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182B1 -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182B1
KR950010182B1 KR1019880700943A KR880700943A KR950010182B1 KR 950010182 B1 KR950010182 B1 KR 950010182B1 KR 1019880700943 A KR1019880700943 A KR 1019880700943A KR 880700943 A KR880700943 A KR 880700943A KR 950010182 B1 KR950010182 B1 KR 95001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hase
locking bar
arm
curren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278A (ko
Inventor
위델 하랄드
위델 얀
버그만 닐스-아케
Original Assignee
위델 하랄드
위델 얀
버그만 닐스-아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델 하랄드, 위델 얀, 버그만 닐스-아케 filed Critical 위델 하랄드
Publication of KR89070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Paper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Earth Drill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접속장치
[도명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전류 레일에 삽입된 이미 공지된 접속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뒤에서 본, 그것의 위상 선택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제3b도는 접촉 및 로킹 바아가 빼내어 져서 안으로 밀어넣어지고 덮개가 위상 선택장치를 덮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a도와 동일한 사시도.
제4∼7도는 각각 뒤로 부터, 아래로 부터, 정면으로 부터 그리고 위에서 본 접속장치의 여러 개략도.
제8도는 전류 레일에 삽입된 접속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전개도.
제10도는 낮아진 위치로 편심 아암을 갖는 접속장치의 접촉 및 로킹 바아의 상세도.
제11도는 그것의 직립된 위치로 편심 아암을 갖는 제10도와 대응하는 사시도.
제12a∼d도는 편심 아암이 접속장치의 미끄럼 덮개와 어떻게 상호 동작하는가를 보이는 네개의 다른 설명도.
제13도는, 위상선택 유닛이 제거된, 제3a도에서의 위상선택장치의 상세도.
제14도는 그것의 위상선택 유닛이 삽입된, 제13도와 동일한 개략도.
제15 및 16도는 미끄럼 덮개의 고착을 보이는 두개의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서믄에 상세히 정의된, 종류의 전류 레일(rail)과 상호 동작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러한 종류의 접속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스웨덴 특허 제8401925-6호를 볼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접속장치를 대략 C형 단면을 갖고 세로 구멍을 향해 그리고 전기 도체들이 배치된 내면상에 구부러져 있는 플랜지(flange)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류 레일에 배치된다. 상기 종래의 접속장치는 리스트(list)형 삽입부에 의해 상기 세로 구멍내의 임의의 장소에 삽입되고 접촉 핀들이 구비된 외부방향으로 회전하는 접촉부 및 로킹 바아(locking bar)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다. 이러한 이미 공지된 기술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종래의 접속장치는 제1도를 참고로 하여 다음에 기술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종래의 접속장치는 대체로 유리하고 만족하게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나,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첨부 및 제거된 것에 대해서 말하면, 상기 수단이 느슨한 부분들을 사용하지 않고, 한정된 재료의 소모로서 뿐만아니라 다수의 구성 부분의 복잡한 조합없이 빨리 간단하고 신뢰성있게 실행될 수 있도록 그와 같이 상기 종래의 접속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항 표시변화가 위상 선택과 같은 작업 동작과 동시에 이루어 질수 있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간단하고 엄격한 구조 및 낮은 생산가(生産價)의 조립가(組立價)를 갖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종류의 접속장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의 특징절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된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관한 다음 설명에 기술된다.
[발명의 최선 실시 형태]
제1도는 삽입부(16)뿐만아니라 접촉 및 로킹 바아(18)를 갖는 뒤부품(14)와 앞부분(12)을 갖는 셀(shell)(11)을 포함하는 종래의 접속장치(1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접속장치는 그것의 분할된 페이스부(face)(22)상의 세로 구멍을 통해 C-형 전류 레일(20)에 삽입된다. 절연재료로된 페이스 프로필(24)의 후부 또는 내부명에는 이중 주름판 프로필의 형태로 도체들의 거기에 매설하여 배치하고 있다. 전류 레일의 후부면은 예를 들어 벽 설치에 사용된 혹크형 돌출부들과 돌출홈에 수납된 접지 도체(28)들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접촉 및 로킹 바아는 여러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위상 접촉핀과 중성선 접촉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 및 로킹 바아는 미끄럼 덮개내의 구멍을 통해 삽입된 이동가능한 공구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미끄럼 덮개는 스위치. 바람직하게는 회로차단기와 동작한다. 상기 공구는 전류가 턴온(on)되지 않고 따라서 접속장치를 통해 아무런 전력도 차단되지 않을때만 삽입될 수 있다.
