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128B1 -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128B1
KR950010128B1 KR1019930014421A KR930014421A KR950010128B1 KR 950010128 B1 KR950010128 B1 KR 950010128B1 KR 1019930014421 A KR1019930014421 A KR 1019930014421A KR 930014421 A KR930014421 A KR 930014421A KR 950010128 B1 KR950010128 B1 KR 95001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nner cylinder
detecting
ke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96A (ko
Inventor
박명규
최창흔
Original Assignee
박명규
최창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규, 최창흔 filed Critical 박명규
Priority to KR101993001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128B1/ko
Publication of KR95000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의 분해사시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로서,
제2a도 및 b도는 열쇠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도면이고,
제3a도 및 b도는 제규격에 맞는 열쇠를 삽입시킨 상태를 보인도면이며,
제4도는 유사키가 삽입되는 경우를 보인 도면이고,
제5a도는 잠김/해제 검출장치의 검출동작이 아닌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제5b도는 잠김/해제 검출장치의 잠김/해제 검출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제6a도는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이용한 방범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쇠 20 : 내통
30 : 작동편 40 : 외통
50 :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 60 : 키 삽입 검출장치
70 : 잠김/해지 검출장치 110 : 홀드 스위치
120 : 홀드 제어부 130 : 방범규제검출부
140 : 경보부
본 발명은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물쇠의 잠김/해제상태, 열쇠의 삽입여부 및 제규격이 아닌 다른 열쇠의 삽입여부를 각각 검출하여 이를 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용 자물쇠, 특수금고용 자물쇠 등에 적당하도록 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용되어온 일반적인 실린더형 자물쇠는, 외통과 내통에 서로 일치하는 수개의 통공을 뚫고 그 통공내에 작동편과 돌출편을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하고, 자물쇠가 괘정된 상태에서는 작동편이 내통과 외통에 걸쳐 끼워져서 내통의 회전을 제어하며, 내통에 형성된 열쇠 삽입구에 제 규격의 열쇠를 끼우면 작동편이 열쇠에 의해 내통이 회전가능한 위치로 정렬되고, 이때 열쇠를 회전시키면 내통이 함께 회전되면서 해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실런더형 자물쇠는 단지 작동편의 정렬상태에 의거해서 자물쇠가 잠김 또는 해재되기 때문에 제규격의 열쇠가 아닌 유사한 규격의 열쇠나, 철사등 기타 다른 이물체를 열쇄 삽입구에 삽입시켜 작동편을 알맞는 위치로 이동시켜 주기만 하면 자물쇠가 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실린더형 자물쇠의 단순기능을 개선하고자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36341호””실린더정의 안전장치”에 의하면, 제규격의 열쇠가 아닌 다른 열쇠나 기타 유사물체를 삽입했을때 접점이 동작되어 경보를 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비록 작동편이 회전위치로 정렬되어 있다 하더라도 내통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인바, 이는 유사열쇠 삽입만을 검출하여 이를 응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도난 방지등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 해지면서, 이러한 유사열쇠 삽입을 검출하여 이를 응용하는 기능 이외에 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자물쇠의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래의 자물쇠 기능이외에 다양한 접점작동을 제공하여 별도의 검출기기나 보턴등 스위치를 사용치 않고서도 방범 및 안전장치의 검출장치로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게 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규격이 아닌 다른 열쇠의 삽입여부를 검출하는 기능 이외에 자물쇠의 잠김/해제상태 및 열쇠의 삽입여부를 각각 검출하여 응용할 수 있게 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잠김상태에 두었을때, 유사열쇠를 삽입하거나, 도어를 강제로 열거나 또는 기타 방지하고자하는 동작이 강제로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경보함과 아울러 필요한 규제동작을 수행케 할 수 있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이용한 