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595B1 -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595B1
KR950012595B1 KR1019920024184A KR920024184A KR950012595B1 KR 950012595 B1 KR950012595 B1 KR 950012595B1 KR 1019920024184 A KR1019920024184 A KR 1019920024184A KR 920024184 A KR920024184 A KR 920024184A KR 950012595 B1 KR950012595 B1 KR 95001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channel
frame
signal
demultiple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647A (ko
Inventor
강성훈
홍진우
김순협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2002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595B1/ko
Publication of KR94001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따른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망 종단 및 통화로부의 세부 블럭구성도.
제 3 도는 라인 종단부의 상세 블럭도.
제 4 도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의 클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 1 4선식 핸드셉 12 : 제 1 디지틀 음성처리부
13 : 망 종단 및 통화로부 14 : 제 2 디지틀 음성처리부
15 : 제 2 4선식 핸드셉 16 : 원격 제어기
21 : 제 1 라인 종단부 22 : 제 1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
23 : 내부 버스 접속기 24 :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
25 : 제 2 라인 종단부 26 : 망 공통 제어부
27 : 시스템 클럭 발생부 31 : 라인 드라이버
32 : 코드 변환기 33 : 프레임 발생기
34 : 평형 수신기 35 : 타이밍복구기
36 : 슬라이서 37 : 디코더
38 : 프레임 복구기 39 : 트랜스포머
41 : 크리스탈 클럭 42 : 1/2분주기
43 : 제 1 디지탈 위상 포상 회로부(DPLL) 44 : 1/8분주기
45 : 제 2 디지탈 위상 포상 회로부(DPLL)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I Network)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엔드 투엔드(end-to-end) 디지틀 음성통신(이하, "디지틀-디지틀 음성통신계"라 함)의 통화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통화모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에 관한것이다.
종합정보통신망이 도입되면서 발신가입자로부터 착신가입자까지 디지틀화된 음성에 의해 상호통신이 이루어지는 디지틀-디지틀 음성 통신계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디지틀-디지틀 음성 통신계의 통화품질은 기존의 음성통신계와는 다른 통화품질특성이 존재하므로 이에 따른 통화 모델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디지틀 음성통신계의 통화품질을 설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통화모델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CCITT에서 권고하여 종합정보통신망의 가입자-망 접속 규격으로 사용되고있는 "S"인터페이스의 망 종단 및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로 모델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앞으로 전개될 디지틀-디지틀 음성통신계를 구성하는 통화모델 시스템에 있어서, "S" 인터페이스의 망 종단 기능과 디지틀 망의 통화로를 구성하기 위한 디지틀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통화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탈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에 있어서, "S"인터페이스의 송신과 수신 라인을 종단시키는 제 1 라인 종단 수단 및 제 2 라인 종단 수단 ; 상기 제 1 라인종단 수단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S"프레임으로부터 음성채널 및 신호채널을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시키는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 ; 상기 제 2 라인종단 수단에 연결되어 역다중화시키는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 ; 상기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 및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내부의 송수신 버스를 연결시켜 주고, 데이타를 전송시켜주는 내부 버스 접속 수단 ; 상기 제 1 라인 종단수단과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과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수단과 제 2 라인종단 수단에 연결되어 각 수단을 초기화하고, 제어하며, 관리하는 망 공통 제어수단 ; 상기 제 1 라인종단 수단과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과 제 2 라인종단 수단과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과 제 2 라인종단 수단에 연결되어 각 수단에 필요한 클럭를 제공하여 주는 시스템 클럭 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따른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전체 블럭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제 1 4선식 핸드셉, 12는 제 1 디지틀 음성 처리부, 13은 망 종단 및 통화로부, 14는 제 2 디지틀 음성 처리부, 15는 제 2 4선식 핸드셉, 16은 원격 제어기를 각각 나타낸다.
제 1 4선식 핸드셉(11)은 제 1 음성처리부(12)에 연결되며, 콘덴서 마이크로폰과 500Ω의 스피커로 구성되어있으며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4선식 핸드셉(11)과 망 종단 및 통화로부(13)와 원격제어기(16)에 연결되는 제 1 디지틀 음성처리부(12)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틀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는 기능, 디지틀 음성신호의 채널 다중화 기능, "S"인터페이스 접속 기능, 음성신호의 감쇄 및 증폭 기능, 송신 신호를 수신신호로 되돌리는 측음제어 기능을 갖는다.
