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477B1 - 선택형 다접속기 블록 - Google Patents

선택형 다접속기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477B1
KR950012477B1 KR1019870003215A KR870003215A KR950012477B1 KR 950012477 B1 KR950012477 B1 KR 950012477B1 KR 1019870003215 A KR1019870003215 A KR 1019870003215A KR 870003215 A KR870003215 A KR 870003215A KR 950012477 B1 KR950012477 B1 KR 95001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lock
wire harness
terminal
arra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656A (ko
Inventor
윈스톤 마우 에이취.
어얼 핸더슨 브라이언
제럴드 쯔다렉 로버트
캐시머 월란 치크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즈 오토모티브 인코오포레이티드
로버트 피, 헤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즈 오토모티브 인코오포레이티드, 로버트 피, 헤이터 filed Critical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즈 오토모티브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1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택형 다접속기 블록
제1도는 하니스 접속기와 접속 블록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접속기 블록의 일부분을 잘라낸 전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중 접속 블록의 저면도.
제3도는 제1도중 다접속기 블록의 일부분을 잘라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노치 13 : 하니스 접속기
14 : 수 플러그 15 : 오리피스
18 : 어깨 부분 19 : 다접속기 블록
24(a-j) : 전극 26(a-g) : 리셋터클
29 : 플랜지
본 발명은 대체로 자동차 와이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접속기 블록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부에 전기 신호를 분배하는 와이어 하니스는 통상적으로 각 차량에 요구된 여러 범위의 옵션(option) 때문에 비표준적이다. 예를 들면 유럽에서는 17개의 요구된 서로 다른 조명 구성이 있는데(각국에서는 독특한 구성을 요구함), 각 구성은 동일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부가 요구된 조명 구성을 확실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이한 구성에 대해 개별적인 하니싱이 요구된다.
부가적으로, 각 옵션은 서로 다른 회로와 서로 다른 하니스를 통해서 전기 신호들의 분배 및 가능하게는 그것의 피이드 백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비표준적인 하니싱을 야기시킨다. 예를 들면, 추가적인 전기 소자들이 요구되는 신호들을 적절히 작동된 각각의 옵션에 전달하는 하니스들은 특히 표준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왜냐하면 추가적인 전기 소자들은 하니스에 단단히 와이어 되어 그 하니스를 다른 옵션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쓸모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비록 와이어 하니스들이 표준화되더라도, 자동차 와이어링 시스템은 요구된 옵션들을 수용하도록 그러한 하니스로부터 및 그러한 하니스까지 제어 신호를 분배하기 위해서 적응성(flexibility)을 필요로 할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와이어 하니스를 표준화하는데 필요한 적응성이 제공되지 않는데, 통상적으로 두 개의 회로를 접속함으로써 신호를 분배하는 버스 바아(bus bar)를 제시한다. 컹클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97,927호는 두 개의 회로를 접속시키는 버스 바아(38)에 의해 제공된 제한된 적응성을 가진 접속 블록 및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를 기술하고 있다. 버스 바아는 특정한 옵션에 대응하는 분리 회로들의 접속을 가능케 할 만큼 블록에서의 충분하 적응성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히로까와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17,371호는 단순한 버스 바아에 의해 제공된 단순화된 회로들간 접속을 기술하고 있다. 다시 언급하면 상기 장치는 와이어 하니스에 대한 표준화를 가능케 하는 적응성을 갖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단일 와이어들을 접속시킬 뿐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것은 차량 옵션을 수용하고 와이어 하니스의 표준화를 허용하는데 충분한 적응성을 감안한 다접속기 블록을 접속 블록과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 간에 갖추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와이어링을 표준화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자동차에 요구될 수 있는 옵션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적응성을 갖춘 자동차의 표준화된 와이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과 추가한 목적들은 다접속기 블록을 표준화된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와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제1단자 배열부 및 다접속기를 접속 블록과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제2단자 배열부를 갖는 다접속기 불록에 의해서 실현된다. 각 자동차의 특정 옵션을 수용하기 위해 요구된 전기 경로를 만들기 위해 선택된 단자들간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시킴으로써 적응성이 제공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옵션의 작동을 위해 제어부(도시 생략)로부터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다수 와이어(2)는 자동차 접속 블록(4)에서 종단된다. 각 와이어(2)는 암 리셉터클(6)에서 종단되며, 상기 리셉터클은 접속 블록(제2도 참조)의 바닥내로 오목하게 들어간 관련 배열부(8)를 구성한다. 각 배열부는 그곳으로부터 블록(4)내로 연장하는 편극(polarizing) 노치를 가지며 하기에 서술할 것이다.
