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759B1 -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759B1
KR950009759B1 KR1019920019309A KR920019309A KR950009759B1 KR 950009759 B1 KR950009759 B1 KR 950009759B1 KR 1019920019309 A KR1019920019309 A KR 1019920019309A KR 920019309 A KR920019309 A KR 920019309A KR 950009759 B1 KR950009759 B1 KR 950009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eel sheet
annealing
grooves
iron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165A (ko
Inventor
고우 나까노
게이지 사또
분지로우 후꾸다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도사끼 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5884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97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도사끼 시노부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9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localize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H01F1/18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with insulating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선상홈의 가로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2도는 철손 저감효과에 미치는 홈의 최대 깊이(Do)에 대한 홈의 볼록한 부에서의 깊이(D1)의 비(D1/Do)와 홈측면벽이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에칭액의 유속이 흠의 최대깊이(Do)에 대한 홈의 볼록한 부에서의 깊이(D1)의 비(D1/Do) 및 홈의 측면벽이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응력제거 소둔후에 있어서도 철손개선 효과가 소실되지 않는 저철손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변압기 기타의 전기 기기용 철심소재로서의 용도에 제공하기에 아주 적당한 것이다.
방향성 전자강판은 변압기 기타의 전기 기기용 철심으로서 이용되고, 특성적으로는 특히 철손이 낮은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철손은 히스테리시스손과 와전류손의 합으로 표시된다. 종래에 히스테리시스손은 강한 억제력을 갖는 억제제를 사용하므로써, 결정방위를 고스방위 즉 (110)<001>방위로 고도로 집적시키는 것, 자화할때 자벽 이동시의 핀닝인자의 생성원인이 되는 불순물 원소를 저감시키는 것등에 의해 대폭 저감되어 왔다. 와전류손에 대해서는 Si함유량을 증가시켜서 전기저항을 증대시키는 것, 강판의 판의 두께를 얇게하는 것, 강판 소재철의 표면에 소재철과 열팽창계수가 다른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장력을 부여하는 것 및 결정입자의 미세화에 의해 자화구역 폭을 좁게하는 것등에 의해 저감이 도모되고 있었다.
근년에는 다시 또 와전류손을 저감시키기 위해, 강판의 압연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레이저광(일본국 특개소 57-2252호 공보)이나, 플라즈마염(일본국 특개소 62-96617호)등을 조사하는 방법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방법은 강판표면에 정상 또는 선상으로 미소한 열변형을 도입함으로써 자화구를 세분화하고, 이것으로서 철손을 대폭 저감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방향성 규소강판이 사용되고 있는 변압기 철심중 약 절반수는 전취 코어라고 불리는 소형의 내철형 철심이다.
이 전취 코어는 제작도중의 변형공정에 있어서, 기계적인 외부힘을 받아서 응략이 생겨 그 결과 자기 특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그 가공에 의한 응력을 회복시킬 목적으로 응력제거 소둔을 통상 800℃ 전후에서 행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그런데 전술한 방법에서는 자화구 세분화후 800℃ 정도의 온도로 열처리를 시행하면, 철손저감효과는 소실되어 버린다.
따라서 조사후 800℃ 이상의 응력제거소둔을 필요로 하는 전취철심용 소재로서 사용할 수는 없었다.
여기서 800℃ 이상의 응력제거소둔에도 견디는 자화구세분화 방법으로서 강판에의 홈형성을 행하는 수법이 종종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최종 끝마무리 소둔후 즉 2차 재결정후의 강판에 국소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그 반자계효과에 의해 자화구를 세분화시키는 방법에 있으나, 이 경우 홈의 형성수단으로서는 일본국 특공소 50-35679호 공부에 제안되어 있는 레이저광조사등에 의해 절연피막 및 하부피막을 국소적으로 제거한후 전해 에칭하는 방법등이 있다. 또 일본국 특공소 62-53579호 공보에는 톱니바퀴형 로울로 압축각인후 응력제거소둔하므로써 홈형성 및 재결정소둔을 톱니바퀴형 로울로 압축각인후 응력제거소둔하므로써 홈형성 및 재결정소둔을 행하여 자화구를 세분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다시 또 일본국 특개소 59-197520호 공보에는 최종끝마무리 소둔전의 강판에 홈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확실히 800℃ 이상의 응력제거소둔후에도 철손이 열화하지 않는 경우가 보이지만, 항상 저철손화가 달성된다고는 할 수 없는데에 문제를 남겨두고 있었다. 즉 홈의 폭 및 홈의 깊이가 같아도 철손저감효과에는 불균일이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으로서 응력제거소둔후에도 철손이 열화하지 않고, 안정해서 낮은 철손이 얻어지는 방향성 전자강판을 그 안정된 제조방법과 함께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발명자들은 상기한 불균일을 초래하는 원인에 대해 예의 실험검토를 되풀이한 결과 철손저감효과에는 홈단면의 형상이 강력히 관여하고 있는 것을 새로이 발견했다.
