 제거할 수 있게 고정된 림을 가지며 상기 용기의 단부로부터 상향하여 돌출하는 상측의 구부러진 용기벽을 갖는 대략 컵 형상이며, 상기 커버가 용기와 커버의 직경의 대략 절반을 가로질러 커버의 1측부로부터 내향하여 돌출하는 관형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수직 고정날 지지벽에서 끝나며, 상기 지지벽과 날이 상기 관형 가이드의 관형부재와 서로에 대해 대략 정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날 개구부의 하연부가 평탄 절단면을 한정하며, 상기 날이 상기 벽으로부터 신장하고 뾰족한 내측단부에서 끝나며, 상기 뾰족한 내측단부가 고정날과 접하며 상기 가동날의 절단 연부를 상기 고정칼과 슬라이드 계합하게 배치하는 표면을 가지며, 상기 대가 상기 가동날을 상기 개구부를 하향하여 가로질러 그리고 상기 고정날의 수평절단연부를 지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수단에 대해 내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들이 상기 지지벽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외측기벽이 상기 지지벽을 향해 내향하여 신장하는 저부립을 가지며, 상기 림이 상기 관형가이드 개구부의 신장부와 대략 정렬되고 상기 절단날에 대해 꽃대를 위치시키기 위해 꽃대에 의해 계합되는 정지벽을 한정하는 견고한 벽부재인 꽃대 절단기.
  16. 개구부를 갖는 외측 정부벽 수단과 벽수단 하방에 고정된 유닛을 갖는 꽃대 절단기용 교체할 수 있는 닐 유닛으로서, 상기 고정벽 수단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고정되도록 되며 벽수단을 통해 신장하는 외부를 갖는 대 및 일체로 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판에 일체로 고정된 날, 및 날 유닛을 삽입 및 제거하기 위해 지지체에 고정되며 거기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손가락부재로 구성되는, 꽃대 절단기용 교체할 수 있는 날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이 각을 이룬 날 교대를 가지며, 상기 날이 상기 날 교대와 접하는 예리한 절단연부를 가지며, 또한 날을 교대에 영구적으로 부착시키는 일체로 된 수단을 갖는 날 유닛.
KR1019900700517A 1988-07-12 1989-04-18 꽃대 절단기 KR950014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7,943 1988-07-12
US07/217,943 US4928424A (en) 1988-07-12 1988-07-12 Flower stem cutter
PCT/US1989/001635 WO1990000346A1 (en) 1988-07-12 1989-04-18 Flower stem c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148A KR900701148A (ko) 1990-12-01
KR950014477B1 true KR950014477B1 (ko) 1995-12-02

Family

ID=2281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517A KR950014477B1 (ko) 1988-07-12 1989-04-18 꽃대 절단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28424A (ko)
EP (1) EP0438845A1 (ko)
JP (1) JPH03501805A (ko)
KR (1) KR950014477B1 (ko)
CA (1) CA1330034C (ko)
DK (1) DK62790A (ko)
FI (1) FI901212A0 (ko)
SE (1) SE9000850L (ko)
WO (1) WO19900003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53A (ko) * 2018-12-07 2020-06-17 이종웅 접목용 접수밑단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672A (en) * 1990-07-09 1991-11-12 Molex Incorporated Hand-held tool for scoring and severing an optical fiber
US5174794A (en) * 1991-07-09 1992-12-29 Flo-Step, Inc. Underwater stem cutter
US5391208A (en) * 1992-09-22 1995-02-21 Highland Suppl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mming flowers
US5564225A (en) * 1995-04-12 1996-10-15 Beauty Fill Developmen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nd preservation of flowers and other botanicals
US5782154A (en) * 1997-01-07 1998-07-21 Hansen; Judy M. Nail stick trimmer
US6351910B1 (en) 1999-02-12 2002-03-05 Rainbow Group Llc Apparata and methods for submerged plant stem cutting
WO2004067178A1 (en) * 2002-02-07 2004-08-12 Kee-Met,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efiner elements--.
