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57B1 -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57B1
KR950008357B1 KR1019930024933A KR930024933A KR950008357B1 KR 950008357 B1 KR950008357 B1 KR 950008357B1 KR 1019930024933 A KR1019930024933 A KR 1019930024933A KR 930024933 A KR930024933 A KR 930024933A KR 950008357 B1 KR950008357 B1 KR 95000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leaning
nozzle
water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459A (ko
Inventor
이제열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357B1/ko
Publication of KR95001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제1도는 도어에 본 고안의 내부 청소용 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노즐을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척실 20 : 급수호스
30 : 급수밸브 40 : 어뎁터
50 : 청소호스 60 : 노즐
62 : 분사공 70 : 탄지구
72 : 스프링 80 : 밀폐막
90 : 도어 100 : 후크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내부를 청소하는 호스(Hos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내면에 노즐(Nozzle)이 착찰될 수 있게하여 세척실을 청소한 후 세척실의 바닥이나 벽면에 붙어있는 오염물이나 거품 등을 효율적으로 청소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몸체 하우징(Housing)내에 하나의 세척실이 구획되고, 그 세척실 내부에는 식기들을 일률적으로 끼워 놓을 수 있는 이송랙이 상, 하측 2단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이송랙 하부에는 분사장치가 설치되고, 세척실의 저면에 집수부가 형성되고, 그 집수에 세척수가 메인 펌프(Mainpump)에 의해 소정수압으로 펌핑되어 상기 2개의 분사장치 공급되며, 그 분사장치에 의해 세척수가 이송랙에 놓여있는 식기에 분사되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현재 상기의 세척실 중앙에는 사절판을 이용하여 세척실을 상, 하 두 부분으로 양분하고, 필요에 따라 상측 세척실만을 별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하측 세척실만을 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식기세척기를 사용할 때에는 우선, 음식물로 인해 더러워진 식기를 세척실에 구비된 이송랙에 끼워놓고 이에 분사장치로 물을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게 되는데 바로 이같은 세척과정에서 음식물이나 그밖의 찌꺼기들이 세척실의 벽면에 붙게 됨에 따라 벽면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식기 세척 후 오염된 세척실을 별도로 청소해야 하는 바 종래에는 청소시 도어을 열고 바가지에 물을 담아 세척실에 일일이 끼얹어 청소하는 방법과 동작이 정지된 식기 세척기를 다시돌려서 분사장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외부에서 수도관에 연결된 호스를 통하여 공급된 물로 오염된 세척실을 청소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들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방법은 물을 일일이 바가지에 퍼담아서 세척실에 물을 끼얹어야 하고 청소할 때마다 바가지를 찾아야 하므로 번거롭고 힘이 들었으며 이때 끼얹은 물이 식기 세척기 외부로 흘러 나오거나 튀게되어 식기세척기가 놓여진 바닥면을 적시게 되고 오염 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두번째 방법은 정지되었던 식기세척기를 다시 동작 시키는 방법인데 이는 물이 식기세척기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 잇점이 있으나 전력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세번째 방법은 호스를 사용하여 수도관과 연결 물을 공급받아 호스로 뿌려 주어야 하므로 청소할 때마다 호스를 찾아야 하고 설혹 호스를 찾았다 하더라도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해 주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내면에 후크(Hook)를 설치하고 상기 후크에 청소호스가 연결된 노즐이 착탈되도록 하여 세척실 청소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90)가 개폐되는 세척실(10) 저면으로 급수밸브(30)로 제어되는 세척수가 유입 되게한 것에 있어서 급수밸브(30)와 급수호스(20) 사이에 어뎁터(Adapter)(40)를 연결한 후, 상기 어뎁터(40)에 청소호스(50)를 연결하여 청소호스(50)의 끝단에는 분사공(62)이 밀폐막(80)으로 개폐되는 노즐(60)을 설치하고 도어(90)의 내면 일측에는 후크(100)를 설치하여 상기 노즐(60)이 착탈 되도록 한 것으로서 도면 중 미설명 부호(64)은 노즈(60)의 내주연에 형성된 홈이고, (110)은 밀폐막(80)의 끝단에 씌워지는 고무패킹(Packing)이다.
그리고 상기한 노즐(60)의 밀폐막(80)은 스프링(72)으로 탄지되는 탄지구(70)의 레버(Lever)작동에 의해 승강 되면서 분사공(62)을 개폐되게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급수밸브(30)와 급수호스(20) 사이에 연결된 어뎁터(40)에 청소호스(50)를 연결하여 물이 흐르게 하고, 청소호스(50) 끝단에 연결된 노즐(6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며, 도어(9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후크(100)에 상기 노즐(60)이 착탈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급수밸브(30)와 급수호스(20)사이에 어뎁터(40)를 연결한 것은 수도관과 연결된 물이 급수호스(20)를 통해 내려 오다가 일부는 급수밸브(30)를 통하여 집수실에 집수되게 하고 일부는 어뎁터(40)와 연결된 청소호스(50)로 흘러 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청소호스(50)를 길게 연설하되 일단은 상기 어뎁터(40)에 연결하고, 끝단은 노즐(60)을 설치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은 어뎁터(40)를 통과한 물이 청소호스(50)를 타고 흘러가 노즐(60)에 도달하게 하여 세척실(10) 청소시에는 노즐(60)을 누르기만 하면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노즐(60)은 분사공(62)이 밀폐막(80)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청소시에는 탄지구(70)를 누르기만 하면 밀폐막(80)이 열리게 함으로써 청소호스(50)를 타고 내려온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평소때나 세척시에는 밀폐막(80)이 닫혀 물이 노즐(60)로 분사되지 못하게 한다.
