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087Y1 -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087Y1
KR950010087Y1 KR2019930022108U KR930022108U KR950010087Y1 KR 950010087 Y1 KR950010087 Y1 KR 950010087Y1 KR 2019930022108 U KR2019930022108 U KR 2019930022108U KR 930022108 U KR930022108 U KR 930022108U KR 950010087 Y1 KR950010087 Y1 KR 950010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voltage
power suppl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360U (ko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지전자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지전자,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지전자
Priority to KR2019930022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087Y1/ko
Publication of KR950012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3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제1도는 종래 모니터의 전력 절감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모니터의 전력 자동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동기 검출부 12 : 제1 전원 공급 제어부
13 : 수직 동기 증폭부 14 : 수평 동기 증폭부
15 : 제2 전원 공급 제어부 16 : 프로텍션 검출부
17 : 프로텍션 제어부 18 : 전원 스위칭부
19 : 포로텍션 회로 C11-C19 : 콘덴서
D11-D18 : 다이오드 PC1 : 포토 커플러
Q1-Q6 : 트랜지스터 R11-R23 : 저항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전력 절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 수직 동기 신호를 검출함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피씨(PC)를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모니터의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절감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모니터의 전력 절감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원(AC)을 감압하는 전원 입력부(1)와, 스위치(SW1)가 온되면 상기 전원 입력부(1)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부(2)와, 이 노이즈 필터부(2)의 출력 전압을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콘덴서(C1)에서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압(Vd)을 저항(R1-R3)을 통해 분압하는 정류부(3)와, 이 정류부(3)의 분압(V1)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스위치부(4)와, 이 전원 스위칭부(4)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정류부(3)의 출력을 트랜스(T1)의 2차측으로 유기시켜 직류 전압(Vo)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부(5)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의 미 설명 부호 C2는 콘덴서이다.
이와 같은 종래 회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 전원(AC)이 전원 입력부(1)를 통해 감안될 때 스위치(SW1)가 온되면 노이즈 필터부(2)는 상기 전원 입력부(1)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아 전원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류부(3)에 출력한다.
이때, 정류부(3)는 노이즈 필터부(2)의 출력 전압을 브릿지 다이오드(BD1)를 통해 정류한 후 콘덴서(C1)를 통해 평활하여 직류 전압(Vd)을 전압 출력부(5)의 트랜스(T1) 1차측에 인가하고, 이 정류평활된 직류 접압(Vd)은 저항(R1, R2)과 접지 저항(R3)를 통해 분압된 후 이 분압(V1)이 콘덴서(C2)를 통해 전원 스위칭부(4)에 출력하게된다.
이에 따라, 전원 스위칭부(4)의 스취칭 트랜지스터가 턴온됨에 의해 전압 출력부(5)의 트랜스(T1) 1차측에 인가된 정류부(3)의 출력전압이 2차측에 유기되어 모니터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회로는 사용자가 피씨(PC)를 사용하지 않아도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으면 전력을 계속 소비함은 물론 계속적인 전원 공급에 의해 소자의 수명이 단축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니터의 사용에 따른 수평, 수직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모니터의 입력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모니터의 전력을 절감시키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수평 동기 신호(Vsyn)(Hsyn)를 검출하여 다이오드(D11)(D12) 및 콘덴서(C11)에서 정류하는 동기 검출부(11)와, 이 동기 검출부(11)의 출력과 입력 전압(+B2)에 제어되어 전원 스위칭부(18)에 입력 전압(+B1)을 출력하는 제1 전원공급 제어부(12)와,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Vsyn)(Hsyn)를 각기 증폭하여 정류하는 수직 수직 동기 증폭부(13), 수평 동기 증폭부(14)와, 이 수직, 수평 동기 증폭부(13)(14)의 출력에 따라 입력 전압(+B2)을 제어하는 제2전원 공급 제어부(15)와,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증폭부(13)(14)의 출력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다이오드(D16)(D17) 및 콘덴서(C18)에서 정류하는 프로텍션 검출부(16)와, 이 프로텍션 검출부(16)의 출력에 따라 프로텍션 회로(19)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텍션 제어부(17)로 구성한다.