제 2 디지틀 음성처리부(14)는 상기 제 2 4선식 핸드셉(15)과 망종단 및 통화로부(13)와 원격제어기(16)에 연결되며, 제 1 디지틀 음성처리부(1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4선식 핸드셉(15)은 상기 제 2 디지틀 음성처리부(14)에 연결되어 제 1 4선식 핸드셉(1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원격 제어기(16)는 일반 개인용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제어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디지를 음성처리부(12)와 상기 제 2 디지틀 음성처리부(14)의 음성신호 감쇄 및 증폭 기능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망 종단 및 통화로부(13)는 상기 제 1 디지틀 음성처리부(12)와 제 2 디지틀 음성처리부(14)에 연결되며 상세한 설명은 아래 제 2 도를 참조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망 종단 및 통화로부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21은 제 1 라인 종단부, 22는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 23은 내부 버스 접속기, 24는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 25는 제 2 라인 종단부, 26은 망 공통제어부, 27은 시스템 클럭 발생부를 각각 나타낸다.
제 1 도의 상기 제 1 디지틀 음성처리부(12)에 연결된 제 1 라인 종단부(21)는 제 1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2)와 시스템 클럭 발생부(27)와 망 공통제어부(26)에 연결되어 "S"접속의 라인을 종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S"접속의 전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능과 "S"라인을 디지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신호체계로 프레임화하는 기동(activation)과 "S"라인을 파워 오프(off)시키는 정지(deactivation)기능을 수행하며, 100%AMI(Alternate Mark Inversion)부호를 발생시키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S"프레임으로부터 시스템 클럭을 복구시키기 위한 디지탈 위상 포상 회로부(DPLL)기능을 수행하며 "S"프레임의 재배열 및 복구 기능, 프래그 검출 및 발생기능, 6개의 연속되는 1의 값을 제거하기 위한 영(zero)의 삽입 및 제거 기능을 수행한다.
제 1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2)는 상기 제 1 라인 종단부(21)와 내부 버스 접속기(23)와 시스템 클럭 발생부(27)와 망 공통제어부(26)에 연결되어 음성정보 채널(B channel)과 가입자와 망간에 사용되는 신호채널(D channel)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신된 음성정보 채널을 내부 버스 접속기(23)를 통하여 상대편으로 송신하거나 그 역의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채널은 추출하여 망 공통제어부(26)가 읽어갈수 있도록 하여준다.
내부 버스접속기(23)는 상기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2)와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4)에 연결되어 버퍼와 2.048Mbps의 송수신 직렬 데이타선, 8Kbps의 프레임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신 데이타를 수신측으로 수신 데이타를 송신측으로 접속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4)는 상기 내부 버스 접속기(23)와 제 2 라인종단부(25)와 시스템 클럭 발생부(27)와 망 공통제어부(26)에 연결되어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2)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도의 제 2 디지틀 음성처리부(14)에 연결된 제 2 라인 종단부(25)는 상기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4)와 시스템 클럭 발생부(27)와 망 공통제어부(26)에 연결되어 제 1 라인 종단부(21)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 클럭 발생부(27)는 상기 제 1 라인 종단부(21)와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2)와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4)와 제 2 라인 종단부(25)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전체 동작에 필요한 주 클럭(버스제어 클럭과 프레임 클럭)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망 공통제어부(26)는 상기 제 1라인 종단부(21)와 제 1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2)와 제 2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24)와 제 2 라인 종단부(25)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 블럭의 초기화, 기동/정지의 제어, 신호채널의 수신 및 처리등을 담당하며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32Kbyte RAM, 64Kbyte ROM, RS-232C 포트, 디코더 로직, 인터럽트 로직, 내부클럭 발생 및 리셉 로직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도는 제 1 및 제 2 라인종단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31은 라인 드라이버, 32는 코드 변환기, 33은 프레임 발생기, 34는 평형수신기, 35는 타이밍 복구기, 36은 슬라이서(slicer), 37은 디코더, 38은 프레임 복구기, 39는 트랜스포머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트랜스포머(39)와 코드변환기(32)에 연결된 라인 드라이버(31)는 송신하고자하는 신호를 4선의 "S"인터페이스 라인중 2선의 송신 라인에 유도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 2 도의 제 1 또는 제 2채널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연결되는 코드 변환기(32)는 상기 라인드라이버(31)와 프레임 발생기(33)에 연결되어 "S"접속 라인으로 송신하고자 하는 2진(binary) 데이터를 의사 3진 부호(Pseudo-ternary code)로 변환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도의 시스템 클럭 발생부(27)와 연결되는 프레임 발생기(33)는 상기 코드변환기(32)에 연결되어 "S"접속 라인의 동기신호에 사용되는 프레임 클럭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평형 수신기(34)는 트랜스포머(39)와 타이밍 복구기(35)와 슬라이서(36)에 연결되어 "S"접속라인에서 수신된 신호의 평형(balance)을 유지시켜 준다.