방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양측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외통과, 그 외통내에 내통이 끼워지며, 그 내통의 다수개의 슬롯홈에 다수개의 작동편이 상기 외통의 공간부내로 탄력지지되게 삽입되고, 제규격의 열쇠에 의해 그 작동편이 정렬되어 그 외통내에서 내통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실린더형 자물쇠에 있어서, 유사키가 삽입되는지를 검출하는 유사키 삽입검출수단과, 자물쇠의 잠김 및 해제를 각각 검출하는 잠김/해제 검출수단과, 자물쇠에 열쇠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키 삽입검출수단을 포함시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구성하고, 시동 전원단자(1GN)와 방범장치의 홀드단자(H)를 선택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홀드스위치와, 상기 다기능 자물쇠의 잠김/해제 감출장치의 잠김 검출접점과 해제 검출접점을 통해 홀드 릴레이를 각각 온/오프 트리거시켜 잠금시에 상기 홀드스위치를 홀드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드제어수단과, 상기 홀드스위치가 홀드위위치에 있을때 상기 다기능 자물쇠의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의 접점 또는 도어스위치의 접점 또는 기타 전기장치의 사용여부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의 접점등을 통해 방범규제를 위한 동작을 검출하는 방범규제 검출수단과, 그 방범규제 검출수단을 통해 방범규제 동작기 검출되면, 부저 및 경보램프를 온시켜 경보하는 경보수단으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이용한 방범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자물쇠의 접점을 이용한 방범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의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양측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외통(40)과 다수개의 슬롯홈(2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그 슬롯홈(22)에 다수개의 작동편(30)이 상기 외통(40)의 공간부내로 탄력지지되게 삽입되어 그 외통(40)내에 끼워지는 내통(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통(20)은, 내부에 열쇠(1) 삽입홈(21)이 형성되고, 내통(20) 몸통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슬롯홈(22)이 형성되며, 그 슬롯홈(22)은 내부에서 막혀있는 스프링 삽입실(22a)이 몸통의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엇갈리게 교대로 슬롯홈(2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삽입실(22a)의 각각 스프링(33)이 삽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편(30)에는 중앙에 열쇠(1) 삽입홈(31)이 각각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며, 그 작동편(30)의 일측에는 스프링 검림돌기(32)가 형성되고, 그 복수개의 작동편(30)이 내통(20)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슬롯홈(22)에 서로 엇갈리게 삽입되어 각각 상기 스프링(33)에 의해 상기 외통(40)의 공간부측으로 탄력지지 된다.
그러나, 상기 내통(20)의 하단부에는 소정형상의 잠김쇠(81)가 끼워지고, 그 후단에 고정판(82)이 끼워져서 나사(83)에 의해 상기 내통(20)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잠김쇠(81)에는 소정의 가이드홈(8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82)에는 가이드홈(81)에 끼워지는 가이드봉(82)이 돌설되어 상기 내통(20)이 회동될때 상기 가이드봉(82)이 상기 가이드홈(81a)을 따라 회동되어 그 가이드홈(81a)의 양단부에서 상기 잠김쇠(81)를 회동시킴으로써, 자물쇠의 잠김/해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린더형 자물쇠에 있어서, 유사키가 삽입되는지를 검출하는 유사키 삽입검출장치(50)와, 자물쇠에 열쇠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키 삽입검출장치(60)와, 자물쇠의 잠김 및 해제를 검출하는 잠김/해제 검출장치(70)를 포함시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구성하는데, 상기 유사키 삽입검출장치(50)는, 상기 외통(40)의 공간부벽에 통공(51)이 형성되고, 그 통공(51)내에 스프링(53)에 의해 공간부측으로 탄력지지되는 가동핀(52)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53)이 중간에서 걸리고 상기 가동핀(52)이 두껑까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고정하우징(54)에 상기 스프링(53) 및 상기 가동핀(52)이 끼워져서 그 고정하우징(54)이 상기 통공(51)에 나사결합 된다. 상기 고정하우징(54)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그의 뚜껑에는 외부로 인출되는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판(55)이 부착되어 상기 가동핀(52)의 접촉에 의해 온되는 접점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핀(52)은, 그 가동핀(52)의 반대 방향으로 탄력지지되게 내통(20)의 슬롯홈에 끼워진 하나의 작동편(3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와 상기 고정하우징(54) 뚜껑의 도전판(55)에 접촉되게 되어 있다. 