즉 홈의 폭, 홈의 최대깊이가 같아도, ① 강판을 압연방향으로 절단한 때의 홈의 측면벽부의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 및, ② 홈 바닥부의 요철상태에 의해 철손저감효과가 크게 변동하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견에 입각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완성하기까지의 실험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판의 두께 : 0.23mm의 최종냉간압연후의 강판에 에칭레지스트제를 도포한 후 전해에칭 또는 산세정하므로써 폭 200㎛, 깊이 15㎛의 선상홈을 압연방향과 거의 수직의 방향으로 간격 3mm로 도입했다. 그런후 레지스트제를 제거하고, 통상의 탈탄소소둔 및 끝마무리 소둔을 시행했다.
그렇게해서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800℃로 3시간의 응력제거소둔을 시행한후의 자기특성을 측정했다.
이때 동시에 동일소재의 홈형성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도 시료를 채취해 비교재료로 했다.
홈형성 처리를 행한 시료의 철손 W17/50은 어느 것이나, 비교재료에 비해 개선되었지만, 그 개선차이 ΔW17/50은 0.02-0.12W/Kg의 범위로 크게 불균일 했다.
여기서 발명자들은 이 불균일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얻어진 시료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폭과 깊이가 동일해도, 홈의 형상의 차이에 의해 철손개선효과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새로이 발견했다.
제1도에 에칭에 의해 얻어진 홈의 단면형상을 확대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얻어진 홈의 단말부로부터 판의 두께방향으로 완만한 구배를 그리면서 소재철이 노출되고, 홈 바닥부에는 특히 중앙부근에서 소재철이 블록한 형상으로 용해되어 남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홈형상에 있어서, 홈의 측면벽부가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 및 홈의 볼록한부에서의 깊이(D1)과 홈의 최대깊이(Do)와의 비가 철손개선효과에 큰영향을 미치는 것을 규명한 것이다.
제2도에 홈의 최대깊이(Do)에 대한 볼록한부에서 깊이(D1)의 비 : (D1/Do)를 가로축에 또 홈의 측면벽이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를 세로축에 취한 경우에 철손저감효과가 크게되는 최적범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명백히한 바와 같이 D1/Do가 1/2 이상으로 또한, θ가 60° 이하인 경우에 ΔW17/500.05W/Kg가 되고, 양호한 철손저감효과 얻어지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홈의 최대깊이(Do)에 대한 볼록한부에서의 깊이(D1)의 비 : (D/Do)가 1/2 이상이고, 또한 홈측면벽이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를 60° 이하로 한정한 것이다.
그 이유는 아직 명확히 해명된 것은 아니지만 홈단면형상이 직사각형에 가까울수록 빈자계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홈측면벽이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홈축면벽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요철의 개략적인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면 된다.
여기서 홈의 최대깊이는 10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이 범위 밖에서는 철손저감의 효과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 홈의 폭은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300㎛를 초과하면, 설손저감의 효과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 홈의 방향은 압연방향(<001>방위)에 대해 교차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홈의 방향이 압연방향과 같은 경우에는 철손저감효과에 있어 불리하다.
또 홈의 간격은 압연방향의 간격을 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홈의 도입은 강판의 편면, 양면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상기한 아주 적당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법에 대해 기술한다.
최대홈의 깊이가 100㎛ 이하, 폭 300㎛ 이하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해에칭의 경우에는 전해액의 증류전류밀도 및 처리시간의 조건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화학에칭의 경우에는 액의 조성, 액의 농도, 액의 온도 및 처리시간의 조건을 선택하므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선상홈의 가로단면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나 또는 홈측 면벽부와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가 60° 이내로서, 또한 홈바닥부의 볼록한부에 있어서의 깊이가 홈의 최대깊이의 1/2 이상인 홈의 형상은 상기한 조건을 변경해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아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전해에칭 화학에칭의 조건을 광범위에 걸쳐 예의 검토했다. 그결과, 선상홈의 가로 단면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나 또는 홈의 측면부와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가 60° 이하로 또한 홈바닥부의 볼록한부에 있어서의 깊이가 홈의 최대깊이의 1/2 이상인 형상을 안정적으로 얻기위해서는 전해에칭 화학에칭 모두 에칭액의 유속을 제어하는 것이 극히 유효하다고 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방법에 도달했다.
