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618B1 -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18B1
KR950013618B1 KR1019920011775A KR920011775A KR950013618B1 KR 950013618 B1 KR950013618 B1 KR 950013618B1 KR 1019920011775 A KR1019920011775 A KR 1019920011775A KR 920011775 A KR920011775 A KR 920011775A KR 950013618 B1 KR950013618 B1 KR 95001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received
flag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212A (ko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618B1/ko
Priority to JP16146393A priority patent/JP3459281B2/ja
Publication of KR94000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제 1 도는 일반적인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기지국의 수신데이타 처리 신호흐름도.
제 3 도는 본 발명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 제어신호 흐름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따른 단말기의 비통화모드의 상세 신호흐름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부연설명에 대한 기지국의 호출메세지 구성도로서, (a)는 단축주소 데이터를 보인 구성도이고, (b)는 확장주소 데이터를 보인 구성도이다.
제 6 도는 제 3 도의 부연설명에 대한 기지국의 오버헤드 메시지 구성도로서, (a),(b)는 시스템 파라메터 데이터를 보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오디오/논리 제어부 4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 : 주파수 합성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가 비통화모드(Idle Mode) 상태이외의 상태에서도 호출메세지를 수신하도록 하여 단말기의 호출메세지의 수신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를 호출(Paging)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호출제어 채널을 통해 호출한 단말기의 고유번호(MIN1, MIN2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포함한 호출메세지를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로 송출한 후 상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 통화로를 제공하여 주게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산업협회(EIA :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의 호출처리에 규정된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하면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호출메세지를 특수한 상황에서 놓칠 수 있어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셀룰라 무선 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데 에러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는 첨부된 도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와 랜드사이드(Land Side)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고주파에 변조시켜 안테나(ANT1)를 통해 송출하는 셀사이트(Cellcite)라 불리우는 기지국(15)과, 상기 기지국(15)으로부터 송출된 고주파신호를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하여 필요한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수신필터부(1)와, 상기 수신필터부(1)에서 필터링한 미약한 고주파신호를 임의의 레벨로 증폭하여 국부발진주파수와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주파수에서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수신부(2)와, 상기 수신부(2)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데이터와 오디오신호로 분리시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9)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오디오/논리 제어부(3)와, 상기 오디오/논리 제어부(3)에서 출력된 수신데이타와 이이피롬(5)에 저장된 해당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프로그램 롬(7)의 프르그램 수행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데이터를 메모리부(6) 및 액정표시부(8)에 저장, 표시함과 아울러 기지국(15)으로 송신할 데이타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와, 상기 오디오/논리 제어부(3)를 통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 수신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합성부(11)와, 상기 오디오/논리 제어부(3)를 통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데이터를 주파수합성부(11)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신호에 변조시키고 변조된 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송출하는 송신부(12)와, 상기 송신부(12)로부터 전력증폭되어 송출되는 고주파신호에서 필요한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안테나(ANT2)를 통해 기지국(15)으로 송출하는 송신필터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4는 키이패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 2 도와 같은 EIA의 호출처리에 규정된 프로토콜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제 2 도는 EIA의 호출처리에 규정된 신호흐름도로서, 이를 제 1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켜면 단말기는 자신이 위치한 지점에서 수신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즉, 가장 가까운 기지국(15)의 지정 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을 찾게 된다.
가장 가까운 기지국(15)의 지정된 제어채널을 찾게 되면 무선통신 단말기는 지정된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15)이 송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즉, 기지국(15)으로부터 고주파에 변조된 데이터가 송출되어 해당 단말기의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필터부(1)는 수신된 고주파신호에서 필요한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수신부(2)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한 수신부(2)는 입력된 미약한 고주파신호를 임의의 레벨로 증폭한 후 주파수합성부(11)의 국부발진주파수와 혼합하여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게 되며, 상기에서 중간주파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오디오/논리 제어부(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논리 제어부(3)는 복조된 신호에서 오디오신호와 데이터를 분리하여 오디오신호는 스피커(9)를 통해 출력하고, 기지국(15)의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오디오/논리 제어부(3)로부터 기지국(15)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색한 메시지가 기지국(15)의 정보가 실린 오베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이면 오버헤드메세지에 실린 무선통신 교환기 시스템의 시스템 고유번호(SIDS: System Identification Number)를 읽어들여 메모리부(6)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버헤드 메시지의 시스템 고유번호(SIDS)가 저장되면 상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오버헤드메세지 이외의 어떠한 다른 종류의 메시지도 무시하게 된다.