와이어 하니스(10)는 숫적으로 하니스가 수용할 수 있는 전 범위의 옵션에 대응하며 접속기(13)에서 종단하는 와이어(12)들을 갖는다. 접속기(13)는 오목한 배열부(8)내로 맞춰질 수 있는 크기의 대략 직사각형인 본체 부분(16)을 갖는다.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는 접속 블록(4)의 암 리셉터클(6)내로 삽입되는 수 플러그(14)를 하우징하는 오리피스(15)를 갖는다. 어깨 부분(18)은 본체 부분이 오목한 배열부내로 삽입될 때 접속 블록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본체 부분(16)의 양 측면으로부터 튀어나오며, 그것에 의해서 접속기가 오목한 배열부내로 과잉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편극 리브(17)는 본체 부분을 배열부(8)로 삽입한 방향에서 본체 부분(16)의 한 측면을 따라 연장한다. 리브(17)는 적절한 접속기(13)가 적절한 배열부(8)내에 삽입된 것이 확실하도록 노치(11)와 짝을 이룬다. 전기 신호들은 일반적으로 접속 블록에서 종단하는 와이어(2)들과 각 관련된 와이너 하니스 접속기(13)에서 종단하는 와이어(12)들간에서 전달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기술할 것이다. 만약 전 범위의 차량 옵션이 채용되지 않는다면, 각 와이어 하니스내 몇 개 와이어들은 사용 되지 않는다. 각 하니스의 여분의 와이어링 비용은 하니스의 표준화에 의해 나타난 절약에 의해 상쇄된다.
만약 접속 블록(4)에서 종단하는 와이어(2)들과 요구된 차량 옵션들에 관한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13)에서 종단하는 와이어(12)들간에 그러나 일대일 대응관계가 있다면, 그 와이어 하니스는 직접적으로 접속 블록내로 삽입될 것이다. 비슷하게, 만약 와이어들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면, 불필요한 하니스는 제거될 것이다. 그러나 와이어들간에 일대일 관계가 아닌 어떤 관계가 있다면, 즉 신호가 여러 와이어 혹은 하니스간에서 분배되어야만 하거나, 혹은 추가적인 전기 소자가 필요하다면, 다접속기 블록(19)이 접속 블록 및 관련된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 사이에 끼워진다.