제3도에 에칭액의 유속이 홈의 최대깊이(Do)에 대한 홈의 볼록한부에서의 깊이(D1)의 비 : (D1/Do) 및 홈측면벽과 판의 두께방향과 이루는 각도(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3도는, 끝마무리 소둔후의 강판표면을 칼날로 그어 국소적으로 피막을 제거한 후 에칭을 하므로써, 홈을 형성한 것이며, 또 홈의 형상은 폭 200㎛ 깊이 15m가 되도록 도입했다.
에칭처리는 전해에칭의 경우 NaCl수용액중에서 전류밀도 10A/d㎡, 액온도 40℃, 극간거리 30mm의 조건으로 처리한 것이며, 한편 화학에칭에 대해서는 FeCl3용액중에서 액온도 35℃의 조건에서 처리한 것이다. 제3도로부터, 에칭액의 유속을 0.1m/s 이상으로 한 경우에 θ60°로서, 또한 D1/Do=1/2이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의 유속에 따라 홈의 형상이 변화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전해에칭의 경우액의 유속이 0에서는 에칭의 진행에 수반하여 용출된 철이 홈부에 잔존하고, 점차 음-양극간의 전자의 수수(授受)를 방해하게 되기 때문에 홈 측면벽이나, 홈 바닥부에서 용융잔해물이 생긴다. 이 점액의 유속을 점차 빠르게 하면, 용출된 철의 홈중에의 잔존이 점차 없어져서 아주 적당한 홈의 형상이 얻어진다.
한편, 화학에칭의 경우는 산에 의해 소재철이 용출되는 것이며, 액의 유속 0에서는 에칭의 진행에 수반하여 홈에 부동체 피막을 형성하여, 역시 원하는 홈의 형상을 얻을 수 없게 되지만, 액의 유속을 어느정도 빠르게 하면, 그것이 방지된다.
또한 액의 유동방향은 홈의 길이방향 또는 그 직각방향 어느것이라도 효과는 변하지 않는다. 액을 홈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흘린 경우에는 홈내에서 액의 유동방향으로 액이 대류를 일으키기 때문에 양쪽의 홈의 측면벽에 용해잔류물이 생기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최종 냉각압연후의 강판이면, 어느단계에서도 적용가능하다. 즉 최종냉각압연후 또는 탈탄소 소둔후의 강판의 경우는 레지스트제를 도포한후 에칭처리를 시행하면 되고, 또 끝마무리 소둔후의 강판의 경우는 칼날 레이저광등에 의해 국소적으로 피막을 박리시킨후 에칭처리를 시행한다.
에칭방법으로서는 저해에칭 화학에칭의 어느것이라도 적합하다는 것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고, 전해액으로서는 NaCl, KCl, CaCl2, NaNO3등이 또 화학에칭의 경우의 처리액으로서는, FeCl3, HNO3, HCl, H2SO4등이다.
다음에 에칭의 구체적인 수단의 예를 설명한다.
화학에칭의 경우에는 에칭 욕조내에 있어서, 강판의 폭보다 넓은 길이를 갖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슬리트노즐을 움직이고 있는 강판표면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 혹은 표면측과 이면측에 설치하여 에칭액을 펌프에 의해 파이프를 통해 상기한 슬리트노즐로 보내고, 슬리트노즐로부터 강판표면에 댄다.
전해에칭의 경우는 전해욕조내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1개 또는 복수개의 슬리트노즐을 움직이고 있는 강판표면과 전극간에 설치한다.
에칭액의 유동방향의 조정은 슬리트노즐의 분출각도의 강판표면에 대한 각도 및 슬리트노즐 본체의 강판 진행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정하므로서 향한다. 에칭액의 유속의 조정은 상기한 파이프의 도중에 밸브를 부착시켜 이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므로써 행한다.
에칭액의 유속의 측정은 슬리트노즐로부터 나온 에칭액의 유속을 예를 들면, 열선유속계에 의해 측정한다.
[실시예 1]
최종냉간압연후 끝마무리 소둔을 시행하기전이 강판(판의 두께 0.23mm)에 마스킹제로서, 레지스트잉크를 비도포부가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폭 0.2mm 압연방향으로 간격 3mm로 선상으로 잔족하도록 도포한 것을 제작했다.