즉, 유사키가 삽입되어 상기 작동편이 역방향으로 밀려나오면, 그 작동편이 상기 가동핀(52)을 외측으로 밀어주어 상기 도전판(55)에 접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자물쇠에 열쇠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키 삽입검출장치(60), 상기 외통(40)의 공간부벽에 통공(61)이 형성되고, 그 통공(61)에 절연체로 이루어진 고정하우징(63)이 나사결합되며, 그 고정하우징(63)내에는 탄성도전편(62)이 고정되어 외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탄성도전편(62)은 상기 내통(20)의 슬롯홈에 끼워져서 그 키 삽입검출장치측으로 탄력지지된 하나의 작동편과 접촉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물쇠의 잠김 및 해제를 검출하는 잠김/해제 검출장치(70)는, 서로대응되는 위치에 두개를 설치하여 구성하는데, 외통(40)의 공간부가 아닌 소정부위에 통공(71)을 형성하고, 자물쇠의 잠김위치에서 그 외통(40)의 통공(71)과 일치되는 요홈을 내통(20)의 표면에 형성하고, 절연체로 이루어진 고정하우징(75)이 상기 외통(40)의 통공(71)에 나사결합되고, 그 고정하우징(75)의 바닥면에 작은 통공(75a)이 형성되며, 이 작은 통공(75a)에 의해 둘로 분리되는 도전편(77)이 몸체의 외측으로 돌설되어 도선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형성하며, 그 고정하우징(75)의 작은 통공(75a)에는 통과가 가능한 볼(72)이 끼워지고, 고정하우징(75)의 내부에는 상기 볼(72)이 상기 내통(20)의 요홈에 일치될때 상기 바닥면의 도전편(7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도전핀(73)이 끼워지고, 그 도전핀(73)은 스프링(74)에 의해 탄지되며, 그 스프링(74)은 고정하우징(75)의 뚜껑(70)에 의해 지지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 잠김/해제 검출장치(70)는 잠김위치를 검출하는 잠김 검출장치 및 해제위치를 검출하는 해제 검출장치를 한조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을 선택적으로 복수개씩 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면의 미설명부호 10은 내통 캡이고, 11통은 내통 캡의 열쇠 삽입홈이며, 12는 탄성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자물쇠는, 열쇠를 삽입하지 않은 평소에는 제2a도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30)이 스프링(33)에 의해 각각 삽입된 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외통(40)의 공간부 내벽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50)은 내통(20)에 삽입된 작동편(20)이 스프링(33)에 의해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50)의 반대편으로 탄력지지되어 있고, 가동핀(52)의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으므로, 도전판(55)과 떨어져 있어서, 유사열쇠 삽입 검출장치의 접점은 오프상태이다.
또, 키 삽입 검출장치(60)는 내통(20)에 삽입된 작동편(30)이 스프링(33)에 의해 그 키 삽입 검출장치(60)측으로 탄력지지되어 키삽입 검출장치(60)의 탄지편(62)과 접촉된 상태로 키가 삽입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점점 온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규격에 맞는 열쇠(1)를 삽입시킨 경우에는, 제3a도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1)가 내통(20)내의 작동편(30)들의 열쇠 삽입홈(31)에 끼워져서 그 작동편(30)들을 정렬시키게 된다. 즉, 열쇠(1)의 양측 요철면에 의해 각 자동편(30)들이 정해진 위치로 당겨져서 각 작동편(30)이 내통(20)의 일측 및 타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통(20)과 일치되게 정렬된다.
이에따라 열쇠(1)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내통(20)이 회전될 수 있게 되고, 내통(20)이 회전되면, 그 내통(20)에 나사결합된 고정판(82)이 같이 회전되고, 그 고정판(82)의 가이드봉(82a)이 잠김쇠(81)의 가이드홈(81a)을 따라 이동되다가 가이드홈(82a)단부에 걸려서 잠김쇠(81)를 함께 회전시킨다. 즉, 소정각도 동안내통(20)과 고정판(82)만이 회전되고, 더회전시키면, 잠김쇠(81)가 회전되어 자물쇠의 잠김 또는 해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규격의 열쇠(1)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유사키 삽입검출장치(50)가 오프상태이고, 키 삽입 검출장치(60)도 오프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유사키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키(1')에 작동편(30)이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50)의 가동핀(52)을 밀게 되고, 그 가동핀(52)이 도전핀(55)에 접촉되어 접점 온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키 삽입 검출장치(60)는 오프상태가 유지된다. 즉,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50)는 유사키에 의해 해당되는 작동편(30)이 역방향으로 돌출되어 접점이 온되고, 키 삽입 검출장치(60)는 작동편(30)이 정렬되는 방향으로 들어가게 되어 접점이 오프된다.