이제 제9도의 전개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를 주로 설명한다. 상기 접속장치가 그것의 조립된 상태로 보인 것이 제2∼8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속장치는 상기 종래의 접속장치와 대략 동일한 형을 가지며 그것의 주요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고부호가 사용된다. 접속장치(10)의 앞부분(12)에는 스위치(34), 바람직하게는 회로차단기와 동작하는 미끄럼 덮개(32)와 두개의 접지 단자 구멍(30)들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끄럼 덮개는 종래의 구성과 다르며, 그것은 상기 덮개의 이동방향(31)으로 뻗어 있는 홈(36)을 갖고 있다. 상기 홈(36)은 접촉 및 로및 바아(18)를 위해 편심을 갖는 작동아암(38)에 형성되어 있다.
앞부품(12)은 날카로운 부분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미끄럼덮개의 내부면상에 배치된 핀(41)들을 위해 설계된 세개의 관통홈(40)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핀들에 의해 상기 미끄럼 덮개가 풀어지지 않도록 앞부품에 고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부품은 제15도에 도시된 상기 미끄럼 덮개의 두 덮개 안내핀(43)들을 위한 작동 홈(42)을 가지고 있다. 상기 덮개 안내핀들은 스위치(34)의 스위칭 버튼(44)의 어느 한쪽상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하여 있고 그것과 동작하고, 그리하여 미끄럼 덮개 및 상기 스위칭 버튼이 함께 이동한다. 또한, 상기 앞부품은 작동 아암(38)용 동작 구멍(47), 접촉 및 로킹 바아의 축(48)용 관통 구멍(47)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 아암이 낮추어 질수 있는, 리세스(5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접속장치의 뒷부품은 위상 선택 장치 외함(54)와 공동(52)에 배치되는 유닛들을 위한, 여기에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 소수의 위치설정 돌출구를 갖는 공동(52)를 갖고 있다. 상기 유닛들은 전술한 스위치(34)와, 단자 구멍(30)들 아래에 배치된 플러그 접점 접속부(58)들을 갖는 두개의 접촉 레일(58)들과, 두개의 포우크(poke) 보호장치(60)들과 두개의 접지 접촉부(62)들이다. 접치 접촉부(62)들은 각개의 단자 구멍(30)에 배치된 접지 접촉부(64)와, 상기 공동의 바닥에 구멍(68)들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지 레일(55)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 레일들의 자유 단부들은 가로부(70) 및 접지 접촉핀(72)에 의해 종료한다.
뒷부품(14)와 삽입부(16)는 뒤부품과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plate)(74)와 캡(cap) 부(76)를 포함한다. 삽입부(16)에는 상기 접속장치를 각각 삽입 및 제거할때 접촉 및 로킹 바아(18)를 리세스 위치로 수납하도록 설계된 리세스(recess)(78)가 있다. 상기 캡부는 접촉 및 로킹 바아의 축(48)을 위하여 리세스(78)의 바닥에 관통구멍(82)을 가진다. 리세스(78)의 벽돌상에 또는 그 내부에 접촉 및 로킹 바아의 회전운동을 위하여 정지부재(91)가 바람직하게 상기 벽의 돌출 헤드들이나 비관통 리세스들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접촉 및 로킹 바아는 경사진 짧은 벽돌을 가질수 있고 상기 리세스의 벽들은 대응하는 경사형을 가질수 있다.
접지 접촉 레일(66)들은 플레이트(74)의 단부면을 그들의 가로부(70)들과 접촉시키고 이와같이 하여 그들의 삽입방향으로 고착된다. 삽입부의 단부면들이 새로운 개선된 전류 레일(20)상의 대응 세로홈(81)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세로 레일(80)들을 갖고 있는 것이 제3 및 8도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새로운 개선된 전류 레일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들은 제1도와 동일한 참고 부호로 나타내었다. 상기 전류 레일의 바닥은 매몰되고 비대칭적으로 위치된 접지 도체(28)와, 상기 전류 레일의 대칭면의 다른 쪽상에 동일한 거리에 안정장치인 유지 레일(83)을 가지고 있다. 접속장치를 상하로 삽입할때 접지 접촉핀(72)의 경로는 차단되고 따라서 잘못된 장착이 방지된다.
