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486B1 -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486B1
KR950010486B1 KR1019920024215A KR920024215A KR950010486B1 KR 950010486 B1 KR950010486 B1 KR 950010486B1 KR 1019920024215 A KR1019920024215 A KR 1019920024215A KR 920024215 A KR920024215 A KR 920024215A KR 950010486 B1 KR950010486 B1 KR 95001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memory
meaningful
processor
memor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573A (ko
Inventor
임진희
우왕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2002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486B1/ko
Publication of KR94001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내용을 포함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분산 구조도.
제 2 도는 전전자 교환기의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블럭간의 구성과 메시지 흐름을 나타내는 구조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메모리 관리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SS 2 : INS
3 : CCS 4 : DBMS
6 : ASP 7 : INP
8 : NTP 9 : OMP
10 : MMP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내의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환기에서는 DBMS 내에 메모리 관리 기능이 없어 스키마 삭제로 인해 데이타베이스(DB)내에 빈 메모리 공간이 생겨도 다른 스키마 생성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빈 메모리 공간들은 새로이 데이타 생성기를 통해 데이타 화일을 제작할 때까지 그냥 남아있어 메모리 사용의 효율이 떨어졌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스템의 운용중에 질의어를 통해 요구되는 스키마 변경에 따른 데이타베이스 메모리의 할당, 해지, 재구성등의 가능하도록 교환기 시스템 데이타베이스의 메모리를 관리해줌으로써, 메모리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메모리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부분을 수행하는 와, 운용 및 보전에 관련된 집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각 프로세서내에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내장하도록한 전전자 교환시스템에 적용되어, 상기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오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MMP를 거쳐 작 프로세서로 메모리 재구성 요구가 들어오면 의미있는 데이타베이스(이하, DB라함) 메모리 영역의 시작주소와 끝 주소를 기억해두고 DB 메모리 영역내에서 메모리의 시작 레코드부터 그 레코드가 해지된 레코드인가, 아니면 의미 있는 레코드 인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수행결과, 해지된 레코드가 있을 경우 그 레코드의 주소값을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다음 레코드도 DB메모리 영역내인가 확인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 수행후, DB 메모리 영역내의 레코드이면 그 레코드가 해지된 레코트인가를 확인하여 의미있는 레코드일 경우 저장했던 시작 주소부터 그 레코드 내용물 옮기고 주소값은 옮긴 레코드 길이 만큼 더해서 새로이 저장하며, DB 메모리 영역내의 레코드가 아니면 그 시점에서 저장되어 있던 레코드 주소 값과 재구성 결과 얻어진 여유메로리 양을 여유메로리 정보 테이블에 새로이 기록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수행 결과, 레코드가 의미있는 것이고, 다음 레코드들도 DB 메모리 영역내에 있으면서 모두 의미 있는 레코드이면 메모리 제구성을 더 이상 할 것이 없으므로 메모리 재구성 결과를 MMP로 전송을 하고 종료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이 스키마 관리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분산 구조를 갖는 메인 메모리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의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tconnection Network Subsystem)(2), 그리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3)의 3개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다 ASS(1)는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6) 를 구비하고 있으며, INS(2)는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 부분을 수행하는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7)와 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8)를 구비하며, CCS(3)는 응용 및 보전에 관련된 집중화 기능을 수행하며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9)와 운용자와 시스템 간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MMP(Man-Machine Processor)(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미 설명 부호(5) 는 데이타베이스(DB)를 나타낸다.
데이타베이스가 존재하는 전 프로세서에서는 메모리 관리기인 MM(Memory Manager)이 들어있는 DBKG(Data Base Kernel Group)와 스키마 관리인 SM(Schema Manager)이 들어있는 DBMS(Data Base Supporting Group)를 포함하는 DBMS가 존재한다. OMP(9)의 DBMS(4)는 DBBG(Data Base Backup Group), DBTG(Data Base Transaction Group), DBSG(Data Base Supporting Group) 그리고 DBKG(Data Base Kernel Group)의 4개 블럭으로 구성되고, MMP(10)의 DBMS는 DBQG(Data Base Query Group) DBSG, DBTG 그리고 DBKG의 4개 블럭으로 구성되며, 나머지 프로세서들은 DBSG, DBTG와 DBKG 3개의 블럭으로 구성된다.