이후 지정한 제어채널을 통해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한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다음 가장 수신신호의 세기가 큰 호출 제어채널을 찾는다.
가장 강한 호출 제어채널을 찾게되면 선택한 호출제어 채널을 통해 데이터의 수신을 검색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색한 결과 오버헤드 메시지가 수신되면 오버헤드 메시지에 실린 시스템 고유번호와 이전에 메모리부(6)에 저장해둔 시스템 고유번호(SIDs)가 일치하는가를 비교 검색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셀룰라 무선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다시 수신신호가 가장 강한 지정 제어채널을 갖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 두 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현재 선택한 호출제어채널을 통해 계속 메시지를 수신하면서 비통화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호출메세지를 수신한다.
호출메세지의 수신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응답을 기지국(15)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비통화 상태에서만 호출메세지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즉,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는 지정 제어채널을 통해서, 비통화 모드 상태 이전에 호출제어채널을 통해 호출메세지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호출메세지를 받지 않은 것처럼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호출에 실패하게 되어 단말기 호출 성공률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가 비통화모드 상태시에만 기지국의 호출메세지를 수신하여 응답하던 것을 비통화모드 상태이외의 상태에서도 즉, 지정제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드에서 있을 때에도 기지국이 송출하는 호출메세지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호출메세지의 수신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파워 턴-온시 지정된 제어채널 중에서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채널을 통해 호출메세지의 플래그를 초기화시키는 제어 채널탐색 과정과, 상기 제어채널탐색과정에서 선택된 채널을 통해 호출메세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하여 호출 메시지 수신상태이면 호출플래그 세팅을 결정하는 고유번호 비교판단과정과, 상기 호출플래그 세팅상태를 검색하여 세팅되어 있지 않을 경우 호출제어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호출제어 채널을 통해 호출메세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하여 호출메세지 수신 상태이면 호출플래그 세팅을 결정하는 호출제어채널 스캔과정과, 상기 호출제어채널 스캔과정의 호출플래그 상태를 검색하여 세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비통화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비통화모드 전환과정과, 상기 고유번호 비교판단과정 및 비통화모드 전환과정에서 호출플래그가 세팅되어 있으면 호출에 대한 응답을 지지국으로 송출하는 호출응답 송출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발명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 신호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파워 턴-온시 지정된 임의의 제어채널중에서 수신신호가 가장 강한 채널을 선택한 후 기지국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호출메세지의 플래그를 초기화시키는 제 1 과정과, 상기 기지국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호출메세지 또는 오버헤드 메시지인지를 검색하여 무선통신 교환기의 시스템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호출플래그를 검색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호출메세지가 검색되면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인지를 판독하여 호출플래그의 세팅을 결정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호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신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호출 제어채널을 스캔하여 기지국의 데이터를 수신시작하는 제 4 과정과, 상기호출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호출메세지 또는 오버헤드메세지인지를 검색하여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이전의 시스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가를 검색하고 호출플래그 상태를 검색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 호출메세지가 검색되면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인지를 판독하여 호출플래그의 세팅을 결정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 검색한 호출플래그가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비통화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호출메세지를 수신하는 제 7 과정과, 상기 호출플래그가 세팅되었거나 비통화모드 상태에서 호출메세지가 수신되면 호출에 대한 응답을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제 8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 2 과정은 지정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의 수신 유,무를 검색하여 무신호이면 계속 새로운 데이타를 수신하는 단계(ST1)와,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수신 데이터가 호출메세지인가를 검색하여 호출 메시지이면 제 3 과정을 수행토록하는 단계(ST2)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호출메세지가 아니면 오버헤드메세지인가를 검색하여 오버헤드메세지가 아니면 계속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3)와, 상기 검색한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오버헤드메세지에 실린 무선통신 교환기의 시스템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단계(ST4)와, 상기 시스템 고유번호 저장 후 호출플래그를 검색하여 만일 호출플래그가 "1"로 세팅되어 있을 경우 제 7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호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4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ST)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 3 과정은 제 2 과정에서 검색한 데이터가 호출메세지이면 상기 호출 메시지에 실린 고유번호(MINr)(MINr)와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MINP)(MIN2P)가 일치하는지를 검색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6)(ST7)와, 상기 두 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호출플래그를 "1"로 세팅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8)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 5 과정은 상기 호출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수신 유,무를 검색하여 무신호이면 계속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T9)와,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후 호출메세지인가를 검색하여 호출메세지이면 제 6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ST10)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호출메세지가 아니면 오버헤드메세지인가를 검색하여 오버헤드메시지가 아니면 계속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11)와, 상기 검색한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오버헤드 메시지에 실린 시스템 고유번호와 이전의 시스템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제 1 과정으로 피드백하는 단계(ST12)와, 상기 비교결과 두 시스템 고유번호가 같으면 호출플래그의 세팅상태를 체크하여 호출플래그가 "1"로 세팅되어 있으면 제 8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호출플래그가 "1"로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제 7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ST13)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 6 과정은 제 5 과정에서 검색한 데이터가 호출메세지이면 호출메세지에 실린 고유번호(MIN1r)(MIN2r)가 일치하는지를 검색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호출제어채널을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14)(ST15)와, 상기 두 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호출플래그를 "1"로 세팅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16)로 이루어지다.
