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930B1 -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930B1
KR950011930B1 KR1019920008729A KR920008729A KR950011930B1 KR 950011930 B1 KR950011930 B1 KR 950011930B1 KR 1019920008729 A KR1019920008729 A KR 1019920008729A KR 920008729 A KR920008729 A KR 920008729A KR 950011930 B1 KR950011930 B1 KR 950011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resin
cation exchange
acidic cation
hydrophilic
weakly acid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407A (ko
Inventor
송수석
여규동
위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양사
김상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양사, 김상응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양사
Priority to KR101992000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930B1/ko
Publication of KR93002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9/00Cat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B01J39/08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B01J39/16Organic material
    • B01J39/18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 교환크로마토 그래피에서 단백질 등의 생체에 관련된 물질을 분리함에 있어서 단백질에 대한 소수결합에 기인하는 물리적인 흡착이 없고, 이온형에 따른 체적변화가 적은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효소, 항생물질등의생체관련 수용성 물질의 분리 정제에 이온 교환 그로마토 그래피가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이온 교환 수지로는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친수성의 덱스트란 겔, 아기로즈겔, 폴리 아크릴아마이드겔, 폴리 메타 아크릴레이트 겔 등에 이온 교환관능기를 도입한 이온 교환수지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는 단백질에 대한 소수결합에 기인하는 물리적 흡착과 함께 단백질 변성의 원인이되며, 덱스트란 겔,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 겔등은 기계적 강도가 낮고, 화학 결합형 실리카 겔은 알카리에 취약함을 나타내어 이온 교환 크로마토 그래피의 분리제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대상 물질에 대한 낮은 흡착특성, 내 알카리성, 고분리능을 갖는 폴리 메타 아크릴레이트 겔에 이온 교환 관능기를 도입한 이온교환수지들이 분석 및 분취용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제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에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선행기술로서는 미국특허 제4,614,751호에서는 불포화카르복실산을 직접 중합하였을 경우 중합시 발생되는 발열반응으로 인해 중합반응의 조절이 어렵고, 생성 수지의 낮은 이온교환 용량과 물리적 세기를 막기위해 알카리조건하에서 가수분해가 가능한 불포화 알킬 메타 아크릴레이트(탄소수1-3개의 알킬기)를 모노머로 하여 가교제로 디비닐벤젠 또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중합된 공중합체를 가수분해하여 물리적 내구성이 우수한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소수성으로 단백질 등을 분리하기 위한 친수성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 사용하기에는 단백질과의 소수결합에 기인하는 변성 및 흡착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개 소 48-24512호, 48-64187호에서는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친수성 모노머를 사용하여 다가알콜의 폴리비닐 에스테르를 가교제로서 반응시켜 중합된 공중합체를 가수분해 또는 양이온성 교환기 도입으로 제조할수 있으나 양이온 교환기를 도입할 수 있는 수산기의 한정된 갯수로 인해 이온 교환용량이 낮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온교환수지에 있어 이온형의 변화 및 가교도의 고저에 따른 체적변화를 관찰하고, 친수성 모노머들에 대해 이온 교환관능기 도입에 따른 교환 용량 및 체적변화를 예의 주시한 결과 양이온 교환기를 도입할수 있는 수산기를 다량 포함하는 친수성 모노머를 사용하여 현탁중합하므로써 고 가교도에서도 친수성을 유지하고, 이온형에 따른 체적변화를 최소화(Na/H형=1.01∼1.04)하며, 높은 이온교환 용량(3.1∼5.7meq/g)을 갖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친수성의 약 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수성이 높은 모노머를 일반적인 수성 현탁 중합 방법으로 수행하여 다공형 또는 겔형의 친수성 입자를 제조한후 공중합체내의 수산기에 약산성 양이온 교환 관능기를 도입하여 고 가교도에서도 친수성을 유지하여 소수결합에 의한 단백질의 물리적 흡착과 변성을 방지하고 높은 이온 교환 용량을 나타내면서도 이온형에 따른 체적변화가 적어 분취·정제용의 크로마토 그래피 및 고속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온크로마토 그래피의 분리제로 사용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음 구조식(I)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를 가교제와 함께 현탁중합하여 얻은 공중합체에 카르복실 산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식에서 R1는 -H 또는 -CH3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친수성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카르복실기가 도입 가능한 수산기를 갖는 상기 구조식(I)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와 가교제를 현탁제와 현탁 보조제, 수소이온 농도 조절제, 무기염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용해시킨 수용액에서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하여, 미반응성 유기용매를 사용하거나(다공형) 또는 사용않는(겔형)상태에서 기지의 널리알려진 수성현탁중합방법으로 현탁중합하여 공중합체를 생성한후 공중합체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친수성의 모노머는 펜타에리트리톨과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과의 반응으로 펜타에리트리톨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한후 이것을 에피클로로히드린 과의 산촉매 반응과 가수분해 반응으로 다가알콜을 갖는 친수성 모노머를 제조한다.