다접속기 블록(19)은 평행인 주면부(20,22)를 갖는 직사각 형태로 되어 있다. 상부면(20)은 상부면에 부착하는 다수의 전극 [24(a-j)]를 구비하고, 하부면(22)은 배열부(27)를 구성하는 다수의 암 리셉터클 [26(a-g)]을 구비한다. 전극(24)은 접속 블록내에서 하우징된 암 리셉터클(6)속에 끼워지고, 또한 암 리셉터클(26)의 배열부(27)는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13)내에 하우징된 수플러그(14)를 수용한다. 각 배열부는, 적절한 접속기(13)가 다접속기 블록의 적절한 배열부(27)내로 삽입되는 것이 확실하도록, 블록(4)에서와 유사한 편극 노치(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편극 플랜지(29)는, 각 차량의 각 옵션에 필요한 분리된 회로를 만들기 위해서 다접속기 블록이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와 접속 블록간에서 적절히 정렬되는 것이 확실하도록 다접속기 블록을 접속 블록에 대해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접속기의 한 면으로부터 연장한다. 다접속기 블록은 다접속기 블록, 접속 블록 및 하니스 접속기 간에서 만들어진 회로가 분리된 것임이 확실하도록 플라스틱처럼 전기적인 절연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옵션에 필요한 분리 회로를 만들기 위한 와이어(2,12)간의 전기 접속은 선택된 전극 및/또는 다접속기 블록의 선택된 암 리셉터클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각 옵션에 요구된 회로를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호 접속은 전극과 리셉터클 사이, 혹은 전극과 전극 사이, 혹은 리셉터클과 리셉터클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이오드, 제너다이오드, 저항기, 필터 등과 같은 전기 소자들이 선택된 회로에 적절한 전기 특성을 제공하도록 접속기를 구성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가능한 접속들이 개시되어 있다(제3도 참조) : 즉, 전극(24a)은 저항기(28)에 의해 전극(24b)과 리셉터클(26a)에 접속하고; 전극(24c)은 인쇄회로 도선(30)에 의해 전극(24e)에 접속하며 그리고 양자는 리셉터클(26d)에 접속하고; 리셉터클(26b)은 리셉터클(26c)에 접속하며; 전극(24d)은 전극(24f)에 접속하고; 전극(24g)은 인쇄회로 도선(32)에 의해 전극(24i)에 접속하며; 전극(24j)은 리셉터클(26f 및 26g)에 접속하고; 그리고 전극(24h)은 다이오드(34)에 의해 리셉터클(26e)에 접속한다. 전기 소자들은 다접속기 블록내에서 감싸여질 수도 있고, 혹은 요구된 옵션 또는 사용된 구성 방법에 따라 다접속기 블록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작동시, 차량의 요구된 옵션에 따라 다접속기 블록은 접속 블록에 상호 접속되고 그리고 적당히 표준화된 하니스는 접속 블록과 다접속기 블록에 각각 상호 접속된다. 그 때 조립체가 완성된다. 다 접속기 블록이 이전에는 다른 개개의 하니스에 의해 전달되었던 개개의 옵션에 대한 신호들을 분배함에 따라, 표준화된 하니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다접속기 블록내에 전기 소자들을 구비함으로써 하니스가 다른 자동차에서 다른 옵션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접속기 블록내에 전기 소자들을 포함함으로서 하니스가 다양한 옵션에 대해 역할할 수 있게 되어 또한 표준화가 향상된다.
따라서 제공되어진 것은 차량의 다접속기 블록이고, 이것은 각 차량에 대한 특정의 차량 옵션을 수용하기 위한 선택된 회로를 제공하며 자동차내에서 와이어 하니스의 표준화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어졌거나 기술되어진 특성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화와 변형 실시예가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각각의 단자(6)가 각기 고정되어 부착된 와이어(2)를 갖고 또한 단자(6)들이 제1배열부내로 그룹화 되고 그리고 접속 블록(4)내에 배치된 제1단자부(6)를 갖는 접속 블록(4) 및,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13)내에 배치되는 제2단자부(14)에서 종단하는 다수의 와이어(12)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13)는 개개의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6,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열부의 특정 배열부와 정렬되고 맞물리기에 알맞은 자동차 와이어링용 접속기 조립체에 있어서, 전기 절연 본체, 선택된 옵션에 따라 선택된 상기 특정의 제1배열부와 정렬되고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제2배열부내로 그룹화되며, 또한 상기 본체에 부착된 다수의 제3단자부(24), 제2배열부에 맞물리는 상기 특정의 제1배열부와 정렬하여 각각의 상기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13)와 각각 맞물리는 제3배열부내로 그룹화 되며, 또한 상기 본체에 부착된 다수의 제4단자부(26), 및 사이에 끼워진 상호 접속기 블록(19)이 없을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6,14)를 직접 접속시킬 위치와 같은 플러그 위치에서 상기 와이어 하니스 접속기를 접속시킴에 따라, 선택된 차량 옵션 범위를 수용하도록 상기 단자부 사이의 분리 회로들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부착된 선택된 상기 제3 및 제4 단자부(24,26)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각각의 접속기(13)가 상기 특정의 제1배열부와 정렬되도록 상기 접속 블록(4)과 상기 와이어 하니스(1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접속 블록(4)과 상기 다수의 와이어 하니스(10)를 상호 접속시키는 단일의 다접속기 블록(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인쇄 회로(30,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전기 소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들은 다이오드(34), 제너다이오드, 저항(28), 커패시터 혹은 필터로 구성되는 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조립체.