상기에서 제 7 과정은 기지국의 호출 제어채널 선택 후 사용자가 통화시작버튼을 눌렀는가를 검색하는 단계(ST17)와, 상기 검색결과 통화시작버튼이면 단말기의 시스템을 엑세스하여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피호출자의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여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ST18)와, 상기 통화시작버튼이 아니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의 수신 유무를 검색하여 무신호이면 통화시작버튼 및 기지국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19)와,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20)와, 상기 검색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오버헤드메세지를 확인처리하고 계속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T21)와, 상기 검색한 데이터가 호출메세지인가를 검색하여 호출메세지가 아니면 비통화모드 상태에서 기지국의 데이터를 계속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22)와, 상기 검색결과 호출메세지이면 상기 호출 메시지에 실린 고유번호(MIN1r)(MIN2r)와 단말기의 고유번호(MIN1P)(MIN2P)를 비교 검색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비통화모드상태에서 계속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ST23)(ST24)와, 상기 비교 검색한 결과 일치하면 호출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여 제 8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ST2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 1 도 및 제 3 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파워를 켜면 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먼저 지정된 제어채널들(시스템A이면 채널 313부터 333까지, 시스템 B이면 채널 334부터 354까지)중에서 가장 수신신호세기가 큰 기지국(15)의 지정 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을 찾게 된다.
가장 수신신호세기가 큰 기지국(156)의 지정 제어채널을 찾게 되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해당 채널을 통해 기지국(15)으로부터 송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아직 기지국(15)으로부터 호출메세지를 수신하지 않았음을 인식하기 위해 호출플래그를 "0"으로 초기화시키게 된다.
이후 기지국(15)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즉, 기지국(15)으로부터 고주파에 변조된 데이터가 송출되어 해당 단말기의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필터부(1)는 수신된 고주파신호에서 필요한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수신부(2)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한 수신부(2)는 입력된 미약한 고주파신호를 임의의 레벨로 증폭한 후 주파수합성부(11)의 국부발진주파수와 혼합하여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게 되고, 상기에서 중간주파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원래의 신호를 복조하여 오디오/논리 제어부(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논리 제어부(3)는 복조된 신호에서 오디오신호와 데이타를 분리하여 오디오신호는 스피커(9)를 통해 출력하고, 기지국(15)의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입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오디오/논리 제어부(3)로부터 기지국(1)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에서 기지국(15)의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메시지가 호출메세지(Page Message)인지 또는 기지국(15)의 정보가 실린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인지를 검색하여 호출메세지이면 제 5 도의 (a)(b)와 같이 호출 메시지에 실린 전화번호(MIN1r) 및 지역번호(MIN2r)와 이이피롬(5)에 저장된 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MIN1P) 및 지역번호(MIN2P)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15)의 데이터를 계속 수신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자신의 호출메세지로 판단하여 호출플래그를 "1"로 세팅한 후 메시지를 계속 수신한다.