따라서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에 선상홈이 형성된다.
선상홈의 형성에는 전해액으로서, NaCl액을 사용하고, 액온도 : 40℃, 극간거리 : 30mm, 전류밀도 : 10A/d㎡ 전해시간 20초로서, 시료를 강판압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강판 압연방향과 수직방향, 즉 형성되는 홈의 길이방향에 시료와의 상대유속을 변경해서 전해액을 흘렸다.
이때 전해에칭 조건을 변경하므로써 홈의 최대깊이(Do)를 홈의 폭과 동등하게한 후 홈의 측면벽의 각도 및 홈바닥부의 요철형상을 각종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시도했다.
이때의 홈의 최대깊이는 약 20㎛, 홈의 폭은 약 210㎛였다.
이와 같이, 선상홈을 형성한 강판을 실험실에서 탈탄소소둔, 이어서 끝마무리 소둔한후 절연피막을 부여후 800℃에서 3시간 응력제거소둔을 시행했다.
또한 홈형성재료와 동일한 최종 냉각압연코일의 근접개소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홈의 형성을 행하지 않고, 역시 실험실에서 홈형성재료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공정을 거친 것을 종래의 재료로 했다.
이들 응력제거소둔후의 강판에 대해 자기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예는 비교예 및 종래예에 비해 철손 W17/50이 적고, 자속밀도 B8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최종 냉각압연후 끝마무리 소둔을 시행하기 전의 강판(판의 두께 0.20mm)에 마스킹제로서, 레지스트잉크를 비도포부가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폭 0.22mm 압연방향으로 간격 3mm로 선상으로 잔족하도록 도포한 것을 제작했다.
따라서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선상홈이 형성된다.
이들 시료를 사용해서 자기 특성이 아주 적당하게 되는 홈형상을 형성하여 각각에 대해 자기특성을 조사했다.
에칭방식은 화학에칭으로 하고, 액으로서는 FeCl3액을 사용하고, 액온도 : 35℃, 액의 농도 : 50%로 하고, 시료를 강판압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강판압연방향과 수직방향 즉 형성되는 홈의 길이방향으로 시료와의 상대유속을 변경해서 액을 흘렸다.
이때 에칭조건을 변경하므로써, 홈의 최대깊이 홈의 폭을 동등하게 해서, 홈의 측면벽의 각도 및 홈바닥부의 요철형상을 각종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시도했다.
[표 1]
이때의 홈의 최대깊이는 약 22㎛, 홈의 폭은 약 180㎛였다.
이와 같이해서, 선상홈을 형성한 강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험실에서 탈탄소소둔, 이어서 끝마무리 소둔한후 평탄화 소둔한후, 800℃에서 3시간의 응력제거소둔을 시행했다.
또한 홈형성재료와 동일한 최종냉간압연코일의 근접개소로부터, 강판을 채취하여 홈의 형성을 행하지 않고, 역시 실험실에서 홈형성재료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공정을 거친것을 종래재료로 했다. 이들 응력제거소둔후의 강판에 대해 자기특성을 측정한 결과 표 2에 나타낸다.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예는 비교예 및 종래예에 비해 철손 W17/50이 적고, 자속밀도 B8이 큰것을 알 수 있다.
[표 2]
[실시예 3]
최종냉간압연에 의해, 판의 두께 0.2mm로 한 강판을 끝마무리 소둔하여, 절연피막을 형성한후, 절연피막을 칼날에 의해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폭 0.2mm, 압연방향으로 간격 3mm로 선상으로 제거한 것을 제작하여 시료로 했다.
따라서 선상홈은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에 형성된다.
선상홈의 형성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전해액으로서 NaCl액을 사용하고, 온도 : 40℃, 극간거리 : 30mm, 전류밀도 : 10A/d㎡ 전해시간 20초로 시료를 강판압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강판압연방향과 수직방향 즉, 형성되는 홈의 길이방향으로 시료와의 상대유속을 변경해서 전해액을 흘렸다.
이때 전해에칭조건을 변경하므로써 홈의 최대깊이(Do)와 홈의 폭을 동등하게 한후 홈의 측면부의 각도 및 홈바닥부의 요철형상을 여러가지로 변화시키는 것을 시도했다.