상기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는 동기 검출부(11)의 출력을 입력 전압(+B2)이 다이오드(D13), 접지 콘덴서(C12)와 접지 저항(R12)을 통해 캐소드에 접속된 포토 커플러(PC1)의 발광 다이오드(PD1) 애노드에 접속하고 전원(+B1)을 저항(R11),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수광 트랜지스터(PT1)를 순차 통해 전원 스위칭부(18)에 접속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직 동기 증폭부(13)는 수직 동기 신호(Vsyn)가 저항(R13)을 통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전압(+B2)(Q1)을 접속하여 그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를 접지 저항(R14)과 프로텍션 검출부(16)에 접속함과 아울러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D14)와 저항(R15)을 통해 접지 콘덴서(C14)와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에 접속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평 동기 증폭부(14)는 수평 동기신호(Hsyn)가 저항(R19)을 통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전압(+B2)을 접속하여 그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를 접지 저항(R20)과 프로텍션 검출부(16)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5)와 접지 콘덴서(C17)을 통해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에 접속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는 수평 동기 증폭부(14)의 출력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를 접지하고 그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가 에미터의 접속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저항(R16)을 통해 수직 동기 증폭부(13)의 출력을 접속하고 접지 콘덴서(C15)와 저항(R17)을 통한 전압(+B2)이 접속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가 저항(R18)을 통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 전압(+B2)을 접속하며 그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를 접지 콘덴서(C16)에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서 전압(+Bo)이 출력되게 구성하며, 상기 프로텍션 제어부(17)는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저항(R23)을 통해 프로텍션 검출부(16)의 출력을 접속하고 저항(R23)을 통해 전압(+B2)이 접속된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를 다이오드(D18)와 접지 콘덴서(C19)를 통해 프로텍션 회로(19)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도면은 미설명 부호 C13은 포토 커플러(PC1)의 수광 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에미터간에 접속된 콘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씨(PC)에서 모니터에 인가되는 신호는 (1) 수직, 수평 동기가 모두 입력되는 경우, (2) 수평 동기만 입력되고 수직 동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3) 수평 동기는 입력되지 않고 수직 동기만 입력되는 경우, (4) 수직, 수평 동기가 모두 입력되지 않은 경우로 분류되어 진다.
첫째, 수직, 수평 동기 신호(Vsyn)(Hsyn)가 모두 입력될 때 검출부(11)는 상기 수평, 수직 동기 신호(Hsyn)(Vsyn)를 스위칭 다이오드(D11, D12) 및 접지 콘덴서(C11)에 의해 정류 평활하고 이 정류평활된 전압이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에 입력되어 포토 커플러(PC1)의 발광 다이오드(PD1)에 인가되면 그 발광 다이오드(PD1)가 발광함에 의해 수광 트랜지스터(PT1)가 턴온되어 병렬 접속된 저항(R11)과 콘덴서(C13)에 인가된 전압(+B1)이 상기 수광 트랜지스터(PT1)를 통해 전원 스위칭부(18)에 인가됨으로써 스위칭 트래지스터가 턴온시킨다.
이때, 전압(+B2)은 스위칭 다이오드(D13)를 통해 저항(R12)과 콘덴서(C12)에 인가되어 상기 콘덴서(12)가 충전됨에 의해 일정 전압이상일 때 포토 커플러(PC1)의 발광 다이오드(PD1) 캐소드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동작 상태를 오프시켜 수평, 수직동기에 의한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수평 동기 신호(Hsyn)가 수평 동기 증폭부(14)에 입력되어 저항(R19)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동상의 수평 동기 신호를 에미터로 출력하고 이 수평 동기 신호가 정류 다이오드(D15)와 접지 콘덴서(C17)에 의해 정류된 후 이 정류된 전압이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에 입력됨에 따라 저항(R12)을 통하여 베이스에 인가도니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어진다.