상기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Overhead Message)이면 제 6 도의 (a),(b)와 같이, 해당 메시지에 실린 무선통신 교환기 시스템의 고유번호(SIDS: System Identification Number)를 읽어들여 메모리부(6)에 저장하고 오버헤드메세지가 아니면 지정 제어체널을 통해 기지국(15)의 데이터를 계속 수신한다.
이후 상기에서 세팅한 호출플래그를 읽어 그 값이 "1"인가를 검색한 후 호출플래그가 "1"이면 호출응답모드로 전환하여 이이피롬(5)에 저장된 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MIN1P),지역번호(MIN2P) 전자식 일렬번호(ESN)를 오디오/논리 제어부(3)를 통해 기지국(15)으로 송출하게 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호출플래그가 "1"이면 이이피롬(5)에 저장된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MIN1P,MIN2PESN)를 읽어들여와 오디오/논리 제어부(3)를 통해 송신부(12)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송신부(12)는 입력된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주파수합성부(11)에서 발생된 고주파신호에 변조시키고 이를 전력증폭하여 송신필터부(13) 및 안테나(ANT2)를 통해 기지국(15)으로 송출함으로써 호출에 응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검색한 결과 호출플래그가 "0"이면 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다음 수신신호세기가 가장 큰 호출제어채널(Paging Con-trol Channel)을 선택하여 튜닝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지국(15)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호출 제어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수신된 데이터가 호출메세지인지 또는 오버헤드메세지인지를 검색하여 호출메세지이면 호출 메시지에 실린 전화번호(MIN1r) 및 지역번호(MIN2r)와 이이피롬(5)에 저장된 단말기 자신의 전화번호(MIN1P) 및 지역번호(MIN2P)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호출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15)의 데이터를 계속 수신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자신의 호출메세지로 판단하여 호출플래그를 "1"로 세팅한 후 호출제어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계속 수신한다.
상기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오버헤드메세지에 실린 현 무선통신 교환기 시스템의 고유번호(SIDr)와 메모리부(6)에 저장된 이전의 시스템 고유번호(SIDs)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다시 처음모드인 지정 제어채널 탐색상태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수신시작하고 일치하면 호출플래그가 "1"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1"로 세팅되어 있으면 호출응답모드로 전환하여 이이피롬(5)에 저장된 단말기의 자신의 전화번호(MIN1P), 지역번호(MIN2P), 전자적 일련번호(ESN)를 오디오/논리 제어부(3)를 통해 기지국(15)으로 송출하여 호출에 응답하게 되고, 상기에서 검색한 결과 호출플래그가 "0"이면 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비통화모드상태로 전환하여 호출메세지를 수신시작한다.
즉, 상기 비통화모드는 제 4 도에서와 같이,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 키이패드(14)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시작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이이피롬(5)에 저장된 고유번호(MIN1,MIN2,ESN)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오디오/논리 제어부(3), 송신부(12), 송신필터부(13) 및 안테나(ANT2)를 통해 기지국(15)으로 송출하여 기지국(15)으로부터 음성채널할당을 기다린다.
이때 상기 기지국(15)은 단말기로부터 송출한 고유번호(MIN1,,MIN2,ESN)등을 수신한 후 수신된 고유번호등이 허가된 등록번호인가를 확인하여 허가된 등록번호이면 초기음성채널 할당메세지를 안테나(ANT1)를 통해 해당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에 송출하여 음성채널을 할당하여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할당된 음성채널을 통해 피호출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용자가 통화시작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기지국(15)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수신된 메시지가 오버헤드메세지인지 또는 호출메세지인지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검색한 결과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오버헤드메세지를 확인처리하여 메시지를 계속 수신하고, 상기에서 검색한 메시지가 호출메세지이면 호출메세지에 실린 고유번호(MIN1r,)(MIN2r)와 이이피롬(5)에 저장된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MIN1P)(MIN2P)가 일치하는가를 검색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비통화모드 상태에서 계속 데이터르 수신하고, 두 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호출응답을 확인하여 기지국(15)으로 자신의 고유번호(MIN1P)(MIN2P)를 송출함으로써 기지국(15)의 호출에 응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이 특정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해 단말기로 송신하는 호출메세지를 단말기가 비통화모드 상태시에만 기지국의 호출메세지를 수신하여 응답하던 것을 비통화모드 상태이외의 상태에서도 즉, 지정 제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드에 있을 때에도 기지국이 송출하는 호출메세지를 수신함으로서, 단말기의 호출메세지의 수신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단말기의 파워 턴-온시 지정된 제어채널중에서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채널을 선택한 후 호출메세지의 플래그를 초기화시키는 제어채널탐색 과정과, 상기 제어채널 탐색과정에서 선택된 채널을 통해 호출메세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하여 호출 메시지 수신상태이면 호출플래그 세팅을 결정하는 고유번호 비교판단과정과, 상기 호출플래그 세팅상태를 검색하여 세팅되어 있지 않을 경우 호출제어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호출제어 채널을 통해 호출메세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하여 호출 메시지 수신상태이면 호출플래그 세팅을 결정하는 호출제어 채널 스캔과정과, 상기 호출제어채널 스캔과정의 호출플래그 상태를 검색하여 세팅되지 않을 경우 비통화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비통화모드 전환과정과, 상기 고유번호 비교판단과정 및 비통화모드 전환과정에서 호출플래그가 세팅되어 있으면 호출에 대한 