접촉 및 로킹 바아(18)과 그것의 축(48)과 작동 아암(38)은 제10도 및 제11도에 명백하게 도시되었다. 접촉 및 로킹 아암(18)은 상기 바아 아암들중 하나의 슬롯들에 배치된 세개의 상전선 접촉핀(84)들을 가지고 있다. 다른 바아 아암에는 중성선 접촉핀(86)이 배치되어 있고, 사실상 세개의 슬롯들중 하나에 임의의 형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아암상의 나머지 두 슬롯(88)들은 예비로 보유되고 원격 제어 및 원격 관리를 위해 예를 들어 도선들이 접속될때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접촉 및 로킹 바아는 삽입부의 상기 정지부재(19)를 그들의 리세스 위치에서 접촉시키는 그리고 그들의 개방된 위치에서 전류 레일에 대해 위치설정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돌출 헤드(91)들을 가지고 있다. 축(48)의 단부에서 편심을 구비하고 있는 작동아암(38)은 임의의 축 접속수단, 예를 들어 원추형 핀(9)에 의해 고착된다. 상기 작동 아암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든 상전선 접촉핀(84)는 축(48)을 통해 공통(52)에 이르는 구멍(96)밖으로 뻗어 있는 그것의 상전선(94)에 접속된다. 상기 상전선들은 그들 각각이 삽입 접촉부들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위상 선택장치(100)를 위해 그것의 삽입 접촉부(98)에 접속된 위상 선택장치 외함(54)으로 뻗어 있다. 그것의 작용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위상 선택장치는 단일 상전선(102)에 의해 스위치(34)에 접속된다. 거기서 부터 상기 상전선은 접촉 레일(56)들중 하나에 뻗어 있다.
중성 접지 접촉핀(86)은 축(48)의 중공 내부 및 구멍(96)을 통해 전류 레일(56)들중의 두번째까지 뻗어 있는 중성선(104)에 접속된다.
작동 아암(38)은 단부판(106)과,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는 아암부(108)과, 허리부(110)과, 전달부(11)와, 평형 안내평면을 구비하고 있는 축(48)의 축부(116)를 에워싸고 있는 두개의 편심판(114)들로 구성한다. 편심판(114)들은 상기 축(92)에 의해 축부(116)에 접속된다. 상기 편심판들은 각각 두개의 다른 접촉면(118) 및 (120)들을 갖는다. 상기 접촉면들은, 뒷부품(14)의 축(48)용 관통구멍인, 면(123), 예를 들어 동작 구멍(46)의 바닥이나 케이싱(122)의 단부면에 인접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리하여 그것의 접촉 위치면(92)은 면(118)보다 축으로부터 축(48)의 축방향으로 더 큰거리로 위치된다.
상기 작동아암의 기능과 그것의 미끄럼 덮개와의 상호 동작은 제12a∼d도에 도시된다. 제12a도에 있어서 상기 작동아암은 미끄럼 덮개(32)의 홈(36)에 그것의 리세스 위치로 있다. 편심판들의 접촉면(120)들은 가장 먼 위치, 동작 구멍의 접촉바닥(123)에 위치되었고 접촉 및 로킹 바아는 전류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그것의 접촉위치로 수축된다. 미끄럼 덮개(32)는 스위치의 작동위치로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미끄럼 덮개는 전달부(112)의 낮아진 앞면(124)과 단부판의 로킹 헤들(160)들을 덮는다. 이 위치에서 그것의 리세스 위치로 부터 작동아암(38)을 상승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촉 및 로킹 바아의 접촉핀을 전류 레일에서 그것의 각 도체들과 계합을 풀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12b도에 있어서 미끄럼 덮개(32)는 따로 잡아 당겨졌고 그리고나서 전류는 스위치(34)의 스위칭 버(44)상의 덮개 안내핀들의 영향때문에 차단되었으며 뒤이어 상기 작동아암은 상승되었다. 상기 축에 가까이 위치된 편심판들의 접촉면(118)들은 동작구멍의 바닥(123)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져 위치된다. 편심판(114)들의 상기 면들은 홈(36)의 면들을 접촉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작동아암(38)의 회전이 방지된다. 접촉 및 로킹 바아의 접촉핀은 여전히 각 전선들과 계합하여 있다. 제12c도에 있어서 상기 작동아암은, 축(92)에 가까운 접촉면(118)이 동작구멍의 바닥(123)과 접촉할때까지, 단부판(106)을 밀어서 그것의 하부 위치로 이동되었다. 