이때, 수직 동기 신호(Vsyn)가 수직 동기 증폭부(13)에 입력되어 저항(R1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에미터로 동상의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하여 정류 회로인 스위칭 다이오드(D14)와 접지 콘덴서(C14)에 의해 정류된 전압이 입력된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는 저항(R1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됨에 의해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된 트랜지스터(Q5)도 동시에 턴온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면 전압(+B2)이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로 출력되어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수평 동기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로 출력된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증폭부(13)의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출력된 수직 동기 신호는 프로텍션 검출부(16)의 다이오드(D16)(D17)와 접지 콘덴서(C18)에 의해 정류되어 이 정류된 전압이 프로텍션 제어부(17)에 입력되어 저항(R2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어 전압(+B2)이 인가되지 않은 스위칭 다이오드(D18)가 오프됨으로 프로텍션 회로(19)가 동작하지 않음으로써 모니터는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둘째, 수평 동기 신호(Hsyn)만이 입력될 때 동기 검출부(11)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Hsyn)가 스위칭 다이오드(D11) 및 접지 콘덴서(C11)에 의해 정류 평활되고 이 정류평활된 전압이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에 입력되어 포토 커플러(PC1)의 발광 다이오드(PD1)에 인가되면 그 발광 다이오드(PD1)가 발광함에 따라 수광 트랜지스터(PT1)가 턴온되어 병력 접속된 저항(R11)과 콘덴서(C13)에 인가된 전압(+B1)이상기 수광 트랜지스터(PT1)를 통해 전원 스위칭부(18)에 인가됨으로써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온시킨다.
이때, 전압(+B2)이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에 입력되어 다이오드(D13)와 접지 콘덴서(C12)를 통해 정류되어 충전됨에 의해 일정 전위이상이 될 때 스위칭 다이오드(D13)를 통해 포토 커플러(PC1)의 발광 다이오드(PD1) 캐소드에 인가되면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동작 상태를 오프시켜 수평, 수직 동기에 의한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수평 동기 신호(Hsyn)가 수평 동기 증폭부(14)에 입력되어 저항(R1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에미터로 동상의 수평 동기 신호가 출력되고 이 수평 동기 신호가 정류 회로인 다이오드(D5) 및 접지 콘덴서(C17)에 의해 정류된 후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에 출력되면 이 정류된 전압이 저항(R2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직 동기 신호(Vsyn)가 수직 동기 증폭부(13)에 입력되지 않음으로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수직 동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음으로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전원(+B2)이 인가됨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로 전압(+B2)이 출력되지 않음으로 수평 편향 회로, 고압 발생 회로 및 영상회로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씨(PC)를 사용하지 않으면 모니터의 소비 전력을 50%이하(약 30W)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동기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로 출력된 수평 동기 신호(Vsyn)는 프로텍션 검출부(16)의 스위칭 다이오드(D17)와 접지 콘덴서(C18)에 의해 정류되어 프로텍션 제어부(17)의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어 스위칭 다이오드(D18)가 오프되어 프로텍션 회로(19)가 동작하지 않는다.
즉, 수평 동기 신호(Hsyn)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프로텍션 회로(19)가 동작하지 않음과 아울러 전압(+B2)을 공급하지 않음으로 수평 편향 회로, 고압 발생회로 및 영상 회로가 동작하지 않음으로 모니터의 소모전력을 약 50%(30W) 절감할 수 있다.
세째, 수직 동기 신호(Vsyn)만이 입력될 때, 동기 검출부(11)가 수직 동기 신호(Vsyn)를 스위칭 다이오드(D2)와 접지 콘덴서(C11)를 통해 정류한 후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의 포토 커플러(PC1)에 인가함으로 발광 다이오드(PD1)가 온되어 발광하고 이 광을 수광한 수광한 수광 트랜지스터(PT1)가 턴온되어 병렬로 접속된 저항(R11)과 콘덴서(C13)에 인가된 전압(+B1)이 상기 수광 트랜지스터(PT1)를 통하여 전원 스위칭부(18)에 인가되어 전원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킨다.