US6918205B1 (en) * 2004-05-06 2005-07-19 Thomas Sowinski Grafting tool
WO2005124236A2 (en) * 2004-06-18 2005-12-29 Ultra Violet Star Holding B.V.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water from micro-organisms, and water supply system and shower unit provided with such apparatus
US20060163280A1 (en) * 2005-01-24 2006-07-27 Accurate Concepts, Inc. Dispensing tube opener
US20100175266A1 (en) * 2006-08-14 2010-07-15 Fischer Brett W Cartridge tip cutting device and method
US20080236358A1 (en) * 2007-03-27 2008-10-02 Vitullo Jeffrey M Catheter trimmer
KR101041785B1 (ko) * 2009-07-16 2011-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절화 줄기 분할 장치
US8813371B2 (en) 2010-05-04 2014-08-26 Vancouver Tool Corporation Blade protector for cutting tools
ITUB20159417A1 (it) * 2015-12-17 2017-06-17 Marco Serafini Dispositivo per il taglio di rami vegetali destinati all'innesto
CN106826998B (zh) * 2017-02-21 2018-10-19 广西师范大学 一种用于切花保鲜的刀
US10888052B2 (en) * 2017-05-05 2021-01-12 G4 Products, LLC Device and method for stripping flowers, buds, or leaves from herbs or pla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182A (en) * 1914-04-08 1915-04-20 Swift And Fisher Cigar-tip cutter.
US3911577A (en) * 1974-05-30 1975-10-14 Robert J Nickel Golf tee sharpener
US4348832A (en) * 1981-10-27 1982-09-14 Hauser Allan H Single flower stem cutter
US4509260A (en) * 1983-07-12 1985-04-09 Donald Gringer Knife handl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adjustable blade types
NL8800439A (nl) * 1988-02-22 1989-09-18 Handelsvennootschap Onder De F Inrichting voor het doorsnijden van de stengel van een bloem of pl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53A (ko) * 2018-12-07 2020-06-17 이종웅 접목용 접수밑단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000850D0 (sv) 1990-03-09
WO1990000346A1 (en) 1990-01-25
DK62790D0 (da) 1990-03-09
KR900701148A (ko) 1990-12-01
FI901212A0 (fi) 1990-03-12
DK62790A (da) 1990-05-09
JPH03501805A (ja) 1991-04-25
US4928424A (en) 1990-05-29
EP0438845A1 (en) 1991-07-31
CA1330034C (en) 1994-06-07
SE9000850L (sv) 199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477B1 (ko) 꽃대 절단기
US4348832A (en) Single flower stem cutter
US20090249935A1 (en) Slicer
EP1637054B1 (en) Assembleable knife block composed of individual autonomous units
CA2288300A1 (en) Improved automatic surgical device for cutting a cornea and a cutting blade assembly and control assembly therefor
US3651601A (en) Flower holders
US4577754A (en) Nail clippings receptacle
US3565179A (en) Sod-trimming device for sprinkler heads
US20040166452A1 (en) Candle wick clipper
CN114885759B (zh) 一种羊肚菌采摘剪
CN208610935U (zh) 一种髂骨裁剪装置
CN209579894U (zh) 一种构树剥皮装置
JP4631017B2 (ja) 花穂整形器
CN211297746U (zh) 一种花卉修剪装置
KR20170045973A (ko) 휴대용 야채 절단기
FR2825569B1 (fr) Dispositif pour la cueillette automatique de plantes poussant dans le sol
CN108966816A (zh) 一种移动式园林作业平台
CN214338455U (zh) 一种园林绿化用多功能铲
CN215957290U (zh) 一种花卉铡根装置
CN210094022U (zh) 一种富贵子修剪装置
CN210999000U (zh) 卡箍式药片固定组件及其药片切割器
KR200218052Y1 (ko) 양파의 자동 박피장치
KR20220000720U (ko) 낚시용 수초 제거기
KR200418487Y1 (ko) 마늘쫑 제거용 절단기
EP2111954A2 (en) Sli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