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170B1 - 기저귀용 통전 패드 - Google Patents

기저귀용 통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170B1
KR950008170B1 KR1019920014166A KR920014166A KR950008170B1 KR 950008170 B1 KR950008170 B1 KR 950008170B1 KR 1019920014166 A KR1019920014166 A KR 1019920014166A KR 920014166 A KR920014166 A KR 920014166A KR 950008170 B1 KR950008170 B1 KR 95000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pad
conductive
sound
connecting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532A (ko
Inventor
차명도
Original Assignee
차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명도 filed Critical 차명도
Priority to KR101992001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170B1/ko
Publication of KR94000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저귀용 통전 패드
제1도는 본 발명 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A-A선 장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사용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연결된 작동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 타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전패드 2,3,3',4 : 흡수지
5,5',5″,6,6',6″: 가는통전선 7,7' : 연결핀
8,8' : 탄턱접속부 9 : 음향발생기
10,10' : 삽탈공 11 : 팬티형 기저귀
12 : 패드형 기저귀 14,14' : 전지
15 : 피시비기판 16 : 스피커
17 : 기저귀 18,18' : 융착부
본 발명은 기저귀에 별도의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기저귀 형성시 기저귀내에 간단하게 내장시킬 수 있고 연결부의 외부돌출 작업이 극히 용이하며 필요시 음향발생기를 착탈시켜 유아등의 대소변 배설시 음향이 초기 1회만 발생토록한 기저귀용 통전 패드이다.
종래에는 기저귀와는 재질이 다른 별도로 형성시킨 통전판등을 형성 수장시켜 기저귀 사용이 부드럽지 못하고 무거우며, 음향발생기 장착시도 이를 위해 기저귀에 별도의 구성을 형성해야 하고 이의 작동을 위해 기저귀에 별도의 구조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비능률적이고 실제 사용시 부착위치에 따라 작동이 달라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한고 있었다.
본 발명은 기저귀 내용물과 똑 같이 부드럽고 가벼우며 굴곡이 용이한 흡수지에 다수개의 가는 통전선을 배열시킨 패드를 형성하여, 기저귀 형성시 기저귀 내용물과 같이 내장시키고 남아, 여야, 대소변을 가릴것없이 또한 장착위치에 관계없이 배설이 통전 상태를 유발시켜 음향이 발생토록하고 기저귀에 별도의 구성을 형성치 않고도 음향발생기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경제적이고 필요시만 장착 사용할 수 있으며 음향이 초기시 1회만 발생토록하여 배설시와 배설후까지 계속음향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개의 흡수지(2)와 (3)(3') 및 (4)사이에 아주 가늘고 부드러운 다수개의 통전선(5)(5')(5˝) 및 통전선(6)(6')(6˝)를 배열하되, 통전선(5)(5')(5˝)와 통전선(6)(6')(6˝)사이에 반드시 흡수지(3)(3')가 게재되도록 하여 건조시는 통전되지 않도록 하고 통전선 사이의 흡수지(3)는 패드(1)외부로 노출시키는 통전선(5)(5')(5˝)과 통전선(6)(6')(6˝)의 길이에 맞춰 접촉되지 않도록 크기를 조절하여 형성시키고, 통전선(5)(5')(5˝) 및 (6)(6')(6˝)단부측은 밀착시켜, 두부측이 환형으로 형성된 연결핀(7)(7')내에 삽입하고 하단부측을 압압시켜 단턱접속부(8)(8')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통전패드(1)를 기저귀(17)만들때 내용물 투입시 같이 투입 내장시키고, 방수포 앞면을 간단한 도구로 구멍을 형성시킨 후 이에 연결핀(7)(7')을 끼워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시킨 음향발생기(9)에는 스피커(16)와 전지(14)(14')가 장착되고 1회음만 발생토록한 피시비기판(15)에 연결시킨 삽탈공(10)(10')을 형성하여 팬티형 기저귀(11)나 패드형기저귀(12)외부로 노출시킨 연결핀(7)(7')이 필요시 삽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저귀용 통전 패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전패드(1)를 팬티형기저귀(11)나 패드형기저귀(12)형성시 내용물과 같이 투입 내장시키게 되므로 내장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으며, 내장시킨 통전패드(1)의 단부측에 메달린 연결핀(7)(7')을 간단한 도구(송곳등)로 구멍을 형성 기저귀(17)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이에 외관이 미려하고 삽탈공(10)(10')을 형성시킨 음향발생기(9)를 필요시 착탈시키면 되는 것으로 음향발생기(9)를 장착시키지 않아도 대소변 배설시 통전상태가 되어도 연결핀(7)(7')에 전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정하고 부드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기(9)장착시만 통전상태로 인해 음향이 발생되며 음향도 피시비기판(15)에 의해 배설초기시 1회만 발생토록 하므로서 통전상태로 인한 계속적으로 음향이 발생되지 않도록하여 유아등의 긴장상태 유발을 방지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부드러우며, 음향발생기 외관을 작고 미려하게 형성하여 장난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세개의 흡수지(2)와 (3)(3') 및 (4)사이에 아주 가늘고 부드러운 다수개의 통전선(5)(5')(5˝) 및 (6)(6')(6˝)를 배열하되, 통전선(5)(5')(5˝)와 통선전 (6)(6')(6˝)사이에 반드시 흡수지(3)(3')가 게재되도록하여 건조시는 통전되지 않도록 하고, 통전선 사이의 흡수지(3)는 패드(1)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전선(5)(5')(5˝)와 통전선 (6)(6')(6˝)의 길이에 맞춰 접촉되지 않도록 크기를 조절하여 형성시키고 통전선(5)(5')(5˝) 및 (6)(6')(6˝)단부측은 밀착시켜, 두부측이 환형으로 형성된 연결핀(7)(7')내에 삽입하고 하단부측을 압압시켜 단턱 접속부(8)(8')로 연결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통전 패드.
  2. 스피커(16)와 전지(14)(14')가 장착되고 1회음만 발생토록한 피시비기판(15)에 연결시킨 삽탈공(10)(10')을 형성한 음향 발생기.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패드(1)를 팬티형기저귀(11)나 패드형 기저귀(12)에 내장시키고 통전선이 연결된 연결핀(7)(7')을 외부로 노출시켜 이에 음향발생기(9)가 삽탈공(10)(10')을 삽탈시켜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한 기저귀용 통전 패드.
KR1019920014166A 1992-08-07 1992-08-07 기저귀용 통전 패드 KR95000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166A KR950008170B1 (ko) 1992-08-07 1992-08-07 기저귀용 통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166A KR950008170B1 (ko) 1992-08-07 1992-08-07 기저귀용 통전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32A KR940003532A (ko) 1994-03-12
KR950008170B1 true KR950008170B1 (ko) 1995-07-26