이때, 전압(+B2)이 스위칭 다이오드(D13)를 통해 포토 커플러(PC1)의 발광 다이오드(PD1)의 캐소드에 인가되면 상기 포토 커플러(PC1)가 오프되어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한 전류를 제어한다.
그리고, 수평 동기 신호(Hsyn)가 입력되지 않음에 의해 동기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4)도 턴오프된다.
이때, 수직 동기 증폭부(13)는 수직 동기 신호(Vsyn)가 저항(R13)을 통해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됨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에미터로 동사의 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함으로 정류 회로인 스위칭 다이오드(D14)와 접지 콘덴서(C14)에 의해 정류된 전압이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에 입력되는데 저항(R1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도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임으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전압(+B2)이 인가됨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되어 수평 편향 회로, 고압 발생 회로 및 영상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수직 동기 증폭부(13)의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출력된 수직 동기 신호(Vsyn)는 프로텍션 검출부(16)의 스위칭 다이오드(D16)와 접지 콘덴서(C18)에 의해 정류되고 이 정류된 전압이 프로텍션 제어부(17)의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됨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됨에 의해 스위칭 다이오드(D18)가 오프되어 프로텍션 회로(19)가 동작되지 않는다.
즉, 피씨(PC)에서 수직 동기 신호(Vsyn)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됨에 의해 전압(+B2)이 모니터에 공급되지 않아 수평 편향 회로, 고압 발생 회로 및 영상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절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모니터의 전력 소비는 약 50%(30W) 절감할 수 있다.
네째, 수평, 수직 동기 신호(Hsyn)(Vsyn)가 모두 입력되지 않을때, 동기 검출부(11)의 출력이 없음으로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의 포토 커플러(PC1)가 오프되고 수평 동기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수평 동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음으로 전원 공급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4)도 턴오프된다.
또한, 수직 동기 증폭부(13)에 수직 동기 신호(Vsyn)가 입력되지 않아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어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3)도 턴오프됨으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전압(+B2)이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됨에 의해 수평 편향 회로, 고압 발생 회로 및 영상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수직, 수평 동기 증폭부(13)(14)의 트랜지스터(Q1)(Q2)가 턴오프 상태임으로 프로텍션 검출부(16)의 스위칭 다이오드(D16, D17)와 접지 콘덴서(C18)가 동작하지 않아 프로텍션 제어부(17)의 트랜지스터(Q6)가 턴오프됨으로 전압(+B2)이 저항(R22)을 통하여 스위칭 다이오드(D18)를 온시켜 프로텍션 회로(19)를 동작시킴으로 전원 스위칭부(18)의 전원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전원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됨으로 SMPS의 2차측에 직류 전원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모니터의 전력 소모를 8%이하(5W)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피씨(PC)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이를 감지하여 피씨(PC)에서 모니터로 수평, 수직 동기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평, 수직 동기 신호 중 하나의 신호만이 인가될 경우 모니터의 전력 소모를 50%로 절감하고, 수평, 수직 동기 신호 모두를 입력시키지 않을 경우 모니터의 전력 소모를 8%이하로 절감시킴으로 모니터의 전력 소모를 절감시킴과 아울러 소자의 수명 단축을 방지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직, 수평 동기 신호(Vsyn)(Hsyn)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동기 검출부(11)와, 이 동기 검출부(11)의 출력과 입력 전압(+B2)에 제어되어 전원 스위칭부(18)에 입력 전압(+B1)을 출력하는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와,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Vsyn)(Hsyn)를 각기 증폭하여 정류하는 수직 동기 증폭부(13), 수평 동기 증폭부(14)와, 이 수직, 수평 동기 증폭부(13)(14)의 출력에 따라 입력 전압(+B2)을 제어하는 제2 전원 공급제어부(15)와,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증폭부(13)(14)의 출력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프로텍션 검출부(16)와, 이 프로텍션 검출부(16)의 출력에 따라 프로텍션 회로(19)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텍션 제어부(1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원 공급 제어부(12)는 동기 검출부(11)의 출력이 애노드에 접속된 포토 커플러(PC1)의 발광 다이오드(PD1)의 캐소드에 다이오드(D13), 접지 콘덴서(C12)와 접지 저항(R12)을 통해 입력 전압(+B2)을 접속하고 전원(+B1)을 