타이밍 복구기(35)는 상기 평형수신기(34)와 슬라이서(36)에 연결되어 수신 신호로부터 필요한 클럭을 추출하고, 재생시켜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평형 수신기(34)와 타이밍 복구기(35)와 디코더(37)와 프레임 복구기(35)에 연결된 슬라이서(36)는 수신된 신호를 2개의 레벨 한계치를 가지고 그 한계 내에 있는 신호만을 통과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더(37)는 수신 신호를 그 다음 단계의 어느 부분으로 전달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 복구기(38)는 상기 슬라이서(36)와 디코더(37)에 연결되어 "S"인터페이스의 수신 동기 신호로부터 프레임 클럭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스포머(39)는 2 : 1의 비율을 갖는 코일로서 송수신 신호를 "S"접속의 물리적 라인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4 도는 시스템 클럭 발생기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41은 크리스탈(crystal) 클럭 발생기, 42는 1/2분주기, 43은 제 1 디지탈 위상 포상 회로부(DPLL), 44는 1/8분주기, 45는 제 1 디지탈 위상 포상회로부(DPLL)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리스탈(crystal) 클럭 발생기(41)는 16.38MHz의 클럭을 발생시킨다.
1/2분주기(42)는 상기 크리스탈(crystal)클럭 발생기(41)에서 발생된 클럭을 반으로 분주하는 분주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탈 위상 포상 회로부(DPLL)(43)은 상기 1/2분주기(42)에 연결되어 분주된 클럭으로부터 내부 데이타 전송버스의 클럭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1/8분주기(44)는 프레임 클럭을 만들기 위해 상기 1/2분주기(42)에서 1/2분주된 클럭을 다시 1/8로 분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디지탈 위상 포상 회로부(DPLL)(45)는 상기 1/8분주기(44)로부터 분주된 신호를 이용하여 시스템 전체 제공되는 프레임 클럭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의 가입자-망 접속 규격에 따라 "S"인터페이스의 망 종단 기능을 수행하며, 실제의 망과 같은 음성신호의 통화로를 설정하여 줌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디지틀-디지틀 음성통신계의 통화품질 평가를 위한 통화 모델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

Claims (3)

  1. 디지탈 음성 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에 있어서, "S"인터페이스의 송신과 수신 라인을 종단시키는 제 1 라인 종단수단(21) 및 제 2 라인 종단 수단(25) ; 상기 제 1 라인종단 수단(21)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S"프레임으로 부터 음성채널 및 신호채널을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시키는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2) ; 상기 제 2 라인 종단 수단(25)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S"프레임으로부터 음성채널 및 신호채널을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시키는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4) ; 상기 제 1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2) 및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4)에 연결되어 시스템 내부의 송수신 버스를 연결시켜 주고, 데이타를 전송시켜주는 내부 버스 접속 수단(23) ; 상기 제 1 라인종단 수단(21)과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2)과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4)과 제 2 라인종단 수단(25)에 연결되어 각 수단을 초기화하고, 제어하며, 관리하는 망 공통 제어수단(26) ; 및 상기 제 1 라인종단 수단(21)과 제 1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2)과 제 2 라인종단 수단(25)과 제 2 채널 다중화/역다중화 수단(24)과 제 2 라인종단 수단(25)에 연결되어 각 수단에 필요한 클럭을 제공하여 주는 시스템 클럭 발생 수단(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라인종단 수단(21, 25)은,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를 의사 3진코드로 변환하여 주는 코드 변환기(32) ; 상기 코드 변환기(32)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의 프레임을 만드는 프레임 발생기(33) ; 상기 코드 변환기(32)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를 유도시키는 라인 드라이버(31) ; 상기 라인 드라이버(31)에 연결되어 2 : 1의 비율을 갖는 코일로서 송수신 신호를 "S" 접속의 물리적 라인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39) ; 상기 트랜스포머(31)에 연결되어 "S"접속라인에서 수신된 신호의 평형(balance)을 유지시켜 주는 평형 수신기(34) ; 상기 평형 수신기(34)에 연결되어 수신 신호로부터 필요한 클럭을 추출하고, 재생시켜 주는 타이밍 복구기(35) ; 상기 타이밍 복구기(35)와 상기 평형 수신기(34)에 