이때의 홈의 최대깊이는 약 24㎛, 홈의 폭은 약 160㎛였다. 이와 같이해서, 선상홈을 형성한 강판의 재차 절연피막을 형성하고, 그후 800℃로 3시간의 응력제거소둔을 행했다.
이들 응력제거소둔후의 강판에 의해 자기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예는 비교예 및 종래예에 비해, 철손 W17/50이 적고 자속밀도 B8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표 3]
[실시예 4]
최종 냉간압연에 의해, 판의 두께 0.23mm로 한, 강판을 끝마무리 소둔하여 절연피막을 형성한후, 절연피막을 칼날에 의해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폭 0.2mm 압연방향으로 간격 3mm로서, 선상으로 제거한 것을 제작하여 시료로 했다.
따라서 선상홈은 압연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선상홈의 형성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에칭방식은 화학에칭으로 하고 액으로서 FeCl3액을 사용하고, 액온도 : 35℃, 액의 농도 : 50%로 하고, 시료를 강판압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강판압연방향과 수직방향 즉, 형성되는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강판압연방향과 수직방향 즉, 형성되는 홈의 길이방향으로 시료와의 상대유속을 변경해서 액을 흘렸다.
에칭조건을 변경하므로써, 홈의 최대깊이, 홈의 폭을 동등하게 한후, 홈의 측면벽의 각도 및 홈바닥부의 요철형상을 여러가지로 변화시키는 것을 시도했다.
이때 홈의 최대깊이는 약 18㎛, 홈의 폭은 약 200㎛였다.
이와 같이해서, 선상홈을 형성한 강판에 재차 절연피막을 형성하고, 그후 800℃에서 3시간의 응력제거소둔을 행했다.
이들 응력제거소둔후의 강판에 대해 자기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로부터, 본 발명에는 비교예 및 종래예에 비해 철손 W17/50이 적고, 자속밀도 B8이 큰것을 알 수 있다.
[표 4]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향성 전자강판에 있어서, 응력제거소둔후라도 자기특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선상홈을 형성하지 않은 종래의 방향성 전자강판에 비해, W/Kg 이상의 현저한 철손저감효과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해, 현저한 철손저감효과를 갖는 선상홈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2)

  1. 강판의 소재철표면에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강판의 자기특성을 향상시키는 폭 300㎛ 이하, 최대깊이 100㎛ 이하, 압연방향간격 1mm 이상의 다수의 선상홈을 형성한 최종끝마무리소둔이 끝난 방향성 전자강판에 있어서, 상기한 선상홈의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나 또는 홈의 측면벽부와 판의 두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60°이내로서, 홈바닥부의 볼록한부에 있어서의 깊이가 홈의 최대깊이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
  2. 방향성 전자강판용 슬랩을 열간압연후 1회 또는 중간소둔을 포함하는 2회 이상의 냉간압연을 시행하여, 최종제품판의 두께로한 후 탈탄소소둔에 있어서, 끝마무리 소둔을 시행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최종의 상기한 냉간압연후에 상기한 끝마무리소둔전 또는 후에 에칭처리에 의해 강판의 소재철 표면에 선상홈을 형성하고, 에칭처리에 있어서의 에칭액의 강판에 대한 상대유속을 0.1m/s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선상홈의 가로단면의 형상을 거의 직사각형이나 또는 홈의 측면벽부와의 판의 두께방향이 이루는 각도(θ)가 60°이내로서 홈바닥부의 볼록한 부에 있어서의 깊이가 홈의 최대깊이의 1/2 이상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20019309A 1991-10-24 1992-10-21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950009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77802A JP2895670B2 (ja) 1991-10-24 1991-10-24 鉄損の低い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91-277802 1991-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165A KR930008165A (ko) 1993-05-21
KR950009759B1 true KR950009759B1 (ko) 1995-08-28

Family

ID=1758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309A KR950009759B1 (ko) 1991-10-24 1992-10-21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93355A (ko)
EP (1) EP0539236B1 (ko)
JP (1) JP2895670B2 (ko)
KR (1) KR950009759B1 (ko)
CA (1) CA2081235C (ko)
DE (1) DE692103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990B1 (ko) * 1993-12-28 2000-06-15 에모또 간지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및 제조방법
DE69706388T2 (de) * 1996-10-21 2002-02-14 Kawasaki Steel Co Kornorientiertes elektromagnetisches Stahlblech
DE10130308B4 (de) * 2001-06-22 2005-05-12 Thyssenkrupp Electrical Steel Ebg Gmbh Kornorientiertes Elektroblech mit einer elektrisch isolierenden Beschichtung
JP3799252B2 (ja) * 2001-08-30 2006-07-19 中国電機製造株式会社 騒音抑制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4979970B2 (ja) * 2006-04-07 2012-07-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
KR101141283B1 (ko) * 2009-12-04 2012-05-04 주식회사 포스코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
JP2011246790A (ja) * 2010-05-28 2011-12-08 Nippon Steel Corp 金属帯の連続電解エッチング方法及び連続電解エッチング装置
RU2503729C1 (ru) 2010-06-25 2014-01-10 Ниппон Стил Энд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ста из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с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зеренной структурой
JP5938866B2 (ja) * 2010-10-14 2016-06-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55593B2 (ja) * 2015-04-20 2019-01-2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