저항(R11)과 콘덴서(C13)를 각기 통해 상기 포토 커플러(PC1)의 수광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 에미터에 각기 접속하며 상기 수광 트랜지스터(PT1)의 에미터를 전원 스위칭부(18)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 동기 증폭부(13)는 수직 동기 신호(Vsyn)가 저항(R13)을 통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전압(+B2)을 접속하고 그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를 접지 저항(R14) 및 프로텍션 검출부(16)에 공통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D14)와 저항(R15)을 통해 접지 콘덴서(C14) 및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에 공통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 동기 증폭부(14)는 수평 동기 신호(Hsyn)가 저항(R19)을 통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전압(+B2)을 접속하고 그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를 접지 저항(R20) 및 프로텍션 검출부(16)에 공통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다이오드(D15)와 접지 콘덴서(C17)를 통해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원 공급 제어부(15)는 수평 동기 증폭부(14)의 출력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를 접지하여 그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를 수직 동기 증폭부(13)의 출력이 저항(R16)을 통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접속하고 접지 콘덴서(C15)와 저항(R17)을 통해 전압(+B2)이 접속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를 저항(R18)을 통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에미터에 전압(+B2)이 접속된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를 접지 콘덴서(C16)에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서 전압(+Bo)이 출력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프로텍션 제어부(17)는 프로텍션 제어부(16)의 출력이 저항(R23)을 통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를 접지하여 그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를 저항(R22)을 통해 전압(+B2)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8) 및 접지 콘덴서(C19)를 통해 프로텍션 회로(19)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회로.
KR2019930022108U 1993-10-26 1993-10-26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KR950010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108U KR950010087Y1 (ko) 1993-10-26 1993-10-26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108U KR950010087Y1 (ko) 1993-10-26 1993-10-26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360U KR950012360U (ko) 1995-05-17
KR950010087Y1 true KR950010087Y1 (ko) 1995-11-25

Family

ID=1936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108U KR950010087Y1 (ko) 1993-10-26 1993-10-26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0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360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216B1 (ko)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NL193922C (nl) Voedingsbron met geschakelde modus.
KR970703640A (ko)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회로(switched-mode power supply)
KR920007337A (ko) 오프 라인 파워 변환기
KR100521112B1 (ko) 보조 전원 장치의 제어 회로
TW262544B (en) A power conservation system for a modem in a computer system
CA2340473C (en) Ground fault interrupter
KR950010087Y1 (ko) 모니터의 전력 자동 절감 회로
US5886425A (en) Electronic products with standby power source
KR100200649B1 (ko) 저 소비전원 회로
KR19990026504A (ko) 디피엠에스오프 모드시 마이컴 안정화 장치
KR900008499Y1 (ko)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회로
KR100208394B1 (ko) 전원 공급 장치의 보호 회로
KR100326752B1 (ko) 세탁기의스위칭소자제어방법
JP2003289667A (ja) 電源装置
KR100335085B1 (ko) 모니터의 dpm회로
KR20010001477A (ko) 인공지능을 갖는 팩시밀리의 절전장치
KR950007480A (ko) 모니터 전원 절전회로
KR0143256B1 (ko)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전압 보호회로
KR20010020916A (ko) 절전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
KR0120589Y1 (ko) 저전력 대기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100435263B1 (ko) 모스트랜지스터내장형집적회로
KR900005310Y1 (ko) 원격조정 텔레비젼의 주전원 단속용 스위칭 회로
KR19980062385U (ko) 오디오 기능 내장 모니터의 절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