연결되어 수신된 신호를 2개의 레벨 한계치를 가지고 그 한계 내에 있는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슬라이서(36) ; 상기 슬라이서(36)에서 추출된 신호로부터 프레임 클럭을 재생하는 기능을 하는 프레임 복구기(38) ; 및 상기 슬라이서(36)와 프레임 복구기(38)에 연결되어 수신 신호를 그 다음 단계의 전달부에 전달하도록 선택하는 디코더(3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클럭 발생 수단(27)은, 클럭을 발생시키는 크리스탈(crystal) 클럭 발생기(41) ; 상기 크리스탈 클럭 발생기(41)에 연결되어 크리스탈 클럭에서 발생된 클럭을 1/2로 분주하는 1/2분주기(42) ; 상기 1/2분주기(42)에 연결되어 1/2분주된 클럭으로부터 내부 데이타 전송버스의 클럭을 만들어 주는 제 1 디지탈 위상 포상 회로(DPLL)(43) ; 상기 1/2분주기(42)에 연결되어 프레임 클럭을 만들어 위해 1/2분주된 클럭을 다시 1/8로 분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1/8분주기(44) ; 및 상기 1/8분주기(44)에 연결되어 1/8분주된 신호를 이용하여 시스템 전체에 제공되는 프레임 클럭을 만들어 주는 제 2 디지탈 위상포상 회로(DPLL)(4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KR1019920024184A 1992-12-14 1992-12-14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KR95001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184A KR950012595B1 (ko) 1992-12-14 1992-12-14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184A KR950012595B1 (ko) 1992-12-14 1992-12-14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47A KR940017647A (ko) 1994-07-27
KR950012595B1 true KR950012595B1 (ko) 1995-10-19

Family

ID=1934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184A KR950012595B1 (ko) 1992-12-14 1992-12-14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47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179B1 (en)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5909445A (en) Mechanism for transporting digital pots signals within framing structure of high bit rate digital local subscriber loop signals
JP2635190B2 (ja) 電話回線網に対する個人用コンピュータの接続装置
US5054020A (en) Apparatus for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with asynchronous/synchronous and synchronous/asynchronous data conversion
US6144659A (en) Telecommunication equipment support of high speed data services
US5014306A (en) Voice and data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4860287A (en) Network having a synchronizer for synchronization between a primary and a remote station
US5185738A (en) Fiberoptic telephone systems
JPH01162454A (ja) サブレート交換方式
US4839888A (en) Digital time-division multiplex switch-based telephone subscriber connection system
KR950012595B1 (ko) 디지틀 음성통화 모델 시스템의 망 종단 및 통화로 장치
US6052409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etecting tones in a digital data communications device
JPS5836557B2 (ja) 時分割交換方式
US5903567A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US4421951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ing the transmission mode of a communication system
Griffiths ISDN network terminating equipment
JPS6059841A (ja) 通信速度可変端末
KR20000040018A (ko) 회선 다중화 장치
KR0120601B1 (ko) 디지탈 음성 신호 정합 장치
EP1146723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data communications in an XDSL communication system
KR950022664A (ko) Isdn망에 접속 가능한 디지탈 키폰시스템
US4987573A (en) Telephone system digital channel bank interface
KR100304454B1 (ko) 키폰 시스템의 피씨엠 하이웨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940006745B1 (ko) 디지탈 간이 교환시스템
KR100258139B1 (ko) 고속 데이터 전송용 모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3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9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