여기서 밀폐막(80)은 분사공(62)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프링(72)으로 탄지되는 탄지구(70)를 설치하여 그 탄지구(70)에 연결된 레버의 작동에의해 밀폐막(80)이 승강되면서 분사공(62)을 개폐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바 탄지구(70)를 누르게 되면 스프링(72)은 압축되고 탄지구(70)에 연결된 레버의 작동에 의해 밀폐막(80)이 상승되면서 분사공(62)이 열려져 청소호스(50)의 물을 외부로 분사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눌렀던 탄지구(70)를 놓게 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72)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탄지구(70)에 연결된 레버의 작동에 의해 밀폐막(80)이 하강하여 물의 흐름을 막게 되므로 물은 분사공(62)으로 분사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밀페막(80)의 끝단에는 고무패킹(110)을 씌우고 이에 접촉되는 노즐(60)의 내주연에는 홈(64)을 돌설하게 되는데 이것은 밀폐막(80)이 닫혔을 경우에 청소호스(50)를 타고 내려온 물이 분사공(62)으로 누출되지 않게하여 완전한 밀폐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어(90)의 내면에는 후크(100)를 설치하여 청소호스(50)에 연설된 노즐(60)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할 때에는 노즐(60)을 도어(90)의 후크(100)에서 빼내어 노즐(60)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 오염된 세척실(10)을 청소해 주면 되므로 종래에 세척실(10)을 청소하기 위하여 일일이 호스를 찾거나 바가지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세척실 청소시 따로 호스나 바가지등을 준비하지 않고도 간단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청소호스(50)에 노즐(60)을 연결하고 도어(90)의 내면에는 설치된 후크(100)에 노즐(60)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별도로 청소도구를 찾지 않아도 되고, 급수밸브(30)에 청소호스(50)를 연결해서 사용하므로 전원이 필요없으며, 식기 세척기를 따로 돌려줄 필요가 없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90)가 개폐되는 세척실(10)의 저면으로 급수밸브(30)로 제어되는 세척수가 유입되게 한 것에 있어서 급수밸브(30)와 급수호스(20)사이에 어뎁터(40)를 연결한후, 상기 어뎁터(40)에 청소호스(50)를 연결하며, 청소호스(50)의 끝단에는 분사공(62)에 밀폐막(80)으로 개폐되는 노즐(60)을 설치하고 도어(90)의 일측에는 후크(100)를 설치하여 상기 노즐(60)이 착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내부청소용 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노즐(60)의 밀페막(80)은 스프링(72)로 탄지되는 탄지구(70)의 레버작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분사공(62)이 개폐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내부청소용 호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밀폐막(80)의 끝단에는 고무패킹(110)을 삽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내부청소용 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밀폐막(80)의 끝단과 접촉되는 노즐(60)의 내주연부에는 홈(6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내부청소용 호스.
KR1019930024933A 1993-11-22 1993-11-22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KR95000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933A KR950008357B1 (ko) 1993-11-22 1993-11-22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933A KR950008357B1 (ko) 1993-11-22 1993-11-22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459A KR950013459A (ko) 1995-06-15
KR950008357B1 true KR950008357B1 (ko) 1995-07-28

Family

ID=1936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933A KR950008357B1 (ko) 1993-11-22 1993-11-22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3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459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6265B2 (en) Dish washer
KR101570844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US4542756A (en) Portable non-powered dishwasher
KR950008357B1 (ko) 식기세척기 내부 청소용 호스
CN218529365U (zh) 一种卫生洁具用消毒杀菌装置
CN210586094U (zh) 一种新型洗缸装置
KR100390806B1 (ko) 자동 식기 세척기
KR101135851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착탈 구조
CN108451473B (zh) 水槽式清洗机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100710944B1 (ko) 식기 세척기
CN213287882U (zh) 一种临床使用的医学器材清洗烘干装置
KR100536956B1 (ko) 컵세척장치
KR100613482B1 (ko) 식기 세척기의 우유병 세척장치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CN217390538U (zh) 一种新型自动清洗装置
CN213828922U (zh) 一种家电维修用工具放置架
CN220557957U (zh) 一种清洗装置及水槽
CN213896391U (zh) 一种洗鞋洗衣一体机
KR200326663Y1 (ko) 폐세척수 자동 배출기능을 가지는 식기 세척기
KR100914528B1 (ko) 집수 유도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CN211096445U (zh) 一种微创整形vsd负压引流器
KR100622279B1 (ko) 식기세척기의 썸프구조
KR200234364Y1 (ko) 자동 식기 세척기
KR100850973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