KR1019870003215A 1986-04-04 1987-04-04 선택형 다접속기 블록 KR950012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867286A 1986-04-04 1986-04-04
US848672 1986-04-04
US848,672 198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656A KR870010656A (ko) 1987-11-30
KR950012477B1 true KR950012477B1 (ko) 1995-10-18

Family

ID=2530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215A KR950012477B1 (ko) 1986-04-04 1987-04-04 선택형 다접속기 블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40454B1 (ko)
JP (1) JPS62237682A (ko)
KR (1) KR950012477B1 (ko)
CA (1) CA1291238C (ko)
DE (1) DE378130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5341B (en) * 1989-06-15 1994-01-26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IT1239181B (it) * 1990-01-22 1993-09-28 Zanussi Elettromecc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dispositivi perfezionati di connessione di circuiti elettrici multipli
IT1244115B (it) * 1990-11-29 1994-07-05 Elcon Instr Srl Sistema di connessione per cavi di quadri industriali di strumentazione a sicurezza intrinseca
US5472348A (en) * 1992-02-28 1995-12-05 Methode Electronics, Inc. Pluggable male terminator
GB9409635D0 (en) * 1994-05-13 1994-07-06 Framatome Connectors Uk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device addressing arrangements
US5660567A (en) * 1995-11-14 1997-08-26 Nellcor Puritan Bennett Incorporated Medical sensor connector with removable encoding device
EP0995263A1 (en) 1997-07-09 2000-04-26 Nokia Corporation Impedance match of transmission lin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32895A (en) * 1963-05-20 1966-06-15 Amp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US3471822A (en) * 1967-07-26 1969-10-07 Amp Inc Terminal junction system for electrical conductors
JPS5332498B2 (ko) * 1972-04-06 1978-09-08
US4464003A (en) * 1982-11-01 1984-08-07 Amp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ing connector with programmable ground bussing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1302T2 (de) 1993-01-28
KR870010656A (ko) 1987-11-30
DE3781302D1 (de) 1992-10-01
EP0240454A1 (en) 1987-10-07
CA1291238C (en) 1991-10-22
JPS62237682A (ja) 1987-10-17
EP0240454B1 (en) 199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6278C (en) Programmable junction box
US6015302A (en) Power distribution center
US5478244A (en) Hybrid junction box
US4405190A (en) Circuit interchange module
US4956748A (en) Wiring apparatus for automobile
US5764487A (en) Junction block with integral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connector for same
US6642628B2 (en) Combined four way and seven way connector assembly for use with a vehicle and for accommodating a trailer tow package
JPH056411B2 (ko)
JPS6261856A (ja) 自動車の機能組込型配線装置
DE3573056D1 (en) Vehicle arrangement
US4715822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5823798A (en) Electric center for motor vehicles
US5040996A (en) Central circuit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JPH05344631A (ja) 電気接続箱
US20020074148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4830621A (en) Selective multiconnector block
KR950012477B1 (ko) 선택형 다접속기 블록
US5771151A (en) Central electrical assembly
US7147521B2 (en) Wiring junction block
US6837725B1 (en) Connector assembly
US6575782B2 (en) Modular central electrical unit for motor vehicles
US5749739A (en) Branch connection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JPH09259995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電子ユニット
JPH0970120A (ja) 電気接続箱
JPH02464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