한편, 상기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는,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36341호”“실린더정의안전장치”에서 제안한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 이는 유사키(1')에 의해 특정한 작동편이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50)의 가동편(52)을 밀어야만 유사키 삽입임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가동핀(52)과 대응된 작동편이 상기 가도핀(52)을 밀지 못한다면, 그 가동핀(52)이 작동되지 않아 유사키 삽입임을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유사키 검출장치를 구비시켜도 대부분의 경우에 유사키 삽입임을 검출할 수 있으나, 상기 가동핀(52)을 작동시키는 작동편을 정렬시키거나, 또는 내통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하지만 않는다면, 유사키 삽입검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즉시 경보등 다른 조처를 취할 수 없게 된다.
이에따라 유사키 및 기타 철사등을 이용하여 자물쇠를 강제로 열려고 하는 경우에 좀더 확실하게 이를 놓치지 않고 즉시 검출하여 경보등을 행할 수 있도록 좀더 개선된 유사키 삽입검출장치를 다른 실시예로 구성하였다.
그 개선된 유사키 삽입검출장치는, 제6a도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40)의 공간부 일측을 연장시킨 소정 크기의 확대 공간부(151)가 형성되고, 그 확대 공간부(151)내에 외통(40)의 외부로 통하는 도선(155)을 절연시키는 절연하우징(152)이 삽입고정되며, 그 절연하우징(152)내에 정렬되지 못한 하나 또는 두개의 작동편이 회전되는 것을 제동하는 하나 또는 두개의 걸림부(15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5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정렬되지 않고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작동편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공통도전편(154)이 상기 절연하우징(152)내에 삽입설치되고, 그 공통 도전편(154)이 상기 도선(1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절연하우징(152)에 의해 상기 외통(40)과 절연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대공간부(151)는, 좌우측 공간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에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자물쇠를 열고자하는 방향으로 내통(20)이 회전될때 접하도록 대각방향에 각각 형성하여 각각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를 구성하고, 이들의 도선을 공통연결한다. 즉, 자물쇠를 강제로 열고자 하는 경우에만 유사키 삽입 검출을 하게 한다.
이에따라 상기 걸림부(153)에 걸리는 작동편을 정렬시키지 않는한 내통(20)은 회전되지 않고, 그 걸림부(153)에 걸리는 작동편이 정렬되고, 나머지 작동편중 어느하나라도 정렬되지 않은 작동편이 있는 경우에는 약간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그 정렬되지 못한 작동편과 상기 공통도전편(154)이 접촉됨과 아울러 작동편이 제동되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일부 작동편만을 정렬시킨 상태로 회전시키면 약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공통 도전편(154)과 작동편이 접촉되므로, 제규격의 열쇠가 아닌 다른 유사 또는 철사등으로 강제로 자물쇠를 열려함을 검출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경보 내지는 다른 안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물쇠를 제규격의 열쇠가 아닌 것으로 열려할때는, 내통의 회전을 계속 시도하면서 다수개의 작동편을 차례로 맞추고, 제규격이 아닌 다른 유사 키등으로는 한번에 모든 작동편을 정렬시킬 수는 없는 것이므로, 일부의 작동편이 정렬되었을때 회전을 시도하게 되면 반드시 유사키 삽입검출이 이루어진다. 물론, 모든 작동편이 정렬되었을때는, 상기 공통도전편에 작동편이 접촉되지 않고, 내통(20)이 회전된다.