이때 생성물중에는 펜타에리트리톨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에 있는 3개의 수산기중 1개 또는 2개의 수산기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이 반응한 생성물의 혼합물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 혼합물의 비는 Chromosorb W에 실리콘 OV-1을 5중량% 코팅시킨 GLC로 분석하여 2개의 수산기와의 반응물이 10중량%를 넘지않는 범위에서 조절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비가 10중량% 이상의 경우에는 모노머의 과도한 친수성으로 인해 물을 용매로 하는 현탁중합 방법으로 구상의 입자 제조가 어렵다 .
또한 중합방법은 일반적인 수성현탁중합 방법을 사용하고 현탁계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탁제외에 현탁용매인 물에 대해 친수성 반응물의 용해도를 줄이기 위해 염석제로서 무기금속임을 사용하고, 현탁보조제로서 셀루로오즈계 화합물, 수소이온 농도조절제로서 나트륨과 칼슘의 1, 2, 3염기성 인산염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다.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 또는 트리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고 가교제의 사용량은 친수성 모노머에 대해 10∼90중량%를 사용하는데, 가교제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 특히 분석용으로 사용할 때 컬럼 충진중에 일어나는 분리제의 압밀화에 의해 컬럼내부압 및 용매 송압이 크게 상승하고, 물리적 내구성이 약하며 가교제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는 물리적 내구성은 증가하는 반면 분리제의 소수성이 증가하며 교환 용량의 저하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입도와 기공의 형성은 그 용도에 따라 입도의 대소 및 가공형성의 정도를 현탁계 교반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조한 수산기를 갖는 가교 공중합체 입자에 양이온 교환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알카리촉매하에서 약산성 관능기를 갖는 반응물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바, 특히 클로로 아세틸산과 푸마릭산등이 효과적이며 클로로아세틸산리 경우에는 수산기의 수소와 할로겐 사이의 치완반응으로, 그리고 푸마릭산의 경우에는 이중길합에 대한 수산기의 부가반응으로 진행되며 사용된 반응물들의 양은 공중합체 입자중량에 대해 10∼100중량% 사용할 때에 높은 교환용량을 갖는 이온교환수지를 얻을수 있고, 10중량%미만을 사용하면 낮은 이온교환 용량을 갖는 이온교환수지가 얻어진다.
반응 온도는 30∼90℃, 반응시간은 0.1-24시간 반응시킬 경우 높은 이온 교환용량을 갖는 이온교환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친수성이 높아 수용성의 단백질, 효소, 다당류, 항생 물질 등 생체 관련물질의 분석 및 분리·정제에 이용되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할 경우 매우 효과적인 바, 본 발명에서 제조된 수지입자의 평균 입경이 5∼10μm의 것은 분석용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이용할 수 있고, 평균입경이 20∼150μm의 것은 분취용 및 대형 공업적 분취용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생성된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교환용량과 수지형에 따른 체적변화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교환용량의 측정방법]
제조한 양이온 교환수지 습윤품 약 25ml를 취하여 수지탑에 채운후 1N 수산화나트륨용액 200ml를 공간속도 5m2/hr로 흘린후 탈염수로 세척, 다음에 1N 염산용액 200ml를 공간속도 5m2/hr로 흘려 H형 수지로 만들고 탈염수를 공간속도 50m2/hr로 흘려서 용액중에 염소이온이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세척한다. (기준형 수지 조정)
조정한 기준형수지 20ml를 채취하여 원심분리하여 부착수분을 제거한후 5g을 정확히 달아 50±1.5℃로 조절한 진공건조기속에서 10±2mmHg로 8시간 건조하여 무게를 달아 감량분으로 수분을 측정한다. 다음에 250ml 메스플라스크에 0.2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표선까지 채우고 수분을 제거한 수지 3g을 정확하게 달아 넣는다. 24시간 방치후 상층액 25ml를 취하여 메틸오렌지를 지시약으로 하여 0.1N 염산용액(농도 계수 f)으로 적정한다. (A ml)동시에 처음의 0.2N 수산화나트륨용액 25ml에 대해서도 0.1N 염산용액으로 적정한다. (B ml)중화적정은 자동적정장치(Metron사 , 모델-682)로 행하였다.
