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97Y1 -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 Google Patents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697Y1
KR950009697Y1 KR2019930019569U KR930019569U KR950009697Y1 KR 950009697 Y1 KR950009697 Y1 KR 950009697Y1 KR 2019930019569 U KR2019930019569 U KR 2019930019569U KR 930019569 U KR930019569 U KR 930019569U KR 950009697 Y1 KR950009697 Y1 KR 950009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level
water
shaft
ci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055U (ko
Inventor
진웅
오상열
Original Assignee
진웅
오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웅, 오상열 filed Critical 진웅
Priority to KR2019930019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697Y1/ko
Publication of KR950009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구멍
3 : 돌환 4 : 안내링
4A : 구멍 5 : 안내링
5A : 구멍 6 : 변체
7 : 상부변봉 8 : 하부변봉
9 : 랙기어 10 : 축
11 : 피니언기어 12 : 시이트
13 : 레버 14 : 부구
본 고안은 부구가 연결된 레버와 연결하여 물탱크의 물이 감소되어 부구가 하강하면 자동적으로 열려 물탱크에 물이 유입되고 물탱크에 한계 수위까지 물이 차게되면 부구의 상승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수위에 따라 접점이 접탈되는 것에 의하여 모우터의 작동으로 개폐되는 전동식밸브와 볼밸브 및 핀식밸브등 여러종류의 물탱크의 수위 조절밸브가 여러종류 공지되어 있으나, 전동식밸브의 경우에는 정전시에는 밸브로서의 기능이 전혀 발휘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고, 볼밸브 및 핀식밸브는 장기사용으로 마모되거나 강한 수압이 가해질시에는 누수될뿐만 아니라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물탱크의 물이 넘치게되는 등 여러가지의 문제가 따르게 되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체의 변봉에는 랙기어를 형성하고 부구의 레버가 고정되는 축에는 피니언기어를 형성하여 상기의 피니언기어를 랙기어와 이맞춤시켜 수위의 변화에 따라 회전되는 축의 피니언기어에 의하여 변체를 상,하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기사용에도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한 매우 합리적인 구조의 물탱크의 수위조절밸브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돌환(3)에 시이트(12)가 고정된 몸체(1)내에는 랙기어(9)를 고정한 변체(6)의 하부변봉(8)과 상부변봉(7)을 안내링(4)(5)의 구멍(4A)(5A)에 이동 자유롭게 끼우고, 시이트(12)의 아래 몸체(1)부분에는 편심되게 구멍(2)를 뚫어서, 상기의 구멍(2)에는 피니언기어(11)를 형성한 축(10)을 관출시켜 피니언기어(11)는 랙기어(9)와 이맞춤시키고, 축(10)의 양단에는 부구(14)를 고정한 레버(13)를 너트(15)로 고정하여 축(10)의 회전에 의하여 변체(6)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물공급파이프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탱크내의 수위가 올라가면 부구(14)의 상승에 의하여 레버(13)와 고정된 축(10)은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축(10)의 피니언기어(11)와 이맞춤된 랙기어(9)는 하강되어 변체(6)는 시이트(12)에 밀착되어 물탱크내로 더이상 물이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물탱크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부구(14) 및 레버(13)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레버(13)와 고정된 축(10)은 제3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축(10)의 피니언기어(11)와 이맞춤된 랙기어(9)는 수직으로 상승되고 변체(6)는 시이트(12)에서 떨어져 제3도와 같이 물은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피니언기어(11)와 랙기어(12)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변체(6)는 수직으로 이동되므로 장기사용으로 변체가 마모시나 고장시에도 변체(6)는 시이트(12)에 항상 확실하게 밀착케 되어 물탱크내에 한계 수위 이상으로 물이 유입되므로 인하여 물이 넘쳐 흐르게 될 염려가 없으면서, 또한 축(10)은 시이트(12)하방에 유착되었으므로 시이트(12) 및 변체(6)가 아주 심하게 손상되지 않는 한 누수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돌환(3)에 시이트(12)가 고정된 몸체(1)내에는 랙기어(9)를 고정한 변체(6)의 하부변봉(8)과 상부변봉(7)을 안내링(4)(5)의 구멍(4A)(5A)에 이동 자유롭게 끼우고, 시이트(12)의 아래몸체(1) 부분에는 편심되게 구멍(2)을 뚫어서, 상기의 구멍(2)에는 피니언기어(11)를 형성한 축(10)을 관출시켜 피니언기어(11)는 랙기어(9)와 이맞춤시키고, 축(10)의 양단에는 부구(14)를 고정한 레버(13)를 너트(15)로 고정하여 축(10)의 회전에 의하여 변체(6)를 수직으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한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KR2019930019569U 1993-09-23 1993-09-23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KR950009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569U KR950009697Y1 (ko) 1993-09-23 1993-09-23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569U KR950009697Y1 (ko) 1993-09-23 1993-09-23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055U KR950009055U (ko) 1995-04-19
KR950009697Y1 true KR950009697Y1 (ko) 1995-11-22

Family

ID=1936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569U KR950009697Y1 (ko) 1993-09-23 1993-09-23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6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055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361A (en) Float operated fill valve
KR910018644A (ko) 변기의 플래퍼 밸브의 제어장치
EP1795661A3 (en) Flush tank drain valve assembly with a system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water drained
KR950009697Y1 (ko) 물탱크의 수위조절용 밸브
US3211172A (en) Closet tank fittings
US4275471A (en) Hydraulically operated flush valve for toilet flush tanks and similar devices
US2806483A (en) Valv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flush tanks
KR960008205Y1 (ko) 물탱크의 수위조절밸브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KR200210370Y1 (ko) 2중수위 조절이 가능한 플로트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DE60319174D1 (de) Schnellschliessendes Einlassventil für einen Toilettenspülkasten
US2900996A (en) Toilet tank supply valve assembly
KR200310493Y1 (ko) 부력식 역지밸브
DE69921437D1 (de) Ablaufvorrichtung für einen Spülkasten
KR200243333Y1 (ko) 플로터 직결형 급수밸브
KR910001736Y1 (ko) 양변기의 자동 수위변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KR20010038248A (ko) 밸브 장치
US4683908A (en) Eccentric float apparatus
KR200200959Y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0210840Y1 (ko) 좌변기물통용 세정액통의 배출구조
FI85609B (fi) Foer montering i en yttervaegg avsedd vattenutkastare.
KR950002248Y1 (ko)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KR970001428Y1 (ko) 정수위 조절 밸브
KR930008652Y1 (ko) 수조용 부구식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