그리고, 자물쇠의 잠김/해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잠김/해제검출장치(70)는, 제규격의 열쇠(1)를 삽입하여 내통(20)을 돌리게 되면, 일정각도 동안 내통(20) 및 고정판(82)만 회전되다가 잠김쇠(81)를 회전시켜 자물쇠의 잠김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내통(20)이 잠김 완료 위치까지 회전되면, 그 내통(20)의 표면에 형성된 요홈에 잠김/해제 검출장치(70)의 볼(72)이 일치된다. 이에따라 볼(72)이 내통(20)측으로 밀려들어가므로, 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 도전핀(73)이 도전편(77)에 접촉되어 그 도전편(7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즉,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김 또는 해제완료 위치가 아닌 위치에도 내통(20)의 요홈과 외통(40)에 고정된 잠김/해제 검출장치(70)의 볼(72)이 일치되지 않으므로, 그 볼(72)이 내통(20)의 표면에 의해 도전핀(73)을 밖으로 밀고있기 때문에 도전편(77)은 서로 단선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후, 내통(20)을 돌려서 잠김 또는 해제시킬 때에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통(20)의 요흠과 상기 볼(72)이 일치되어 가동핀(73)이 도전편(77)이 접촉되면서 둘로 분리된 도전편(7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자물쇠에 의하면, 잠금 완료 및 해제 완료를 검출할 수 있고, 키의 삽입 유무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유사키나 기타 철사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자물쇠를 열고자 하는 경우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유사키나 기타 철사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자물쇠를 열고자 하는 경우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안전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의한 다기능 자물쇠를 이용한 방범장치의 회로도로서, 시동 전원단자(IGN)와 방범장치의 홀드단자(H)를 선택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홀드스위치(110)와, 상기 다기능 자물쇠의 잠김/해제 검출장치의잠김 검출접점(SW1)과 해제 검출접점(SW2)를 통해 홀드릴레이(121)를 각각 온/오프 트리거시켜 잠금시에 홀드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드제어부(120)와, 상기 홀드스위치(110)가 홀드위치에 있을때 상기 다기능 자물쇠의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의 접점(AL2) 또는 도어스위치의 접점(AL1) 또는 기타 전기장치의 사용여부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의 접점(131)등을 통해 방범규제를 위한 동작을 검출하는 방범규제 검출부(130)와, 그 방범규제 검출부(130)를 통해 방범규제 동작이 검출되면, 부저(141) 및 경보램프(142)를 온시켜 경보하는 경보부(1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방범규제 검출부(130)는 상기에서 언급한 접점들 이외에 기타 다른 접점들을 병렬로 접속시켜 규제동작을 검출하고, 이에따른 경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충격을 검출하거나, 온도를 검출하거나 접근을 검출하는 등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한 방범규제 검출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드릴레이(121)는 상기 해제 접점(SW2)의 출력신호를 저항(R1)을 통해 베이스에 인가받는 피엔피형 트랜지스터(TR1)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에스씨알(SCR1)을 통해 전류루프를 제어하며, 그 에스씨알(SCR1)은 상기 잠김 접점(SW1)의 출력신호에 의해 저항(R2,R3) 및 콘덴서(C1,C2)로 이루어진 트리거신호 발생부를 통해 제어단자에 트리거신호를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저(141) 및 경보램프(142)는, 에스씨알(SCR2)을 통하여 공통으로 전류 루프를 제어하며, 그 에스씨알(SCR2)은 상기 유사키 삽입검출접점(AL2), 도어스위치 접점(AL1) 및 전류검출기 접점(131)의 출력신호에 의해 저항(R5,R6) 및 콘덴서(C3,C4)를 통하여 제어단자에 트리거신호를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기능 자물쇠를 이용한 방범장치는, 다기능 자물쇠를 잠그게 되면, 잠김/해제 검출장치가 자물쇠의 잠김 위치에서 잠김접점(SW1)이 온 되면, 에스씨알(SCR1)의 제어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인가되어 그 에스씨알(SCR1)이 턴온되며, 홀드릴레이(121)가 온된다. 그 홀드릴레이(121)가 온되면, 홀드스위치(110)가 홀드단자(H)로 절환되어 시동 전원단자(IGN)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과 아울러 홀드단자(H)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잠김 접점(SW1)은 온되었다가 곧 오프되나, 에스씨알(SCR1)은 한번 온된 후 계속해서 온상태가 유지되므로, 홀드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홀드상태로 대기중인 상태에서 상기 유사키 검출접점(AL2), 도어스위치 접점(SL1) 및 전류검출기 접점(131)중 어느하나라도 온되는 경우에는 경보부(140)의 에스씨알(SCR2)이 턴온되어 부저(141) 및 경보램프(142)가 동작된다. 즉, 유사열쇠나 기타 철사 등을 이용하여 자물쇠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의 접점(AL2)이 온되어 에스씨알(SCR2)의 제어단자에 트리거신호를 인가시키게 되고, 그 에스씨알(SCR2)이 턴온되어 부저(141)가 울리고, 경보램프(142)가 점등된다.