US10434606B2 (en) 2015-04-20 2019-10-08 Nippon Steel Corporatio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O2016171129A1 (ja) * 2015-04-20 2016-10-2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
CA2987379C (en) * 2015-07-28 2019-10-29 Jfe Steel Corporation Linear groove formation method and linear groove formation device
DE102015114358B4 (de) 2015-08-28 2017-04-13 Thyssenkrupp Electrical Stee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rnorientierten Elektrobands und kornorientiertes Elektroband
EP3751014B1 (en) * 2018-02-08 2023-08-02 Nippon Steel Corporatio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P3751013B1 (en) 2018-02-09 2023-03-29 Nippon Steel Corporation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240021277A (ko) 2021-07-30 2024-02-1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권철심 및 권철심의 제조 방법
WO2023007953A1 (ja) 2021-07-30 2023-0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巻鉄心および巻鉄心の製造方法
WO2023007952A1 (ja) 2021-07-30 2023-0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巻鉄心および巻鉄心の製造方法
KR20240021276A (ko) 2021-07-30 2024-02-1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권철심 및 권철심의 제조 방법
EP4273280A1 (en) 2022-05-04 2023-11-08 Thyssenkrupp Electrical Steel Gmbh Method for produc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and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922B2 (ko) * 1972-12-19 1979-05-10
DE3539731C2 (de) * 1984-11-10 1994-08-04 Nippon Steel Corp Kornorientiertes Elektrostahlblech mit stabilen, gegen das Spannungsfreiglühen beständigen magnetisch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JPS62161915A (ja) * 1986-01-11 1987-07-17 Nippon Steel Corp 超低鉄損の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GB2208871B (en) * 1987-08-22 1991-03-27 British Steel Plc Process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IN171546B (ko) * 1988-03-25 1992-11-14 Armco Advanced Materials
JPH0387314A (ja) * 1989-08-29 1991-04-12 Babcock Hitachi Kk 低鉄損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H0823046B2 (ja) * 1990-03-17 1996-03-06 日本鋼管株式会社 磁気特性の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86140B2 (ja) * 1990-08-01 1996-01-24 川崎製鉄株式会社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95670B2 (ja) 1999-05-24
JPH05121224A (ja) 1993-05-18
KR930008165A (ko) 1993-05-21
CA2081235A1 (en) 1993-04-25
EP0539236B1 (en) 1996-05-01
DE69210353D1 (de) 1996-06-05
CA2081235C (en) 2001-07-03
US5393355A (en) 1995-02-28
DE69210353T2 (de) 1996-12-05
EP0539236A1 (en) 199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759B1 (ko) 철손이 낮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900007448B1 (ko) 저철손 일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방법
KR101959646B1 (ko) 저철손 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5853499A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573193B1 (en) Method for producing unidirectional electromagnetic steel sheet
EP3950971B1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015919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20190034263A (ko) 메탈 마스크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JPH11293340A (ja)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A2045701C (en) Method of manufacturing low-core-loss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JPS62161915A (ja) 超低鉄損の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S6376819A (ja)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83357B2 (ja) 低鉄損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3369724B2 (ja) 鉄損の低い方向性電磁鋼板
JP2022060749A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364305B2 (ja) 鉄損の低い一方向性電磁鋼板
JPH029111B2 (ko)
JPH0387314A (ja) 低鉄損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H07258739A (ja) 鉄損の低い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7331332A (ja)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0124020A (ja) 磁気特性の優れた一方向性珪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52682B2 (ja) 磁気特性の優れた方向性けい素鋼板の製造方法
JP2000129357A (ja) 磁気特性の優れた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S6089545A (ja) 低鉄損一方向性けい素鋼板
JPH05247538A (ja) 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