DBSG는 사용자 정합 기능과 DBMS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DBQG 3개의 블럭으로 구성된다. DBSG는 사용자 정합 기능과 DBMS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DBSG는 사용자 정합 기능과 DBMS간의 통신기능을 수행하고 DBQG는 MMP를 통해 들어오는 DB의 질의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DBBG는 중복데이타의 변경 제어, 데이타 백업 및 회복 기능을 수행하고, DBTG는 트랜잭션 기능을 수행하며, DEBKG는 실제로 데이타베이스를 검색, 변경, 삽입 그리고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서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관련 블럭간의 구성 및 메시지의 흐름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MMP(10)의 데이타베이스(DB) 질의어를 통해 사용자의 스키마 생성의 요구가 들어오면 MMP(10)의 DMQG(Data Base Query Group)블럭에서는 스키마 생성에 필요한 메로리 양을 계산하여 각 프로세서 별로 스키마 생성에 따른 메모리 할당을 요구하나다. 각 프로세서의 스키마 관리기(SM)는 요유메모리 정보테이블(스키마 생성시 할당해 줄 수 있는 가용 메모리에 대한 정보테이블)을 참조하여 스키마 생성에 따른 메모리할당 가능성 여루를 조사하여 그 결과 메모리가 부족할 때는 MM(Memory Manager)블럭으로 메모리 재구성을 요구한다. 메모리 재구성이 끝난 후, 다시 여유 메모리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할당 가능성 여부를 조사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다른 메모리 관리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사용자 스키마 생성 요구를 받은 MMP(10)의 DBQG로부터 각 프로세서의 MM블럭으로 DB메모리 재구성 도구가 들어오면(11), 각 프로세서의 MM블럭에서는 해당 프로세서마다 정해진 의미있는 DB메모리 영역의 시작 주소와 끝 주수를 메모리에 기억해 둔 후(12), DB메모리의 시작 레코드로부터 그 레코드가 해지된 레코드인가, 아니면 의미있는 레코드인가를 확인하고(13), 그 레코트가 의미있는 레코드이면 다음 레코드도 DB메모리 영역내의 것인가 확인하여(14), DB메모리 영역 밖이면 DB메모리 영역내에는 해지된 레코드가 없으므로 MMP의 DBQG로 더이상 재구성할 메모리가 없다는 메모리 재구성 작업 결과를 전송하며 수행을 마친다(15).
DB메모리 영역 내에서 해지된 레코드가 나오면 그 해지된 레코드의 시작조주소 값을 메모리에 저쟁해 놓고(16) 그 다음 레코드가 DB메모리 영역내이면서 의미있는 레코드일 때까지 탐색을 계속하여(17)(19), 탐색중 의미있는 레코드를 찾아내면 그 레코드 내용을 레코드 길이만큼 저장했던 해지 레코드 시작주소에 그대로 옮기고(20), 저장했던 시작주소 값에 옮긴 레코드 길이만큼을 더한 값을 새로이 시작주소값으로 저장해둔다(21).