허리부(110)는 이제 홈(36)과 동일한 레벨상에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허리부(110)는 작동아암(38)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위치에서 접촉 및 로킹 바아(18)의 접촉핀은 또한 전류 레일의 전선과의 계합을 풀고, 따라서 상기 접촉 및 로킹 바아는 상기 전류 레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이와같이, 이 위칭에서 아무것도 작동아암 따라서 축과 접촉 및 로킹 바아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12d도는 1/4회전한 후의 작동아암을 보이고 있다. 접촉 및 로킹 바아(18)는 이제 삽입부(16)에 수납되고 상기 접촉장치를 전류 레일밖이나 안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앞부분의 동작구멍(46)은 섹터(sector)형이다. 이 섹터의 측면(126)은 상기 작동아암의 편심판(114)들의 접촉면들이고 상기 작동아암의 최대 회전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최대 회전운동의 제한은 또한 허리부(110)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원형이고 접촉면들이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홈(36)에 대해 평면 접촉면을 가질 경우에 얻어질 수 있다. 이 회전운동의 제한은 바아의 개방 위치에서 접촉 및 로킹 바아와 동작하는 전류 레일상에 정지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사실상 전류레일에서의 임의의 장소에 접속장치를 접속하는것이 가능해야 한다. 한편, 앞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그것의 리세트 위치에서 접촉 및 로킹바아를 위해 대신 정지부재가 삽입부(116)와의 접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위상 선택을 위한 접속장치의 시스템은 주로 제3, 13 및 14도에 도시되었다. 위상 선택장치 외함(54)은 접속장치의 뒷면을 향해 개방된 그리고 위상 선택장치(100)를 수납하도록 설계된 공동(128)을 포함한다. 상기 공동은 바람직하게 위로 개방될 수있는 제거가능한 덮개(130)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공동의 바닥은 언급한 바와 같이 전선(94)들을 통해 그것의 상전선 접촉핀(84)에 각각 접속된 세개의 삽입 접촉부들을 내포한다.
위상선택장치(100)은 핸들(handle) 및 표시부(134)를 지지하는 대략 원통형 축 보디(132)를 포함한다. 상기 축보다는 그것의 한 단부에서 삽입 접촉부(98)들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각(角) 접촉핀(136)를 지지한다. 축 보디의 다른 단부로부터 전선(102)이 나와서, 그것에 의해 위상 선택장치가 스위치에 접속된다. 핸들 및 표시부(134)는 단부 위치된 훅크형 돌출부(138)을 가지며, 이 훅크형 돌출부는 각 접촉핀(136)을 에워싸고 그것을 핸들 및 표시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핸들 및 표시부(134)는 아암(140)을 가진다. 이 아암은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훅크형인 부분(142)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아암에 대해 가로로 배향된 리세스(144)를 갖고 있다. 상기 아암은, 그것의 훅크형 부분과 함께, 세개의 위상 표시 리세스(146)들중 하나에 수납되도록 설계하고, 리세스(144)는 각 위상 표시 리세스에 배치된 위치 유지 리스트(148)을 에워싼다.
핸들 및 표시부(134)는 예시된 예에서 축 보디(132)용 반(半)원통형 리세스들을 갖는 두개의 반편(半片)(150,152)으로 설계되었다. 반편(150,152)들은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반편들로 형성된 돌출부들 및 대응 리세스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및 표시부는, 가능한 훅크형 돌출부(138)를 제외하고, 절연재료로 만들어 진다. 적어도 아암(140)은 이 경우에 접속된 위상의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뒷부품과 다른색을 갖는다.
전선(102)은 위상선택장치 외함(54)으로부터 구멍(154)을 통해 도출한다.