[수지형에 따른 체적 변화]
기준형으로 조정한 수지를 과잉의 1N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처리하여 Na형으로 만든후 탈염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그 수지를 10ml의 매스실린더에 정확히 채취한다.
채취한 10ml의 수지에 1N 염산용액을 흘려 H형으로 변환시킨후 탈염수로 충분히 세정한후 10ml의 메스실린더에서 수지의 체적(γ ml)을 정확히 측정한다.
[실시예 1]
반응장치는 2L, 4구 둥근 플라스크에 온도계, 질소 유입관을 설치하고 교반날개는 패들형을 사용하고 교반속도는 500rpm으로 반응하였다.
제조한 친수성 모노머인 4-옥시-2,2-디하이드록시 메틸-6,7-디하이드록시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60g,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40g, 벤조일 퍼옥사이드 2.5g을 노말 부틸 알콜 150g에 용해시킨후, 폴리비닐 피톨리돈(분자량 40,000)30g, 카르복시 메틸셀루로오즈 나트륨염 1g, 3염기성 칼슘 인산염 0.5g 염화나트륨 20g을 , 1L의 탈염수에 용해시킨후 수용액상에 서서히 부가하여 질소 기류하에서 반응온도 70℃에서 10시간 반응시킨후, 생성된 기중합체 입자의 부유물(0.5-1중량%)을 걸러낸후 뜨거운물과 아세톤으로 3회 세척하여 입도 10∼20μm의 다공성 입자를 얻었다.
생성된 친수성 입자 50g을 150ml의 탈염수에 분산시킨후 클로로 아세틸산 20g을 투입하여 교반하에 0.8N 수산화나트륨수용액 450ml를 서서히 가하여 80℃에서 3시간 반응시킨다.
반응물을 여과한후 탈염수와 1N 염산수용액 300ml로 세정하여 카르복실기를 관능기로 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얻었다.
이 수지의 교환용량을 측정한 결과 5.4meq/g , Na/H의 체적비는 1.03이었다.
[실시예 2]
공중합체 제조시 가교제로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40g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반응시킨 결과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얻었으며 이온 교환수지의 교환용량은 4.9mpq/g, Na/H의 체적비는 1.01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은 입자 50g을 150ml의 탈염수에 분산시킨후 클로로아세틸산 20g을 투입하여 교반하에 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 500ml를 서서히 가하여 70℃에서 5시간 반응시킨다.
반응물을 여과한후 탈염수와 1N 염산수용액 300ml로 세정하여 카르복실기를 관능기로 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얻었다.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 용량은 5.2meq/g, Na/H의 체적비는 1.04이었다.
[실시예 4]
공중합체 제조시 가교제로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40g, 모노머로 4-옥시-2,2-디하이드록시메틸-6,7-디하이드록시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70g을 사용하고 양이온 교환기 도입 반응시 알카리 촉매로 0.5N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같이 반응시킨 결과 이온 교환용량은 3.0meq/g, Na/H의 체적비는 1.04이었다.
[실시예 5]
양이온 교환기 도입반응시 카르복실산으로서 푸마릭산을 30g사용하고 반응조건을 70℃에서 30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이 반응시킨 결과 카르복실시를 관능기로 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얻었으며 측정된 교환용량은 5.7meq/g, Na/H의 체적비는 1.02이었다.