응답을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호출응답 송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번호 비교판단과정은 지정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호출메세지이면 상기 호출메세지에 실린 고유번호(MIN1r,)(MIN2r)와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MIN1p,)(MIN2p)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호출플래그를 "1"로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상기 오버헤드메세지에 실린 무선통신교환기의 시스템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호출플래그의 세팅상태를 검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제어채널 스캔과정은 호출플래그의 상태가 세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수신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호출제어채널에 동조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호출메세지이면 상기 호출 메시지에 실린 고유번호(MIN1r,)(MIN2r)와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MIN1p,)(MIN2p)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호출플래그를 "1"로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오버헤드메세지이면 상기 오버헤드메세지에 실린 무선통신 교환기의 시스템 고유번호와 이전에 저장한 교환기의 시스템 고유번호를 비교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두 시스템의 번호를 비교검색한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두 시스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면 호출플래그의 세팅상태를 검색하여 "1"로 세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비통화모드 전화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응답 송출과정은 고유번호 비교판단과정 및 호출제어채널 스캔과정으로부터 호출플래그가 "1"로 세팅되어 있거나 비통화모드 전환과정으로부터 호출메세지 수신되는지를 검색하여 호출메세지가 수신되면 단말기 자신의 고유번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여 호출응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한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KR1019920011775A 1992-07-02 1992-07-02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KR95001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775A KR950013618B1 (ko) 1992-07-02 1992-07-02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JP16146393A JP3459281B2 (ja) 1992-07-02 1993-06-30 セルラ移動通信システムの呼出メッセージ受信処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775A KR950013618B1 (ko) 1992-07-02 1992-07-02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12A KR940003212A (ko) 1994-02-21
KR950013618B1 true KR950013618B1 (ko) 1995-11-13

Family

ID=1933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775A KR950013618B1 (ko) 1992-07-02 1992-07-02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59281B2 (ko)
KR (1) KR9500136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59281B2 (ja) 2003-10-20
KR940003212A (ko) 1994-02-21
JPH06291724A (ja) 1994-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172B1 (en) Dual band portable phone switchable between different phone systems
US5406615A (en) Multi-band wireless radiotelephone operative in a plurality of air interface of differing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5101500A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6216017B1 (en) Separable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5550895A (en) Bimodal portable telephone
US58421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native radiotelephone system selection
US5574775A (en) Universal wireless radiotelephone system
US20020193112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EP0661837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fixed and mobile units used therefor
JP2676766B2 (ja) 無線通信機
KR100312032B1 (ko) 휴대폰의문자서비스방법
EP0586170B1 (e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unit
KR950013618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메세지 수신처리방법
US20030003973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960007666B1 (ko) 이동무선 전화기의 통화불능상태 통보방법
US5987324A (en) Method to prevent cellular phone from receiving control channel of wrong system
JPH1175238A (ja) Mca方式の通信制御方法及びmca方式の通信装置
JP3403754B2 (ja) セルラ移動通信システムの固有番号盗用検出方法
US721894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channel with prior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6317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호출음제어방법
JPH1169409A (ja) 無線通信携帯端末装置
KR100247081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송신방법
JP4719492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10019274A (ko) 휴대폰의 지역번호 자동설정 방법
KR970011687B1 (ko) 셀룰라폰의 위치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7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5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10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