위상선택장치의 작용은 제13 및 14도에 명백하게 도시되고, 덮개(130)은 간단화를 위해 생략되어 있다. 제13도에 있어서 위상선택장치(100)는 그것의 제거된 위치로 도시되었고, 아암(140)은 상승되어 있다. 접촉핀(136)은 이제 삽입 접촉부(98)들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이 완료되었을때, 상기 아암은 그것의 훅크형 부분(142)과 함께 대응하는 위상 표시 리세스(142)내로 낮아 진다. 그리고 나서 리세스(144)와 위치유지 리세스(148)는 아암(140)을 유지하고 따라서 모든 위상선택장치를 접속장치의 뒷부품(14)에 대해 유지한다. 위상선택장치의 도전성 접촉핀(136)은, 이와같이 하여, 그것의 위치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손상되지 않으며 상기 뒷부품을 벗어나서 돌출하는 아암의 부분(156)에의 외부 손상으로 인해 위상선택장치 외함(54)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접촉핀(136)과 아암(140) 사이의 거리는 훅크형 돌출부(138)에 의해 결정되고, 축보디의 축방향으로 그들 사이의 거리는 삽입 접촉부(98)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상 표시 리세스(146)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위상선택장치가 그것의 삽입위치에 있고 아암이 리세스 되었을때, 모든 핸들 및 표시부(142)는, 훅크형 부분(142)을 제외하고, 뒷부품의 평면아래에 위치된다. 덮개(130)는 이제 그것을 뒷부품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닫혀진다. 그러나, 다른 구성부품들은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덮개내에서 위상선택장치를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위상선택이 변경되도록 할때, 상기 접속장치는 상기 위상선택장치가 전류 레일에 대해 선회된 접속장치의 뒷면상에 접근하기 어렵게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전류 레일로부터 먼저 제거되어야 한다. 이어서, 덮개(130)는 개방되고 그리고나서 아암(140)은 풀업(pull up)운동을 개시하도록 레버로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아암은 제13도에 도시된 그것의 위치로 풀업되고 접촉핀이 다른 삽입 접촉부(98)로 삽입될때 접촉핀(136)을 철수하도록 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아암은 대응 위상 표시 리세스(146)에 수납되고 덮개는 닫혀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 덮개(32)는 앞부품(12)의 리세스(158)에 배치된다. 물론 작동 아암(38)을 제외하고 어떠한 리세스도 없이 미끄럼 덮개(32)를 배치하는 것이 실행가능하다. 앞부품에서의 미끄럼 덮개의 조정 및 고착도 물론 다른 방식으로, 예를들어 각종 안내 리스트들이나 홈들과 상기 미끄럼 덮개의 측면 에지들에서 돌출 리스트들로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치(34)의 스위칭 버튼(44)은 덮개 안내 핀들에 의해서 보다 다른 방식으로 미끄럼 덮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예를들어 스위칭 버튼을 미끄럼 덮개내의 리세스내에 삽입함에 의해 또는 그것이, 그것의 선회시 상기 미끄럼 덮개에 그 운동을 전달하는, 변위가능한 운동전달장치에 영향을 줌에 의해 가능하다.
작동 아암의 단부판(106)은 바람직하게 그것의 대략 사각형 아암부(106)보다 더 넓고 접촉면(160)들을 갖는다. 상기 접촉면들은 상기 덮개가 그것의 커버링(covering) 위치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전류가 턴온되었을때 미끄럼 덮개(32)에 의해 덮혀진다. 상기 접촉면들은 상기 미끄럼 덮개가 그것의 커버링 위치에 있을때 상기 작동 아암을 위로 선회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접속장치는, 작동 아암이 풀업될때, 기계적으로 접촉 및 로킹 바아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리하여 전류 레일의 전선들과 결합하지 않고 그것의 상전선핀(84) 및 중성선핀(86)을 잡아당기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복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귀 부재의 예들은 각각 접촉 로킹 바아(18)과 뒷 부품(14)과 삽입부(14)사이의 축(48)둘레에 배치된 풀백(pull back) 스프링(162)[제12d도]이다. 이러한 스프링은, 변형예로서, 케이싱(122)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복귀 부재는 접촉면(123)의 대향하는 접촉면상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레버(lever)장치들이나 편심장치들이다. 이러한 레버 장치들의 예들은 제12c 및 12d도에만 도시된 미끄럼 노브(knob)(164)이다. 그것은 하나의 편심판(114)로부터 돌출하여 미끄럼 덮개의 내면에 인접해 있다. 조립때문에 앞부품(12)의 안내홈들에 옆으로 미끄럼 덮개(32)를 삽입하는 것이 조립중 가능해야 한다. 미끄럼 덮개의 장착에 이어서 그것의 이동을 탄성 로킹 이동 제한장치나 뒤에 장치된 정지 부재에 의해 제한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는 작동 아암(38)용 홈(36)을 갖는 미끄럼 덮개(32) 대신에, 스위치(34)와 상호 동작하고 스위치의 스위칭 온 위치로 각각 면(124)와 (160)들을 로킹 커버방식으로 접촉시키는, 다른 방식으로 설계된 유지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8도에 예시된 개선된 전류 레일(20)은 홈(81)들의 각 면상에 약한 전달 신호들을 위해 통신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선들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그것들에 적합한 접속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80)의 긴쪽상에 비치된, 상기 장치의 꼭대기나 부분적으로 매립된 접촉선들상에 배치된 판금속의 접촉부재(도시안됨)를 구비하고 있다. 