[실시예 6]
양이온 교환기 도입반응시 카르복실산으로서 푸마릭산을 20g 사용하고 반응조건을 80℃에서 10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같이 반응시킨 결과 카르복실기를 관능기로 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얻었으며 측정된 교환용량은 5.5meq/g, Na/H의 체적비는 1.02이었다.
[비교예 1]
공중합체 제조시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7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이 반응시킨 결과 이온교환 용량은 2.8meq/g으로 저하되었으며 Na/H의 체적비는 1.01이었다.
[비교예 2]
양이온 교환기 도입 반응시 카르복실산으로서 클로로 아세틸산 10g을 반응 온도 25℃로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같이 반응시킨 결과 이온 교환용량은 1.0meq/g으로 저하되었으며 Na/H의 체적비는 1.04이었다.
[비교예 3]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210g, 에틸렌 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90g을 사용하여 현탁 중합하여 얻은 공중합체 입자 50g을 2N 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60℃에서 5시간 가수분해 한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양이온 교환기 도입반응을 진행시킨 결과 측정된 이온교환 용량은 4.1meq/g, Na/H체적비는 1.25이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1∼6과 비교예 1∼3로 부터 제조된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들의 이온 교환용량 및 이온형에 따른 Na/H체적비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는바,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에 비하여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 1]
A : 4-옥시-2,2-디하이드록시메틸-6,7-디하이드록시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B :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C :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D :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a : 클로로 아세틸산
b : 푸마릭산

Claims (4)

  1. 이온크로마토 그래피의 분리제로 사용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음 구조식(I)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를 가교제와 함께 현탁중합하여 얻은 공중합체에 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는 -H 또는 -CH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이상을 친수성 모노머에 대해 10∼90중량%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 산으로는 클로로 아세틸산, 또는 푸마릭 산을 공중합체 입자중량에 대해 10∼100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30∼90℃의 온도에서 0.1∼24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20008729A 1992-05-22 1992-05-22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 방법 KR950011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729A KR950011930B1 (ko) 1992-05-22 1992-05-22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729A KR950011930B1 (ko) 1992-05-22 1992-05-22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407A KR930023407A (ko) 1993-12-18
KR950011930B1 true KR950011930B1 (ko) 1995-10-12

Family

ID=1933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729A KR950011930B1 (ko) 1992-05-22 1992-05-22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9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407A (ko) 199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3599B1 (en) An adsorption/separation method
EP0203049B1 (en) Method of cross-linking a porous polysaccharide gel
EP0024055B1 (en) Weakly acidic cation exchange resin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A2732398C (en) Graft copolymers for ion exchange chromatography
US4439545A (en) Acrylic copolymers of N-acryloylpolymethyleneimines or N-acryloyldialkylamides, N,N'-acryloyldiaminoalcanes and N-acryloylaminoacids (or est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cation exchangers
CA2737404C (en) Temperature-responsive polymer particles in protein separation
CA1238626A (en) Phase supports for the partition chromatography of macromolecul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JPH08502534A (ja) 多孔物質の細孔サイズ選択的修飾法
AU2006256011A1 (en) Novel packing material with excellent hydrophilic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246362A (en) Hydrophilic separating carrier and preparation thereof
JPS5851007B2 (ja) 親水性重合体マトリツクスを有する両性イオン交換体の製造方法
JP5280604B2 (ja) 多孔性支持体の後修飾
US4368275A (en) Isocyanurate-vinyl alcohol-vinyl ester chromatographic packing
JP2005510593A5 (ko)
EP0377046B1 (en) Fine particles of porous ion-exchange cellulose,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affinity carrier
KR950011930B1 (ko) 친수성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제조 방법
EP0129295A2 (en) An ion exchanger
KR950003417B1 (ko) 친수성의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제조방법
JP3301628B2 (ja) りん酸基を有する陽イオン交換樹脂及びその製造法
JP3059251B2 (ja) アミノリン酸型キレート樹脂の製造方法
KR960012440B1 (ko)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57298A (ko) 필름 및 양이온 크로마토그래피용 칼럼의 제조 방법
JPH0465842B2 (ko)
KR0134553B1 (ko)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방법
JPH02199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