Family

ID=1933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166A KR950008170B1 (ko) 1992-08-07 1992-08-07 기저귀용 통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1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32A (ko) 199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32863B (en) Probe
IL159450A0 (en) In vivo sensing device with a circuit board having rigid sections and flexible sections
FR2716297B3 (fr) Connecteur électrique avec douille à force d'insertion nulle.
DE69534426D1 (de) Gelenklose intraokkulare linsenmikropatrone
DE69931788D1 (de) Elektrische verbindung für einer ultraschallwandler neben der blende
ATE270612T1 (de) Presspolster
ATE273558T1 (de) Niedrigprofil-induktivkomponente
KR950008170B1 (ko) 기저귀용 통전 패드
GB2341970B (en) Positive pressure optical slider having trailing end side pads
DE59807198D1 (de) Ultraschallwandler mit in wandlerlängsrichtung angeordneter platine für eine elektrische schaltung
DK0739227T3 (da) Diskos
ATE375076T1 (de) Elektrische einrichtung
DE69709411T2 (de) Leiterplattenrandverbinder mit einer aussparung für das errichten des lötanschlussstücks
DE50006804D1 (de) Befestigungsanordnung
ES2182261T3 (es) Adaptador, carril de corriente y dispositivo de acoplamiento.
HK10796A (en) Connector assembly
KR910007056Y1 (ko) 활동완구용 멜로디기구
DE59610493D1 (de) Halter für ein temperaturabhängiges Schaltwerk
DE3850065D1 (de) Elektrischer Kontaktstift mit biegsamem Abschnitt und dessen Anwendung mit einer Leiterplatte.
JPH0421124U (ko)
DE69827453D1 (de) Kontaktstift montiert auf flexiblen Substraten
ES277694U (es) Dispositivo para iluminacion interior de la cabeza de un muneco
JPS5819248A (ja) 歯科治療器具の支持機構
JPS6332476U (ko)
JPH024237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