전류를, 약한 전류장치에 접속된,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전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전류 레일의 전선들로부터 도출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감압용 변압기들 및/또는 정류기들이 장치의 내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회로들이 약전류형 접속장치에, 바람직하게는 삽입부(16)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 예에서 접속장치는 홈(81)내의 통신선들에 접속되도록 통신 장비용 콘센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신규의 전류 레일(20)은, 그것의 뒷면에, 세로 박스(85)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박스에는, 접속장치(10)에 관계없이 동축 케이블이나 데이터 버스와 같은 도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류 레일의 세로 구멍을 통해 이들 독립 도선들을 배치하는 것은 장비에의 접속이나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해 어떠한 장애물 없이 정지를 위한 전류 레일이 접속장치에 접근가능한 동안 특정 영역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류 레일(20)과 상호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구멍(30)을 갖는 보디(12,14)를 구비한 셀(11)과, 하나의 삽입부(16)와, 풀-인(pull in) 및 풀-아웃(pull out)될 수 있는 그리고 상전선 접촉핀(84)들 및 중성선 접촉핀(86)들을 갖는 접촉 및 로킹 바아(18)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및 로킹 바아(18)가 그것의 풀-아웃 위치에서 상기 전류 레일(20)의 앞면(22)의 내면 또는 뒷면에 대해 수축될 수 있고, 그리하여 상기 접촉핀(84,86)들이 전류 레일(20)에 각각 배치된 상 및 중성선을 결합하는 접속장치(10)에 있어서, 접촉 및 로킹 바아(18)의 회전 및 왕복운동이 축(48)의 둘레에 선회(旋回)가능하게 배치되고 편심체를 갖는 작동 아암(38)에 의해 달성되도록 설계되고, 전류 레일의 앞면(22)을 향한 접촉 및 로킹 바아(18)의 운동이 고정 셀부(면 123)상의 편심체(114)의 영향으로 인해 달성되고, 반대방향으로의 그것의 운동이 수동 변위 및/또는 상호 동작 스프링 또는 기계적 장치, 예를들어 다른 부분과 상호 동작하는 상기 제1편심체부에 의해 가능하게 연관된 하나 또는 수개의 편심체나 레버에 의해 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편심체를 구비하고 있는 작동 아암(38)이, 바람직하게는 홈(36,50)에서, 풀-다운(pull down)될 수 있고, 상기 접촉 및 로킹 바아(18)는 상기 작동 아암이 그것의 풀-다운 위치에 있을때 전류 레일의 전선들을 결합하는 상전선 접촉핀(84)과 중성선 접촉핀(86)과 함께 전류 레일(20)의 앞면(22)의 내면 또는 뒷면에 인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편심체를 갖는 상기 작동 아암이 접속장치에 배치된 스위치(34)와 상호 동작하는 고착부재(32)에 의해 로킹되고 커버링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고착부재(32)가 상기 작동 아암(36)을 로킹하는 그것의 커버링 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그것의 스위칭 온 위치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사이 고착부재가 미끄럼 덮개(32)이며, 작동 아암(38)용 상기 홈(36)이 미끄럼 덮개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미끄럼 덮개의 운동방향으로 뻗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아암(38)은 평행한 측면들을 갖는 부분(112,114)들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더 작은 단면을 갖는 허리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평행한 측면들은, 작동 아암(38)이 그것의 풀-업 위치에 있고 접촉 및 로킹 바아(18)가 전류 레일(20)을 결합하고 있을때, 선회(旋回)방지 방식으로 상기 홈(36,50)상에 상기 측벽들을 인접하고, 상기 작동 아암(38)이 풀-업되고 접촉 및 로킹 바아(18)가 전류 레일(20)에서 그것의 삽입위치로부터 이탈되고 허리부가 미끄럼 덮개(32) 및/또는 앞부품(12)의 상기 홈(36,50)상의 측벽들과 동일한 높이일때, 상기 작동 아암(38)과 따라서 접촉 및 로킹 바아(18)은 자유로이 선회가능하고, 한편 홈(36,50)의 측벽들이 작동 아암의 상기 허리부(110)로 형성된 슬릿내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및 로킹 바아(18)의 풀-아웃 고착위치와 삽입부에서 풀-인 이탈 및 제거위치의 제한부재 각각, 예를들어 접촉면(36,50,126)들이 상기 고착부재(32) 및 앞부품(12)상에서 작동 아암과 상호 동작하고 접촉부재(91)가 삽입부(16)상에서 접촉 및 로킹 바아와 상호동작하며 거리 결정부재(90)가 전류 레일(10)에 대해 전류 및 로킹 바아(18)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위상선택장치(100)가 전류 레일(20)의 3상중 단지 하나와 상기 스위치(34)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구멍(30) 사이에 전기 접속을 가져오고, 위상선택장치 외함(54)이 접속장치의 보디(12,14)에 배치되고 각 상에 대한 세개의 삽입 접촉부(98)들을 가지며, 위상선택장치(100)가 접촉핀(136)과 접속장치의 스위치에 접속된 출력도선(102)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선회가능한 위상선택아암(140)이 세개의 위상 표시 리세스(146)들중 임의의 하나에 풀-다운될 수 있고 외측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돌출부(156)를 가지고 있고, 