이때, 제규격의 열쇠를 가지고 자물쇠를 해제시키게 되면, 해제접점(SW2)이 온되고, 이에따라 피엔피형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고전위신호가 인가되어 오프되므로, 홀드릴레이(121)가 오프되고, 홀드스위치(110)가 시동 전원단자(IGN)에 절환되면서 홀드상태가 해제된다. 이에따라 부저(141) 및 경보램프(142)가 오프된다. 그리고, 에스씨알(SCR1)은 상기 해제접점(SW2)이 온되면서 전원이 차단되어 오프되고, 그 해제접점(SW2)이 오프되어 상기 피엔피형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어도 상기 잠김 접점(SW1)에 의해 다시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는 오프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기능 자물쇠에 의해 자물쇠의 원래 목적인 잠금/해제기능뿐 아니라 잠김상태 및 해제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유사키 삽입 및 키삽입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추가되는 기능들을 보다 안전한 안전장치 및 방범장치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자물쇠 자체에서 여러가지 기능의 접점기능이 추가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검출장치등을 사용치 않고서도 안전장치 및 방범장치 등을 구성할 수 있어서, 자동차의 자물쇠, 특수 금고의 자물쇠 및 기타 모든 잠금장치에 쉽게 작용이 가능하며 그 용도를 다양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기능 자물쇠를 응용하여 구성한 방범장치는 자물쇠를 채워둔 상태에서 방범동작이 수행되어 제규격의 열쇠가 아닌 다른 열쇠 등으로 강제로 열고자하는 경우 및 자물쇠 해제없이 도어를 열거나 기타 전기장치를 구동시키게 되면, 경고음과 경보램프가 점등되게 되어 있고, 아울러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고 싼가격으로 방범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제규격의 열쇠(1)에 의하여 정렬되는 다수개의 작동편(30)이 끼워진 내통(20)과, 그 작동편(30)의 정렬여부에 따라 내통(20)의 회전을 규제하는 외통(40)으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외통 (40)의 공간부가 아닌 소정부위에 통공(71)을 형성하고, 자물쇠의 잠김/해제시 최종 회전정점 위치에서 그 외통(40)의 통공(71)과 일치되는 요흠을 내통(20)의 표면에 형성하며, 절연체로 이루어진 고정하우징(75)은 상기 외통(40)의 통공(71)에 나사결합되고, 그 고정하우징(75)의 바닥면에 작은 통공(75a)을 형성한 후 그 통공(75a)에 의해 둘로 분리되는 도전편(77)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설되어 도선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하우징(75)의 통공(75a)에는 통과가 가능한 볼(72)이 끼워지고, 고정하우징(75)의 내부에는 상기 볼(72)이 내통(20)의 요흠에 일치될때 상기 바닥면의 도전편(7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도전핀(73)이 끼워지고, 그 도전핀(73)은 스프링(74)에 의해 탄지되며, 그 스프링(74)은 고정하우징(75)의 뚜껑(70)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잠김/해제 검출수단을 구성한 후 상기 내통(20)이 회전되어 자물쇠의 잠김 또는 해제를 위한 최종 회전정점의 위치에서 상기 내통(20)의 소정부위와 상기 외통(40)의 소정부위가 일치됨에 의해 자물쇠의 잠김 또는 해제를 검출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는, 상기 잠김/해제 검출수단과, 상기 내통(20)에 끼워진 작동편(30)이 정렬위치를 넘어서 내통(2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됨에 의해 유사키 삽입임을 검출하는 유사키 삽입 검출수단을 포함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키 삽입 검출수단은, 상기 외통(40)의 공간부 일측을 연장시킨 소정 크기의 확대공간부(151)가 형성되고, 그 확대 공간부(151) 내에 외통(40)의 외부로 통하는 도선(155)을 절연시키는 절연하우징(152)이 삽입되며, 그 절연하우징(152)내에 정렬되지 못한 일부 작동편이 회전되는 것을 제동하는 걸림부(153)가 형성되며, 정렬되지 않고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작동편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공통도전편(154)이 상기 걸림부(153)의 소정간격 내측으로 상기 절연하우징(152)내에 절연되게 삽입설치되고, 그 공통 도전편(154)이 상기 도선(1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는, 상기 잠김/해제 검출수단과, 열쇠가 삽입되어 상기 작동편(30)이 정렬됨에 의해 열쇠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키 삽입검출수단을 포함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는, 상기 잠김/해제 검출수단과, 상기 유사키 삽입검출수단과, 상기 키 삽입 검출수단을 포함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실런더형 자물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해체 검출수단은, 상기 잠금을 위한 내통의 최종 회전정점과 일치되어 잠김을 검출하는 잠김 검출수단과, 해제를 위한 내통의 최종 회전정점과 일치되어 해체를 검출하는 해제 검출수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7. 