레코드 탐색중에 다음 레코드 주소가 DB메모리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DB메모리 영역에 대한 탐색이 모두 끝난 것이므로 현재 저장되어 있는 시작주소값과, 이러한 메모리 재구성 결과 해지될 레코드 양만큼 늘어났을 여유 메모리 양을 스키마 생성기(SM)가 참고할 수 있도록 각 프로세서의 메로리에 있는 여유메모리 정보테이블에 새로이 기재하고(18), MMP의 DBQG로 DB메모리 재구성 결과를 전송하고 종료한다(15).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처리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내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용자가 기능 개발을 하면서 스키마를 생성하고자 할때 데이타베이스의 여유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데이타베이스 화일을 새로이 제작하는 빈도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ASP; 6)와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부분을 수행하는(INP ; 7)와, 운용 및 보전에 관련된 집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OMP, MMP : 9, lO)를 구비하며, 상기 각 프로세서(6, 7, 9, 10)내에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내장하도록한 전전자 교환시스템에 적용되어, 상기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MMP(10)를 거쳐 각 프로세서로 메모리 재구성 요구가 들어오면 의미있는 데이타베이스(이하, DB라함 : 메모리 영역의 시작 주소와 끝 주로를 기억해 두고 DB 메모리 영역내에서 메모리의 시작 레코드부터 그 레로드가 해지된 레코드인가, 아니면 의미 있는 레코드 인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11 내지 13)와, 상기 제 1 단계(11 내지 13) 수행 결과, 해지된 레코드가 있을 경우 그 레코드의 주소값을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다음 레코드도 DB 메모리 영역내인가 확인하는 제 2 단계(16, 17)와 상기 제 2 단계(16, 17) 수행후, DB메모리 영역내의 레코드 이면 그 레코드가 해지된 레코드인가를 확인하여 의미있는 레코드 일경우 저장했던 시작 주소부터 그 레코드 내용을 옮기고 주소값은 옮긴 레코드 길이 만큼 더 해서 새로이 저장하며, DB메모리 영역내의 레코드가 아니면 그 시점에서 저장되어 있던 레코드 주소 값과 재구성 결과 얻어진 여유메모리 양을 여유메모리 정보 테이블에 새로이 기록하는 제 3 단계(18 내지 21)와, 상기 제 1 단계 (11 내지 13) 수행결과, 레코드가 의미있는 것이고, 다음 레코드들도 DB메모리 영역내에 있으면서 모두 의미있는 레코드이면 메모리 재구성을 더 이상 할 것이 없으므로 메모리 재구성 결과를 MMP(10)로 전송을 하고 종료하는 제 4 단계(14, 15)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방법.
KR1019920024215A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KR95001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215A KR950010486B1 (ko)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215A KR950010486B1 (ko)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73A KR940017573A (ko) 1994-07-26
KR950010486B1 true KR950010486B1 (ko) 1995-09-18

Family

ID=1934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215A KR950010486B1 (ko)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798B1 (ko) 2004-12-17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베이스 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73A (ko) 1994-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2629A (en) Real-time garbage collection for list processing using restructured cells for increased reference counter size
US5692182A (en) Bufferpool coherency for identifying and retrieving versions of workfile data using a producing DBMS and a consuming DBMS
US5940832A (en) Dynamic database structu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atabase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297565A1 (en) Database Management System
JPS62125445A (ja) デ−タ・オブジエクト・レプリカの管理方法
CN110019469A (zh) 分布式数据库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2969627B2 (ja) 分散型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の管理方法
US7200625B2 (en)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availability of a relational database
CN114942965A (zh) 一种数据库主备同步操作的加速方法和系统
KR950010486B1 (ko)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CN115599790A (zh) 一种数据存储系统、数据处理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0329193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외장형메인메모리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KR95001048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복 릴레이션의 생성에 대한 데이타 베이스 스키마(Schema)관리 방법
KR95001048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분산릴레이션의 생성에 대한 데이타베이스 스키마 관리방법
Parthasarathy et al. InterAct: Virtual sharing for interactive client-server applications
KR950009431B1 (ko)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KR940007843B1 (ko)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팀(dbms)의 데이타 베이스 스키마 관리방법
KR940007841B1 (ko)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팀(DBMS)에서의 퀵-해쉬(quick-hash)검색방법
KR960014198B1 (ko)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백업 기능 구현 방법
Sinha et al. Flexible user-definable memory coherence scheme in distributed shared memory of galaxy
KR93001095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dbms에서 가상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데이타 베이스 접근방법
KR930010285B1 (ko) 전전자교환기에 저장된 분산 릴레이션의 처리방법
KR95000598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데이타의 일치성 유지방법
KR930009855B1 (ko) 전전자 교환기의 dbms에서의 직접 접근 방법
KR0126089B1 (ko) 분산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에서의 원격 릴레이션에 대한 록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