위상선택 아암이 바람직하게 각개의 위상 표시 리세스(146)에 배치된 위치 고정 리스트(148) 둘레를 위치고정방식으로 계합하고 있도록 설계된 리세스(14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위상선택장치 외함이, 전류 레일(20)을 결합하도록 설계된, 접속장치의 뒷면과 대면하고 있고 바람직하게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삽입 접촉부(98)들의 각각의 도선(94)들을 통해 접촉 및 로킹 바아의 특정 상전선 접촉핀(84)에 접속되고, 그리하여 균일한 위상 표시가 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위상선택장치(100)의 위상선택아암(140)이 그것의 접촉핀(136)으로부터 일정한 축방향의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축방향의 거리는 각 상접속 및 삽입 접촉부(98)와 대응 위상 표시 리세스 사이의 축방향의 거리와 대응하고, 위상선택장치는 각(角) 접촉핀(136)을 갖는 축 보디(132)뿐만 아니라 접촉핀(136)을 에워싸는 훅크형 리세스(138) 및 위상선택아암(140)을 갖는 핸들 및 표시부(13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KR1019880700943A 1986-12-08 1987-12-02 접속장치 KR950010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605247A SE452530B (sv) 1986-12-08 1986-12-08 Anslutningsdon
SE8605247-9 1986-12-08
PCT/SE1987/000572 WO1988004485A1 (en) 1986-12-08 1987-12-02 Conn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278A KR890700278A (ko) 1989-03-11
KR950010182B1 true KR950010182B1 (ko) 1995-09-11

Family

ID=2036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943A KR950010182B1 (ko) 1986-12-08 1987-12-02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968262A (ko)
EP (1) EP0338001B1 (ko)
JP (1) JPH084025B2 (ko)
KR (1) KR950010182B1 (ko)
AT (1) ATE91049T1 (ko)
AU (1) AU609081B2 (ko)
CA (1) CA1317993C (ko)
DE (1) DE3786353T2 (ko)
DK (1) DK169009B1 (ko)
FI (1) FI91927C (ko)
NO (1) NO172316C (ko)
SE (1) SE452530B (ko)
WO (1) WO1988004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0647D0 (en) * 1991-01-11 1991-02-27 Ashley & Rock Ltd Busbar connector
EP0520790A3 (en) * 1991-06-27 1993-01-27 Electrak International Limited Multi-conducto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5855485A (en) * 1997-01-16 1999-01-05 Patti; Anthony G. Multiple track adapter for track lighting systems
US6948962B1 (en) * 2004-05-18 2005-09-27 Innotec Flexible jumper receptacle
US7397384B1 (en) * 2005-02-11 2008-07-08 Genlyte Thomas Group, Llc Track lighting system current limiting device
US20080014163A1 (en) * 2006-07-14 2008-01-17 Stacey Leigh Grabiner Protective Applicator, Composition, and Method
US7507005B1 (en) 2007-01-30 2009-03-24 Genlyte Thomas Group Llc Sliding flexible track lighting
US7520763B1 (en) 2007-06-29 2009-04-21 Genlyte Thomas Group Llc Track lighting system with dependent lamp cord
US7758358B1 (en) 2008-05-05 2010-07-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ck lighting assembly
DE102015122653A1 (de) * 2015-12-22 2017-06-22 apure holding llc Stromschiene, Abnehmer, Verwendung eines solchen Abnehmers, Stromübertragungsvorrichtung und Gebäudeelement
US10690329B2 (en) * 2017-01-05 2020-06-23 Modulex Inc. Power supply box device
DE102019000410B4 (de) * 2019-01-22 2022-12-08 Paulmann Licht Gmbh Leuchte und Adapter für Leuch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7940A1 (de) * 1969-05-31 1971-06-03 Hoffmeister & Sohn In die OEffnung einer etwa U-foermigen,mehrere blanke Leiter aufweisenden Stromschiene einsetzbarer Stromabnehmer (Adapter) mit einer in der Laengsrichtung der Stromschiene verlaufenden Steuerwelle zur Beeinflussung der Kontakt- und Verriegelungsfedern
DE2104274A1 (de) * 1970-02-03 1971-08-12 Nokia Oy Ab Anschlußstecker
FR2210032A1 (ko) * 1972-12-07 1974-07-05 Soquenne Maurice
FI49658C (fi) * 1974-01-31 1975-08-11 Ahlstroem Oy Valintalaitteella varustettu virranottolaite kosketinkiskoa varten.