잠금을 위한 내통(20)의 최종 회전정점과 일치되어 잠김을 검출하는 잠김 검출수단과, 해제를 위한 내통의 최종 회전정점과 일치되어 해제를 검출하는 해제 검출수단 및 상기 내통(20)에 끼워진 작동편(30)이 정렬위치를 넘어서 내통(2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됨에 의해 유사키 삽입임을 검출하는 유사키 삽입 검출수단을 구비한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와 ; 그 다기능 자물쇠 잠김/해제 검출장치의 잠김 검출접점과 해제 검출접점을 통해 홀드릴레이를 각각 온/오프 트리거시켜 잠금시에 홀드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드제어수단과 ; 그 홀드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시동 전원단자(IGN)와 방범장치의 홀드단자(H)를 선택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홀드스위치(110)와 ; 그 홀드스위치(110)가 홀드위치에 있을때 상기 다기능 자물쇠의 유사키 삽입 검출장치의 접점 또는 도어스위치의 접점 또는 기타 전기장치의 사용여부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의 접점 등을 통해 방범규제를 위한 동작을 검출하는 방범규제 검출수단과 ; 그 방범규제 검출수단을 통해 방범규제 동작이 검출되면, 부저 및 경보램프를 온시켜 경보하는 경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를 이용한 방범장치.
KR1019930014421A 1993-07-28 1993-07-28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KR95001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421A KR950010128B1 (ko) 1993-07-28 1993-07-28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421A KR950010128B1 (ko) 1993-07-28 1993-07-28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96A KR950003596A (ko) 1995-02-17
KR950010128B1 true KR950010128B1 (ko) 1995-09-07

Family

ID=1936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421A KR950010128B1 (ko) 1993-07-28 1993-07-28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1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96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6970A (en)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US6116066A (en) Electronic input and dial entry lock
US5194845A (en) Combination u-lock and security loop with tamper alarm
US5423198A (en) Dual control mode lock
US20050235709A1 (en) Padlock
US6363763B1 (en) Lock with sensor
US5229747A (en) Tamperproof lock
US5406257A (en) Delayed action alarm device for locks
US4151506A (en) Lock and alarm apparatus
US5410898A (en) Lock device capable of activating an electrical anti-theft system
US5344329A (en) Plug-in socket with blocking member
US4205542A (en) Alarm type lock assembly
KR950010128B1 (ko) 다기능 실린더형 자물쇠 및 그 방범장치
SE517942C2 (sv) Elektromekanisk nyckel/cylinderlåskombination
US2519940A (en) Signal provision for locks
JP2020507832A (ja) 盗難防止ケーブル交換可能な電子タグ
US4148202A (en) Detector lock assembly
US3941954A (en) Magnetic captive key switch lock
JPH0140197B2 (ko)
US5266923A (en) Anti-tamper locking mechanism
US3391260A (en) Ignition-lock signal means
KR100807389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US5848905A (en) Plug lock
KR100561080B1 (ko)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US2123507A (en) Lock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