FI65874C (fi) * 1976-11-19 1984-07-10 Lita Elmatninganordning
EP0007757B1 (en) * 1978-07-21 1983-11-09 Electrak International Limited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DE3013004C2 (de) * 1980-04-03 1983-06-09 Guralux Leuchten GmbH, 5860 Iserlohn Elektrisches Verbindungsstück
DE3025913A1 (de) * 1980-07-09 1982-02-04 Hans Leopold 6257 Hünfelden Schneider Installations-kontakt-funktionssystem fuer schwachstrom und starkstrom sowie fuer fernmelde und antennenanlagen
GB2113021B (en) * 1981-12-17 1985-10-02 Harald Widell Electrical collector rail with connectable adapter
SE441557B (sv) * 1984-04-06 1985-10-14 Harald Widell Anslutningsdon
EP0235206A1 (en) * 1985-09-05 1987-09-09 Barrier Shelf Co. (No. 27) Pty. Ltd. Electrical supply rai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8001B1 (en) 1993-06-23
FI91927B (fi) 1994-05-13
ATE91049T1 (de) 1993-07-15
SE452530B (sv) 1987-11-30
KR890700278A (ko) 1989-03-11
EP0338001A1 (en) 1989-10-25
WO1988004485A1 (en) 1988-06-16
AU1044888A (en) 1988-06-30
NO883510L (no) 1988-08-08
FI892809A (fi) 1989-06-08
DK423688A (da) 1988-07-29
NO172316B (no) 1993-03-22
DK423688D0 (da) 1988-07-29
JPH02501100A (ja) 1990-04-12
JPH084025B2 (ja) 1996-01-17
CA1317993C (en) 1993-05-18
FI892809A0 (fi) 1989-06-08
US4968262A (en) 1990-11-06
NO172316C (no) 1993-06-30
FI91927C (fi) 1994-08-25
DE3786353D1 (de) 1993-07-29
AU609081B2 (en) 1991-04-26
NO883510D0 (no) 1988-08-08
DE3786353T2 (de) 1993-12-02
DK169009B1 (da) 1994-07-25
SE8605247D0 (sv) 198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182B1 (ko) 접속장치
CA1319732C (en) Drawout and interlock assembly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EP0138429A2 (en) Circuit interrupter
AU2022279544B2 (en) Universal tap-off box
JP4387023B2 (ja) 電気的開閉装置とケーブル式連動装置とを備えた設備
EP1227557B1 (en) A drawing apparatus for a drawer type electrical machinery
WO2001063700A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reventing unauthorized use
PL198343B1 (pl) Płytka krzywkowa do wyciąganego mechanizmu, wyciągany mechanizm do poruszania wtyczkowego wyłącznika i wtyczkowy wyłącznik
EP3193418A1 (en) Draw out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US6042399A (en) Power take-off adapter for a track
CA1068362A (en) Electrical device with retractable grounding pin and indicating means
EP2889964B1 (en) Spring connection terminal with actuation lever
JP4316091B2 (ja) 電子式トリップ装置
US4697860A (en) Insulator system for switch terminals
KR20030022908A (ko)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CN215377296U (zh) 一种电动闸刀
CN115831635B (zh) 柜外操作手柄及电控柜
KR200257851Y1 (ko)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CN210074319U (zh) 插座
CN114830279A (zh) 用于电气开关的机构、相关联的电气组件和电气开关
JPS6035159Y2 (ja) 漏電ブレ−カ
KR200353534Y1 (ko) 퓨즈타입 플러그 차단기
KR810001095Y1 (ko)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JPH0231850Y2 (ko)
KR200341344Y1 (ko) 회로차단기의 보조핸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